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간상리(肝上里)는 마을 앞에 개천이 모여 들고 낙동강이 여러 번 굽이치는 간곡에 마을이 위치하여 ‘간곡’, ‘간상’, ‘가무골’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죽암리와 낙동면 신상리를 연결하는 다리. 강창교(江濸橋)는 옛 영남대로의 강창나루(江濸나루)가 있었던 곳이라 하여 강창교라 명명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오상리에 있는 경천섬 일대의 공원. 경천섬공원은 2009년 4대강 정비 사업으로 상주보가 조성되고 ‘낙동강 희망의 숲’ 사업이 실시되면서 상주시에서 수변 생태 공원으로 조성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당리(金堂里)는 큰길가에 있는 마을이라는 것에서 비롯하여 ‘큰길가’ 또는 ‘금당’이라고 한 데서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죽암리에 있는 낙암서원에 배향된 조선 후기의 문신. 김정룡(金廷龍)[1561~1619]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자는 시견(時見), 호는 월담(月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장사랑 김윤적(金允迪)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김관석(金關石)이다. 아버지는 선공감참봉 김담수(金聃壽)이고, 어머니는 조몽길(曺夢吉)의 딸 창녕 조씨(昌寧 曺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통례원...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회상리에 있는 문학관. 낙동강문학관(洛東江文學官)은 경상북도 상주에 낙강시회(洛江詩會)의 전통을 계승하고 ‘낙동강 문학’의 총체적인 보존을 위하여 2021년 9월 건립된 문학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죽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낙암서원(洛嵓書院)은 김담수(金聃壽)[1535~1603], 김정룡(金廷龍)[1561~1619], 김정견(金廷堅)[1576~1645]을 배향하기 위하여 1796년(정조 20) 건립하였다....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덕미리에서 발원하여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와 신암리 일대를 흐르는 하천. 말지천(末池川)은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덕미리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를 거쳐 신암리 남쪽 국도 제59호 아래에서 낙동강에 유입하는 지방 하천이다. 낙동강 수계의 제1지류에 해당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오상리와 회상리의 경계에 있는 산. 비봉산(飛鳳山)은 상주시의 동쪽 낙동강 연변에 있는 높이 230.5m의 산이다. 낙동강이 비봉산을 휘감아 흐르기 때문에 비봉산을 중심으로 보면 경천교와 상주보의 비봉산 줄기가 마치 날개를 펴고 있는 모습과 흡사하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에 있는 고택. 상주 수암종택(尙州 修巖宗宅)은 류성룡(柳成龍)[1542~1607]의 셋째 아들 수암(修巖) 류진(柳袗)[1582~1635]을 불천위로 모시는 종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에 있는 풍산 류씨 류진의 종가. ‘수암 류진 종가(修巖 柳袗 宗家)’는 풍산 류씨 류성룡(柳成龍)[1542-1607]의 서애파에서 분파된 우천파의 종가로 류진(柳袗)[1582~1635]을 파조로 한다. 종가의 이름은 류진의 호 수암(修巖)을 따서 지었다. 류진은 상주 우천에 이거한 이후 ‘상주 수암 류진 종가’ 또는 ‘수암공파’로 불리며 서애학통을 상...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암리(新岩里)는 큰 바위가 많이 있어 ‘신암리’라고 불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오상리(梧上里)는 비봉산 아래 오동에 봉황을 서식하게 한다는 뜻으로 오동나무를 많이 재배한다는 것에서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의 위천을 건너는 다리. 우물교(于勿橋)는 다리가 있는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于勿里)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우물리(于勿里)는 임진왜란 때 남원 양씨가 이거하였고 그 후 풍산 유씨가 이주하여 처음 마을 이름을 ‘우천(愚川)’[당나라 학자 유종원이 사는 곳이 우계라고 하는 것에 연유]이라 하다가 그 뒤 ‘우무실’로 불린 것에서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에 있는 풍산 류씨 동성 마을. 우물리(于勿里)는 위천 변에 자리하고 있어서 이름을 우물·우무실·우물곡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에 따라 가사리(佳士里)와 사동, 단남면 정곡리를 합하여 우물리라 하고 경상북도 상주군 중동면에 편입하였다. 우물리의 자연 마을로는 우무실·가사리·말골·벙갈미·유정마을 등이 있다....
-
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에서 발원하여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 일대를 흐르는 하천. 위천(渭川)은 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 주변 산지에서 발원한 하천이 합쳐져 군위댐에 모였다가 북서쪽으로 흘러 군위군과 의성군을 가로질러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에서 낙동강으로 유입하는 지방 하천이다. 위천은 낙동강 수계의 제1지류에 해당하는 하천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죽암리(竹岩里)는 바위 층 위에 대나무가 무성하고 비봉산의 봉황이 죽실(竹實)을 따 먹는 형국이라는 것에 유래하여 ‘죽암’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오상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지표는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 융합형 인재 육성’이고, 나를 알고 남과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도덕인], 스스로 공부하고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어린이[자주인], 꿈과 희망을 가꾸어 가는 어린이[창의인],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다져 가는 어린이[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신암리와 낙동면 물량리를 연결하는 다리. 중동교(中東橋)는 다리가 통과하는 중동면(中東面)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법정면. 중동면(中東面)은 상주 읍내 동쪽에 위치한다는 것에서 유래하여 ‘중동면’이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참나무배기마을과 류후조에 대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참나무배기」는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에 있는 참나무배기마을의 지명 유래 전설이면서 ‘낙동 대감’으로 불리던 낙파(洛坡) 류후조(柳厚祚)[1798~1876]에 대한 인물 전설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회상리에 있는 법화종 소속 사찰. 청룡사(靑龍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회상리 경천대국민관광지 인근의 낙동강 변 경승지 산록에 자리한 법화종 소속 사찰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회상리와 상주시 도남동을 연결하던 낙동강 나루. 회상나루는 중동면 회상리(回上里)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회상리는 낙동강이 굽이도는 곳의 윗마을을 뜻하며, 마을을 떠난 사람들이 다시 돌아오는 곳 또는 회(灰)가 많이 나는 곳이라 하여 회곡, 회골이라고도 불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회상리(回上里)는 회가 많이 났다는 것 또는 마을을 떠난 사람들이 다시 돌아온다고 하여 ‘회골(回골)’이라 하였다는 것에 유래하여 ‘횟골’, ‘힛골’, ‘회곡’, ‘회상동’이라고 불린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