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72년 제작된 회화식 채색 지도에 수록된 함창현 지도. 『1872년 지방지도(1872年 地方地圖)』는 회화식 채색 지도로 총 459매이다. 크기는 가로 70~90㎝, 세로 1.0~1.2m 등으로 일정하지 않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은 함창현의 「함창현여지도(咸昌縣輿地圖)」만 포함되어 있다....
-
조선 후기 제작된 회화식 채색 지도의 상주목과 함창현 지도. 『광여도(廣輿圖)』는 총 7책으로 크기는 가로 28.6㎝, 세로 36.8㎝이다. 총 381장에 달하는 채색 지도(彩色地圖)이며, 제1책 천하도(天下圖)·중국도·유구도(琉球圖)·일본도·요계관방지도(遼薊關防地圖)·조선지도·도성도(都城圖)·경기도, 제2책 호서도, 제3책 호남도, 제4책 관서도·해서도, 제5책 영우도(嶺右圖),...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동리 전식 종가에 소장되어 있는 고문서. 상주 전식종가 소장 고문서(尙州 全湜宗家 所藏 古文書)는 조선 시대 문신인 사서(沙西) 전식(全湜)[1563~1642]의 종가에 소장되어 있는 고문서이다. 1596년부터 1697년까지 발급된 유지·교지·녹패 등 69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1년 12월 20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18세기 중엽 제작된 경상도 상주목 지도. 『경상도지도 진주·상주도회(慶尙道地圖 晉州·尙州都會)』의 일부로 18세기 중엽에 제작되었다. 『상주도회(尙州都會)』에는 경상도 상주목과 경상도 함창현을 비롯한 12개 고을이 수록되어 있다.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
18세기 중엽에 제작된 회화식 채색 지도첩에 수록된 상주목과 함창현 등의 지도. 『여지도(輿地圖)』는 18세기 중엽 중앙 정부에서 전국 각 고을의 지리 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제작한 회화식 지도첩이다....
-
18세기 중반에 제작된 채색 필사본 지도첩에 실린 상주목과 함창현 지도. 『영남지도(嶺南地圖)』는 채색 필사본 지도첩으로 영조 연간에 만든 경상도 지역 71개 군현의 지도가 실려 있다. 7~8㎜의 1리 방안지(方眼紙)에 그려 거리 파악이 쉽다. 한 군현을 1장에 그려 전체를 6첩으로 묶었다. 비변사인(備邊司印)이 찍혀 있어, 『비변사인방안지도(備邊司印方眼地圖)』라고도 부른다....
-
18세기에 제작한 전국 군현 지도첩인 『조선지도』 중 상주목과 함창현 지역 지도. 『조선지도(朝鮮地圖)』는 조선 후기 전국 군현 지도첩으로 1변 길이가 4.2㎝인 20리 방안(方眼) 위에 그려진 대표적인 관찬 지도이다. 『조선지도』는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8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보물로 변경되...
-
1780년대에 제작된 회화식 지도책에 실린 상주목과 함창현의 지도. 『지승(地乘)』 「상주목(尙州牧)」·「함창현(咸昌縣)」은 18세기 후반에 제작한 상주목과 함창현의 회화식 지도책이다....
-
18세기 중반에 편찬된 회화식 군현 지도의 상주목과 함창현 지역 지도. 『해동지도(海東地圖)』는 18세기 중반 영조 대에 제작한 회화식 군현 지도이며, 지도만이 아니라 읍지에 수록할 내용도 많이 실려 있다. 「상주목」과 「함창현」은 『해동지도』 제5책 영남전도(嶺南全圖)에 포함되어 있다. 『해동지도』는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