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에 속하는 법정리. 남곡리(南谷里)는 칠봉산(七峰山) 앞이 되므로 ‘앞실’ 또는 ‘남곡(南谷)’이라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남곡리와 외서면 대전리 경계에 있는 산. 남산(南山)은 상주시 은척면 남곡리와 외서면 대전리 경계에 있는 높이 819.9m의 산이다. 상주시의 북서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북동쪽으로는 성주봉과 이어지고, 북서쪽으로는 국사봉과 연결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에 속하는 법정리. 두곡리(杜谷里)는 본래 ‘뒷골’이라 한 것이 변하여 ‘두곡(杜谷)’이 되었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에 속하는 법정리. 무릉리(武陵里)는 칠봉산에 있는 ‘무릉(武陵)’의 이름을 따 ‘무릉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에 속하는 법정리. 문암리(文岩里)는 문처럼 생긴 큰 바위가 있다 하여 ‘문바우’, 또는 ‘문암(文岩)’이라 하였다고 전하는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에 속하는 법정리. 봉상리(鳳上里)는 봉림(鳳林)의 위쪽이 되므로 ‘봉상(鳳上)’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에 속하는 법정리. 봉중리(鳳中里)는 봉림(鳳林)의 중심이 되므로 ‘봉중(鳳中)’이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우기리에 있는 동학교 교당. 상주 동학교당(尙州 東學敎堂)은 동학(東學) 교리를 바탕으로 교당을 운영하고 포교 활동을 하기 위하여 건립한 국내 유일의 동학교 본부 건물이다. 동학의 남쪽 책임자인 김주희(金周熙)[1860~1944]는 1904년(광무 8) 동학계 경천교를 창립한 이후 1915년 상주에 정착하여 상주 동학교당을 건립하였다. 상주 동학교당은 199...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우기리 상주 동학교당에 있는 일제 강점기 동학 관련 유물. 상주 동학교당 유물(尙州 東學敎堂 遺物)은 총 177종 1084점으로 상주 동학교당 유물전시관에 보관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두곡리에 있는 수령 약 400년의 뽕나무. 상주 두곡리 뽕나무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뽕나무이며, 상주의 오랜 양잠(養蠶) 역사와 전통을 입증하여 주는 기념물이다. 상주 두곡리 뽕나무는 뽕나무 재배를 권장하였던 조선의 제16대 왕 인조[재위 1623~1649년] 때 심은 것으로 추정된다. 상주 두곡리 뽕나무는 1972년 12월 29일 ‘은척면의 뽕나무’라는...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두곡리에 있는 수령 약 450년의 은행나무. 상주 두곡리 은행나무는 1500년경 형성된 두곡리 부락과 함께 자연 발생적으로 자란 은행나무로 추정된다. 상주 두곡리 은행나무는 암나무이며, 수형(樹形)은 균형이 잘 잡혀 있고 성장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상주 두곡리 은행나무는 민속적·생물학적 자료로서의 보존 가치가 인정되어 1987년 5월 13일 경상북도 기념물...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남곡리에 있는 목재 체험장. 상주목재문화체험장(尙州木材文化體驗場)은 2013년 산림청에서 진행하는 목재 체험장 조성 사업 공모에 선정되어 국비 52억 원을 지원받아 상주시 한방산업단지 내에 조성되었다. 목재 체험장은 목재 문화 진흥을 위하여 각 시도에서 운영 중이거나 조성 중에 있다. 상주시는 2019년 상주목재문화체험장을 개장하여 친환경 소재인 목재에 대한...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남곡리에 있는 자연휴양림. 성주봉자연휴양림(聖主峰自然休養林)은 산림 자원의 지속 가능한 경영 도모와 산림을 활용한 휴양 시설을 설치하여 국민 건강 증진 및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숙박 시설, 편의 시설 등의 휴양 시설을 통하여 국민 보건 휴양, 국민 정서 함양, 산림 교육 등을 실시하고 산림 소유자의 소득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에 속하는 법정리. 우기리(于基里)는 산세가 매우 웅장하다 하여 ‘우렁터’라고 한 것을 한역(漢譯)하여 ‘우기(于基)’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두곡리에 있는 은행나무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원혼의 넋 은행나무」는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두곡리에 있는 은행나무에 얽힌 전설이다.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하다가 죽은 여인의 슬픈 한이 은행나무를 통하여서 오래도록 사람들에게 전승되고 있다. 상주 두곡리 은행나무는 1987년 5월 13일 경상북도 기념물 제7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봉중리에 있는 전통주 제조업체. 은척양조장(銀尺釀造場)은 3대째 대를 이어 생막걸리를 전통적 방법으로 만들어 오고 있는 양조장이다. 경상북도가 선정한 향토뿌리기업이다. 경상북도는 2013년 전국 최초로 「경상북도 향토뿌리기업 및 산업유산 지원 조례」[도조례 제3476호, 2013년 11월 11일]를 제정하여, 경상북도 내에 사업장을 두고 대를 이어 30년 이...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우기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도덕적 품성과 민주적 생활 태도를 갖춘 덕성인을 기른다. 학습 능력의 배양으로 창의성과 전문성을 갖춘 지식인을 기른다. 정보화 능력과 진취적 기상으로 미래를 개척하는 세계인을 기른다. 정서 순화와 인간성이 부드러운 인간적인 미를 가진 건강인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봉중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어린이[인성], 새로운 생각으로 탐구하는 어린이[창의],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건강], 맛과 멋을 즐기는 어린이[감성]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바르고 성실하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은척면(銀尺面)은 은자가 묻힌 은자골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옛날 죽은 사람도 살린다는 금자[尺]와 은자[尺]가 있어 하염없이 사람이 늘어나 나라의 근심이 되었다고 한다. 하염없이 사람이 늘어나는 것을 막고자 금자와 은자를 땅에 묻기로 하였는데, 금자는 지금의 경주 금척에 묻고 은자는 상주 은척에 묻었다고 한다. 은자가 묻힌 산은 은자산이...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장암리, 이안면 구미리, 문경시 가은읍 갈전리의 경계에 있는 산. 작약산(芍藥山)은 경상북도 상주시의 북쪽에 있는 773.7m의 산이다. 은척면 장암리와 이안면 구미리, 문경시 가은읍 갈전리에 걸쳐 있지만, 함창의 진산으로 여겨지는 산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에 속하는 법정리. 장암리(壯岩里)[은척면]는 칠봉산에 있는 ‘장암’의 이름을 따 ‘장암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남곡리에 있는 조자룡 굴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조자룡 굴(趙子龍 窟)」은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남곡리에 조자룡 굴이 생긴 유래에 대해 설명하는 전설이다. 조자룡(趙子龍)은 중국 삼국 시대 촉한(蜀漢)의 명장 조운(趙雲)[?~229]의 자(字)이다. 이야기에서는 조자룡이 태어난 굴과 함께 용마가 태어난 용터, 바위에 새겨진 투구 자국, 말의...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남곡리와 문경시 농암면 갈동리의 경계에 있는 산. 칠봉산(七峰山)은 경상북도 상주시의 북서쪽 은척면 남곡리와 문경시 농암면 갈동리에 걸쳐 있는 597.9m의 산이다. 상주시의 북서쪽에 해당하며, 남쪽은 남산과 성주봉 줄기, 남동쪽은 은자산과 연결된다. 북쪽으로는 칠봉산의 주 능선이 길게 뻗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에 속하는 법정리. 하흘리(下屹里)는 흘골 아래라 하여 ‘아래흘골’, 또는 ‘하흘(下屹)’이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하흘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하흘리 동제(下屹里 洞祭)는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하흘리의 호명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고자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제사는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 들 한가운데에 있는 느티나무와 바위인 ‘동승지’에 지내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에 속하는 법정리. 황령리(黃嶺里)는 황령사가 있어 황령리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황령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황령사(黃嶺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황령리 칠봉산 자락에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