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죽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낙암서원(洛嵓書院)은 김담수(金聃壽)[1535~1603], 김정룡(金廷龍)[1561~1619], 김정견(金廷堅)[1576~1645]을 배향하기 위하여 1796년(정조 20) 건립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판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도안서원(道安書院)은 조선 후기 문인 김우태(金宇泰)[1647~1708], 김시태(金時泰)[1647~1722]를 제향하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류천지(柳千之)[1616~1689]의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자강(子强), 호는 어은(漁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해도관찰사 류중영(柳仲郢)이고, 할아버지는 영의정 류성룡(柳成龍)이다. 아버지는 사헌부지평 류진(柳袗)이고, 어머니는 권채(權采)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아들은 류명하(柳命河)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에 있는 유림 단체. 박약회 상주지회(博約會 尙州支會)는 유교 문화의 보급과 계승을 위하여 설립된 유림 단체인 박약회의 상주 지역 지회이다. 박약회의 명칭은 도산서원의 동재인 박약재(博約齋)에서 이름을 차용한 것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봉강서원(鳳崗書院)은 강희중(姜淮仲)[1359~1421], 강형(姜詗)[1451~1504]을 제향하는 서원으로 1817년(순조 17) 경덕사(敬德祠)로 처음 건립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금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봉산서원(鳳山書院)은 노수신(盧守愼)[1515~1590], 심희수(沈喜壽)[1548~1622], 성윤해(成允諧), 김홍미(金弘微)[1557~1605], 조우인(曺友仁)[1561~1625], 정호선(丁好善)[1571~1632], 황익재(黃翼再)[1682~1747]를 제향한 서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답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전식의 신도비. 상주 사서 전식 신도비(尙州 沙西 全湜 神道碑)는 1700년(숙종 26) 세운 조선 후기 문신 전식(全湜)[1563~1642]의 신도비이다. 전식은 본관이 옥천(沃川)이고, 자는 정원(淨遠), 호는 사서(沙西),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류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정경세(鄭經世)·이준(李埈)과 더불어 ‘상사삼로(商社三老...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상주 옥동서원(尙州 玉洞書院)은 방촌 황희(黃喜)[1363~1452], 사서 전식(全湜)[1563~1642], 축옹 황효헌(黃孝獻)[1491~1532], 반간 황뉴(黃紐)[1578~1626]를 배향한 서원이다. 황희는 본관이 장수(長水), 자는 구부(懼夫), 호는 방촌(厖村)이다. 고려가 멸망하자 은거하다가 태조의 적극적인 출...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에 있는 풍산 류씨 류진의 종가. ‘수암 류진 종가(修巖 柳袗 宗家)’는 풍산 류씨 류성룡(柳成龍)[1542-1607]의 서애파에서 분파된 우천파의 종가로 류진(柳袗)[1582~1635]을 파조로 한다. 종가의 이름은 류진의 호 수암(修巖)을 따서 지었다. 류진은 상주 우천에 이거한 이후 ‘상주 수암 류진 종가’ 또는 ‘수암공파’로 불리며 서애학통을 상...
-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연악서원(淵嶽書院)은 박언성(朴彦誠), 김언건(金彦健)[1511~1571], 강응철(康應哲)[1562~1635], 김각(金覺)[1536~1610], 조광벽(趙光璧)[1566~1642], 강용량(康用良)[1608~1676]을 배향하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박언성의 본관은 문의(文義), 호는 낙지정(樂志亭)이다. 박언성은 12세에 할머니...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전개된 공자의 사상을 중심으로 한 학문. 유교(儒敎)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서 전개된 공자, 맹자 등 유가의 정치 사상과 학문 수양, 그리고 의례 등의 가르침을 실천하려는 철학 사상이자 생활 윤리라 할 수 있다. 삼국 시대 전기에 도입된 이래 개인과 가족, 국가 전체를 유지하는 규범으로 자리 잡았다. 상주 지역의 유학 역시 우주의 원리를 궁구하고 윤리를...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전극념(全克恬)[1597~1660]의 본관은 옥천(沃川)이며, 자는 유안(幼安), 호는 창주(滄洲)·어은(漁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전혼(全焜)이고, 할아버지는 전여림(全汝霖)이다. 아버지는 대사헌 전식(全湜)이고, 어머니는 홍천서(洪天叙)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다. 부인은 김천영(金天英)의 딸 선산 김씨(善山 金氏)이다. 형은 전극항(全克恒)...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전극항(全克恒)[1590~1636]의 본관은 옥천(沃川)이며, 자는 덕고(德古)·덕구(德久), 호는 규천(虯川)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전혼(全焜)이고, 할아버지는 전여림(全汝霖)이다. 아버지는 대사헌 전식(全湜)이고, 어머니는 홍천서(洪天敍)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다. 부인은 사헌부감찰 조기원(趙基遠)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고, 아들은 전...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전명룡(全命龍)[1606~1667]의 본관은 옥천(沃川)이며, 자는 백유(伯兪), 호는 영서(𤃡西)이다. 아버지는 유학 전대승(全大承)이고, 어머니는 부호군 박운(朴雲)의 딸 함양 박씨(咸陽 朴氏)이다. 부인은 고인계(高仁繼)의 딸 개성 고씨(開城 高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전수장(全守長)[1650~1716]의 본관은 옥천(沃川)이며, 자는 경승(景承), 호는 만회당(晩悔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전식(全湜)이고, 할아버지는 전극항(全克恒)이다. 아버지는 전후(全垕)이고, 어머니는 장용섭(張龍燮)의 딸 인동 장씨(仁同 張氏)이다. 부인은 정시행(鄭時行)의 딸 연일 정씨(延日 鄭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전식(全湜)[1563~1642]의 본관은 옥천(沃川)이며, 자는 정원(淨遠), 호는 사서(沙西)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상주목사 전팽령(全彭齡)이고, 할아버지는 전혼(全焜)이다. 아버지는 전여림(全汝霖)이고, 어머니는 참봉 이신(李信)의 딸 월성 이씨(月城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최사립(崔斯立)의 딸 강화 최씨(江華 崔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홍천...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수학한 문신. 전이성(全以性)[1578~1646]의 본관은 용궁(龍宮)이며, 자는 성지(性之), 호는 운계(雲溪)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전인(全仁)이고, 할아버지는 전몽규(全夢奎)이다. 아버지는 전위(全緯)[『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에는 전행(全緈)으로 기록]이고, 어머니는 장령 진호(秦浩) 딸 영춘 진씨(永春 秦氏)이다. 부인은 황윤규(黃潤奎)의 딸 창...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묵상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지강서원(芝岡書院)은 정국성(鄭國成)[1526~1592], 조우신(趙又新)[1583~1650], 조희인(曺希仁)[1578~1660], 조정융(曺挺融)[1598~1678]을 배향하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정국성의 본관은 진양, 자는 숙거(叔擧), 호는 복재(復齋)이다. 정국성은 임진왜란 때 상주에서 창의하였으나 순국하였다. 조우신...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예주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청암서원(淸巖書院)은 류포(柳砲)[1375~1448], 류달존(柳達尊)[1395~1466], 박눌(朴訥)[1448~1528], 이겸(李謙)[1452~1507], 류종인(柳宗仁)[1516~1545], 홍약창(洪約昌)[1535~1592], 남영(南嶸)[1548~1606], 정윤해(鄭允諧)[1553~1618], 박성민(朴成敏)[16...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홍여하(洪汝河)[1620~1674]의 본관은 부계(缶溪)이며, 자는 백원(百源), 호는 목재(木齋)·산택재(山澤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경삼(洪景參)이고, 할아버지는 홍덕록(洪德祿)이다. 아버지는 대사간 홍호(洪鎬)이고, 어머니는 고종후(高從厚)의 딸 장흥 고씨(長興 高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황덕유(黃德柔)의 딸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고, 첫...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학자. 황계희(黃啓熙)[1727~1785]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경초(景初), 호는 심기당(審幾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종량(黃鍾亮), 할아버지는 황연(黃沇), 아버지는 황도중(黃道重)이다. 어머니는 이만헌(李萬憲)의 딸 연안 이씨(延安 李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황뉴(黃紐)[1578~1626]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회보(會甫), 호는 반간(槃澗)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조참판 황효헌(黃孝獻)이고, 할아버지는 황증(黃憕)이다. 아버지는 현감 황준원(黃俊元)이고, 어머니는 민사설(閔師說)의 딸 여흥 민씨(驪興 閔氏)이다. 부인은 조희철(趙希轍)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 이희민(李希閔)의 딸 연안 이...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문신. 황덕유(黃德柔)[1596~1659]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응곤(應坤), 호는 불환정(不換亭)·두곡(杜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징(黃憕)이고, 할아버지는 황준원(黃俊元)이다. 아버지는 황뉴(黃紐)이고, 어머니는 조희철(趙希轍)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부인은 사헌부대사헌 전식(全湜)의 딸 옥천 전씨(沃川 全氏)이고, 아들은...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황면(黃緬)[1600~1670]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원보(遠甫), 호는 만오(晩悟)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철성(黃鐵星)이고, 할아버지는 황확(黃確)이다. 아버지는 황현경(黃玄慶)이고, 어머니는 철성 이씨(鐵城 李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황반로(黃磻老)[1766~1840]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숙황(叔璜), 호는 백하(白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연(黃沇)이고, 할아버지는 황도중(黃道重)이다. 아버지는 황계희(黃啓熙)이고, 형은 황신로(黃莘老)·황암로(黃巖老)이다....
-
조선 전기 상주 지역에 정착한 문신. 황보신(黃保身)[1401~1456]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중전(仲全)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균비(黃均庇)이고, 할아버지는 황군서(黃君瑞)이다. 아버지는 영의정부사 황희(黃喜)이고, 어머니는 공조전서 양진(楊震)의 딸 청주 양씨(淸州 楊氏)이다. 부인은 홍여강(洪汝剛)의 딸 남양 홍씨이고, 아들은 황종형(黃從兄)·황공형(黃恭兄)·황우형...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황여헌(黃汝獻)[1486~1566]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헌지(獻之), 호는 유촌(柳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보신(黃保身)이고, 할아버지는 황종형(黃從兄)이다. 아버지는 부사 황관(黃瓘)이고, 어머니는 사헌부집의 강미수(姜眉壽)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다. 부인은 이수겸(李守謙)의 딸 광주 이씨(廣州 李氏)이다. 형은 황맹헌(黃孟獻)...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황익재(黃翼再)[1682~1747]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재수(再叟), 호는 백화재(白華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집(黃緝)이고, 할아버지는 황재윤(黃載胤)이다. 아버지는 황진하(黃鎭夏)이고, 어머니는 김진익(金震釴)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다. 부인은 심종(沈棕)의 딸 청송 심씨(靑松 沈氏)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용신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효곡서원(孝谷書院)은 김충(金冲)[1513~1572], 송량(宋亮)[1534~1618], 고인계(高仁繼)[1594~1647], 김광두(金光斗)[1562~1608]를 제향한 서원이다. 김충은 본관이 상산, 자는 화길(和吉), 호는 서대(西臺)이다. 1515년(명종 6) 문과에 급제하여 춘추관, 기주관, 호조정랑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