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었던 기독교 청년 단체. 상주기독청년회(尙州基督靑年會)는 1921년 6월 13일에 종교 활동을 목적으로 창립된 기독교 청년 단체이다. 창립 당시 대표 인물은 박정탁(朴政卓)·유원명(柳元明) 등이었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었던 청년 운동 단체 상주노동청년회(尙州勞動靑年會)는 무산계급의 당면 이익과 승리, 합리적 사회생활 획득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창립되어 활동한 사상운동 단체. 상주새모임은 1924년 결성된 사상 단체였으며, 상주에 거주하는 신진 청년과 해외 또는 국내에 유학하는 청년들인 박인옥(朴寅玉), 지경재(池璟宰), 박순(朴淳), 신영균(申永均), 김경인(金慶仁) 등이 조직하였다. 상주새모임 결성의 주역들은 다분히 사회주의적인 성향을 가진 청년들이었으며, 청년에 대한 사상적 계몽을...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었던 기독교 여성 청년 단체. 상주여자기독청년회(尙州女子基督靑年會)는 1921년 7월 27일 상주 서정동 예배당에서 창립된 기독교 여성 청년 단체이다. 창립 당시 대표 인물은 김혜경(金惠卿)·천선희(千善喜) 등이었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었던 청년 운동 단체. 상주용혁단(尙州勇革團)은 1925년 4월 25일 경상북도 상주군 상주면 남정리 4에서 상주의 유지 청년들이 중심이 되어 창립한 청년 운동 단체였다. 창립 당시 임원은 단장 박동욱(朴東旭), 총간사 권명금(權明金), 간사 심성칠(沈成七), 이사 박정근(朴正根)·양경술(梁京述)·박동륜(朴東淪)·박상특(朴相特)·김무호(金武浩)·...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상주에 있던 상주 청년 운동의 통일적 지도 기관. 상주청년동맹(尙州靑年同盟)은 1927년 10월 5일 상주청년회관에서 창립되었다. 상주청년동맹은 경상북도 상주를 기반으로 청년 운동을 전개하고, 신간회 상주지회 활동에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대표적 청년 운동 조직. 상주청년연맹(尙州靑年聯盟)은 1925년 10월 상주청년회를 중심으로 함창청년회, 옥산청년회 등이 참여한 가운데 창립되었다. 창립 후 상주노동청년회와 연봉청년회가 새로이 상주청년연맹에 가입하였다. 이로써 상주청년연맹은 1920년대 중반 경상북도 상주군의 대표적 청년 단체로 상주를 비롯한 경상북도 나아가 전국 차원에서 청...
-
1920년대 경상북도 상주에서 결성된 청년 운동 단체. 상주청년회(尙州靑年會)는 1920년 4월에 상주청년구락부의 명칭을 바꾸어 창립된 청년 운동 단체이다. 창립 당시 회원은 300여 명 정도였다. 상주청년회의 전신인 상주청년구락부는 1919년 10월 26일에 유홍우(柳弘佑)·강상희(姜相熙)·석응목(石應穆) 외 수십 명의 청년이 발기하여 설립된 단체였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유원우(柳元佑)[1902~1938]는 1902년 3월 13일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상촌리 883에서 태어났다. 3·1 운동 직후인 1920년 대구고등보통학교[현 경북고등학교]에 다니면서 일본인 순사의 부당한 폭력에 항거하는 동맹휴학을 이끌었다. 이로 인하여 대구경찰서에 3개월 구금되었고, 학교에서는 퇴학 처분을 받았다. 그 뒤 일본...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윤기석(尹基錫)[1909~1991]의 다른 이름은 윤본기석(尹本基錫)·윤인기(尹仁基)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학진(鄭學鎭)[1912~1968]은 1912년 7월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에서 태어났다. 정학진은 1931년 4월 대구공립상업학교[현 대구상원고등학교] 재학 중, 1930년 6월 체육 교사의 조선인 학생에 대한 잘못된 체벌로 발생한 사안에 대하여 “해당 교사의 파면, 조선인에 대한 차별 반대” 등을 내걸고 동맹 휴교 투쟁을 시...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현(鄭鉉)[1921~1991]의 다른 이름은 덕성보중(德星普重)·정유일(鄭有鎭)·정진(鄭鎭)이다....
-
일제 강점기 1920년대에서 1930년대까지 경상북도 상주에서 청년을 중심으로 전개된 대중 운동. ‘청년’은 특정한 계급이나 신분을 의미하는 범주화된 집단은 아니며, 일정한 범위에 속하는 연령층을 뜻한다. 생물학적 세대의 특성을 가진 청년이 사회 변화를 추구하는 대중 운동의 주체로 부각되며 전개된 것이 ‘청년 운동’이다. 우리 역사에서 근대 청년 운동이 본격적으로 발생한 때는 3·...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군에 있었던 청년 운동 단체. 함창청년회(咸昌靑年會)는 1920년 4월 11일 김한익·김한옥·소한옥 등 수십 명의 청년의 발기로 설립된 청년 운동 단체로서, 상주 지역에서 결성된 최초의 청년 운동 단체이다. 사무소는 경상북도 상주군 함창면 함창시장에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