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천리(佳川里)는 남천(南川) 연변에 있다는 것에 유래하여 ‘가피내’, ‘개피내’ 또는 ‘가천’이라고 부른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가천리에 있는 흥양 이씨 동성 마을. 가천리(佳川里)는 병성천과 마공천, 지류인 장산천이 합류하는 곳에 있어서 계변(溪邊) 또는 개피내·가피내라고 불렀다. 본래 청남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가천리·유천리·부담리·사계리를 합하여 경상북도 상주군 청리면 가천리로 개설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상리에 있는 조선 후기 열녀각. 광주 김씨 열녀각(廣州 金氏 烈女閣)은 고성인 이의봉(李鳳儀)의 부인 광주 김씨의 정열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광주 김씨는 이의봉과 혼인하여 두속마을(杜俗마을)로 출가하였다. 시부모를 모시는 데 효성을 다하고, 남편을 섬기는 데 지극정성을 다하였다. 남편이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나자 남편 옆을 떠나지 않고 식음을 전폐하...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산리(德山里)는 둔덕으로 된 산에 마을이 생겼다 하여 ‘덕산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공리(馬孔里)는 기양산 아래 큰 골짜기 혹은 큰 마을이 있다는 것에서 유래하여 ‘마골’, ‘마공’, ‘마궁’이라고 불린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 마공리의 주된 자연 마을인 마공의 유래에 따르면 과거 한양에서 경주로 이어지는 길목에 마장(馬場)이 있어서 마궁(馬宮), 마골이라 하였는데 일제 강점기에 마공으로 수정되었다고 한다. ‘마(馬)’ 또...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마공리에서 정월 초하룻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마공리 동제(馬孔里 洞祭)는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마공리의 마을 주민들이 해마다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고자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제의 날짜는 정월 초하룻날이며 제의 장소는 마을 안의 ‘팽낭걸’이다....
-
삼국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사벌주(沙伐州)는 본래 사벌국(沙伐國)[혹은 사량벌국(沙梁伐國)]이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따르면 첨해이사금(沾解尼師今)[재위 247~261] 때 석우로(昔于老)가 정벌하였으며, 이후 어느 시기에 사벌주가 되었다. 524년(신라 법흥왕 11) 처음으로 군주(軍主)를 파견하여, 상주(上州)로 삼았다. 삼국 통일 후인 7...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삼괴리(三槐里)는 느티나무 세 그루가 정자를 이루었다는 것에 유래하여 ‘삼괴정’ 또는 ‘삼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삼괴리에 있는 천주교 신앙고백비. 상주 천주교 신앙고백비(尙州 天主敎 信仰告白碑)는 김삼록(金三祿)[1843~1935] 도미니코가 문중이 살고 있던 석단산 아래에 자신의 신앙 고백을 바위에 새긴 것이다. 1984년 교회 사적(史蹟)으로 고증되었다. 2009년 12월 28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6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마공리·청하리·하초리 일대에 있던 청동기 시대부터 근대까지의 복합 유적. 상주 청리 유적(尙州 靑里 遺蹟)은 한국문화재보호재단에 의하여 1996년·1997년·1999년 3차례 발굴 조사가 실시되었다. 발굴 조사는 북쪽에 있는 능선을 A·F·H지구, 중앙부의 밀매동산 부분을 B지구, 남쪽에 있는 능선 지대를 C·D·E·I지구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분묘 등 총...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선돌. 상주 청하리 입석(尙州 靑下里 立石)은 청동기 시대 의례 및 이정표 기능을 위하여 세운 돌이다. 상주 청하리 선돌이라고도 부른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서 사명대사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서산사의 등대나무」는 사명대사(泗溟大師)[1544~1610]가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서산사(西山寺)에서 잠시 머무르다가 절을 떠났을 때 있었던 신이한 일을 담고 있는 이야기이다. 사명대사는 서산사를 떠날 때 자신이 짚고 다니던 지팡이를 땅에 꽂았는데, 지팡이가 나무로 변하여 잎과 가지가 뻗어 나가는 방향으로...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덕산리에 있는 수명당이라는 우물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수명당(水明堂)」은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덕산리에 있는 우물과 관련한 전설이다. 청리면 서산(西山) 밑에 있는 덕산리라는 마을 한가운데에는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우물이 하나 있다. 우물의 물이 맑고 깊어서 ‘수명당’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옛날 어느 한 효자가 아버지의 유언을...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수상리(水上里)는 병성천의 서쪽 가에 있는 마을 앞산 밑에 큰 웅덩이가 있었는데, 웅덩이의 물과 병성천의 물이 수정과 같이 맑고 살기 좋은 마을이라는 것에 유래하여 ‘수중당’ 또는 ‘수상’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에 있는 조선 전기 서당. 수선서당(修善書堂)은 상주목사 신잠(申潛)[1491~1554]이 건립하였다. 신잠은 1552년(명종 7) 상주목사로 부임한 이후 상주 선비들이 학문을 할 곳이 없음을 안타깝게 여기고 부임 기간 동안 상주 지역에 서당 18개를 건립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원장리(遠墻里)는 석단산을 비롯한 산들이 멀리서 담장처럼 아름답게 둘러싸고 있다는 것에서 유래하여 ‘원(遠)’ 자와 ‘장(墻)’ 자의 뜻을 따서 ‘원장리’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월로리(月老里)는 사방으로 산이 에워싸고 있고 산에서 마을을 보면 다리미 모양처럼 생겼다고 하여 ‘다리굴‘, ‘월골’, ‘월로’, ‘월로곡’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상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각. 유유발 효자각(劉有發 孝子閣)은 조선 시대 상주의 속현인 청리현(靑理縣) 출신 유유발(劉有發)[1688~1756]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유유발의 효행은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와 『상산지(商山誌)』 등에 기록되어 있다. 유유발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계모의 박대에도 효도로 감동시켰고, 아버지가 사망하자...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율리(栗里)는 밤나무가 많다는 것, 도연명(陶淵明)이 살던 율리와 같다는 것에 유래하여 ‘밤갓’, ‘방갓’, ‘밤나무솔’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율리에 있는 경주 손씨 동성 마을. 율리(栗里)는 본래 상주군 청동면 지역이었다. 밤나무가 많아서 밤갓, 방갓, 밤나뭇골이라 불렸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상률리(上栗里)·하율리(下栗里)·송령리(松嶺里)·벽암리(碧岩里)·석평리(石平里)·장홍리(長虹里)를 합하여 율리라 하고 경상북도 상주군 청리면에 편입되었다....
-
통일 신라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일대에 있던 지방 군단 조직. 삼국 통일 후 신라는 군사적 요충지에 정예군을 주둔시켰던 정(停) 제도를 재정비하여 전국 9주(州)에 10정을 설치하였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잡지(雜志)9 무관(武官) 조에는 음리화정(音里火停)이 10정 가운데 가장 먼저 기록되어 있는데, 휘장은 푸른색이었다. 군 지휘관은 중앙에서 파견하였는데 대대감(隊大監...
-
삼국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지역에 있던 신라의 지방 행정 구역. 음리화현(音里火縣)은 본래 사벌국(沙伐國)[혹은 사량벌국(沙梁伐國)]의 일부였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석우로전(昔于老傳)에 따르면 첨해이사금(沾解尼師今)[재위 247~261] 때 신라가 정벌하였고, 이후 사벌국(沙伐州)의 영현으로 처음 편제되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 청효현(靑驍縣)으로 개칭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형에게 빌린 돈을 갚지 않겠다고 다짐하는 민요.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하여 오는 「정금노래」는 빚에 시달리다가 어떤 일이 있어도 빚을 갚지 않겠다고 거듭 다짐하는 매우 특이한 내용을 담은 유희요이다. 다른 지역에서는 「징거미타령」, 「징금이타령」, 「징금이노래」 등의 이름으로 전승되며, 일반적으로 민물새우의 일종인 징거미가 노래의 소재이며 신체의 일부를 팔아서라...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율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설 의료 시설. 존애원(存愛院)은 임진왜란 이후 김각, 성람, 이전, 이준, 강응철, 김광두, 정경세 등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선비들이 ‘존심애물(存心愛物)’의 뜻을 실천하려는 뜻에서 1599년(선조 32) 창설하고 1602년 건립한 사설 의료 시설이다. 1993년 2월 25일 경상북도 기념물 제8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율리에 있는 존애원의 역사적 가치와 현대적 의미. 존애원(存愛院)은 임진왜란 이후 향촌 사회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1599년(선조 32) 결성된 낙사계(洛社契)의 지원으로 설립되었다. 이후 180여 년 동안 상주 지역의 의료 기관인 동시에 강학 공간이자, 향촌 사회의 교화 기능을 담당하는 복합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존애원은 경제적 사정 등으로 인하여 18세기에...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과 청송군 현서면을 연결하는 일반 지방도. 지방도 제912호(地方道 第912號)는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과 청송군 현서면을 연결하는 일반 지방도이며, 노선명은 ‘청리-현서선’이다. 전용 연장은 99.368㎞이며, 중복 연장 3.533㎞를 포함한 전체 연장은 102.901㎞이다. 상주시에서는 시의 남동부를 통과하며, 상주시 내 전체 연장은 15.819㎞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가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창석사당(蒼石祠堂)은 이준(李埈)[1560~1635]을 모시는 불천위 사당이다. 1986년 12월 11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78-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배움과 나눔이 즐거운 따뜻한 청리 교육’이며 추구하는 학생상은 ‘모든 일에 솔선수범하고 자주적인 학생, 항상 생각하고 실천하는 학생, 즐겁게 활동하며 몸과 마음이 건전한 학생’이다. 교훈은 “진리를 알고 옳게 생각하여 바르게 행하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존감과 배려를 실천하는 감성 교육, 새로운 생각을 키우고 꿈을 가꾸는 배움,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배우고 실천하는 학생 주도형 활동,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 공동체 문화 형성 등을 통하여 “문화인, 자주인, 봉사인, 창의인”을 육성하는 것이다. 교훈은 “슬기롭고 알차며 튼튼한 몸”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법정면. 청리면(靑里面)은 본래 조선 시대 청리현의 남쪽이라는 것에 유래하여 청남면이라 하였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청리현의 이름을 따서 ‘청리면’이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원장리에 있는 경북선 철도역. 청리역(靑里驛)은 경북선 철도 건설 사업의 일환으로 건설되어 1924년 10월 1일 김천-상주 구간이 개통됨에 따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
고려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청리현(靑理縣)은 고려 시대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일대에 설치되었다가 조선 시대 때 폐현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청상리(靑上里)는 과거의 청리현 읍내 위쪽 마을이라는 뜻으로 청상리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상리에서 효자 유유발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청상리의 효자 유유발」은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상리(靑上里)에 살던 효자 유유발(劉有發)[1698~1756]과 관련된 신이한 이야기이다. 유유발의 지극한 효행이 산신령을 감동시켜, 한겨울임에도 아버지의 병을 낫게 할 천도복숭아를 구할 수 있었다는 내용이다. 1760년(영조 35)에 유림에서 유유...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상리에 있는 저수지. 청상지(靑上池)는 안정적인 농업용수 보충과 자연재해 예방 및 하천 수량 증대 등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청하리(靑下里)는 청리현 읍내 아래쪽이라는 뜻으로 청하리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상리에서 발원하여 청하리와 원장리 일대를 흐르는 하천. 청하천(靑下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상리 주변 산지에서 발원하여 북서쪽으로 흘러 청하리를 지나 원장리에서 병성천으로 유입하는 지방 하천이다. 낙동강 수계의 제2지류이고, 병성천의 제1지류에 해당한다....
-
통일 신라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청효현(靑驍縣)은 757년(신라 경덕왕 16) 음리화현(音里火縣)을 개정한 지방 행정 구역이다. 통일 신라 시대 지방 군사 조직인 10정(停) 가운데 음리화정(音里火停)이 있었던 곳이며,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일대에 해당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가천리에 있는 고택. 체화당(棣華堂)은 월간(月澗) 이전(李㙉)[1558~1648]의 셋째 아들 이신규(李身圭)가 1632년 지은 서실이다. 이전은 본관이 합천(陜川)으로 동생 창석(蒼石) 이준(李埈)[1560~1635]과 함께 류성룡(柳成龍)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다. 당호인 ‘체화(棣華)’는 이전·이준 형제의 우애를 뜻하는 말이다. 체화당은 1986년 12...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하초리(下草里)는 샛골 아래쪽에 있다는 것에 유래하여 ‘아래샛골’, ‘새터’, ‘하초’라고 한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학하리(鶴下里)는 백학산(白鶴山)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서 호의장군 김수택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호의장군과 소천교」는 호의장군(虎儀將軍) 김수택과 관련하여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설화이다.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는 강릉 김씨(江陵 金氏) 집성촌이 있다. 강릉 김씨의 선대에 김수택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종군한 공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른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