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경상북도 상주시를 거쳐 강원도 원주시를 연결하는 국가지원지방도.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國家支援地方道 第49號)는 전라남도 해남군과 강원도 원주시를 연결하는 국가지원 지방도이다. 전용 연장은 383.822㎞이며, 중복 연장 88.561㎞를 포함한 전체 연장은 472.383㎞이다. 상주시에서는 시의 서쪽 끝을 종단하며, 상주시 내 전체 연장은 52.023㎞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경상북도 상주시를 거쳐 경상북도 경주시를 연결하는 국가지원지방도.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國家支援地方道 第68號)는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과 경상북도 경주시를 연결하는 국가지원지방도이다. 전용 연장은 300.855㎞이며, 중복 연장 81.582㎞를 포함한 전체 연장은 382.437㎞이다. 상주시에서는 시의 남쪽 끝을 통과하며, 상주시 내 전체 연장은 24.722...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백화산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금돌성(今突城)은 삼국 시대에는 ‘금돌성’, 고려 시대에는 ‘상주산성(尙州山城)’으로 불렸고, 조선 시대에는 ‘백화산성(白華山城)’·‘보문성(普文城)’ 등으로 불렸다. 금돌성은 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3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천리(琴川里)는 백화산 밑에 있는 지역이라는 뜻으로 ‘미끼미‘, ‘산금’이라고 불리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산금의 ‘금’ 자와 이천리(爾川里)의 ‘천(川)’ 자를 따서 ‘금천리’라고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곡리(德谷里)는 좋은 터라 하여 ‘터골’, ‘트골’, ‘덕곡’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
통일 신라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과 모서면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도안현(道安縣)은 고려 전기 상주(尙州)의 속읍(屬邑) 중 하나로서, 940년(태조 23) 중모현(中牟縣)으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금천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기본 예절을 잘 지키는 어린이, 자기 일을 스스로 해결하는 어린이, 탐구하고 깊이 생각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굳센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바르게 슬기롭게 튼튼하게 자라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모동면(牟東面)은 중모현의 동쪽 지역이라는 것에서 유래하여 ‘모동면’이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반계리(磻溪里)는 본래 부산에서 서울까지 가는 거리에서 반이라고 하여 ‘반계’, 혹은 강변에 자리한 마을이라고 하여 ‘반계’라고 불렸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모서면 백학리와 정산리,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우매리의 경계에 있는 산. 백화산(白華山)은 경상북도 상주시의 남서쪽 경계에 해당하는 산이다. 모동면 수봉리, 모서면 백학리와 정산리,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우매리에 걸쳐 있으며, 높이는 933.4m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의 백화산 아래 보문에 있었다는 백화암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백화산 백화암(白華山 白華巖)」은 백화암에 살았다는 문유채(文有采)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이다. 문유채는 정절을 지키지 못한 아내를 죽였다는 오해를 받아 억울하게 옥살이를 하였다. 이후 누명을 벗었으나 정착하지 않고 이인(異人)으로 살았다고 한다. 문유채는 3년간 시묘를 할...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상판리에 있는 조선 전기 자기 가마터.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의하면 상주목(尙州牧)에는 상품(上品) 2개소, 중품(中品) 1개소의 자기소(磁器所)가 있다고 하였다. 전국 4개소의 상품 자기소 중 2개소가 상주에 있었으며, 이 중 중모현(中牟縣) 동쪽 이미외리(已未隈里)의 자기소는 현재의 모동면 상판리 일대에 있었던 것으로 비정된다. 지표 조사를...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상판리에 있는 안양군과 완원군의 태실. 상주 상판리 태실(尙州 上板里 胎室)은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상판리에 있는 안양군(安陽君) 이항(李㤚)[1480~1505]과 완원군(完原君) 이수(李𢢝)[1480~1509]의 태실이다. 이항은 성종의 3남으로 친어머니는 귀인(貴人) 정씨(鄭氏)이고, 이수는 성종의 4남으로 친어머니는 숙의(淑儀) 홍씨(洪氏)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옥동서원에 있는 수령 약 443년의 배롱나무. 배롱나무는 여름이 한창인 7월부터 꽃을 피우기 시작하여 가을에 모두 질 때까지 약 100여 일 동안 꽃을 피워 백일홍(百日紅)이라고도 부르는데, 초본성 백일홍과 구별하기 위하여 목백일홍(木百日紅)이라고도 한다. 가지를 손으로 간질이면 가지 끝에 달린 잎과 꽃이 간지럼 타듯 흔들린다고 하여 간지럼나무라고도...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군. 상주 수봉리 지석묘군(尙州 壽峯里 支石墓群)은 청동기 시대 유적으로 1998년 지표 조사 때 49기가 확인되었으며, 군집 상태에 따라 6개의 지석묘군으로 구분된다. 수봉리 고인돌이라고도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상주 옥동서원(尙州 玉洞書院)은 방촌 황희(黃喜)[1363~1452], 사서 전식(全湜)[1563~1642], 축옹 황효헌(黃孝獻)[1491~1532], 반간 황뉴(黃紐)[1578~1626]를 배향한 서원이다. 황희는 본관이 장수(長水), 자는 구부(懼夫), 호는 방촌(厖村)이다. 고려가 멸망하자 은거하다가 태조의 적극적인 출...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판리(上板里)는 본래 ‘판개’라고 불리던 반계리의 윗쪽 마을이라는 것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상판리에 있는 저수지. 상판지(上板池)는 안정적인 농업용수 보충과 자연재해 예방 및 하천 수량 증대 등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신천리에서 발원하여 수봉리를 지나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으로 흘러가는 하천. 석천(石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신천리에서 금계천과 반계천이 만나 이루는 지방 하천이다. 석천은 남쪽으로 흘러 수봉리를 감입곡류하면서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마산리 초강천으로 합류한다. 금강 수계의 제2지류 하천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수봉리(壽峯里)는 헌수봉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수봉리’라고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천리(新川里)는 과거 내 바닥[냇가 바닥, 하천 바닥]이었는데 냇물이 북쪽으로 물러가서 새로운 마을이 형성되었다는 뜻에서 ‘새내’ 혹은 ‘신천’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흥리(新興里)[모동면]는 새로 일어난다는 뜻에서 ‘신흥리’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호리(龍湖里)는 창말마을 앞 냇가에 있는 용이 승천하려다 하늘에 오르지 못하고 떨어져 바위가 되었다는 ‘용바우’에서 유래하여 ‘용호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이동리(梨洞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윗배올[上梨里], 아랫배올[下梨里]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배’를 한역하여 ‘이동리’라고 하였다는 설과 음달마 동쪽 산기슭에 고목이 된 배나무가 있어 ‘이동리’라고 하였다는 설이 전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있는 임천석대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임천석대(林千石臺)」는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임천석대가 생긴 유래가 담긴 전설이다. 고려 말엽 악사(樂師)였던 임천석(林千石)이 조선 건국 후 태종(太宗)[1367~1422]의 부름에 나아가지 않고 절벽 아래 깊은 물에 빠져 죽었다는 이야기이다. 고려 왕조에 대한 임천석의 충성심을 기리는 내용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정양리(正陽里)는 양지바르다는 뜻에서 유래하여 ‘정양리’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덕곡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배양, 창의적 탐구 능력 신장, 실천 중심의 바른 인성 함양, 글로벌 사회 적응력 강화, 문화·예술적 소양 계발’이다. 교훈은 “성실하게, 슬기롭게, 건강하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신천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기 주도적으로 공부하고 실력을 갖춘 어린이[자주인],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창의인], 문화적 소양을 갖춘 교양 있는 어린이[문화인], 글로벌 인재로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세계인]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고려 전기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과 모서면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중모현(中牟縣)은 고려 시대 상주의 속현(屬縣)으로서,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모서면 일대로 비정(比定)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덕곡리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농산업을 선도하는 취·창업 역량과 교양을 갖춘 농업 전문 인력 양성’이며, 교훈은 “성실하게, 슬기롭게, 건강하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