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막리(可幕里)는 지형이 마치 까마귀와 같다 하여 ‘가마기’, 또는 ‘가막’이라 하였던 것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화현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극락암(極樂庵)은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김천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며,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화현리 웃쇠실마을에 있는 전통 사찰이다. 극락암은 웃쇠실마을 남서쪽 팔음산 기슭에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포리(大浦里)는 백학산(白鶴山) 밑이라 하여 ‘한박골’, ‘함박골’, 또는 ‘대포동(大浦洞)’이라 하였던 것에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도안리(道安里)는 신라 경순왕(景德王) 시기 도안현(道安縣)이 있던 지역이라 하여 ‘도안리’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득수리에서 음력으로 정월 초이레와 칠월 초하루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득수3리 동제(得水三里 洞祭)는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득수리의 득수3리 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고자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마을 뒷산의 산제당과 마을 입구의 느티나무가 신당으로 여겨지며, 음력으로 정월 초이레와 칠월 초하루, 해마다 두 번 제를 지낸...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득수리(得水里)는 맑은 물이 많은 곳이라 하여 ‘득수리’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삼포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바르게 생각하고 실천하는 사람을 기른다[실천하는 사람], 개인의 소질이 존중되는 기본 교육의 충실로 개성을 신장한다[개성 있는 사람], 탐구 중심의 교육으로 꿈과 재능을 살려 창의력을 계발한다[꿈이 있는 사람], 다 함께 협력하여 교육력을 북돋우는 행정을 구현한다[조화로운 학교]’이다. 교훈은 “참된 것을 배우고 성...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삼포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주적 학습력을 채워 가는 어린이[생각 채움], 꿈과 끼를 찾아가는 어린이[꿈 키움],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행복 나눔]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미래를 창조하는 슬기로운 사람이 되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모서면(牟西面)은 중모현(中牟縣)의 서쪽이 되므로 ‘모서면’이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정산리에 있는 민치문 정효각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민치문의 정효각」은 1895년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정산리에 세워진 민치문 정효각(閔致文 旌孝閣)에 대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이다. 여흥 민씨(驪興 閔氏) 집안의 민치문(閔致文)이 아버지와 계모에게 효성을 다한 효행담이자 이복형제와도 사이좋게 지냈다는 형제담이기도 하다. 민치문의 효행은...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득수리에 있는 박선간 효자각에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박선간 효자각(朴善間 孝子閣)」은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득수리에 효자각이 생긴 유래를 설명하고 있는 전설이다. 박선간이라는 효자가 병든 아버지를 극진히 모시다가 아버지가 사고로 죽자 슬픔을 이기지 못하여 따라 죽었다는 효행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백학리(白鶴里)는 마을의 산세가 아름답고 백학이 많이 모여들어서 ‘백학(白鶴)’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삼포리에 있는 골프장 및 호텔. 2008년 개장한 블루원상주골프리조트는 109만 910.09㎡[약 33만 평] 규모로 운동과 휴양을 위한 골프 코스를 갖추고 있다. 산악 지형에 조성된 코스지만 자연스러운 설계로 편안한 느낌이고, 코스 전체의 고저 차가 35m 이내로 평지에 가깝다. 산맥과 계곡의 흐름을 살려 호수와 능선과 숲이 자연스럽게 코스와 조화를 이루고...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삼포리(三浦里)는 금계천과 화랑천, 계곡천까지 세 개의 물이 합하여 이루어진 곳이라 하여 ‘새기’, ‘세 개’ 또는 ‘사제(社堤)’, ‘삼포(三浦)’라 하였다고 전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대포리에 있는 조선 시대 자기 가마터.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상주목(尙州牧)에는 상품(上品) 2개소, 중품(中品) 1개소의 자기소(磁器所)가 있었다고 한다. 중모현(中牟縣) 북쪽 추현리(楸縣里)의 상품 자기소는 현재의 모서면 대포리 일대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상주 대포리 자기 요지(尙州 大杓里 磁器 窯址)는 2019년 상주박물관에 의하여 정밀 지표...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석산리(石山里)는 뒷산에 돌이 많아 ‘돌산’, 또는 ‘석산’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소정리(召井里)는 소나무 정자가 있었다 하여 ‘소정’이라고 이름 붙였다 하는 설도 있고 한자 ‘소정(召井)’에 따라 마을이 산 중턱에 있어서 마실 물을 우물에서 길어 먹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 설도 있다. 소정은 ‘학소동’이라는 이칭도 있는데, 학소동은 마을 뒤에 있었던 산제당(山祭堂)에 노송이 많이 있어 백학이 많이 날아왔다 하...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정산리(井山里)는 산[백화산] 중에 우물[井]이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감뫼’, ‘감산’ 또는 ‘정산’이라고도 하였다....
-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상주시를 거쳐 예천군을 연결하는 일반 지방도. 지방도 제901호(地方道 第901號)는 경상북도 김천시 지례면과 예천군 효자면을 연결하는 일반 지방도이며, 경상북도 구간의 노선명은 ‘구성-상리선’, 충청북도 구간의 노선명은 ‘지례-동로선’이다. 전용 연장은 175.629㎞이며, 중복 연장 24.46㎞를 포함한 전체 연장은 200.089㎞이다. 전체 연장 중 경상북...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산리(芝山里)[모서면]는 지형이 마치 누운 소와 같고, 소에게는 풀밭이 있어야 좋다는 의미로 마을 이름을 ‘지산(芝山)’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호음리(好音里)는 산천(山川)의 경치가 매우 빼어나다 하여 ‘호음(好音)’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현리(花峴里)는 나화리와 나화리에 있는 접현의 이름을 따서 화현리라 하였다고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