-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갑장사(甲長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로서 연악산(淵岳山) 정상부에 있다. 갑장사는 서쪽 봉우리 정상부 아래에 남향으로 앉아 있다. 연악산은 갑장산(甲長山)이라고도 불린다....
-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갑장사 경내의 고려 후기 석탑. 갑장사 삼층석탑(甲長寺 三層石塔)은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말사 갑장사(甲長寺)에 있다. 갑장사는 1373년(고려 공민왕 22) 나옹(懶翁) 혜근(惠勤)[1320~1376]이 창건하고, 1797년(정조 21) 연파(蓮坡) 혜장(惠藏)[1772~1811]이 중수하였다. 갑장사 삼층석탑은 1985년 8월 5...
-
고려 후기 상주 지역에 거주하였던 문신. 김구용(金九容)[1338~1384]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경지(敬之)·백은(伯誾), 호는 척약재(惕若齋)·육우당(六友堂)이다. 초명은 김제민(金齊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선(金愃)이고, 할아버지는 김승택(金承澤)이다. 아버지는 상락군(上洛君) 김묘(金昴)이고, 어머니는 여흥군(驪興君) 민사평(閔思平)의 딸 여흥 민씨(驪興 閔氏)...
-
고려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득배(金得培)[1312~1362]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며, 호는 난계(蘭溪),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지연(金之衍)이고, 할아버지는 김일(金鎰)이다. 아버지는 판전의를 지낸 김록(金祿)이고, 동생은 김득제(金得齊)·김선치(金先致)이다....
-
고려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요(金饒)[1312~1382]의 본관은 함창(咸昌)이며, 호는 강촌(江村)이다. 아버지는 도첨의찬성사를 지낸 김택(金澤)이며, 어머니는 영양 남씨(英陽 南氏)이다. 이곡(李穀)의 처남이자 이색(李穡)의 외삼촌이다....
-
고려 후기 상주 출신의 향리. 김조(金祚)[?~?]는 고려 후기 향리(鄕吏)로서 상산 김씨(尙山 金氏) 중시조이다....
-
고려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김택(金澤)[?~?]의 본관은 함창(咸昌)이며, 호는 간재(簡齋)이다. 아버지는 보문각대제학 김인완(金麟琬)이다. 부인은 영양 남씨(英陽 南氏)이고, 아들은 고려 문과에 급제하여 중대광을 지낸 김요(金饒)이다. 사위는 이곡(李穀)이다....
-
고려 후기 문인 이규보가 경기도 여주와 경상북도 상주를 여행하며 지은 한시. 「남유시(南遊詩)」는 고려 시대의 문인 이규보(李奎報)[1168~1241]의 문집인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6권에 수록된 한시이다. 29세 때인 1196년(명종 26) 5월에서 10월 사이에 황려(黃驪)[경기도 여주의 옛 이름]와 상주(尙州)를 왕래하면서 지은 92수의 기행시이다. 『동국이상국집』...
-
경상북도 상주시 서곡동에 있는 사찰. 도림사(道林寺)는 고려 시대 창건된 사찰로 경상북도 상주시 서곡동의 백원산 국사봉 기슭에 있다. 절 옆으로 지나는 한양옛길은 서곡동 배우이고개를 통하여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화산리로 이어지는데, 조선 시대 한양으로 과거를 보러 가던 선비들이 지나던 지름길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곡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동해사(東海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서곡동 식산(息山)에 자리한 전통 사찰이며, 일명 한산사(寒山寺)로도 불렸다. 동해사에는 동해사 석조여래입상(東海寺 石造如來立像)[경상북도 문화재자료]을 봉안하고 있다....
-
고려 후기 상주 지역에 거주한 문신. 박견(朴甄)[?~?]은 신라 경명왕의 다섯째 아들로 알려진 사벌대군(沙伐大君) 박언창(朴彦昌)의 후손이다. 『상산지(商山誌)』에 따르면 박견의 아들은 덕천창부사를 지낸 박원정(朴元挺)이고, 손자는 전법총랑을 지낸 박전(朴瑔)이다. 박견의 후손 중 박려(朴侶)는 상주 출신으로 원나라의 고위 환관이 된 방신우(方臣祐)의 매부였다. 박려는 원래 농부...
-
고려 후기 상주 출신의 원나라 환관. 방신우(方臣祐)[1267~1343]의 본관은 상주(尙州)이며, 어릴 적 이름은 방소공(方小公)이다. 아버지는 향리 출신으로 상주목사를 지낸 방득세(方得世)이고, 부인은 개성판관 이광시(李光時)의 딸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서문동·서성동·성하동 일대에 있었던 조선 시대 읍성 터. 상주읍성지(尙州邑城址)는 조선 시대의 읍성 터로 상주읍성터라고도 한다.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서문동·서성동·성하동 일대에 있으며 2차례 발굴 조사되었다....
-
고려 후기 상주 지역에 은거하였던 문신. 조운흘(趙云仡)[1332~1404]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호는 석간(石磵)·서하옹(棲霞翁)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감찰원장령 조정(趙晶)이고, 할아버지는 헌부산랑 조숙령(趙叔鴒)이다. 아버지는 어사 조건(趙虔)이고, 부인은 김득배(金得培)의 딸 상주 김씨(尙州 金氏)이다. 동생은 조운개(趙云价)·조운식(趙云式)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