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견훤산성(甄萱山城)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의 북쪽에 있다. 높이 541m의 장바위산 정상부와 일부 계곡부를 둘러싼 내외협축식(內外夾築式)의 테뫼식 산성이다. 견훤이 쌓아 견훤산성으로 불린다고 하나 공식적인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 1984년 12월 29일 경상북도 기념물 제5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견훤산성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견훤성(甄萱城)」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견훤산성에 얽힌 이야기이다. 견훤산성은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장바위산 정상부를 둘러싼 산성이다. 견훤(甄萱)[867~936]이 쌓았다고 하여서 ‘견훤산성’이라 불리며, 산성과 관련하여 두 가지 전설이 전하고 있다. 하나는 지렁이의 아들인 견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에 있는 경상북도교육청 산하 수련원. 경상북도교육청 상주학생수련원(慶尙北道敎育廳 尙州學生修練院)은 1987년 9월 7일 폐교된 상오국민학교 자리에 경상북도 상주학생야영장으로 개장한 이후 낙후한 시설을 재공사하여 2015년 4월 29일 경상북도상주학생수련원으로 개원하였다....
-
대전광역시에서 경상북도 상주시를 거쳐 경상북도 문경시를 연결하는 국가지원지방도.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國家支援地方道 第32號)는 대전광역시 유성구와 경상북도 문경시를 연결하는 국가지원지방도이다. 전용 연장은 106.819㎞이며, 중복 연장 13.35㎞를 포함한 전체 연장은 120.169㎞이다. 상주시에서는 시의 북쪽 끝을 통과하며, 상주시 내 전체 연장은 24.245㎞이다....
-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경상북도 상주시를 거쳐 경기도 파주시를 연결하는 일반 국도. 국도 제37호(國道 第37號)는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과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을 연결하는 일반 국도로 노선명은 ‘거창-파주선’이다. 전용 연장은 388.214㎞이며, 중복 연장 62.754㎞를 포함한 전체 연장은 450.968㎞이다. 상주시에서는 시의 북서단 지역을 통과하며, 상주시 내 전체 연장은 4...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와 용유리, 문경시 농암면 내서리 경계에 있는 산. 도장산(道藏山)은 경상북도 상주시 북서쪽에 해당하며 화북면 용유리와 문경시 농암면 내서리에 걸쳐 있는 높이 828.5m의 산이다. 경상북도 북서부 백두대간 자락에 숨은 명산이며, 속리산 전체를 조망할 수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용유리에 있는 생수 제조업체. 동천수(東天水)는 생수 및 탄산음료를 주 사업 분야로 하고 있는 회사이다. 동아쏘시오그룹의 계열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용유리에 있는 동천암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용유리에는 ‘우복동 21세기애향공원’이 있는데, 우복동 21세기애향공원에 ‘동천암(洞天岩)’이라고 불리는 바위가 있다. 「동천암」은 바위 이름이 동천암으로 불리게 된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는 유래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에 있는 맥문동 군락이 있는 소나무숲. 맥문동 솔숲은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의 경상북도교육청 상주학생수련원과 문장대 오토캠핑장 사이에 있다. 맥문동은 그늘진 곳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아파트나 빌딩의 그늘진 정원에 많이 심어져 있고 다른 곳의 맥문동 군락도 소나무숲 아래 자리한 곳이 많다. 꽃은 5~8월에 피고 자줏빛이며, 수상꽃차례의 마디에 3~5개씩...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운흥리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의 경계에 있는 산. 묘봉(妙峰)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운흥리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의 경계를 이루는 높이 874.8m의 산이다. 속리산의 최고봉인 천왕봉에서 시작하는 서북쪽 능선은 비로봉, 입석대, 신선대, 문장대, 관음봉 등의 거대한 바윗덩어리가 이어지는데, 속리산 능선 북쪽 끝자락에 해당하는 산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에 있는 오토캠핑장. 경상북도 화북면의 용유천을 가로지르는 상오숲교를 건너 오르면, 산 사면에 문장대 오토캠핑장이 있다. 문장대 오토캠핑장 주위에는 맥문동솔숲, 장각폭포 등이 있다. 캠핑도 하고 물놀이도 할 수 있는 곳이어서 특히 여름철에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운흥리에 있는 미타사라는 절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미타사(彌陀寺)」에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운흥리에 있는 사찰인 미타사(彌陀寺)의 창건주 혜일선사(慧日禪寺)[1896~1965]에 관한 이야기이다. 혜일선사는 1896년 충청북도 제천에서 태어났으며, 남편과 자녀를 가진 평범한 여인이었다고 한다. 서른 살에 수도의 길에 오르고자 하여 남편의...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중벌리와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사담리의 경계에 있는 산. 백악산(白岳山)은 속리산국립공원의 북부에 솟아 있는 높이 855.5m의 산이다. 능선이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뻗어 있으며, 남쪽으로는 속리산 문장대와 관음봉, 서쪽으로는 남산, 북쪽으로는 낙영산과 가령산으로 이어진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입석리에 있는 보굴암에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보굴암(寶窟庵)」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입석리에 있는 한 굴에 ‘보굴(寶窟)’이라는 이름이 붙은 유래가 담긴 이야기이다. 경상북도 상주시 옥량계곡 상류에 지붕처럼 생긴 거대한 층암이 있다. 층암 안에 굴이 하나 있는데, 사람들이 ‘보굴(寶窟)’이라고 부른다. 굴 깊은 곳에는 미륵불상이 있다. 미륵불상 뒤는...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상오2리 동제(上蜈二里 洞祭)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의 상오2리 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이며 산신제라고 불린다. 제사는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 밤 11시에 지내며, 제의 장소는 산제당 옆에 있는 큰 소나무 앞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오리(上五里)는 쉰섬이의 위쪽이 되므로 ‘웃쉰섬이’ 또는 ‘상오십석’이라 하였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쉰섬이마을은 해마다 좁쌀 쉰 섬을 하였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에 있는 고려 전기 석탑. 상주 상오리 칠층석탑(尙州 上五里 七層石塔)은 속전(俗傳) 장각사지(長角寺址)에 자리하고 있는 고려 전기 7층 석탑이다. 장각사는 비천사(備天寺)라고도 불리는데, 현전하는 문헌 자료가 없어 연혁은 명확하지 않다. 절터에는 와편 및 치석재들이 남아 있다. 상주 상오리 칠층석탑은 1980년 9월 16일 보물 제683호로 지정되었고...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운흥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절터. 상주 운흥리 사지(尙州 雲興里 寺址)에 대한 문헌 자료는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다만 현장에 산포하는 유물의 양상으로 보아 원래의 절은 통일 신라 시대 말기에서 고려 초 사이에 운영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사찰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 후기 유물도 일부 확인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중벌리에 있는 수령 약 315년의 물푸레나무. 물푸레나무는 잔가지의 껍질을 벗겨 물에 담가 두면 물이 푸른색으로 변하여 ‘물을 푸르게 하는 나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쉬청나무, 떡물푸레나무라고도 하며 줄기와 가지에 흰색 얼룩무늬가 있어 백침목(白梣木), 어린 가지가 초록색이라고 하여 청피목(靑皮木)이라고도 한다. 한자어로는 수정목(水精木), 수청목(...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의 경계에 있는 산. 속리산(俗離山)은 경상북도 상주시 북서쪽에서 화북면 상오리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에 걸쳐 있는 높이 1,058.4m의 산이다. 백두대간에서 남서 방향으로 뻗어 내려오는 소백산맥 줄기의 중앙에 해당한다. 남북으로는 한반도의 척추 역할을 하며, 천왕봉에서 한남금북정맥이 분기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와 충청북도 괴산군의 경계에 있는 속리산을 중심으로 지정된 국립공원. 속리산(俗離山)은 경상북도와 충청북도의 경계에 있는 산이며, 1970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능선을 따라 남서쪽으로 법주사가 있는 곳은 충청북도 보은군 지역이며, 북동쪽 문장대·견훤산성·오송폭포 등 경승지가 있는 곳이 상주시 화북면에 속한다. 특히 문장대는 조선 시대 세조가 병에 걸려 속리산에서...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와 화북면 용유리의 경계에 있는 산. 승무산(僧舞山)은 경상북도 상주시의 북서쪽 화북면 장암리와 화북면 용유리에 걸쳐 있는 높이 559m의 바위산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중벌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 해인사의 말사. 신흥사(新興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중벌리에 있는 전통 사찰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인 해인사의 말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서 발원하여 문경시를 지나 상주시 사벌국면 퇴강리에서 낙동강으로 유입하는 하천. 영강(潁江)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 속리산 문장대를 비롯한 문수봉, 신선대, 입석대 등의 동쪽 사면에서 발원한 소하천이 동쪽으로 흘러 상주시 화북면 용유리에서 용유천, 문경시 농암면 농암리에서 궁기천, 문경시 가은읍 왕능리에서 영산천, 문경시 마성면 신현리에서 조...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폭포. 오송폭포(五松瀑布)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폭포이다. 속리산국립공원 권역 내에 있다. 오송폭포와 오송폭포 주변의 시어동에는 칡넝쿨이 나무를 휘감으며 올라가 있는데, 원래는 땅으로 뻗던 칡넝쿨에 문장대를 오르던 세조가 걸러 넘어지자 칡넝쿨은 세조에게 큰 호통을 들었으며, 이때부터 땅으로 기지 않고 나무를 타고 올라갔다는 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과 문경시 농암면 사이를 흐르는 계곡. 용유계곡(龍遊溪谷)은 상주시 화북면에서 발원하여 도장산과 청화산 사이를 지나는 계곡이며, 낙동강 수계에 해당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유리(龍遊里)는 산수가 아름답고 용추가 있으며, 용이 노닐었다고 하여 ‘용유리’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운흥리(雲興里)는 과거 용화사가 있어 용화마을이 본 마을이었으나,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운흥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우복동’이라는 신이한 마을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이상향 우복동(理想鄕 牛伏洞)」은 나무꾼이 사슴을 따라가 굴속에 있는 한 신이한 마을에 간 이야기이다. 마을의 이름은 마을의 모양새가 소가 엎드려 있는 모양을 닮았다고 하여 ‘우복동’이라고 한다. 어떤 사람들은 ‘오복동’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부자도 없고 가난한 사람도 없는 안락한 마을이다. 우복...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와 장암리의 경계에 있는 산. 입석대(立石臺)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와 장암리의 경계에 있는 1,010.3m의 산이다. 속리산 정상부의 주 능선에서 천왕봉, 비로봉, 문장대로 이어지는 높은 봉우리 중 하나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입석리(立石里)는 선돌이 있으므로 ‘선돌’, ‘선돌배기’, ‘입석(立石)’이라 하였던 것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에 있는 폭포. 장각폭포(長角瀑布)는 속리산 천왕봉 동쪽 장각동 계곡을 따라 동류하는 용유천에 형성된 높이 약 6m의 폭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또는 고려 전기 절터. 장각사지(長角寺址)는 통일 신라 시대 말 또는 고려 시대 초 건립된 장각사가 있었던 곳으로 추정된다. 비천사지(備天寺址)라고도 한다. 장각사지에서는 상주 상오리 칠층석탑[보물]을 비롯하여 와편 및 석재가 발견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서 정월대보름과 백중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장암1리 동제(壯岩一里 洞祭)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의 장바우 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고자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마을 주민들은 ‘산제사’라고도 한다. 제의는 해마다 정월대보름과 백중날[7월 보름], 1년에 두 번 지내며, 제의 장소는 산제당이라 불...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장암리(壯岩里)[화북면]는 큰 바위가 있다 하여 ‘장바우’, 또는 ‘장암(壯岩)’이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중벌리(中伐里)는 벌판 가운데에 마을이 들어서서 중벌리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속리산 문장대와 주변의 수려한 경관. 문장대는 천왕봉·비로봉·관음봉과 함께 속리산의 주봉 중 하나이다. 산꼭대기에 있는 커다란 바위에는 50명이 동시에 앉을 수 있을 만큼 넓은 터가 있으며, 바위에서 속리산의 수려한 절경을 볼 수 있다. 문장대를 세 번 다녀와야 극락정토에 갈 수 있다는 전설이 생길 만큼 신선의 땅인 듯 신비로운 곳이다. 문장대에 오르는 3개...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와 화남면 동관리, 화서면 하송리의 경계에 있는 산. 청계산(淸溪山)은 경상북도 상주시의 북서쪽 화북면 상오리와 화남면 동관리, 화서면 하송리에 걸쳐 있는 874m의 산이다. 정상은 두루봉이며, 주 능선은 북서 남동 방향으로 달리는데, 남동쪽으로는 투구봉과 대궐터산으로 이어진다. 서쪽으로는 갈령을 사이에 두고 백두대간의 형제봉을 마주하고 있으며, 동쪽으...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입석리와 문경시 농암면 내서리,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삼송리의 경계에 있는 산. 청화산(靑華山)은 경상북도 상주시의 서북쪽 방면에 있는 987.7m의 산이다. 산의 서쪽은 상주시 화북면 입석리, 북동쪽은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삼송리, 남동쪽은 문경시 농암면 내서리에 걸쳐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만수리를 연결하는 고개. 피앗재는 6·25 전쟁을 피하기 위하여 민초들이 찾아들던 고개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와 화남면 동관리,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만수리의 경계에 있는 산. 형제봉(兄弟峯)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와 화남면 동관리,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만수리에 걸쳐 있는 높이 831.1m의 산이다. 상주시의 북서쪽에 해당한다. 북서쪽으로는 속리산 최고봉인 천왕봉으로 이어지고, 남동쪽으로는 봉황산과 연결된다. 동쪽으로는 갈령삼거리를 기점으로...
-
통일 신라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화남면, 화동면, 화서면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본래 삼국 시대 상주의 속현이었던 답달비군(答達匕郡)을 757년(신라 경덕왕 16) 지방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화령군(化寧郡)으로 개칭하였다. 화령군은 인근의 도안현(道安縣)을 영현으로 삼았다. 도안현은 고려 시대인 940년(태조 23) 중모현(中牟縣)으로 개칭하면서 화령군(化寧郡)에...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용유리에 있는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소속 교회. 화북교회(化北敎會)는 1945년 상주 지역의 기독교 지역 복음화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용유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화북중학교(化北中學校)는 ‘새로운 생각과 참된 마음을 지닌 인재 육성’이라는 교육 목표 아래 올바른 품성을 갖춘 인재 육성, 비전과 실력 있는 인재 육성,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건강한 인재 육성, 문화 예술적 소양을 갖춘 인재 육성에 힘쓰고 있다. 교훈은 “신의(信義)”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어린이[지성],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따뜻한 어린이[인성], 꿈꾸고 도전하며 내일을 준비하는 어린이[진로], 서로 어울리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어린이[어울림]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화북면(化北面)은 화령현(化寧縣)의 북쪽이 되므로 ‘화북면’이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운흥리와 충청북도 보은군 산외면 대원리를 연결하는 고개. 활목재라는 명칭은 고개의 형태가 활의 구부러진 목과 비슷한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