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그리스도교의 주요 분파. 개신교는 16세기 로마 가톨릭에 대항하여 이루어진 종교개혁을 통하여 성립된 복음주의 성향의 기독교 분파이다. 18세기 이후 아시아와 아프리카 등지에 전도되었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는 19세기 후반에 개신교 신자가 등장하였으며, 1900년 초 교회 설립이 본격화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화와 용역의 생산·분배·교환·소비와 관련되는 활동 전반과 영역. 경제·산업은 경제와 산업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경제는 인간이 공동 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재화나 용역을 생산, 분배, 소비하는 활동 전반을 의미한다. 산업은 경제적으로 풍요롭게 하기 위하여 재화나 서비스를 창출하는 생산적 기업이나 조직을 말한다. 농업·축산업·임업·광업·공업을...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시민들의 소득 증대를 위하여 연구 개발되고 있는 과학과 기술 및 관련 기관과 활동. 과학 기술은 과학(科學)과 기술(技術)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과학은 보편적 현상에 대하여 합리적 이해를 목적으로 수학과 실험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지적 탐구 활동 및 그 결과물을 의미한다. 기술은 과학의 결과물로 축적된 기법을 활용하는 방법을 말한다. 과학은 기술의 발달...
-
전통 시대부터 현대까지 경상북도 상주 지역 교육의 역사와 현황. 고려 시대 상주향교가 설치된 이래 조선 시대 상주목사를 지낸 신잠(申潛)[1491~1554]이 세운 도곡서당(道谷書堂)을 비롯하여 1606년(선조 39) 영남의 으뜸 서원인 도남서원(道南書院) 등이 설립된 상주는 교육(敎育)과 관련하여 유서 깊은 지역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말과 기억으로 향유되고 전승되는 민간 문화의 총체. 구비 전승(口碑 傳承)은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말과 기억으로 향유되고 전승되는 문화, 문학, 지식 등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구비 전승의 범주에는 설화, 민요, 무가, 속담, 수수께끼 등이 포함되는데, 상주시에서 가장 많이 전승되고 지역적 특색을 잘 반영하는 것은 설화와 민요이다. 상주 지역의 설화와 민요는 『한국...
-
경상북도 상주시에 분포하는 동물의 종류. 상주시 일대의 동물상(動物相) 분포 특성은 서남·북부 산지와 동부 낙동강 수계로 크게 구분되며 1차적으로 지형과 기후 조건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환경과 기후에 큰 차이 없어 상주 지역에 서식하는 동물은 우리나라 국토 전역과 비슷하게 분포하고 있다. 2009년 환경부와 2016년과 2020년 국립생태원에서 실시한 ‘전국자연...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언어와 문자로 표현한 예술. 문학(文學)은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언어와 문자로 표현한 예술 및 작품을 일컫는다. 상주의 문학은 크게 전통 시대 상주의 문학과 근현대 상주의 문학으로 살펴볼 수 있다. 상주의 문학에서 눈여겨보아야 할 특징 중 한 가지는 문회(文會)나 시회(詩會)를 통하여 훌륭한 문학 작품을 남기고 있다는 점이다. 연악문회(...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이루어지는 문학·미술·음악·영상·무용·공연 등의 분야에서 표현되는 모든 활동. 경상북도 상주시는 국토의 가장 중심부에 있어서 삼한(三韓) 시대에 사벌국(沙伐國), 사량벌국(沙梁伐國)에 의하여 낙동강을 중심으로 농경 문화가 일찍 정착하여 발달한 지역이다. 특히 선사 시대 유적으로는 남적동과 외서면 관동리, 사벌국면 금흔리, 낙동면 구잠리, 공검면 중소리에 유적지가...
-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민간에 전승되어 오는 생활 풍속. 민속은 한 지역에서 오랫동안 이루어져 오는 민중의 문화, 풍속, 관습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그러므로 민속은 지역의 자연지리적 배경은 물론이고 사회성, 역사성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형성되어, 해당 지역 민중의 삶을 담아내고 있는 귀중한 유산이며 오늘을 이해하고 내일의 힘을 부여하여 주는 자산이기도 하다....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활동하는 석가모니를 교조로 하는 종교. 상주 지역의 불교문화는 남장사(南長寺)가 건립되는 통일 신라 시대부터 꽃피웠다. 2023년 현재 100여 개 사찰이 운영 중이며,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 상주 남장사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북장사 영산회 괘불탱, 용흥사 삼불회 괘불탱 등 많은 불교문화유산이 남아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시민의 생활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실시되고 있는 사회 보장 정책. 「사회보장기본법」에 의하여 모든 지방 자치 단체는 주민의 인간다운 생활을 유지·증진시킬 책임을 지고 있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도 사회 복지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인간의 존엄성과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보장하여 주는 사회 복지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상주시는 사회 복지의 전문성...
-
경상북도의 북서부에 있는 시. 상주시는 경상북도 서북쪽의 내륙에 자리한 도농 복합형 도시이며, 동쪽으로 경상북도 구미시와 의성군, 서쪽으로 충청북도 보은군, 옥천군, 괴산군, 남쪽으로 경상북도 김천시와 충청북도 영동군, 북쪽으로 경상북도 문경시와 예천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7°47′~128°21′, 북위 36°14′~36°39′에 위치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의 구석기·신석기·청동기·초기 철기 시대 등 사벌국 관련 기록이 등장하기 이전의 역사. 선사 시대는 인간이 문자(文字) 기록을 남기기 이전의 시대를 의미하며, 한국사에서는 대체로 구석기 시대부터 초기 철기 시대까지를 포괄한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은 신라의 첨해이사금(沾解尼師今)[247~261] 시대에 사벌국(沙伐國) 혹은 사량벌국(沙梁伐國)이라는 이름으로 『삼국사기(...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여러 대에 걸쳐 거주하고 있는 성씨. 한국에서 성씨 제도는 고대 중국의 영향을 받아 고대부터 등장하고 있다. 처음에는 주로 왕족이나 귀족들 사이에서만 한정적으로 사용되었으나, 본관과 성씨 제도가 함께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고려 시대에 접어들어서이다. 신라 말 지방 호족을 대거 수용하여 건국의 기초를 다진 고려 왕조에서는 건국 초기부터 개국에 공로가 있었던 사...
-
경상북도 상주시에 분포하는 식물의 종류. 상주시의 식물상(植物相) 분포 특성은 1차적으로 지형과 기후 조건에 영향을 받고 있는데, 수평적으로는 냉온대 남부·저산지 식생 지역에 해당한다. 식물 지리학적으로는 중일 식물 구계(中日 植物 區系)의 한국구, 중부아구에 속하며 식생학적으로는 졸참나무-작살나무아군단역에 해당된다. 식물 군락은 낙엽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의 2개의 상관형으로 대분류...
-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음식 및 음식에 관한 생활과 풍습. 음식은 자연환경 및 사회 문화적 특성에 따라서 지역마다 사용하는 식재료와 조리 방법, 선호하는 음식 등에 차이가 있다. 또한 사회적, 경제적 변화에 따라 음식과 식생활(食生活)도 변화한다. 영남 내륙 지역에 위치한 상주 지역도 기후와 인문 환경의 영향을 받아 고유한 음식과 식생활, 향토 음식이 형성되었고 시대에 따라 변화하여...
-
경상북도 상주시 일대에서 활동하는 신흥 종교. 신종교(新宗敎)라는 용어는 기성 종교에 대응하여 기성 종교와의 관련하에서만 쓰이는 개념이다. 신종교에서 ‘신(新)’이 가진 ‘새롭다’라는 성격은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하면서 한편으로 정교하게 제도화된 종교에 비하여 기반이 약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호소력과 주장을 지니고 있다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방송·신문·출판물 등의 매체를 통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활동. 상주의 언론은 주로 신문을 매체로 하는데, 상주 지역 신문으로는 1988년 창간된 『상주신문』 및 『주간상주』, 『상산신문』, 『뉴스상주』 등이 있으며, 20여 개의 인터넷 신문이 있다. 상주의 출판 활동은 15세기 간경도감(刊經都監)의 분사를 두면서 관(官)이나 서원, 문중, 사찰 등에서 다양한 방법...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체계. 언어(言語)는 생각, 느낌 등을 나타내거나 전달하는 데에 쓰는 음성·문자 따위의 수단 또는 사회 관습적인 체계를 말한다. 경상북도 상주시의 언어는 ‘상주 지역어’라고 할 수 있다. 상주의 언어는 지리적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상주는 서쪽으로 길게 접하고 있는 소백산맥을 통하여 충청도와 접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낙동강의 상류와 접하...
-
선사 시대부터 현재까지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역사. 경상북도 서북쪽에 있는 상주는 서쪽으로 소백산맥, 동쪽으로 낙동강을 품고 있다. 소백산맥 자락의 여러 명산과 낙동강 유역의 너른 벌판을 중심으로 고대에는 사벌국(沙伐國)이 형성되었다. 삼국 통일 과정에서 상주는 신라의 전략적 요충지 역할을 하였다. 지금의 상주 지역은 고대·중세 동안 상주(尙州)·함창(咸昌) 두 고을을 중심으로 발...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전개된 공자의 사상을 중심으로 한 학문. 유교(儒敎)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서 전개된 공자, 맹자 등 유가의 정치 사상과 학문 수양, 그리고 의례 등의 가르침을 실천하려는 철학 사상이자 생활 윤리라 할 수 있다. 삼국 시대 전기에 도입된 이래 개인과 가족, 국가 전체를 유지하는 규범으로 자리 잡았다. 상주 지역의 유학 역시 우주의 원리를 궁구하고 윤리를...
-
경상북도 상주 지역 사람들이 착용하여 온 의복과 의복에 관한 생활 풍속. 의생활(衣生活)은 주로 지리·기후·지형과 같은 일정 지역의 자연적 환경이나 경제·사회·문화와 같은 사회적 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우리의 의생활은 개항기 이후에 외래 문물의 유입과 서구화로 급격한 변화를 겪으면서 생활과 활동에 편리한 양복이 일상복이 되었고, 1960년대 이후 전통 의상은 양복과 기성복으로...
-
경상북도 상주시에 분포하고 있는 인문 지리적 요소. 상주시는 경상북도 서북쪽의 내륙에 있는 도농 복합형 도시로서 동쪽으로 경상북도 구미시와 의성군, 서쪽으로 충청북도 보은군·옥천군·괴산군, 남쪽으로는 경상북도 김천시와 충청북도 영동군, 북쪽으로 충청북도 문경시와 예천군과 접하여 있다. 동경 127°47′~128°21′, 북위 36°14′~36°39′에 위치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지역의 자연환경을 구성하는 지질, 지형, 기후 등에 대한 지리적 조건. 상주시는 경상북도 북서쪽 내륙에 있는 도농 복합형 도시이다. 북쪽과 서쪽, 남쪽에는 소백산맥에서 뻗어 나온 산지들이 분포하고, 동쪽에는 남류하는 낙동강이 있다. 서고동저의 형태로 인하여 서부 산지에서 발원한 하천들이 동쪽으로 흘러 낙동강으로 유입되면서 중앙과 동부 지역 주변으로 넓은 평야 지대가...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권력과 권위를 획득·유지·행사하고, 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갈등을 조정·통합하는 총체적 활동.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에는 항상 희소한 자원을 획득하고 배분하는 과정을 둘러싼 갈등이 발생한다. 개개인의 정치(政治)·경제·사회·문화 지위가 평등하지 않은 데다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기 때문이다. 정치는 이러한 불평등과 갈등·대립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과정이며, 권...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초인간적 세계와 관련된 신념이나 의례 등으로 구성되어 행하여지는 신앙 행위의 총칭. 상주는 경상북도 서북부 낙동강 본류가 관통하는 지역에 위치하여 산과 물, 자연 자원이 풍부하여 서기전 7세기경부터 사람이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통일 신라 시대부터 사찰이 건립되었고, 고려 시대에는 상주 계수관(界首官)이 지방 불사(佛事)의 중심 역할을 하면서 나옹(懶翁)[1320...
-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주거 공간 및 주거와 관련된 생활 관습. 집은 인간 생활의 기본이 되는 시설로서 인간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며 가정과 사회생활의 바탕이 된다. 주거의 양식과 주생활은 자연환경이나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서 특색을 띤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은 넓은 들과 낙동강이 흐르고 있어 오래전부터 주거지가 형성되었다. 또한 근대 이전까지 경상도 지역의 주요 도시로서 읍치가...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로마 가톨릭 교회. 천주교(天主敎)의 공식 명칭은 로마 가톨릭 교회(Roman Catholic Church)이다. 우리나라에 전래되면서 서학(西學)·서교(西敎)·천주학(天主學)·천주공교(天主公敎) 등으로 불리다가 천주교로 정착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지역민의 건강·여가 활동 및 지역사회 화합을 도모하기 위하여 실시하고 있는 일련의 신체 활동. 경상북도 상주시의 체육은 우리나라의 체육의 역사와 더불어 발전되어 왔다. 예로부터 전승되어 오던 민속놀이는 주요 명절에 행하여졌던 전통 체육의 모태가 되었으며 씨름, 줄다리기, 널뛰기 등의 형태는 현재까지 맥락을 이어오고 있다. 개항기를 거치면서 상주 지역의 체육 활동...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공공 문제 해결 및 공공 서비스의 생산·분배와 관련된 지방 자치 단체의 모든 활동. 상주시의 행정(行政) 행위는 「대한민국 헌법」을 비롯하여 「지방자치법」 등의 법령과 상주시 조례·규칙, 그리고 예산 등의 행정 규범에 따라 수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