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72년 제작된 회화식 채색 지도에 수록된 함창현 지도. 『1872년 지방지도(1872年 地方地圖)』는 회화식 채색 지도로 총 459매이다. 크기는 가로 70~90㎝, 세로 1.0~1.2m 등으로 일정하지 않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은 함창현의 「함창현여지도(咸昌縣輿地圖)」만 포함되어 있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강석필(姜碩弼)[1679~1755]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공망(公望), 호는 송은와(松隱窩)·이지재(二知齋)·송은(松隱)이다. 강사익(姜士翼)의 5대손으로, 할아버지는 강홍윤(姜弘胤)이다. 아버지는 강균(姜均)이고, 어머니는 정선 전씨(旌善 全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신평 이씨(新平 李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세규(姜世揆)[1762~1833]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공서(公敍), 호는 긍암(兢菴)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석경(姜碩經)이고, 할아버지는 강현(姜木+賢)이다. 아버지는 강필형(姜必炯)이고, 어머니는 이석좌(李碩佐)의 딸 성산 이씨(星山 李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세륜(姜世綸)[1761~1842]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문거(文擧), 호는 지원(芝園)·지포(芝圃)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통덕랑 강석번(姜碩蕃)이고, 할아버지는 장례원판결사 강박(姜檏)이다.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강필악(姜必岳)이고, 어머니는 이재후(李載厚) 딸 여주 이씨(驪州 李氏)이다. 부인은 고첨(高詹)의 딸이고, 아들은 강경흠(姜敬欽...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세백(姜世白)[1748~1824]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청지(淸之), 호는 호린(皓隣)·기치(杞痴)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석번(姜碩蕃)이고, 할아버지는 장례원판결사 강박(姜樸)이다. 아버지는 강필악(姜必岳)이며, 어머니는 사헌부지평 이재후(李載厚)의 딸 여주 이씨(驪州 李氏)이다. 부인은 박필경(朴必慶)의 딸이고, 아들은 강장흠(姜章欽)이...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신(姜紳)[1543~1615]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면경(勉卿), 호는 동고(東皐)·애련재(愛蓮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영숙(姜永叔)이고, 할아버지는 강온(姜溫)이다. 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姜士尙)이고, 어머니는 임간(任幹)의 딸 풍천 임씨(豊川 任氏)이다. 작은아버지 강사안(姜士安)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부인은 정유의(鄭惟義)의 딸...
-
경상북도 상주시 양촌동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각. 강원 효자각(康源 孝子閣)은 조선 시대 경상북도 상주 출신 강원(康源)[1656~?]의 효심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강원의 본관은 재령(載寧)이고, 할아버지는 강응철(康應哲)이며, 아버지는 강용정(康用正)이다. 어린 시절 아버지가 사망하자 홀로된 어머니를 지극정성으로 모셨다. 만년에 어머니가 병을 얻자 어머니의 변을 맛보아 건...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응철(康應哲)[1562~1635]의 본관은 재령(載寧)이며, 자는 명보(明甫), 호는 남계(南溪)이다. 아버지는 강사경(康士敬)이고, 어머니는 성산 이씨(星山 李氏)이다. 부인은 정여관(鄭汝寬)의 딸 진양 정씨(晉陽 鄭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인(姜絪)[1555~1634]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인경(仁卿), 호는 시암(是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영숙(姜永叔)이고, 할아버지는 의정부사인 강온(姜溫)이다. 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姜士尙)이고, 어머니는 훈련원부정 윤광운(尹光運)의 딸 파평 윤씨(坡平 尹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항(姜杭)[1702~1787]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이직(而直), 호는 시북(市北)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홍윤(姜弘胤)이고, 할아버지는 강균(姜均)이다. 아버지는 강석우(姜碩遇)이고, 어머니는 이성일(李星逸)의 딸 예안 이씨(禮安 李氏)이다. 강항은 큰아버지 강석기(姜碩耆)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홍립(姜弘立)[1560~1627]의 본관은 진주이며, 자는 군신(君臣), 호는 내촌(耐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온(姜溫)이고, 할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姜士尙)이다. 아버지는 좌참찬 강신(姜紳)이고, 어머니는 정유의(鄭惟義)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다. 부인은 황이형(黃履亨)의 딸 우주 황씨(紆州 黃氏)이고, 아들은 강숙(姜璹)·강원(姜瑗)·...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삼덕리 상주박물관에 있는 고려 시대 경상도안찰사와 조선 시대 경상도관찰사 명단을 기록한 책. 『경상도영주제명기(慶尙道營主題名記)』는 고려 시대 안찰사(按察使)와 조선 시대 관찰사(觀察使)의 명단과 인적 정보를 수록한 책이다. 1622년 김지남(金止男)[1559~1631]이 잔존본을 필사하여 제작한 이후 조선 말까지 추록하였다. 현재 경주본과 상주본 2종이...
-
1832년에 편찬된 상주목과 함창현의 관찬 읍지.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 「상주목읍지」·「함창현읍지」는 1832년(순조 32) 규장각(奎章閣)의 지시로 경상감영에서 완성한 경상도 도지의 상주목과 함창현 읍지이다. 감영의 완성본은 규장각으로 보고하여 현전하고 있지만, 당시 완성본과 같은 복본(複本)을 남겼는지는 알기 어렵다. 각 고을에 남아 있는 1832년 읍지를 보면, 경상감영...
-
1786년 규장각과 경상감영의 지시로 편찬한 상주목과 함창현의 관찬 읍지.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 「상주진상주목(尙州鎭尙州牧)」·「상주진함창현(尙州鎭咸昌縣)」은, 모든 고을 읍지를 하나의 유형으로 일치시키기는 1832년 이전의 과도기적인 모습을 잘 보여 준다. 1768년에 『여지도서(輿地圖書)』 대체 유형[『경상도읍지』 유형]의 수록 규정이 보급되었지만, 『경상도읍지』 「상주진...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대조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고상안(高尙顔)[1553~1623]의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자는 사물(思勿), 호는 태촌(泰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무과에 급제하여 부장을 지낸 고수연(高壽延)이고, 할아버지는 충의교위 고극공(高克恭)이다. 아버지는 좌부장 고천우(高天佑)이고, 어머니는 습독 강희언(康希彦)의 딸 신천 강씨(信川 康氏)이다. 첫 번...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장. 고상증(高尙曾)[1550~1627]의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자는 사성(思省), 호는 성재(省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고수연(高壽延)이고, 할아버지는 충의교위 고극공(高克恭)이다. 아버지는 좌부장 고천우(高天佑)이고, 어머니는 습독 강희언(康希彦)의 딸 신천 강씨(信川 康氏)이다. 부인은 습독 최진(崔縝)의 딸 전주 최씨(全州 崔氏)이고,...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고유(高裕)[1722~1779]의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자는 순지(順之), 호는 추담(秋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고한익(高漢翊)이고, 할아버지는 고사석(高師錫)이다. 아버지는 고규서(高奎瑞)이고, 어머니는 김익남(金益南)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도사 전광제(全光濟)의 딸 용궁 전씨(龍宮 全氏)이고, 두 번째 부인...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용신리에 있는 효곡서원에 배향된 조선 후기의 문신. 고인계(高仁繼)[1564~1647]의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자는 선승(善承), 호는 월봉(月峯)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고극검(高克儉)이고, 할아버지는 주부 고윤종(高胤宗)이다. 아버지는 전력부위 고경운(高慶雲)이며, 어머니는 안동 김씨(安東 金氏)이다. 부인은 채유부(蔡有孚)의 딸 인천 채씨(仁川 蔡氏)이...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의병장이자 문신. 곽수인(郭守仁)[1537~1602]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자는 경택(景宅), 호는 양담(瀼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곽계종(郭繼宗)이고, 할아버지는 풍덕훈도를 지낸 곽상(郭商)이다. 아버지는 주부 곽림(郭琳)이고, 어머니는 전력부위 조식(曺軾)의 딸 창녕 조씨(昌寧 曺氏)이다. 부인은 찰방 이굉(李宏)의 딸 진성 이씨(眞城 李氏)이고,...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곽용백(郭龍伯)[1588~1646]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호는 사오(沙塢), 초명은 곽준립(郭峻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풍덕훈도를 지낸 곽상(郭商)이고, 할아버지는 주부 곽림(郭琳)이다. 아버지는 송라도찰방 곽수지(郭守智)이고, 어머니는 이극검(李克儉)의 딸 공주 이씨(公州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참봉 장여침(張汝沈)의 딸 울진 장씨(蔚珍...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곽이정(郭以楨)[1595~1685]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자는 위경(衛卿), 호는 양헌(讓軒)이다. 초명은 곽이완(郭以完)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천문습독 곽림(郭琳)이고, 할아버지는 송라도찰방 곽수지(郭守智)이다. 아버지는 봉상시정 곽용백(郭龍伯)이고, 어머니는 참봉 박찬선(朴纘先)의 딸 함양 박씨(咸陽 朴氏)이다. 부인은 봉사 조유일(趙惟一)의...
-
경상북도 상주시 서문동에서 여자로 태어난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면서 부른 작자 미상의 선 후기 규방 가사. 「광사탄이라」는 경상북도 상주시 서문동에서 전하여지는 신변 탄식류의 규방 가사이다. 내용은 여자로 태어난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면서도 남자의 무능함과 무지함을 낱낱이 들어 해학적으로 그리고 있다. 마지막 구절에서는 죽어서 환생하게 된다면 남자로 태어나기를 소망하였다....
-
조선 후기 제작된 회화식 채색 지도의 상주목과 함창현 지도. 『광여도(廣輿圖)』는 총 7책으로 크기는 가로 28.6㎝, 세로 36.8㎝이다. 총 381장에 달하는 채색 지도(彩色地圖)이며, 제1책 천하도(天下圖)·중국도·유구도(琉球圖)·일본도·요계관방지도(遼薊關防地圖)·조선지도·도성도(都城圖)·경기도, 제2책 호서도, 제3책 호남도, 제4책 관서도·해서도, 제5책 영우도(嶺右圖),...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상리에 있는 조선 후기 열녀각. 광주 김씨 열녀각(廣州 金氏 烈女閣)은 고성인 이의봉(李鳳儀)의 부인 광주 김씨의 정열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광주 김씨는 이의봉과 혼인하여 두속마을(杜俗마을)로 출가하였다. 시부모를 모시는 데 효성을 다하고, 남편을 섬기는 데 지극정성을 다하였다. 남편이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나자 남편 옆을 떠나지 않고 식음을 전폐하...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권구(權坵)[1611~1682]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차산(次山), 호는 장재(藏齋) 또는 구학재(溝壑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대기(權大器)이고, 할아버지는 왕자사부를 지낸 권우(權宇)이다. 아버지는 권익린(權益隣)이고, 어머니는 좌랑 안명남(安命男)의 딸 순흥 안씨(純興 安氏)이다. 부인은 장령 이익(李瀷)의 딸 경주 이씨(慶州...
-
조선 후기 상주판관을 역임한 문신. 권길(權吉)[1550~1592]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응선(應善)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천부사 권한(權僩)이고, 할아버지는 충좌위호군 권승업(權承業)이다. 아버지는 충좌위사직 권익(權翊)이고, 어머니는 박종원(朴宗員)의 딸 상주 박씨(尙州 朴氏)이다. 부인은 박염(朴𥖝)의 딸 창원 박씨(昌原 朴氏)이고, 아들은 권흔(權訢)·권함(權諴...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권상룡(權相龍)[1706~1765]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용여(龍汝), 호는 긍재(兢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구(權坵)이고, 할아버지는 권이칭(權以偁)이다. 아버지는 권한(權澣)이고, 어머니는 통덕랑 조연(趙淵)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부인은 이화(李華)의 딸 흥양 이씨(興陽 李氏)이고, 아들은 권경(權檾)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문신. 권상일(權相一)[1679~1759]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태중(台仲), 호는 청대(淸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구(權坵)이고, 할아버지는 권이칭(權以偁)이다. 아버지는 권심(權深)이고, 어머니는 부사 이달의(李達意)의 딸 경주 이씨(慶州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김가주(金可柱)의 딸 선성 김씨(宣城 金氏), 두 번째 부인은...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 권용중(權用中)[1552~1598]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기수(器叟), 호는 천연재(天淵齋)·활사(活沙)이다. 초명은 권기수(權己壽)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충순위 권자평(權自平)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권수화(權秀華)이다. 아버지는 전생서별제 권세기(權世麒)이고, 어머니는 참봉 이기영(李基榮)의 딸 성산 이씨(星山 李氏)이다. 큰아버지...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각(金覺)[1536~1610]의 본관은 영동(永同)[영산(永山)]이며, 자는 경성(景惺), 호는 석천(石川)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김공저(金公著)이고, 할아버지는 장사랑 김자(金滋)이다. 아버지는 김언건(金彦健)이고, 어머니는 참봉 조이(趙恞)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부인은 성균관사성 김충(金冲)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고...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의병장. 김광두(金光斗)[1562~1608]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며, 자는 경추(景樞)·여우(汝遇), 호는 검암(黔巖)·일묵재(一默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감찰 김유(金洧)이고, 할아버지는 곡산부사 김국량(金國良)이다. 아버지는 김인(金仁)이고, 어머니는 김사숙(金嗣叔)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며, 부인은 문경세(文經世)의 딸 감천 문씨(甘泉 文氏)이...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광엽(金光燁)[1561~1610]의 본관은 순천(順川)이며, 자는 이회(而晦), 호는 죽일(竹日)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수홍(金粹洪)이고, 할아버지는 지훈련원사 김순고(金舜皐)이다. 아버지는 병마만호 김침(金琛)이고, 어머니는 승문원판교 원수장(元壽長)의 딸 원주 원씨(原州 元氏)이다. 부인은 이인수(李仁壽)의 딸 전의 이씨(全義 李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삼락(金三樂)[1610~1666]의 본관은 청도(淸道)이며, 자는 낙전(樂全), 호는 쌍수당(雙修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수의부위 김흡(金洽)이고, 할아버지는 김준신(金俊臣)이다. 아버지는 김백일(金百鎰)이고, 어머니는 신철(辛澈)의 딸 영산 신씨(靈山 辛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홍우민(洪友閔)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장...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김안절(金安節)[1564~1632]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며, 자는 자형(子亨), 호는 낙애(洛涯)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승의부위 김광범(金光範)이고, 할아버지는 안기도찰방 김표(金彪)이다. 아버지는 수의부위 김종선(金宗善)이고, 어머니는 이재(李宰)의 딸 진성 이씨(眞城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조광헌(趙光憲)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고, 두...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의병장. 김일(金鎰)[?~1592]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계(金氵+戒)이고, 할아버지는 별좌를 지낸 김광헌(金光憲)이다. 아버지는 장사랑 김희경(金希慶)이고, 어머니는 청주 한씨(淸州 韓氏)이다. 부인은 인동 장씨(仁同 張氏)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내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녀각. 김일 효녀각(金鎰 孝女閣)은 임진왜란 때 전사한 김일(金鎰)의 딸 상산 김씨를 기리기 위하여 1793년 건립하였다. 상산 김씨는 전란 중 아버지가 전사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가노(家奴)와 함께 전쟁터에서 아버지의 시신을 찾아 임시로 매장하였다가 왜적이 물러간 뒤 장례를 치렀다. 무덤 앞에 아무 글을 새기지 않은 비석을 세우고...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죽암리에 있는 낙암서원에 배향된 조선 후기의 문신. 김정룡(金廷龍)[1561~1619]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자는 시견(時見), 호는 월담(月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장사랑 김윤적(金允迪)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김관석(金關石)이다. 아버지는 선공감참봉 김담수(金聃壽)이고, 어머니는 조몽길(曺夢吉)의 딸 창녕 조씨(昌寧 曺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통례원...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의병장. 김준신(金俊臣)[1561~1592]의 본관은 청도(淸道)이며, 호는 절곡(節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장수도찰방 김이인(金以仁)이고, 할아버지는 부사직 김승조(金承祖)이다. 아버지는 수의부위 김흡(金洽)이고, 어머니는 경주 김씨(慶州 金氏)이다. 부인은 훈련원참군 신호(申浩)의 딸 고령 신씨(高靈 申氏)이고, 아들은 김백일(金百鎰)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지복(金知復)[1568~1635]의 본관은 영동(永同)[영산(永山)]이며, 자는 무회(無悔)·수초(守初), 호는 우연(愚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장사랑 김자(金滋)이고, 할아버지는 김언건(金彦健)이다. 아버지는 군자감정 김각(金覺)이고, 어머니는 성균관사성 김충(金冲)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다. 부인은 직장 전개(全漑)의 딸 관산 전씨(管山...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김해(金楷)[1633~1716]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정칙(正則), 호는 부훤당(負暄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군수를 지낸 김집(金緝)이고, 할아버지는 김사득(金士得)이다. 아버지는 김광호(金光灝)이고, 어머니는 정신(鄭伸)의 딸 청주 정씨(淸州 鄭氏)이다. 부인은 이한미(李漢美)의 딸 연안 이씨(延安 李氏)이고, 아들은 김만지(金萬...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홍미(金弘微)[1557~1605]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며, 자는 창원(昌遠), 호는 성극당(省克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부사직 김예강(金禮康)이고, 할아버지는 장사랑 김윤검(金允儉)이다. 아버지는 옥과현감 김범(金範)이고, 어머니는 계공랑 조한신(曺漢臣)의 딸 창녕 조씨(昌寧 曺氏)이다. 부인은 원주목사 류운룡(柳雲龍)의 딸 풍산 류씨(豊山 柳氏)...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죽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낙암서원(洛嵓書院)은 김담수(金聃壽)[1535~1603], 김정룡(金廷龍)[1561~1619], 김정견(金廷堅)[1576~1645]을 배향하기 위하여 1796년(정조 20) 건립하였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남극표(南極杓)[1639~1701]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명세(明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부사과 남예석(南禮錫)이고, 할아버지는 현감 남영(南嶸)이다. 아버지는 통덕랑 남창하(南昌夏)이고, 어머니는 황현경(黃玄慶)의 딸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현감 성진장(成震長)의 딸 창녕 성씨(昌寧 成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부호군...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정착한 문신이자 의관. 남영(南嶸)[1548~1616]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사수(士秀)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훈련원도정 남희(南暿)이고, 할아버지는 삭녕군수 남숙(南俶)이다. 아버지는 부사과 남예석(南禮錫)이고, 어머니는 수문장 김세균(金世均)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부장 한윤복(韓胤福)의 딸 청주 한씨(淸州 韓氏)이고,...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남이목(南履穆)[1792~1858]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순지(純之), 호는 직암(直菴)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남도식(南道軾)이고, 할아버지는 남종성(南宗晟)이다. 아버지는 남윤한(南胤漢)이고, 어머니는 신광조(申光祖)의 딸 평산 신씨(平山 申氏)와 구형운(具亨運)의 딸 능성 구씨(綾城 具氏)이다. 부인은 권석우(權錫祐)의 딸 안동 권씨(安東...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에 있는 조선 후기 장승. 남장사 석장승(南長寺 石長丞)은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에 있다. 1982년 2월 24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3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변경되었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남전(南躔)[1664~1737]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일승(日昇), 호는 소헌(素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현감 남영(南嶸)이고, 할아버지는 통덕랑 남창하(南昌夏)이다. 아버지는 의금부도사 남극표(南極杓)아고, 어머니는 현감 성진장(成震長)의 딸 창녕 성씨(昌寧 成氏)이다. 부인은 송규림(宋奎臨)의 딸 은진 송씨(恩津 宋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남한조(南漢朝)[1744~1809]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종백(宗伯), 호는 손재(損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남도훤(南圖翧)이고, 할아버지는 남정삼(南鼎三)이다. 아버지는 남필용(南必容)이고, 어머니는 참봉 김경온(金景溫)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다. 부인은 정언의(鄭彥儀)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남후(南垕)[1644~1690]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재원(載元), 호는 퇴촌(退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현감 남영(南嶸)이고, 할아버지는 현감 남창조(南昌祖)이다. 아버지는 남극로(南極老)이고, 어머니는 도사 이영광(李榮光)의 딸 완산 이씨(完山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부사 이숭언(李崇彦)의 딸 경주 이씨(慶州 李氏)이고, 두 번째...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노계원(盧啓元)[1695~1740]의 본관은 광산(光山)[광주(光州)]이며, 자는 백춘(伯春), 호는 운음(芸陰)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언 노준명(盧峻命)이고, 할아버지는 노사현(盧思賢)이다. 아버지는 노하적(盧夏績)이고, 어머니는 윤휘창(尹彙昌)의 딸 파평 윤씨(坡平 尹氏)이다. 부인은 권세휘(權世徽)의 처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고, 아들은 노문헌...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이소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노대하(盧大河)[1546~1610]의 본관은 광주(光州)[광산(光山)]이며, 자는 수오(受吾), 호는 이소당(履素堂)·소헌(素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풍저창수 노후(盧珝)이고, 할아버지는 활인서별제 노홍(盧鴻)이다. 아버지는 돈녕부첨정 노극신(盧克愼)고, 어머니는 청주목사 이증영(李曾榮)의 딸 덕산 이씨(德山 李氏)이...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시집을 못 가서 노처녀가 되었음을 한탄하면서 지은 작자 미상의 조선 시대 규방 가사. 상주시에서 전하여지는 「노처녀가(老處女歌)」는 자신이 병신인 탓으로 50세가 되도록 시집을 못 가서 노처녀가 되었음을 한탄하는 내용이다. 비록 용모는 남들보다 뒤떨어지지만 자신은 효행록과 열녀전을 열심히 읽은 까닭에 행실은 나무랄 데 없고, 시부모 봉양도 누구보다 잘할 수 있으...
-
경상북도 상주시 서곡동에 있는 조선 후기 서당. 도곡서당(道谷書堂)은 16세기 중반 상주목사 신잠(申潛)[1491~1554]이 건립한 서당이다. 신잠은 경상북도 상주 지역 선비들이 학문을 닦을 곳이 없음을 안타깝게 여겨 목사 재임 기간 동안 18개의 서당을 건립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도남동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도남서원(道南書院)은 1606년(선조 39) 정경세 등 상주 지역 유생들이 창건한 서원이다. 건립 당시에는 정몽주(鄭夢周), 김굉필(金宏弼), 정여창(鄭汝昌), 이언적(李彦迪), 이황(李滉) 동방오현을 제향하였다. 1616년 노수신(盧守愼), 1631년 류성룡(柳成龍), 1635년 정경세(鄭經世)를 추가로 배향하였다. ‘도남(道南)’...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판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도안서원(道安書院)은 조선 후기 문인 김우태(金宇泰)[1647~1708], 김시태(金時泰)[1647~1722]를 제향하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아천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각. 류거인 효자각(柳居仁 孝子閣)은 조선 시대 함창현 출신 류거인(柳居仁)의 효심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류거인은 과거 시험을 보기 위하여 집을 나섰는데, 그사이 어머니가 급한 병을 얻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에 눈물을 흘리고 있으니 호랑이가 나타나 류거인을 데려다주었다고 한다. 또 추운 겨울날 어머니가 잉어를 먹고 싶다고...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류심춘(柳尋春)[1762~1834]의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상원(象遠)·상수(象叟), 호는 강고(江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류후겸(柳後謙)이고, 할아버지는 류성로(柳聖魯)이다. 아버지는 류광수(柳光洙)이고, 어머니는 조시경(趙時經)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큰아버지 류발(柳潑)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첫 번째 부인은 이의수(李宜秀)의...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류주목(柳疇睦)[1813~1872]의 본관은 풍산(豊山)이고, 자는 숙빈(叔斌), 호는 계당(溪堂)·간곡거사(澗谷居士)·노시산인(老柴散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류발(柳潑)이고, 할아버지는 돈녕부도정 류심춘(柳尋春)이다. 아버지는 좌의정 류후조(柳厚祚)이고, 어머니는 부사 이재연(李載延)의 딸 연안 이씨(延安 李氏)이다. 부인은 박기재(朴基載)의 딸 순...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정착한 문신. 류진(柳袗)[1582~1635]의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계화(季華), 호는 수암(修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간성군수 류공작(柳公綽)이고, 할아버지는 황해도관찰사 류중영(柳仲郢)이다. 아버지는 영의정 류성룡(柳成龍)이고, 어머니는 용궁현감 이경(李坰)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부호군 권채(權采)의 딸 안동 권씨(...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류천지(柳千之)[1616~1689]의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자강(子强), 호는 어은(漁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해도관찰사 류중영(柳仲郢)이고, 할아버지는 영의정 류성룡(柳成龍)이다. 아버지는 사헌부지평 류진(柳袗)이고, 어머니는 권채(權采)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아들은 류명하(柳命河)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류후조(柳厚祚)[1798~1876]의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재가(載可), 호는 낙파(洛坡)·매산(梅山)·영매(嶺梅)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류성로(柳聖魯)이고, 할아버지는 류발(柳潑)이다. 아버지는 돈녕부도정 류심춘(柳尋春)이고, 어머니는 김정엽(金鼎曄)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다. 부인은 부사 이재연(李載延)의 딸 연안 이씨(延安 李氏)이...
-
1728년 이인좌와 정희량이 일으킨 난 당시의 상주 지역 동향. 무신란(戊申亂)은 1728년(영조 4) 무신년에 일어난 반란이다. 충청도에서는 이인좌(李麟佐)가 중심이 되었기 때문에 이인좌의 난, 영남에서는 정희량(鄭希亮)이 주도하였다는 이유로 정희량의 난이라고도 한다. 당시 상주에서는 일부 인사들이 가담하여 처벌을 받았으며, 한편으로는 의병을 일으켜 반란군을 토벌하는 데 일조하였...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우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병암고택의 사랑채. 병암고택(甁菴故宅)은 정경세(鄭經世)의 6세손인 정종로(鄭宗魯)[1738~1816]의 동생 정재로(鄭宰魯)[1755~?]가 15세 때 분가하여, 1770년 지은 살림집이다. 현재 예전 모습 그대로 남아 있는 사랑채와 후대에 지은 대문채·안채·별채·화장실이 있다. 별채의 경우 ‘병천정(甁泉亭)’이라는 현판이 있는데,...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봉강서원(鳳崗書院)은 강희중(姜淮仲)[1359~1421], 강형(姜詗)[1451~1504]을 제향하는 서원으로 1817년(순조 17) 경덕사(敬德祠)로 처음 건립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금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봉산서원(鳳山書院)은 노수신(盧守愼)[1515~1590], 심희수(沈喜壽)[1548~1622], 성윤해(成允諧), 김홍미(金弘微)[1557~1605], 조우인(曺友仁)[1561~1625], 정호선(丁好善)[1571~1632], 황익재(黃翼再)[1682~1747]를 제향한 서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북장리 북장사에 있는 조선 후기 괘불탱. 북장사 영산회 괘불탱(北長寺 靈山會 掛佛幀)은 1688년(숙종 14)에 수화승인 학능(學能) 등 7명의 승려가 제작한 불화이다. 1998년 6월 29일 보물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보물로 변경되었다....
-
1794년 편찬된 경상도 상주목의 읍사례. 1794년(정조 18) 편찬된 『상산읍례(商山邑例)』는 상주목 읍지 가운데 하나이다. 상주 관아 소속 각 소의 수입·지출·상납 및 사무 분장을 규정한 것으로 당시 상주 관아의 실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
1617년 이준이 편찬한 경상도 상주목의 사찬 읍지. 『상산지』[창석본]은 17세기 전반에 활동한 경상도 상주목의 사대부 이준(李埈)[1560~1635]이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구희급(丘希岌)이 등사한 공관 기록 등을 참고하여 1617년(광해군 9) 완성한 사찬 읍지이다....
-
경상북도 상주 출신 문신 조정의 조선 후기 문집 목판. 상주 검간 조정 문집목판(尙州 黔澗 趙靖 文集木板)은 조정(趙靖)[1555~1636]의 문집인 『검간선생문집(黔澗先生文集)』과 임진왜란 당시 조정의 일기 『진사일록(辰巳日錄)』의 책판이다. 2018년 2월 22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5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상주 견훤사당(尙州 甄萱祠堂)은 후백제를 세운 견훤(甄萱)에게 제사를 지내는 공간이다. ‘선신각’ 혹은 ‘선신당’이라고도 한다. 2013년 3월 18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5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 관음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화. 상주 관음사 아미타회상도(尙州 觀音寺 阿彌陀會上圖)는 19세기에 제작된 불화이며, 1958년 용흥사(龍興寺)로부터 관음사의 전신인 함창포교당(咸昌布敎堂)에 이안되었다. 상주 관음사 아미타회상도는 화기에 따르면 원래 1818년 당초 용흥사 도성암에 봉안되었던 탱화였는데, 도성암이 폐사되자 본사인 용흥사에서 보관하다가 관음...
-
경상북도 상주시 화남면 동관리 관음사지에 있는 조선 후기 사적비. 상주 관음사지 사적비(尙州 觀音寺址 事蹟碑)는 1707년(숙종 33) 건립한 비석이다. 2007년 4월 30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1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판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제단비. 상주 김준신의사 제단비(尙州 金俊臣義士 祭壇碑)는 임진왜란 때 전사한 김준신(金俊臣)[1561~1592]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제단비이다. 김준신은 상주목 화령현(化寧縣) 판곡리(板谷里) 출신으로 본관은 청도이며, 호는 절곡(節谷)이다.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상주목사 김해(金澥)의 예하의 솔령장(率領將)으로 상주의 관군...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 낙동중학교에 있는 조선 후기 선정비. 상주 낙동리 비석군(尙州 洛東里 碑石群)은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 낙동중학교에 있으며, 불망비 5기, 선정비 1기, 은덕비·송덕비·기타 각 1기 등 총 9기의 선정비가 있다. 직위별로는 목사비 6기, 아전비 2기, 기타 1기이며. 건립 연대는 1813년(순조 13)에서 1895년(고종 32)까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화. 상주 남장사 감로왕도(尙州 南長寺 甘露王圖)는 18세기 전반 경상도에서 활동하였던 탁휘(卓輝)·성징(性澄)·설봉(雪岺) 등의 화승이 1701년(숙종 27) 제작한 불화이다. 전체적으로 화면은 3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인물들의 배치가 일률적이어서 상당히 도식화된 느낌을 준다. 2010년 2월 24일 보물 제1641호로 지정되었...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의 속암인 관음선원에 있는 조선 후기 목각탱.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尙州 南長寺 觀音禪院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은 관음전 관음보살좌상의 후불탱으로 묵서에 1695년(숙종 21)에 조성되었다고 하였으나, 「천주산북장사사적기(天柱山北長寺事蹟記)」에는 갑술년인 1694년(숙종 20) 화주 희선(熙善)에 의하여 조성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상...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상. 상주 남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尙州 南長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은 1645년(인조 23) 청허(淸虛)가 5명의 조각승과 함께 제작한 목불상이다. 남장사 극락보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불상이다. 본존인 높이 139㎝의 아미타여래상을 중심으로 높이 128㎝의 관음보살상과 높이 131㎝의 대세지보살상이 좌우로 협시하고 있...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 보광전에 있는 조선 후기 목각탱. 상주 남장사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尙州 南長寺 普光殿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은 상주 남장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의 후불탱으로 조선 후기에 조성되었다. 보물인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과 쌍벽을 이루는 목각탱이다. 상주 남장사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은 1987년 7월 16일 보물 제922호로 지정되었고...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부도. 상주 남장사 부도군(尙州 北長寺 浮屠群)은 남장사에 주석하였던 승려들의 묘탑, 즉 사리탑이다. 조선 후기에 조성된 석종형 4기와 최근에 조성된 1기 등 총 5기이며, 부도 주인을 모두 알 수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화.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尙州 南長寺 靈山會 掛佛圖)는 1788년(정조 12) 불화승(佛畫僧)인 상겸(尙謙)의 주도로 총 22명의 화승이 참여하여 제작한 것으로 크기는 가로 645.5㎝, 세로 1,066.7㎝이다. 2018년에 보물 제2007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에 있었던 조선 후기 불화 및 불구.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및 복장유물(尙州 南長寺 靈山會 掛佛圖 및 腹藏遺物)은 1776년(정조 즉위) 불화승(佛畫僧)인 유성(有誠) 등 23명의 화승이 참여하여 제작하였다. 괘불도와 복장낭(腹藏囊)·동경(銅鏡)·복장낭 보관함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3년 현재 직지사(直指寺) 성보박물관에 보관 중이다. 상주...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에 있는 조선 후기 일주문. 상주 남장사 일주문(尙州 南長寺 一柱門)은 1882년(고종 19) 세운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에 있다. 2003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42호로 지정되었다가 2013년 4월 8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에서 지정 해제되고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등급이 조정되었다. 2013년 4월 8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68호로 지정되...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우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누정 겸 서실. 상주 대산루(尙州 對山樓)는 영남학파의 대표 학자인 문신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1563~1633]가 1602년 건립한 누정 겸 서실이다. 정경세의 별서로 건립된 뒤 후손에 의하여 정사와 누정, 서고를 함께 갖춘 복합 건물로 중건되었다. 상주 대산루는 1982년 2월 24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6호로 지정되...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북장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상. 상주 북장사 극락보전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尙州 北長寺 極樂寶殿 木彫阿彌陀如來三尊坐像)은 1676년(숙종 2)에 조성된 목조 불상이다. 2017년 8월 31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북장사 명부전에 봉안된 조선 후기 목조 불상. 상주 북장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尙州 北長寺 冥府殿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一括)은 24구의 목조 불상으로 1689년(숙종 15)에 제작되었다. 2017년 8월 31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1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
-
경상북도 상주시 북장사 극락보전에 있었던 조선 후기 목조 경장. 상주 북장사 목조경장(尙州 北長寺 木造經欌) 한 쌍은 상주 북장사 극락보전에 봉안되어 있었으나, 2023년 현재 김천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위탁 관리하고 있다. 상주 북장사 목조경장은 2018년 12월 20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2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북장리 북장사에 있었던 조선 후기 전패. 상주 북장사 목조삼전패(尙州 北長寺 木造三殿牌)는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북장리 북장사 극락보전에 봉안되었으나 2023년 현재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위탁 보관되어 있다. 2018년 12월 20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2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
-
경상북도 상주시 외답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전식의 신도비. 상주 사서 전식 신도비(尙州 沙西 全湜 神道碑)는 1700년(숙종 26) 세운 조선 후기 문신 전식(全湜)[1563~1642]의 신도비이다. 전식은 본관이 옥천(沃川)이고, 자는 정원(淨遠), 호는 사서(沙西),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류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정경세(鄭經世)·이준(李埈)과 더불어 ‘상사삼로(商社三老...
-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 상락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상. 상주 상락사 대웅전 목조석가여래좌상(尙州 常樂寺 大雄殿 木造釋迦如來坐像)은 조선 후기에 조성되었으며, 머리 부분이 특별히 큰 목불상이다. 2008년 4월 28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에 있는 고택. 상주 수암종택(尙州 修巖宗宅)은 류성룡(柳成龍)[1542~1607]의 셋째 아들 수암(修巖) 류진(柳袗)[1582~1635]을 불천위로 모시는 종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실. 상주 승곡리 추원당(尙州 升谷里 追遠堂)은 조정(趙靖)[1555~1636]을 제향하는 불천위 사당과 재실이다. 조정의 본관은 풍양(豊壤)이고 호는 검간(黔澗)이며 아버지는 조광헌(趙光憲)이다. 학봉 김성일의 문인으로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창의하여 공을 세웠다. 선무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조정이 임진왜란 때 쓴 일기 등이 조정 임...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고택. 상주 양진당(尙州 養眞堂)은 검간(黔澗) 조정(趙靖)[1555~1636]이 임진왜란 때 불탄 옛 선조의 집터에 제선(祭先), 목인(睦婣), 교양(敎養) 등의 유교 사상 실천과 이상향의 터전으로 삼기 위하여 1628년 건립한 종가이다. 당호는 조정이 평생 실천하고자 한 제선, 목인, 교양 등 본성을 성실히 지켜 자연의 도리에서...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고택. 상주 오작당(尙州 悟昨堂)은 구당(舊堂) 조목수(趙沐洙)[1736~1807]의 호를 따서 ‘구당’이라고도 한다. 상주 양진당을 건립한 문신 조정(趙靖)[1555~1636]의 둘째 아들의 후손들이 거주한 집이다. 문중 자료를 종합하면, 조정의 둘째 아들 조영원(趙榮遠)[1577~1640]이 혼인한 후 상주 양진당과 인접한 마을로...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상주 옥동서원(尙州 玉洞書院)은 방촌 황희(黃喜)[1363~1452], 사서 전식(全湜)[1563~1642], 축옹 황효헌(黃孝獻)[1491~1532], 반간 황뉴(黃紐)[1578~1626]를 배향한 서원이다. 황희는 본관이 장수(長水), 자는 구부(懼夫), 호는 방촌(厖村)이다. 고려가 멸망하자 은거하다가 태조의 적극적인 출...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사. 상주 용산정사(尙州 龍山精舍)는 상주 양진당 서쪽 산기슭에 있는데, 정사와 함께 연지를 두어 일명 ‘와연당(臥淵堂)’으로도 불린다. 풍양 조씨 검간공파 9대 주손인 위재(危齋) 조상덕(趙相悳)[1808~1870]의 「용산정사와용당기(龍山精舍臥龍堂記)」에 “9대조 검간의 양진당 뒤쪽 선조 묘 밑에 와룡당을 짓는다”라고 하여 선조...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우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정경세의 종택. 상주 우복 종택(尙州 愚伏 宗宅)은 1750년대 조정으로부터 사패지[왕이 내려 준 논과 밭]가 내려오자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1563~1633]의 현손 정주원(鄭冑源)[1686~1756]이 건립한 종택이다. 『진주정씨세보』에 따르면, 정주원은 만년에 우산으로 들어와 엽동(燁洞)을 자호(自號)로 삼았다는 기...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운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종택. 상주 의암고택(尙州 依巖古宅)은 풍양 조씨 검간종파 극암(克庵) 조식(趙栻)[1774~1837]의 종택이며, 안채, 사랑채, 도장채, 뒤주채, 사당, 대문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임당 연안 이씨[1749~1826]가 34세 때 남편 조형연[1750~1783]과 사별하고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큰아들 조식과 함께 1800년경...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 임란북천전적지 내에 있는 조선 후기 비석군. 상주 임란북천전적지(尙州 壬亂北川戰跡地) 내에는 조선 시대와 최근의 비 등 총 20기가 산재하고 있다. 조선 시대 비는 사의비 1기, 경상도관찰사 비 2기, 상주목사 비 3기, 척화비 1기 등 총 7기이다. 건립 연대는 1612년(순조 13)부터 1890년(고종 27)까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동리 전식 종가에 소장되어 있는 전식의 조복 및 공예품 유물. 상주 전식조복 및 공예품 일괄(尙州 全湜朝服 및 工藝品 一括)은 조선 시대 문신 사서(沙西) 전식(全湜)[1563~1642]의 조복과 공예품 일괄을 가리키는 유물이며, 2021년 12월 20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조복은 홍의와 훈상, 대대 및 패옥, 아홀 등 5종이 남아 있고, 공...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동리 전식 종가에 소장되어 있는 고문서. 상주 전식종가 소장 고문서(尙州 全湜宗家 所藏 古文書)는 조선 시대 문신인 사서(沙西) 전식(全湜)[1563~1642]의 종가에 소장되어 있는 고문서이다. 1596년부터 1697년까지 발급된 유지·교지·녹패 등 69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1년 12월 20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동리 전식 종가에 소장되어 있는 전식의 초상과 초본 및 영정 보관함. 조선 시대 문신 사서(沙西) 전식(全湜)[1563~1642]의 초상과 초본 및 영정 보관함으로, 경상북도 상주시 지역에서 수백 년간 세거하여 온 전식 종가에 소장되어 있는 전세(傳世) 유물이다. 초상 1점이 1987년 충청북도 옥천의 목담서원 영당에 이안되어 1992년 10월 23일 충청...
-
조선 후기 경상도 상주 지역에서 실시하였던 향약 관련 문적. 『상주 증손향약(尙州 增損鄕約)』은 1634년(인조 12) 경상도 상주목에서 처음 실시하였고, 1692년(숙종 18) 관련 규정을 엮어 『상주 증손향약』을 편찬하였다. 1986년 12월 11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1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운평리에 있는 조선 후기 누정. 상주 청간정(尙州 聽澗亭)은 가곡(柯谷) 조예(趙秇)[1608~1661]가 1650년경 건립하여 자연을 벗삼아 학문을 닦던 곳이다. 풍양 조씨 집성촌인 운평리 운곡마을에 있는 연당형 누정이자 호군공파 검간공 자손들의 학문 장소이다. ‘청간’은 ‘골짜기에 흐르는 물소리를 듣고 또한 마음 내면의 소리를 듣는다’는 뜻으로 누정의 건...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에 있는 청계사 내 부도 군락. 상주 청계사 부도군(尙州 淸溪寺 浮屠群)은 경상북도 상주시의 전통 사찰인 청계사(淸溪寺) 경내에 있는 부도 2기로 조선 시대에 조성되었다. 청계사는 통일 신라 말기 국사(國師) 도선(道詵)이 창건하였다고 추정되는 사찰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능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성람의 묘갈. 상주 청죽 성람 묘갈(尙州 聽竹 成灠 墓碣)은 조선 후기 문신 성람(成灠)[1556~1620]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묘갈이다. 성람은 본관이 창녕, 호는 청죽이며, 효릉참봉·공조좌랑·무주현감 등을 역임한 학자이다. 조선 시대 양명학의 사상적 체계를 완성한 남언경에게 수업하여 학문으로 이름을 떨쳤고, 이이와 성혼을...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양범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사. 상주 추원재(尙州 追遠齋)는 진주 강씨 찬성공파 종중 재사로 양범리 추원재라고도 한다. 선현의 묘소를 수호하고 후손들의 회합을 도모하는 장소로 활용하고 있다. 상주 추원재는 2010년 3월 11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64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봉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고택. 상주 취은고택(尙州 醉隱古宅)은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봉산리 골가실마을에서 세거하여 온 여산 송씨(礪山 宋氏) 정가공파(正嘉公派)의 고택이다. 500m 정도의 토석 담장 안에 6동의 건물이 들어서 있다. 상주 취은고택은 송덕부(宋德溥)[1603~1674]가 골가실에 정착하면서, 처음 건립되었다. 2011년 1월 3일 경상북도...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신흥리에 있는 3종의 고서. 상주 함창사마소 유물(尙州 咸昌司馬所 遺物)은 함창읍 신흥리의 함창 사마록 봉안소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함녕사마록(咸寧司馬錄)』, 『함녕사마록계안(咸寧司馬錄稧案)』, 『함녕사마록(咸寧司馬錄)』 등 3종의 고서이다. 2013년 8월 19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1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 상주향교에 있는 조선 후기 건물. 상주향교(尙州鄕校)는 고려 시대 건립한 이래 전통 시대 상주목(尙州牧)의 공립 교육 기관으로 교육과 제향의 기능을 담당하였다. 대성전(大成殿) 및 동무·서무는 향교에서 공자의 위패를 봉안하고 향사를 지내는 곳이다. 조선 시대에는 읍격에 따라 향교의 격도 달랐는데, 상주향교의 경우 대설위(大設位)로 성균관(成均館)의 문묘(文廟...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삼덕리 상주박물관에 있는 상주향교 소장 조선 후기 전적 일괄. 상주향교 소장 전적(尙州鄕校 所藏 典籍)은 조선 시대 경상도 상주의 관학(官學) 기구인 상주향교에 전하여 오던 전적류이다. 필사본 23종 24책이 전하여 왔으며, 2023년 현재 상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인봉동에 있는 조선 시대 자치 기구의 건물. 상주향청(尙州鄕廳)은 조선 시대 상주 지역에 파견된 지방관을 보좌하던 자치 기구의 건물이다. 상주향청은 유향소라고도 부른다. 조선 시대 향청은 풍기 단속, 향리 감찰, 인재 추천, 조세 및 부역 자문 등의 임무를 띠었다. 상주향청은 1997년 9월 29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3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황령리 황령사에 있었던 조선 후기 불화. 상주 황령사 아미타후불탱(尙州 黃嶺寺 阿彌陀後佛幀)은 1786년(정조 10) 제작된 불화이다. 황령사에 안치되어 있었으나, 2023년 현재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불화를 봉안하였던 황령사(黃嶺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다. 상주 황령사 아미타후불탱은 2002년 7월 15일 경상북...
-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상주 흥암서원(尙州 興巖書院)은 송준길(宋浚吉)[1606~1672]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1702년(숙종 28) 처음 건립하였다....
-
18세기 중엽 제작된 경상도 상주목 지도. 『경상도지도 진주·상주도회(慶尙道地圖 晉州·尙州都會)』의 일부로 18세기 중엽에 제작되었다. 『상주도회(尙州都會)』에는 경상도 상주목과 경상도 함창현을 비롯한 12개 고을이 수록되어 있다.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
1549년부터 1995년까지 경상북도 상주 지역 지방관의 명단을 기록한 문헌. 『상주목선생안(尙州牧先生案)』은 1549년(명종 4) 상주목사(尙州牧使)로 도임한 전팽령(全彭齡)[1480~1560]부터 1995년 상주시장으로 당선된 김근수(金瑾洙)[1934~]에 이르기까지 상주목사·상주군수·상주시장 등 역대 상주의 지방관 260여 명의 명단을 기록한 자료이다. 상주에 부임한 목민관들...
-
조선 후기 편찬된 상주목의 관찬 읍지 7종. 『상주목읍지(尙州牧邑誌)』는 조선 후기 상주목에서 편찬한 관찬 읍지로 대체로 내지 제목[권수제]이 ‘상주진상주목’이나 ‘상주목읍지’이다. 그러나 표지 제목을 ‘상산읍지’, ‘상산지’, ‘상주읍지’ 등으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대체로 ‘상주진상주목’은 18세기 후반인 1760년, 1775년, 1786년에 편찬한 읍지이거나 이런 읍지를 베낀...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에 있는 풍산 류씨 류진의 종가. ‘수암 류진 종가(修巖 柳袗 宗家)’는 풍산 류씨 류성룡(柳成龍)[1542-1607]의 서애파에서 분파된 우천파의 종가로 류진(柳袗)[1582~1635]을 파조로 한다. 종가의 이름은 류진의 호 수암(修巖)을 따서 지었다. 류진은 상주 우천에 이거한 이후 ‘상주 수암 류진 종가’ 또는 ‘수암공파’로 불리며 서애학통을 상...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정착한 유의이자 문신. 성람(成灠)[1556~1620]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사열(士悅), 호는 청죽(聽竹)이다. 초명은 성협(成浹)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성완(成玩)이고, 할아버지는 예빈시정 성희주(成希周)이다. 아버지는 강원감사 성세평(成世平)이고, 어머니는 노공좌(盧公佐)의 딸이다. 아들은 성여춘(成汝櫄)·성여백(成汝栢)이다. 형은 성락(成洛)...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성만징(成晩徵)[1659~1711]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달경(達卿), 호는 추담(秋潭)·환성당(喚醒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성여백(成汝栢)이고, 할아버지는 성진승(成震升)이다. 아버지는 성호영(成虎英)이고, 어머니는 통덕랑 이동야(李東野)의 딸 덕수 이씨(德水 李氏)이다. 부인은 현감 이상길(李相吉)의 딸 함평 이씨(咸平 李氏)이고, 아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성이홍(成爾鴻)[1691~1749]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중거(仲擧), 호는 취음(翠陰)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성진승(成震升)이고, 할아버지는 성호영(成虎英)이다. 아버지는 성만징(成晩徵)이고, 어머니는 현감 이상길(李相吉)의 딸 함평 이씨(咸平 李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성헌징(成獻徵)[1654~1676]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문식(文式), 호는 통허재(洞虛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성여백(成汝栢)이고, 할아버지는 성진승(成震升)이다. 아버지는 성호영(成虎英)이고, 어머니는 통덕랑 이동야(李東野)의 딸 덕수 이씨(德水 李氏)이다. 부인은 현감 박찬선(朴纘先)의 딸 상산 박씨(商山 朴氏)이고, 동생은 성만징(成...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손경석(孫景錫)[1669~1732]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중백(仲百), 호는 남암(南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손당(孫禟)이며, 할아버지는 손신의(孫愼儀)이다. 아버지는 경주부윤 손만웅(孫萬雄)이고, 어머니는 강용직(康用直)의 딸 재령 강씨(載寧 康氏)이다. 부인은 권수경(權守經)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손만웅(孫萬雄)[1643~1712]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적만(敵萬), 호는 야촌(野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손흥효(孫興孝)이고, 할아버지는 손당(孫禟)이다. 아버지는 손신의(孫愼儀)이고, 어머니는 이심근(李深根)의 딸 인천 이씨(仁川 李氏)이다. 부인은 강용직(康用直)의 딸 재령 강씨(載寧 康氏)이고, 아들은 손경석(孫景錫)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손영로(孫永老)[1820~1891]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이석(而錫), 호는 목서(木西)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손필경(孫必慶)이고, 할아버지는 손진두(孫鎭斗)이다. 아버지는 손석련(孫石鍊)이고, 어머니는 성헌로(成獻老)의 딸 창녕 성씨(昌寧 成氏)이다. 부인은 김해 허씨(金海 許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손진익(孫鎭翼)[1760~1812]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유려(幼勵), 호는 진암(進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손운억(孫雲億)이고, 할아버지는 손창현(孫昌顯)이다. 아버지는 손윤경(孫潤慶)이고, 어머니는 조석춘(趙錫春)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임상권(林尙權)의 딸 은진 임씨(恩津 林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신백원(...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송규필(宋奎弼)[1780~1847]의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자는 문징(文徵), 호는 남고(南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송식(宋王+寔)이고, 할아버지는 송진복(宋震復)이다. 아버지는 송계주(宋啓周)이고, 어머니는 이희원(李禧遠)의 딸 흥양 이씨(興陽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사헌부지평 조억(趙嶷)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송량(宋亮)[1534~1618]의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자는 경명(景明), 호는 우곡(愚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사헌부집의 송숙기(宋叔琪)이고, 할아버지는 용양위부사직 송세휘(宋洗輝)이다. 아버지는 부호군 송당(宋璫)이고, 어머니는 강완(康琬)의 딸 재령 강씨(載寧 康氏)이다. 부인은 박언기(朴彦箕)의 딸 밀양 박씨(密陽 朴氏)이고, 아들은 송이회...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신대응(申大膺)[1789~1863]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대유(大猷), 호는 화석(華石)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신재달(申再達)이고, 할아버지는 신이협(申以恊)이다.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신영눌(申永訥)이고, 어머니는 조묵연(趙黙然)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곽진교(郭鎭敎)의 딸 현풍 곽씨(玄風 郭氏)이고, 두 번째 부...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신석번(申碩蕃)[1596~1675]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중연(仲衍), 호는 백원(百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부사용 신공헌(申公獻)이고, 할아버지는 사복시주부 신운(申雲)이다. 아버지는 신근(申謹)이고, 어머니는 덕수 이씨(德水 李氏)이다. 부인은 현감 정숭연(鄭崇衍)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고, 아들은 신행(申烆)·신관(申爟)·신난(...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거주한 문신. 신집(申楫)[1580~1639]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여섭(汝涉), 호는 하음(河陰)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호군 신종위(申從渭)이고, 할아버지는 습독 신연(申演)이다. 아버지는 주부 신경남(申慶男)이고, 어머니는 참봉 권제세(權濟世)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사정 홍덕록(洪德祿)의 딸 부림 홍씨(缶林 洪氏)이고...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신필정(申弼貞)[1656~1729]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원백(元伯), 호는 병옹(病翁)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신상철(申尙哲)이고, 할아버지는 인천부사 신숭구(申崇耈)이다. 아버지는 신후석(申厚錫)이고, 어머니는 부윤 박문도(朴文度)의 딸 무안 박씨(務安 朴氏)이다. 부인은 이진화(李震華)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고, 아들은 신...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문신. 신후명(申厚命)[1638~1701]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천휴(天休), 호는 임하당(林下堂)이다. 신여길(申汝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호조정랑 신상철(申尙哲)이다. 아버지는 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 신형구(申衡耉)이며, 또한 이조참판에 증직되었다. 어머니는 참의 성시헌(成時憲)의 딸 창녕 성씨(昌寧 成氏)로 정부인(貞夫人)에...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신후재(申厚載)[1636~1699]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덕부(德夫), 호는 규정(葵亭)·서암(恕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신여길(申汝吉)이고, 할아버지는 호조정랑 신상철(申尙哲)이다. 아버지는 제천현감 신항구(申恒耉)이고, 어머니는 허한(許僩)의 딸 양천 허씨(陽川 許氏)이다. 부인은 부사 류호연(柳浩然)의 딸 진주 류씨(晉州 柳氏...
-
18세기 중엽에 제작된 회화식 채색 지도첩에 수록된 상주목과 함창현 등의 지도. 『여지도(輿地圖)』는 18세기 중엽 중앙 정부에서 전국 각 고을의 지리 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제작한 회화식 지도첩이다....
-
1760년 상주목과 함창현에서 편찬한 읍지. 『여지도서(輿地圖書)』는 1760년 홍문관에서 지시한 목차에 따라 어람용·홍문관·성균관 각 1건, 경상감영 2건 등 모두 5건을 제작한 전국 읍지의 일부이다. 영조 말 서명응(徐命膺) 소장본과 천주교 조선교구의 뮈텔 주교가 수집한 한국교회사연구소본이 전한다....
-
1622년에 경상북도 상주 선비들이 연악에서 문회를 열고 지은 시문을 책으로 엮은 시집. 『연악문회록(淵嶽文會錄)』은 1622년 5월 25일부터 5일간 연악(淵嶽)[갑장산(甲長山)]에 있는 연악서재(淵嶽書齋)[연악서당(淵嶽書堂), 현재는 연악서원(淵嶽書院)]에서 당시 상주목사였던 현주(玄洲) 조찬한(趙纘韓)[1572~1631]과 상주 선비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1563~16...
-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연악서원(淵嶽書院)은 박언성(朴彦誠), 김언건(金彦健)[1511~1571], 강응철(康應哲)[1562~1635], 김각(金覺)[1536~1610], 조광벽(趙光璧)[1566~1642], 강용량(康用良)[1608~1676]을 배향하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박언성의 본관은 문의(文義), 호는 낙지정(樂志亭)이다. 박언성은 12세에 할머니...
-
1777년에 상주 출신 이진흥이 역대 향리의 사적을 엮어 낸 책. 『연조귀감(掾曹龜鑑)』은 역대 향리(鄕吏)들의 사적을 수집하여 엮은 책이다. 경상도 상주의 향리 후손인 이진흥(李震興)이 1777년(정조 1)에 편찬하였고, 1848년(헌종 14)에 이진흥의 증손 이명구(李明九)가 수정하여 간행하였다....
-
1871년 경상도 함창현에서 편찬한 관찬 읍지. 『영남읍지(嶺南邑誌)』 「함창현읍지(咸昌縣邑誌)」는 전국 읍지 편찬 사업의 성과물로서, 경상도 함창현에서 장당 20행인 책판 견본에 맞추어 편찬한 읍지이며, 경상감영에서 성책하였다....
-
18세기 중반에 제작된 채색 필사본 지도첩에 실린 상주목과 함창현 지도. 『영남지도(嶺南地圖)』는 채색 필사본 지도첩으로 영조 연간에 만든 경상도 지역 71개 군현의 지도가 실려 있다. 7~8㎜의 1리 방안지(方眼紙)에 그려 거리 파악이 쉽다. 한 군현을 1장에 그려 전체를 6첩으로 묶었다. 비변사인(備邊司印)이 찍혀 있어, 『비변사인방안지도(備邊司印方眼地圖)』라고도 부른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삼덕리 상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경상감영 운영에 대한 사례집. 『영영사례(嶺營事例)』 전본은 5종이 파악되는데, 이 가운데 상주박물관 소장본은 19세기 편찬된 것이다. 조선 후기 경상감영의 인원 구성, 직제, 각종 규정, 환곡, 군역, 행정 업무 등 제반 상황에 관한 기록물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 신상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옥성서원(玉成書院)은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난계(蘭溪) 김득배(金得培)[1312~1362], 영천자(靈川子) 신잠(申潛)[1491~1554], 후계(后溪) 김범(金範)[1512~1566] 및 월간(月澗) 이전(李㙉)[1558~1648]·창석(蒼石) 이준(李埈)[1560~1635] 형제를 제향한 서원이다. 김득배는...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사산리에 있는 조선 시대 사우. 옥연사(玉淵祠)는 조선 시대 문신 노수신(盧守愼)[1515~1590]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노수신의 본관은 광주(光州)이며, 자는 과회(寡悔), 호는 소재(蘇齋)·이재(伊齋)·암실(暗室)·여봉노인(茹峰老人)이다. 시호는 문의(文懿)였다가 뒤에 문간(文簡)으로 바뀌었다. 1543년(중종 38) 문과에 급제하여 영의정 등 여러...
-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의 용흥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화. 용흥사 삼불회 괘불탱(龍興寺 三佛會 掛佛幀)은 1684년(숙종 10) 제작된 불화이다. 불화가 봉안된 용흥사(龍興寺)는 연악산(淵嶽山) 중턱에 있으며, 통일 신라 시대에 진감선사(眞鑑禪師)가 창건하였다고 전하고 있다. 용흥사 삼불회 괘불탱은 2003년 4월 14일 보물 제1374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11월 19일 「...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부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정경세의 신도비. 우복정경세신도비(愚伏鄭經世神道碑)는 문신 정경세(鄭經世)[1563~1633]를 기리기 위한 신도비이다. 정경세는 상주 출신으로 본관은 진주, 호는 우복이다. 류성룡의 문인으로 예조판서·이조판서·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시호는 문장(文莊)이며, 저서로는 『우복집(愚伏集)』, 『상례참고(喪禮參考)』가 있고, 상주...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삼덕리 상주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후기 풍속화. 「월간창석형제급난도(月澗蒼石兄弟急難圖)」는 임진왜란 당시 상주 유학자 월간(月澗) 이전(李㙉)[1558~1648], 창석(蒼石) 이준(李埈)[1560~1635] 형제가 보여 준 우애를 그린 작품이다. 1712년(숙종 38) 현손 이증록(李增祿)[1674~1727]이 편집하여 책으로 간행하였다. 1986년 12월...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상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각. 유유발 효자각(劉有發 孝子閣)은 조선 시대 상주의 속현인 청리현(靑理縣) 출신 유유발(劉有發)[1688~1756]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유유발의 효행은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와 『상산지(商山誌)』 등에 기록되어 있다. 유유발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계모의 박대에도 효도로 감동시켰고, 아버지가 사망하자...
-
임진왜란 초기 순변사 이일이 지휘하는 중앙군과 경상북도 상주의 지방군이 연합하여 중로를 따라 북상하는 왜군에 대응하여 맞서 싸운 전투. 1592년(선조 25) 4월 13일 왜란 발발 이후 조정에서는 이일(李鎰)을 순변사(巡邊使)로 임명하여 경상북도 상주로 급히 파견하였다. 『징비록(懲毖錄)』에 따르면, 이일은 군관과 궁수 60여 명만을 이끌고 경상북도 상주에 도착하였다고 한다. 당...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이경유(李敬儒)[1750~1821]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자는 덕무(德懋), 호는 임하(林下)·반속(半俗)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만부(李萬敷)이고, 할아버지는 이지빈(李之彬)이다. 아버지는 이승연(李承延)이고, 어머니는 윤수의 딸 함안 윤씨(咸安 尹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최강옥(崔光玉)의 딸 완산 최씨(完山 崔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조당(...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이구(李榘)[1613~1654]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대방(大方), 호는 활재(活齋)·산양처사(山陽處士)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단성현감 이경금(李景嶔)이고, 할아버지는 호조좌랑 이돈(李惇)이다. 아버지는 공조정랑 이광흡(李光洽)이고, 어머니는 황시간(黃時幹) 딸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경유후(慶有後)의 딸 청주...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정착한 학자. 이만부(李萬敷)[1664~1732]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자는 중서(仲舒), 호는 식산(息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심(李襑)이고, 할아버지는 이조판서 이관징(李觀徵)이다. 아버지는 예조참판 이옥(李沃)이고, 어머니는 이동규(李同揆)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김이해(金爾楷)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고, 두 번...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이사번(李師蕃)[1671~1737]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중거(仲擧)·숙거(叔擧), 호는 수곡(樹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공조정랑 이광흡(李光洽)이고, 할아버지는 이구(李榘)이다. 아버지는 이주만(李冑萬)이고, 어머니는 권구(權坵)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부인은 검교 신필성(申弼成)의 딸 평산 신씨(平山 申氏)이고, 아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향리. 이삼억(李三億)[?~?]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지원(李枝元)이고, 아버지는 호군 이시발(李時發)이다. 아들은 상주 호장으로 있으면서 경상도의 여러 향리와 함께 향리에 대한 처우 개선을 요구하는 연명 상소를 올렸던 이경번(李慶蕃)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이승연(李承延)[1720~1806]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자는 태보(台甫)·석여(錫予), 호는 강재(剛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예조참판 이옥(李沃)이고, 할아버지는 이만부(李萬敷)이다. 아버지는 이지빈(李之彬)이고 어머니는 류성화(柳聖和)의 딸 풍산 류씨(豊山 柳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윤수의 딸 함안 윤씨(咸安 尹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채...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이주하여 정착한 문신. 이옥(李沃)[1641~1698]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자는 문약(文若), 호는 박천(博泉)·북애(北厓)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함경도관찰사 이창정(李昌庭)이고, 할아버지는 이심(李襑)이다. 아버지는 이조판서 이관징(李觀徵)이고, 어머니는 최호(崔皥)의 딸 삭녕 최씨(朔寧 崔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이동규(李同揆)의 딸 전주 이씨(全...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이인지(李麟至)[1683~1746]의 본관은 흥양(興陽)이며, 자는 성서(聖瑞), 호는 신와(新窩)·은와(恩窩)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지례현감 이전(李㙉)이고, 할아버지는 빙고별제 이덕규(李德圭)이다. 아버지는 광릉참봉 이재헌(李在憲)이고, 어머니는 조선(趙宣)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이경초(李慶初)의 딸 벽진 이씨(碧珍 李氏...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이재용(李在容)[1619~1671]의 본관은 흥양(興陽)이며, 자는 이능(爾能)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수인(李守仁)이고, 할아버지는 지례현감 이전(李㙉)이다. 아버지는 빙고별제 이덕규(李德圭)이고, 어머니는 황순(黃錞)의 딸 덕산 황씨(德山 黃氏)이다. 부인은 김료(金遼)의 딸 영산 김씨(永山 金氏)이고, 아들은 이만지(李萬至)이다. 형은 이재광(李在...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이전(李㙉)[1558~1648]의 본관은 흥양(興陽)이며, 자는 숙재(叔載), 호는 월간(月澗)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조년(李兆年)이고, 할아버지는 종사랑 이탁(李琢)이다. 아버지는 이수인(李守仁)이고, 어머니는 신수경(申守涇)의 딸 고령 신씨(高靈 申氏)이다. 부인은 안수(安守)의 딸 광주 안씨(廣州 安氏)이고, 아들은 이일규(李一圭)·이덕규(李德圭...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이준(李埈)[1560~1635]의 본관은 흥양(興陽)이며, 자는 숙평(叔平), 호는 창석(蒼石)·유계(酉溪)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조년(李兆年)이고, 할아버지는 종사랑 이탁(李琢)이다. 아버지는 이수인(李守仁)이고, 어머니는 신수경(申守涇)의 딸 고령 신씨(高靈 申氏)이다. 부인은 문수민(文秀民)의 딸 선산 문씨(善山 文氏)이고, 아들은 이대규(李大圭...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이증록(李增祿)[1674~1727]의 본관은 흥양(興陽)이며, 자는 천여(天與), 호는 무하당(無何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신규(李身圭)이고, 할아버지는 이재융(李在隆), 아버지는 이석지(李碩至)이다. 부인은 심광원(沈廣源)의 딸이고, 아들은 이상원(李尙遠)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이지성(李知聖)[1686~?]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국화(國華)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중산군(中山君) 이연(李演)이고, 할아버지는 이진하(李震厦)이다. 아버지는 이이달(李以達)이고, 어머니는 박태장(朴泰章)의 딸 나주 박씨(羅州 朴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신일성(申日星)의 딸 아주 신씨(鵝州 申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임세정(林世貞)의 딸...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이축(李軸)[1565~1647]의 본관은 성주(星州)이며, 자는 덕재(德載), 호는 가악재(佳岳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계지(李繼祉)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이적(李績)이다. 아버지는 장례원판결사 이응춘(李應春)이고, 어머니는 함창 김씨(咸昌 金氏)이다. 부인은 안대윤(安大胤)의 딸 순흥 안씨(順興 安氏)이고, 아들은 이식(李植)·이각(李桷)·이병(李...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거주하였던 문신. 이형상(李衡祥)[1653~1733]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중옥(仲玉), 호는 병와(甁窩) 또는 순옹(順翁)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음현감 이사민(李師閔)이고, 할아버지는 예문관직제학 이장형(李長馨)이다. 아버지는 이주하(李柱厦)이고, 어머니는 윤세구(尹世耈)의 딸 파평 윤씨(坡平 尹氏)이다. 부인은 통덕랑 송지규(宋之奎)의 딸 은진...
-
1592년부터 1598년까지 경상북도 상주 지역을 비롯하여 조선 전역에서 일어난 일본과의 전쟁.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상주와 함창에서는 많은 인사가 창의(倡義)하여 왜군을 방어하고, 정기룡을 중심으로 한 관군과 합세하여 상주성을 수복하고, 당교전투에도 참여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신흥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임호서원(臨湖書院)은 조선 시대 경상북도 상주 지역과 함창 지역에서 활동한 인물인 남계(藍溪) 표연말(表沿沫)[1449~1498],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1438~1504], 나재(懶齋) 채수(蔡壽)[1449~1515], 동계(桐溪) 권달수(權達手)[1469~1504], 휴암(休庵) 채무일(蔡無逸)[1496~1556...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전극념(全克恬)[1597~1660]의 본관은 옥천(沃川)이며, 자는 유안(幼安), 호는 창주(滄洲)·어은(漁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전혼(全焜)이고, 할아버지는 전여림(全汝霖)이다. 아버지는 대사헌 전식(全湜)이고, 어머니는 홍천서(洪天叙)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다. 부인은 김천영(金天英)의 딸 선산 김씨(善山 金氏)이다. 형은 전극항(全克恒)...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전극항(全克恒)[1590~1636]의 본관은 옥천(沃川)이며, 자는 덕고(德古)·덕구(德久), 호는 규천(虯川)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전혼(全焜)이고, 할아버지는 전여림(全汝霖)이다. 아버지는 대사헌 전식(全湜)이고, 어머니는 홍천서(洪天敍)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다. 부인은 사헌부감찰 조기원(趙基遠)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고, 아들은 전...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전명룡(全命龍)[1606~1667]의 본관은 옥천(沃川)이며, 자는 백유(伯兪), 호는 영서(𤃡西)이다. 아버지는 유학 전대승(全大承)이고, 어머니는 부호군 박운(朴雲)의 딸 함양 박씨(咸陽 朴氏)이다. 부인은 고인계(高仁繼)의 딸 개성 고씨(開城 高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전수장(全守長)[1650~1716]의 본관은 옥천(沃川)이며, 자는 경승(景承), 호는 만회당(晩悔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전식(全湜)이고, 할아버지는 전극항(全克恒)이다. 아버지는 전후(全垕)이고, 어머니는 장용섭(張龍燮)의 딸 인동 장씨(仁同 張氏)이다. 부인은 정시행(鄭時行)의 딸 연일 정씨(延日 鄭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전식(全湜)[1563~1642]의 본관은 옥천(沃川)이며, 자는 정원(淨遠), 호는 사서(沙西)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상주목사 전팽령(全彭齡)이고, 할아버지는 전혼(全焜)이다. 아버지는 전여림(全汝霖)이고, 어머니는 참봉 이신(李信)의 딸 월성 이씨(月城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최사립(崔斯立)의 딸 강화 최씨(江華 崔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홍천...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수학한 문신. 전이성(全以性)[1578~1646]의 본관은 용궁(龍宮)이며, 자는 성지(性之), 호는 운계(雲溪)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전인(全仁)이고, 할아버지는 전몽규(全夢奎)이다. 아버지는 전위(全緯)[『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에는 전행(全緈)으로 기록]이고, 어머니는 장령 진호(秦浩) 딸 영춘 진씨(永春 秦氏)이다. 부인은 황윤규(黃潤奎)의 딸 창...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정경세(鄭經世)[1563~1633]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경임(景任), 호는 우복(愚伏)·일묵(一默)·하거(河渠)·송록(松麓)·승성자(乘成子)·석총도인(石潨道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계함(鄭繼咸)이고, 할아버지는 정은성(鄭銀成)이다. 아버지는 정여관(鄭汝寬)이고, 어머니는 이가(李軻)의 딸 합천 이씨(陜川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이해...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무신. 정기룡(鄭起龍)[1562~1622]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경운(景雲), 호는 매헌(梅軒)이다. 초명은 정무수(鄭茂壽)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철석(鄭哲碩)이고, 할아버지는 정의걸(鄭義傑)이다. 아버지는 정호(鄭浩)이고, 어머니는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강세필(姜世弼)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고, 두 번째 부...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금흔리에 있는 장군 정기룡 관련 유적. 정기룡장군유적(鄭起龍將軍遺蹟)은 조선 시대 장군 정기룡[1562~1622]과 관련된 유적지이다. 정기룡은 본관이 진양(晉陽), 자는 경운(景雲), 호는 매헌(梅軒), 시호는 충의(忠毅)이다. 1562년(명종 17) 경상남도 하동에서 출생하였으나, 1581년(선조 14) 상주로 이주하였다. 1586년(선조 19) 무과에...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정도응(鄭道應)[1618~1667]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봉휘(鳳輝), 호는 무첨(無忝)·휴암(休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여관(鄭汝寬)이고, 할아버지는 정경세(鄭經世)이다. 아버지는 정심(鄭杺)이고, 어머니는 군수 이의활(李宜活)의 딸 경주 이씨(慶州 李氏)이다. 부인은 사헌부지평 류진(柳袗)의 딸 풍산 류씨(豊山 柳氏)이고, 아들은 정석...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정민병(鄭民秉)[1800~1882]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문호(文好), 호는 기주(箕疇)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예모(鄭禮模)이고, 할아버지는 정성로(鄭成魯)이다. 아버지는 정상관(鄭象觀)이고, 어머니는 남한조(南漢朝)의 딸 의령 남씨(宜寧 南氏)이다. 부인은 한성부우윤 박광석(朴光錫)의 딸 순천 박씨(順天 朴氏)이고, 아들은 정급우(鄭及愚)...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정상관(鄭象觀)[1776~1820]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용빈(用賓)·숙무(叔毋)·숙옹(叔顒), 호는 곡구원(谷口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주원(鄭冑源)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정인모(鄭仁模)이다. 아버지는 정종로(鄭宗魯)이고, 어머니는 이민현(李民顯)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아버지의 사촌 형제인 정성로(鄭成魯)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정상리(鄭象履)[1774~1848]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중소(仲素), 호는 제암(制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주원(鄭冑源)이고, 할아버지는 정의모(鄭義模)이다. 아버지는 정익로(鄭翼魯)이고, 어머니는 강세진(姜世晉)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다. 부인은 손윤경(孫潤慶)의 딸 경주 손씨(慶州 孫氏)이고, 아들은 정민각(鄭民覺)·전민학(鄭...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정상진(鄭象晉)[1770~1847]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일진(日晉), 호는 석파(石坡)·어초재(漁樵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주원(鄭冑源)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정인모(鄭仁模)이다. 아버지는 정종로(鄭宗魯)이고, 어머니는 이민현(李民顯)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부인은 이동호(李東浩)의 딸 광주 이씨(廣州 李氏)이고, 아들은 정민...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정윤우(鄭允愚)[1804~1869]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유선(幼善), 호는 백인당(百忍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종로(鄭宗魯)이고, 할아버지는 정상진(鄭象晉)이다. 아버지는 정민수(鄭民秀)이고, 어머니는 권의도(權宜度)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부인은 김재공(金在恭)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고, 아들은 정동규(鄭東奎)·정동기...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정의묵(鄭宜默)[1847~1906]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맹제(孟齊), 호는 긍재(肯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민수(鄭民秀)이고, 할아버지는 정윤우(鄭允愚)이다. 아버지는 부교리 정동규(鄭東奎)이고, 어머니는 이휘규(李彙圭)의 딸 진성 이씨(眞城 李氏)이다. 부인은 류진익(柳進翼) 딸 풍산 류씨(豊山 柳氏)이고, 아들은 정재붕(鄭在鵬)·정재...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정종로(鄭宗魯)[1738~1816]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사앙(士仰), 호는 입재(立齋)·무적옹(無適翁) 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석교(鄭錫僑)이고, 할아버지는 정주원(鄭胄源)이다. 아버지는 정인모(鄭仁模)이고, 어머니는 홍익구(洪益龜)의 딸 부림 홍씨(缶林 洪氏)이다. 부인은 이민현(李民顯)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고, 아들은 정상진...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정지모(鄭智模)[1716~1776]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계정(季貞), 호는 추간(秋澗)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세자시강원자의 정도응(鄭道應)이고, 할아버지는 영양군수 정석교(鄭錫僑)이다. 아버지는 장릉참봉 정주원(鄭冑源)이고, 어머니는 장대유(張大猷)의 딸 인동 장씨(仁同 張氏)이다. 부인은 채보(蔡寶)의 딸 인천 채씨(仁川 蔡氏)이고, 아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조광벽(趙光璧)[1566~1642]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여완(汝完), 호는 북계(北溪)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훈련원판관 조침(趙琛)이고, 할아버지는 부사직 조승호(趙承瑚)이다. 아버지는 조수복(趙壽福)이고, 어머니는 서흥군(瑞興君) 이춘억(李春億)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이희천(李希天)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조기원(趙基遠)[1574~1652]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경진(景進), 호는 초은(樵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희(趙禧)이고, 할아버지는 조광헌(趙光憲)이다. 아버지는 봉상시정 조정(趙靖)이고, 어머니는 성주목사 김극일(金克一)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다. 부인은 이의정(李宜正)의 딸 신평 이씨(新平 李氏)이고, 아들은 조예(趙秇)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조남수(趙南洙)[1744~1822]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사휴(士休), 호는 쇄소재(灑埽齋)이다. 초명은 조기연(趙麒然)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해(趙瀣)이고, 할아버지는 조시경(趙時經)이다. 아버지는 조석로(趙錫魯)이고, 어머니는 김여명(金汝鳴)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다. 부인은 첨추 김호련(金虎鍊)의 딸 선성 김씨(宣城 金氏)이고,...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조대윤(趙大胤)[1638~1705]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계창(季昌), 호는 입재(立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봉상시정 조정(趙靖)이고, 할아버지는 조영원(趙榮遠)이다. 아버지는 조릉(趙稜)이고, 어머니는 부호군 왕준도(王濬道)의 딸 개성 왕씨(開城 王氏)이다. 부인은 현감 김형(金珩)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고, 아들은 조해(趙瀣)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조동좌(趙東佐)[1809~1888]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유경(猷卿), 호는 총계(叢桂)이다. 초명은 조좌영(趙佐榮)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사헌부지평 조석우(趙錫愚)이고, 할아버지는 조목수(趙沐洙)이다. 아버지는 조술지(趙述志)이고, 어머니는 박정민(朴鼎敏)의 딸 밀양 박씨(密陽 朴氏)이다. 부인은 김응주(金應柱)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조릉(趙稜)[1607~1683]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자방(子方), 호는 모암(慕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광헌(趙光憲)이고, 할아버지는 봉상시정 조정(趙靖)이다. 아버지는 조영원(趙榮遠)이고, 어머니는 이숭(李嵩)의 딸 연안 이씨(延安 李氏)이다. 부인은 부호군 왕준도(王濬道)의 딸 개성 왕씨(開城 王氏)이고, 아들은 조계윤(趙啓胤)·조대...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조석룡(趙錫龍)[1721~1793]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경운(景雲), 호는 만락재(晩樂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대윤(趙大胤)이고, 할아버지는 조해(趙瀣)이다. 아버지는 조인경(趙麟經)이고, 어머니는 참봉 정규양(鄭葵陽)의 딸 연일 정씨(延日 鄭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손운억(孫雲億)의 딸 월성 손씨(月城 孫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홍...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조석목(趙錫穆)[1726~1793]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원중(遠仲), 호는 정사(精舍)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대윤(趙大胤)이고, 할아버지는 조해(趙瀣)이다. 아버지는 조선경(趙善經)이고, 어머니는 박성임(朴聖任)의 딸 밀양 박씨(密陽 朴氏)이다. 작은아버지 조이경(趙履經)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첫 번째 부인은 장대의(張大誼)의 딸 인동 장...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조석우(趙錫愚)[1721~1760]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경안(景顔)·성백(省伯), 호는 존성재(存省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대윤(趙大胤)이고, 할아버지는 조해(趙瀣)이다. 아버지는 조시경(趙時經)이고, 어머니는 여이현(呂以賢)의 딸 성산 여씨(星山 呂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류후잠(柳後潛)의 딸 풍산 류씨(豊山 柳氏)이고, 두 번째 부...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조석철(趙錫喆)[1724~1799]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명중(明仲), 호는 정와(靜窩)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대윤(趙大胤)이고, 할아버지는 조해(趙瀣)이다. 아버지는 조선경(趙善經)이고, 어머니는 박성임(朴聖任)의 딸 밀양 박씨(密陽 朴氏)이다. 부인은 권처항(權處恒)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고, 아들은 조범수(趙範洙)이다. 형은 조...
-
조선 시대 상주 지역 양반 가문의 형성과 성장 및 활동에 관한 이야기. 조선 시대 대읍인 상주(尙州)는 읍격에 비해 토성(土姓)이 상대적으로 적었으나, 15세기 이후 타 지역 출신 사족들이 이거하여 오면서 본격적인 사족층이 형성된다. 16세기 중반 상주는 다양한 학문적·사상적 갈래가 온존하였고, 상주목사 신잠(申潛)[1491~1554]과 류성룡(柳成龍)[1542~1607]에 의하여...
-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던 조선 전기 경상도 행정의 중심 상주 감영에 관한 이야기. ‘경상도(慶尙道)’라는 명칭은 낙동강을 기준으로 좌도와 우도의 중심지인 경주와 상주의 고을명에서 유래하였다. 이러한 이름은 상주가 경주에 버금가는 위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려 후기 상주가 급격히 성장하여 도명에 반영되었고, 조선 건국 이후 위상을 역전시켜 한 도를 관장하는 자리까지 이르렀다. 세종...
-
18세기에 제작한 전국 군현 지도첩인 『조선지도』 중 상주목과 함창현 지역 지도. 『조선지도(朝鮮地圖)』는 조선 후기 전국 군현 지도첩으로 1변 길이가 4.2㎝인 20리 방안(方眼) 위에 그려진 대표적인 관찬 지도이다. 『조선지도』는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8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보물로 변경되...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조승수(趙承洙)[1760~1830]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자희(子希), 호는 매은(梅隱)이다. 초명은 조성연(趙聖然)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해(趙瀣)이고, 할아버지는 조인경(趙麟經)이다. 아버지는 승정원동부승지 조석룡(趙錫龍)이고, 어머니는 신사대(愼思大)의 딸 아림 신씨(娥林 愼氏)이다. 부인은 참봉 박한동(朴漢東)의 딸 함양 박씨(咸陽...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조용구(趙龍九)[1830~1882]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경희(景羲), 호는 규원(樛園)이다. 초명은 조재원(趙在元)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탁수(趙濯洙)이고, 할아버지는 참의 조덕(趙㯖)이다. 아버지는 조현기(趙鉉基)이고, 어머니는 강굉흠(姜肱欽)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고성겸(高聖謙)의 딸 개성 고씨(開城 高氏)...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조우신(趙又新)[1583~1650]의 본관은 한양(漢陽)이며, 자는 여읍(汝揖), 호는 백담(白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림(趙琳)이고, 할아버지는 부사과 조희안(趙希顔)이다. 아버지는 조상(趙相)이고, 어머니는 곽소(郭昭)의 딸 현풍 곽씨(玄風 郭氏)이다. 부인은 강여성(姜汝𦩠)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고, 아들은 조영(趙偀)·조일(趙佾)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거주한 문신. 조우인(曺友仁)[1561~1625]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여익(汝益), 호는 이재(頤齋)·매호(梅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우부승지 조계형(曺繼衡)이고, 할아버지는 조언홍(曺彦弘)이다. 아버지는 조몽신(曺夢臣)이고, 어머니는 신주(申澍)의 딸 평산 신씨(平山 申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이영승(李令承)의 딸 영천 이씨(永川 李氏), 두...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조익(趙翊)[1556~1613]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비중(棐仲), 호는 가휴(可畦)이다. 할아버지는 춘천부사 조윤녕(趙允寧)이고, 할아버지는 조희(趙禧)이다. 아버지는 조광헌(趙光憲)이고, 어머니는 찰방 홍윤최(洪胤崔)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사헌부감찰 박사눌(朴思訥)의 딸 밀양 박씨(密陽 朴氏)이고, 두 번째...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조정(趙靖)[1555~1636]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안중(安中), 호는 검간(黔澗)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춘천부사 조윤녕(趙允寧)이고, 할아버지는 조희(趙禧)이다. 아버지는 조광헌(趙光憲)이고, 어머니는 찰방 홍윤최(洪胤崔)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다. 부인은 성주목사 김극일(金克一)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고, 아들은 조기원(趙...
-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조선 후기 문신 조정이 남긴 임진왜란 기록. 조정 임진란기록 일괄(趙靖 壬辰亂記錄 一括)은 임진왜란 때 활약한 조정(趙靖)[1555~1636]이 1592년 4월 14일부터 1597년까지 기록한 각종 일기들과 관련 고문서이다. 1989년 5월 28일 보물 제100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
경상도 상주 출신의 조선 시대 문신 조정의 종가에 전래되던 고문서와 전적. 조정 종가 문적(趙靖 宗家 文籍)은 조선 시대 경상도 상주 출신의 문신 조정(趙靖)[1555~1636]의 종가에 전래되어 오던 고문서와 전적이다. 1989년 5월 30일 10종 62점이 먼저 보물 제1004-1호로 지정되었으며, 1991월 12월 16일에는 고문서 3점이 보물 제1004-2호로 추가 지정되었...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조천경(趙天經)[1695~1776]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군일(君一), 호는 이안당(易安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도(趙䆃)이고, 할아버지는 조덕윤(趙德胤)이다. 아버지는 조자신(趙自愼)이고, 어머니는 권계형(權繼亨)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부인은 강여보(姜汝輔)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조희인(曺希仁)[1578~1660]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여선(汝善), 호는 묵계(默溪)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우부승지 조계형(曺繼衡)이고, 할아버지는 조언홍(曺彦弘)이다. 아버지는 조몽신(曺夢臣)이고, 어머니는 신주(申澍)의 딸 평산 신씨(平山 申氏)이다. 부인은 광주 김씨(光州 金氏)이고, 아들은 조정화(曺挺華)이다. 형은 조우인(曺友仁)...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율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설 의료 시설. 존애원(存愛院)은 임진왜란 이후 김각, 성람, 이전, 이준, 강응철, 김광두, 정경세 등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선비들이 ‘존심애물(存心愛物)’의 뜻을 실천하려는 뜻에서 1599년(선조 32) 창설하고 1602년 건립한 사설 의료 시설이다. 1993년 2월 25일 경상북도 기념물 제8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율리에 있는 존애원의 역사적 가치와 현대적 의미. 존애원(存愛院)은 임진왜란 이후 향촌 사회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1599년(선조 32) 결성된 낙사계(洛社契)의 지원으로 설립되었다. 이후 180여 년 동안 상주 지역의 의료 기관인 동시에 강학 공간이자, 향촌 사회의 교화 기능을 담당하는 복합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존애원은 경제적 사정 등으로 인하여 18세기에...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묵상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지강서원(芝岡書院)은 정국성(鄭國成)[1526~1592], 조우신(趙又新)[1583~1650], 조희인(曺希仁)[1578~1660], 조정융(曺挺融)[1598~1678]을 배향하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정국성의 본관은 진양, 자는 숙거(叔擧), 호는 복재(復齋)이다. 정국성은 임진왜란 때 상주에서 창의하였으나 순국하였다. 조우신...
-
1780년대에 제작된 회화식 지도책에 실린 상주목과 함창현의 지도. 『지승(地乘)』 「상주목(尙州牧)」·「함창현(咸昌縣)」은 18세기 후반에 제작한 상주목과 함창현의 회화식 지도책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가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창석사당(蒼石祠堂)은 이준(李埈)[1560~1635]을 모시는 불천위 사당이다. 1986년 12월 11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78-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정착한 의관이자 학자. 채득기(蔡得沂)[1605~1646]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영이(詠而), 호는 우담(雩潭)·학정(鶴汀)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채순연(蔡舜年)이고, 할아버지는 채무기(蔡無己)이다. 아버지는 채유종(蔡有終)이고, 어머니는 목사 이귀수(李龜壽)의 딸 고성 이씨(固城 李氏)이다. 부인은 판관 신응연(辛應鍊)의 딸 영산 신씨(靈山 辛氏)...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채이항(蔡以恒)[1596~1666]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여구(汝久), 호는 오봉(五峰)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채무경(蔡無競)이고, 할아버지는 채유업(蔡有業)이다. 아버지는 채천서(蔡天瑞)이고, 어머니는 동지중추부사 남국신(南國臣)의 딸 영양 남씨(英陽 南氏)이다. 부인은 권극성(權克誠)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고, 아들은 채지연(蔡之演...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채주욱(蔡周郁)[1787~1860]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종문(宗文), 호는 소은(素隱)이다. 아버지는 채석우(蔡錫禹)이고, 어머니는 여주 이씨(驪州 李氏)이다. 동생은 채주익(蔡周𨜶)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채하징(蔡河徵)[1619~1687]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희서(羲瑞), 호는 취암(翠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채이범(蔡以範)이고, 할아버지는 채천경(蔡天經)이다. 아버지는 부사과 채상주(蔡尙周)이고, 어머니는 월성 김씨(月城 金氏)이다. 부인은 전이회(全以悔)의 딸 축산 전씨(竺山 全氏)이고, 아들은 채휴길(蔡休吉)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채헌징(蔡獻徵)[1648~1726]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문수(文叟), 호는 우헌(愚軒)·여물헌(與物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채천계(蔡天啓)이고, 할아버지는 채이복(蔡以復)이다. 아버지는 충의위 채기종(蔡起宗)이고, 어머니는 순천 김씨(順天 金氏)이다. 아버지의 육촌 형제인 채지수(蔡之洙)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답동에 있는 조선 후기 별서. 천운정사(天雲精舍)는 조선 후기 상주 출신 학자 이만부(李萬敷)[1664~1732]의 별서(別墅)로 1700년 건립 당시는 ‘천운당’으로 불렀다. 1987년 12월 29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7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청계사(淸溪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에 있는 전통 사찰이며, 견훤산성 안에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말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회상리에 있는 법화종 소속 사찰. 청룡사(靑龍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회상리 경천대국민관광지 인근의 낙동강 변 경승지 산록에 자리한 법화종 소속 사찰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예주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청암서원(淸巖書院)은 류포(柳砲)[1375~1448], 류달존(柳達尊)[1395~1466], 박눌(朴訥)[1448~1528], 이겸(李謙)[1452~1507], 류종인(柳宗仁)[1516~1545], 홍약창(洪約昌)[1535~1592], 남영(南嶸)[1548~1606], 정윤해(鄭允諧)[1553~1618], 박성민(朴成敏)[16...
-
경상북도 상주시에 전하여지는, 청상이 된 여자가 신세를 한탄하면서 읊은 작자 미상의 조선 후기 내방 가사. 「청춘과부가(靑春寡婦歌)」는 검은 머리가 백발이 되도록 백년해로하자고 약속하였던 남편이 일찍 죽어 홀로 남게 된 여인이 외로움과 한탄, 남편에 대한 그리움을 구구절절 노래한 내방 가사이다. 특히 경상북도 상주에서 전하여지는 「청춘과부가」와 같이 여성이 자신의 신변을 탄식하여...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가천리에 있는 고택. 체화당(棣華堂)은 월간(月澗) 이전(李㙉)[1558~1648]의 셋째 아들 이신규(李身圭)가 1632년 지은 서실이다. 이전은 본관이 합천(陜川)으로 동생 창석(蒼石) 이준(李埈)[1560~1635]과 함께 류성룡(柳成龍)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다. 당호인 ‘체화(棣華)’는 이전·이준 형제의 우애를 뜻하는 말이다. 체화당은 1986년 12...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최정호(崔挺豪)[1563~1622]의 본관은 충주(忠州)이며, 자는 시응(時應), 호는 저곡(樗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연산현감 최홍(崔洪)이고, 할아버지는 최대관(崔大觀)이다. 아버지는 최수도(崔守道)이고, 어머니는 김윤성(金允成)의 딸 예안 김씨(禮安 金氏)이다. 부인은 성균관사성 김복일(金復一)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고, 아들은 최충망(崔...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하여지는, 혼기를 놓친 처녀가 신세를 한탄하는 조선 후기 내방 가사. 상주시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춘규탄별곡(春閨歎別曲)」은 여자로서 갖추어야 할 모든 것을 손색없이 구비하였지만 야속한 부모의 선택과 과욕으로 번번이 혼기를 놓친 처녀가 자신의 신세를 탄식하는 내용의 내방 가사이다. 「춘규탄별곡」처럼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거나 자신의 일생을 돌아보고 삶의 비애와...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사당. 충렬사(忠烈祠)는 상주 임란북천전적지(尙州 壬亂北川戰跡地)에 있는 사당이다. 상주 임란북천전적지는 임진왜란 북천전투(北川戰鬪) 때 중앙군이 왜군과 처음 싸운 장소로, 전쟁 과정에서 종사관 교리 윤섬(尹暹), 병조좌랑 이경류(李慶流), 종사관 박호(朴箎), 상주판관 권길(權吉), 사근도찰방 김종무(金宗武), 호장 박걸(朴傑), 의병장 김준신(金俊...
-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에 있는 조선 후기 충신과 의사를 기리는 비. 충신의사단비(忠臣義士壇碑)는 1592년(선조 25) 상주 북천전투에 참가하여 왜군과 싸우다 전사한 윤섬(尹暹)·이경류(李慶流)·박호(朴箎) 등 충신 3명과 경상북도 상주 출신으로 의병장이 되어 생을 마친 김준신(金俊臣)·김일(金鎰)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정조가 내린 단호(壇號)를 받들어 세운 비석이다. 비는 17...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에 있는 풍양 조씨 호군공파의 족보 판목과 보각. 풍양조씨 족보 판목 및 보각(豊壤趙氏 族譜 板木 및 譜閣)은 풍양 조씨 호군공파의 족보를 새긴 판목과 함께 판목을 보관하고 있는 보각을 가리킨다. 풍양조씨 족보 판목은 1731년(영조 7) 영의정 조현명(趙顯命)이 처음으로 간행한 「신해보(辛亥譜)」와 1760년(영조 36) 경상도관찰사를 지낸 이조판서 조엄(趙...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하대연(河大淵)[1689~?]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연연(淵淵), 호는 치옹(恥翁)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장악원정 하진영(河晉瀛)이고, 할아버지는 형조참판 하준(河浚)이다. 아버지는 하응락(河應洛)이고, 어머니는 조수(趙䇕)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부인은 예조정랑 홍도달(洪道達)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고, 아들은 하세유(河世...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한극술(韓克述)[1598~1653]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자는 광보(光甫), 호는 소호(蘇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한봉조(韓奉祖)이고, 할아버지는 한효간(韓孝榦)이다. 아버지는 예빈시직장 한서(韓瑞)이고, 어머니는 정종계(鄭宗繼)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다. 부인은 류춘성(柳春成)의 딸 문화 류씨(文化 柳氏)이고, 아들은 한수(韓忄+遂)·한...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한극창(韓克昌)[1600~1650]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자는 유백(裕伯), 호는 오주(鰲洲)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한봉조(韓奉祖)이고, 할아버지는 한효간(韓孝榦)이다. 아버지는 예빈시직장 한서(韓瑞)이고, 어머니는 정종계(鄭宗繼)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다. 부인은 이희방(李希芳)의 딸 성주 이씨(星州 李氏)이고, 아들은 한후(韓忄+垕)·한...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한진(韓璡)[1556~1619]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자는 중형(仲瑩), 호는 연촌(鷰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한인걸(韓仁傑)이고, 할아버지는 한형(韓衡)이다. 아버지는 병절교위 한신간(韓信幹)이고, 어머니는 문씨(文氏)이다. 부인은 습독 김규(金奎)의 딸 상산 김씨(尙山 金氏)이고, 아들은 한극중(韓克中)·한극정(韓克正)·한극원(韓克遠)·한극대(...
-
1855년에 경상도 함창현에서 편찬한 읍지. 『함창읍지(咸昌邑誌)』는 1855년(철종 6)에 처음 편찬되었다. 현재 전하는 것은 1917년에 지도, 행자수, 인찰지 등 읍지의 기본 형식을 지키지 않고, 내용 위주로 필사한 후사본(後寫本)이다....
-
18세기 중반에 편찬된 회화식 군현 지도의 상주목과 함창현 지역 지도. 『해동지도(海東地圖)』는 18세기 중반 영조 대에 제작한 회화식 군현 지도이며, 지도만이 아니라 읍지에 수록할 내용도 많이 실려 있다. 「상주목」과 「함창현」은 『해동지도』 제5책 영남전도(嶺南全圖)에 포함되어 있다. 『해동지도』는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에 있는 조선 후기 사우. 현충단(顯忠壇)은 조선 후기 김상용(金尙容), 김상헌(金尙憲)을 제향하는 사우로 서산서원이라고도 한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홍도달(洪道達)[1664~1726]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자는 제겸(濟兼), 호는 과헌(果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유승(洪裕承)이고, 할아버지는 홍이해(洪以海)이다. 아버지는 홍뢰(洪賚)이고, 어머니는 이홍벽(李弘璧)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부인은 신명기(申命基)의 딸 평산 신씨(平山 申氏)이다. 형은 홍도함(洪道涵)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홍상민(洪相民)[1654~1726]의 본관은 부림(缶林)이며, 자는 천경(天卿), 호는 봉암(鳳岩)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덕록(洪德祿)이고, 할아버지는 홍호(洪鎬)이다. 아버지는 홍여하(洪汝河)이고, 어머니는 황덕유(黃德柔)의 딸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다. 부인은 장만용(張萬容)의 딸 인동 장씨(仁同 張氏)이고, 아들은 홍대구(洪大龜)이다. 형은 홍...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홍상조(洪相朝)[1690~?]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자는 서일(敍一) 또는 서일(瑞一), 호는 만송(晩松)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상질(洪尙質)이고, 할아버지는 홍이발(洪以潑)이다. 아버지는 홍후겸(洪后謙)이고, 형은 홍수구(洪壽九)·홍수범(洪壽範)이다. 홍후천(洪后天)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홍석주(洪錫疇)[1757~1813]의 본관은 부림(缶林)[부계(缶溪)]이며, 자는 계도(繼道), 호는 방와(方窩)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수귀(洪守龜)이고, 할아버지는 영릉참봉 홍상문(洪相文)이다. 아버지는 홍우길(洪羽吉)이고, 어머니는 이수증(李守曾)의 딸 진성 이씨(眞城 李氏)이다. 부인은 정동첨(鄭東瞻)의 딸 청주 정씨(淸州 鄭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홍여하(洪汝河)[1620~1674]의 본관은 부계(缶溪)이며, 자는 백원(百源), 호는 목재(木齋)·산택재(山澤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경삼(洪景參)이고, 할아버지는 홍덕록(洪德祿)이다. 아버지는 대사간 홍호(洪鎬)이고, 어머니는 고종후(高從厚)의 딸 장흥 고씨(長興 高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황덕유(黃德柔)의 딸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고, 첫...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홍호(洪鎬)[1586~1646]의 본관은 부림(缶林)[부계(缶溪)]이며, 자는 숙경(叔京), 호는 무주(無住)·동락(東洛)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언국(洪彦國)이고, 할아버지는 홍경삼(洪景參)이다. 아버지는 홍덕록(洪德祿)이고, 어머니는 류승선의 딸 진주 류씨(晉州 柳氏)이다. 부인은 고종후(高從厚)의 딸 장흥 고씨(長興 高氏)이고, 아들은 홍...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학자. 황계희(黃啓熙)[1727~1785]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경초(景初), 호는 심기당(審幾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종량(黃鍾亮), 할아버지는 황연(黃沇), 아버지는 황도중(黃道重)이다. 어머니는 이만헌(李萬憲)의 딸 연안 이씨(延安 李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황뉴(黃紐)[1578~1626]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회보(會甫), 호는 반간(槃澗)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조참판 황효헌(黃孝獻)이고, 할아버지는 황증(黃憕)이다. 아버지는 현감 황준원(黃俊元)이고, 어머니는 민사설(閔師說)의 딸 여흥 민씨(驪興 閔氏)이다. 부인은 조희철(趙希轍)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 이희민(李希閔)의 딸 연안 이...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문신. 황덕유(黃德柔)[1596~1659]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응곤(應坤), 호는 불환정(不換亭)·두곡(杜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징(黃憕)이고, 할아버지는 황준원(黃俊元)이다. 아버지는 황뉴(黃紐)이고, 어머니는 조희철(趙希轍)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부인은 사헌부대사헌 전식(全湜)의 딸 옥천 전씨(沃川 全氏)이고, 아들은...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황면(黃緬)[1600~1670]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원보(遠甫), 호는 만오(晩悟)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철성(黃鐵星)이고, 할아버지는 황확(黃確)이다. 아버지는 황현경(黃玄慶)이고, 어머니는 철성 이씨(鐵城 李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황반로(黃磻老)[1766~1840]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숙황(叔璜), 호는 백하(白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연(黃沇)이고, 할아버지는 황도중(黃道重)이다. 아버지는 황계희(黃啓熙)이고, 형은 황신로(黃莘老)·황암로(黃巖老)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황익재(黃翼再)[1682~1747]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재수(再叟), 호는 백화재(白華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집(黃緝)이고, 할아버지는 황재윤(黃載胤)이다. 아버지는 황진하(黃鎭夏)이고, 어머니는 김진익(金震釴)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다. 부인은 심종(沈棕)의 딸 청송 심씨(靑松 沈氏)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용신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효곡서원(孝谷書院)은 김충(金冲)[1513~1572], 송량(宋亮)[1534~1618], 고인계(高仁繼)[1594~1647], 김광두(金光斗)[1562~1608]를 제향한 서원이다. 김충은 본관이 상산, 자는 화길(和吉), 호는 서대(西臺)이다. 1515년(명종 6) 문과에 급제하여 춘추관, 기주관, 호조정랑 등을 역임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효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사. 효곡재사(孝谷齋舍)는 송량(宋亮)[1534~1618]의 덕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한 재사이다. 송량의 본관은 여산(礪山), 호는 우곡(愚谷)이다. 부호군 송당(宋璫)의 아들이며, 성운(成運)의 문인이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을 일으켰으며, 도남서원(道南書院)을 창설하고 학규를 제정하는 등 후진 양성에 힘썼다. 효곡재사는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