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곡리(佳谷里)는 사방이 둘러싸여서 오목하게 되었으므로 ‘오가실’, 또는 ‘오가곡’, ‘가곡(佳谷)’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개곡리(開谷里)의 마치 고을이 열리는 형국의 지형이라고 하여 마을 이름을 ‘개곡(開谷)’이라 붙인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관동리(官洞里)는 조선 시대에 농소(農所)를 두고 말을 먹이는 관가가 있었으므로 ‘관동(官洞)’이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동리에 있는 옥천 전씨 동성 마을. 관동리(官洞里)는 조선 시대에 농소를 두고 말을 먹이는 관가가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중산리(中山里)·마평리(馬坪里)·농산(農山)을 합하여 관동리라 하고 경상북도 상주군 외서면 관동리로 개설되었다. 자연 마을로는 관동마을, 구호마을, 바깥마마을, 숙골마을, 히지마을 등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관현리(官峴里)는 과거를 보러 가는 길목에 있다 하여 ‘관현(官峴)’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대전리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대전2리 동제(大田二里 洞祭)는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대전리 도재이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고자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제사는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 밤에 마을 뒷산의 산제당과 마을 입구의 골맥이당에서 모신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전리(大田里)는 큰 밭이 있으므로 ‘한밭’ 또는 ‘대전(大田)’이라 한 데서 명칭이 비롯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동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질문할 수 있는 어린이, 스스로 탐구하는 어린이, 표현하며 성장하는 어린이, 공동체를 이룰 수 있는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근면·건강·봉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백전리(栢田里)는 잣나무가 많은 곳에 마을이 이루어졌으므로, ‘잣밭’ 또는 ‘백전(栢田)’이라 한 데서 비롯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우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병암고택의 사랑채. 병암고택(甁菴故宅)은 정경세(鄭經世)의 6세손인 정종로(鄭宗魯)[1738~1816]의 동생 정재로(鄭宰魯)[1755~?]가 15세 때 분가하여, 1770년 지은 살림집이다. 현재 예전 모습 그대로 남아 있는 사랑채와 후대에 지은 대문채·안채·별채·화장실이 있다. 별채의 경우 ‘병천정(甁泉亭)’이라는 현판이 있는데,...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봉강리(鳳岡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봉강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우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누정 겸 서실. 상주 대산루(尙州 對山樓)는 영남학파의 대표 학자인 문신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1563~1633]가 1602년 건립한 누정 겸 서실이다. 정경세의 별서로 건립된 뒤 후손에 의하여 정사와 누정, 서고를 함께 갖춘 복합 건물로 중건되었다. 상주 대산루는 1982년 2월 24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6호로 지정되...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우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정경세의 종택. 상주 우복 종택(尙州 愚伏 宗宅)은 1750년대 조정으로부터 사패지[왕이 내려 준 논과 밭]가 내려오자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1563~1633]의 현손 정주원(鄭冑源)[1686~1756]이 건립한 종택이다. 『진주정씨세보』에 따르면, 정주원은 만년에 우산으로 들어와 엽동(燁洞)을 자호(自號)로 삼았다는 기...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동리 전식 종가에 소장되어 있는 전식의 조복 및 공예품 유물. 상주 전식조복 및 공예품 일괄(尙州 全湜朝服 및 工藝品 一括)은 조선 시대 문신 사서(沙西) 전식(全湜)[1563~1642]의 조복과 공예품 일괄을 가리키는 유물이며, 2021년 12월 20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조복은 홍의와 훈상, 대대 및 패옥, 아홀 등 5종이 남아 있고, 공...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동리 전식 종가에 소장되어 있는 고문서. 상주 전식종가 소장 고문서(尙州 全湜宗家 所藏 古文書)는 조선 시대 문신인 사서(沙西) 전식(全湜)[1563~1642]의 종가에 소장되어 있는 고문서이다. 1596년부터 1697년까지 발급된 유지·교지·녹패 등 69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1년 12월 20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동리 전식 종가에 소장되어 있는 전식의 초상과 초본 및 영정 보관함. 조선 시대 문신 사서(沙西) 전식(全湜)[1563~1642]의 초상과 초본 및 영정 보관함으로, 경상북도 상주시 지역에서 수백 년간 세거하여 온 전식 종가에 소장되어 있는 전세(傳世) 유물이다. 초상 1점이 1987년 충청북도 옥천의 목담서원 영당에 이안되어 1992년 10월 23일 충청...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연봉리(蓮峰里)는 조선 시대 상주목사가 한양에서 오는 귀한 손님을 맞이하는 연봉정(蓮峰亭)이 있으므로 ‘연봉정’, 혹은 ‘연봉(蓮峰)’이라 부른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예의리(禮儀里)는 처음에는 ‘여우골’ 또는 ‘여우곡’이라 하였으나 상산 박씨가 살면서 ‘예의골’ 또는 ‘예의곡’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가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남을 배려하고 함께 어울리는 어린이, 슬기롭게 생각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주도적인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꿈과 개성과 실력을 지닌 건강한 어린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외서면(外西面)은 상주의 바깥쪽 서편에 위치하므로 ‘외서면’이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우산리(愚山里)는 우산 아래가 되므로 ‘우산(愚山)’이라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이천리(伊川里)는 두 개의 내[川]가 하나로 합쳐지는 곳이라 하여 ‘이천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이촌리(泥村里)는 진흙이 많으므로 ‘헐골’, 혹은 ‘이촌(泥村)’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