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상주 출신 문신 조정의 조선 후기 문집 목판. 상주 검간 조정 문집목판(尙州 黔澗 趙靖 文集木板)은 조정(趙靖)[1555~1636]의 문집인 『검간선생문집(黔澗先生文集)』과 임진왜란 당시 조정의 일기 『진사일록(辰巳日錄)』의 책판이다. 2018년 2월 22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5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
경상북도 상주시 서곡동 도림사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 시대 불교 의식용 청동 유물 일괄. 상주 도림사 소장 상주 도림사 소장 청동유물 일괄(尙州 道林寺 所藏 靑銅遺物 一括)은 고려 시대 불교 의식에 사용되었던 도구 31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림사 박물관에 있다. 2012년 5월 14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37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우기리 상주 동학교당에 있는 일제 강점기 동학 관련 유물. 상주 동학교당 유물(尙州 東學敎堂 遺物)은 총 177종 1084점으로 상주 동학교당 유물전시관에 보관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북장사 극락보전에 있었던 조선 후기 목조 경장. 상주 북장사 목조경장(尙州 北長寺 木造經欌) 한 쌍은 상주 북장사 극락보전에 봉안되어 있었으나, 2023년 현재 김천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위탁 관리하고 있다. 상주 북장사 목조경장은 2018년 12월 20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2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북장리 북장사에 있었던 조선 후기 전패. 상주 북장사 목조삼전패(尙州 北長寺 木造三殿牌)는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북장리 북장사 극락보전에 봉안되었으나 2023년 현재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위탁 보관되어 있다. 2018년 12월 20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2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삼덕리 상주박물관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천인상. 상주 석조천인상(尙州 石造天人像)은 통일 신라 시대에 제작된 천인상으로 상주 석각천인상이라고도 한다. 1980년 6월 11일 보물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보물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동리 전식 종가에 소장되어 있는 전식의 조복 및 공예품 유물. 상주 전식조복 및 공예품 일괄(尙州 全湜朝服 및 工藝品 一括)은 조선 시대 문신 사서(沙西) 전식(全湜)[1563~1642]의 조복과 공예품 일괄을 가리키는 유물이며, 2021년 12월 20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조복은 홍의와 훈상, 대대 및 패옥, 아홀 등 5종이 남아 있고, 공...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동리 전식 종가에 소장되어 있는 전식의 초상과 초본 및 영정 보관함. 조선 시대 문신 사서(沙西) 전식(全湜)[1563~1642]의 초상과 초본 및 영정 보관함으로, 경상북도 상주시 지역에서 수백 년간 세거하여 온 전식 종가에 소장되어 있는 전세(傳世) 유물이다. 초상 1점이 1987년 충청북도 옥천의 목담서원 영당에 이안되어 1992년 10월 23일 충청...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삼덕리 상주박물관에 있는 정기룡 장군의 조선 후기 유물들. 정기룡 유물(鄭起龍 遺物)은 임진왜란 때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활약하여 공을 세운 매헌 정기룡(鄭起龍)[1562~1622]과 관련된 유물이다. 옥대(玉帶), 신패(信牌), 유서(諭書), 교서(敎書), 교지(敎旨) 등이 포함되어 있다. 1980년 8월 23일 보물 제66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