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상주시를 상징하는 시목으로 지정된 감나무목 감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감나무는 감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이며 5~6월에 담황색의 꽃이 피고 10월에 열매인 감이 등황색 또는 홍색으로 익는다. 예로부터 농경 문화가 발달한 상주시는 전형적인 농업 도시로서 쌀, 곶감[곶감의 분], 누에고치 등 흰 농산물 3가지가 많이 난다고 하여 ‘삼백(三白)의 고장’으로 유명하다. 삼백 중...
-
경상북도 상주시 개운동에서 발원하여 상주 시가지 일대를 흐르는 하천. 개운천(開雲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개운동 주변 산지에서 발원하여 북동쪽으로 흘러 낙양동을 지나 무양동에서 북천으로 유입하는 지방 하천이다. 낙동강 수계의 제3지류이고, 병성천의 제2지류, 북천의 제1지류 하천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서식하는 동물 분류에서 절지동물문 곤충강에 속하는 작은 동물의 총칭. 상주시에 분포하는 곤충류는 1차적으로 지형과 기후 조건에 영향을 많이 받는데, 상주 지역의 지형과 기후 조건이 전국적으로 큰 차이가 없어 상주 지역에 서식하는 곤충류는 우리나라 국토 전역과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2009년 환경부와 2018년 국립생태원에서 실시한 ‘전국자연환경조사’를 통하여...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보미리에서 발원하여 모서면과 모동면 일대를 흐르는 하천. 금계천(錦溪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보미리에서 발원하여 모서면 화현리와 지산리를 지나 삼포리에서 삼포리천과 만나 남쪽으로 흐르다가 모서면을 지나 모동면 금천리에서 반계천과 합류하여 석천에 유입하는 지방 하천이다. 금강 수계의 제3지류 하천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규칙적으로 되풀이되는 일정 기간의 평균 기상 상태. 우리나라의 남동부 내륙, 경상북도 북서부 내륙 지방에 있는 상주 지역은 남부 내륙형 기후구에 속한다. 북쪽과 서쪽으로 소백산맥이 막고 있는 지형 특성으로 인하여 고온 다습한 여름과 한랭 건조한 겨울로 인하여 연교차가 크다. 또 건기와 우기가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보인다. 199...
-
경상북도 상주시를 상징하는 시조(市鳥)로 지정된 텃새. 까치는 까마귓과의 텃새이며 15세기 문헌에는 ‘가치’로 기록되어 있고 가티, 갓치, 가지라고도 한다. 한자어로는 작(鵲), 희작(喜鵲), 신녀(神女), 비박조(飛駁鳥), 건작(乾鵲), 추미(芻尾)라고도 한다....
-
강원도 태백시에서 발원하여 경상북도 상주시를 지나 남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 낙동강(洛東江)은 경상북도 문경시에서 흘러와 상주시 사벌국면 퇴강리에서부터 낙동면 장곡리 구간을 지나 구미시로 흐르는 국가 하천이다. 낙동강의 국가 하천 구간은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삼각점, 단천삼각점 직선부터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낙동강 하굿둑의 외곽선까지이며, 유로 연장은 510.36㎞, 유역...
-
경상북도 상주시에 분포하는 동물의 종류. 상주시 일대의 동물상(動物相) 분포 특성은 서남·북부 산지와 동부 낙동강 수계로 크게 구분되며 1차적으로 지형과 기후 조건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환경과 기후에 큰 차이 없어 상주 지역에 서식하는 동물은 우리나라 국토 전역과 비슷하게 분포하고 있다. 2009년 환경부와 2016년과 2020년 국립생태원에서 실시한 ‘전국자연...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오태리에서 발원하여 외서면과 사벌국면 일대를 흐르는 하천. 동천(銅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오태리에서 발원하여 북동류한다. 이어서 공검면 행정복지센터와 공검지의 북쪽을 돌아 공검교에서 남동쪽으로 흘러 외서면과 사벌국면을 지나 낙상동 낙상교에서 외서천과 합류한다. 외서천과 합류하여 흐르다가 병성동에서 병성천으로 유입되는 지방 하천이다. 낙동강 수계의 제2...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덕미리에서 발원하여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와 신암리 일대를 흐르는 하천. 말지천(末池川)은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덕미리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를 거쳐 신암리 남쪽 국도 제59호 아래에서 낙동강에 유입하는 지방 하천이다. 낙동강 수계의 제1지류에 해당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영오리에서 발원하여 청리면과 상주 시가지 일대를 흐르는 하천. 병성천(屛城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영오리에서 발원하여 이화리에서 이화천, 초오리에서 장산천, 청리면 수상리에서 청하천과 청리천, 외답동에서 북천, 병성동에서 동천과 합류하여 도남동에서 낙동강으로 유입하는 지방 하천이다. 낙동강 수계의 제1지류 하천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일대의 풍치 보존과 번식, 역사적 또는 학술적 가치 및 참고 등을 위하여 보호하는 나무. 상주시의 보호수(保護樹)는 「산림보호법」 제13조에 따라 역사적·학술적 가치 등이 있는 노목(老木), 거목(巨木), 희귀목(稀貴木) 등 특별히 보호할 필요가 있는 나무를 대상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2021년 『경상북도 보호수 상세 지정 현황』을 토대로 살펴보면 상주시에는...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대포리에서 발원하여 내서면과 상주 중심가 일대를 흐르는 하천. 북천(北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대포리 안심산과 주변 산지에서 발원하여 북동쪽으로 흘러 내서면 노류리·평지리를 지나는데, 신촌리에서 당진영덕고속도로 내서1교를 지나 유로를 동쪽으로 변경한다. 이후 능암리를 지나 남원동 국도 제25호 연원1교에서 북류하는 개운천을 합하고 다시 북문동·계림동을...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판곡리에 있는 수령 약 500년 된 소나무. 상주 낙화담 소나무는 조선 시대 초에 조성된 연못인 낙화담 한가운데 인공 섬에서 자라는 소나무이다. 당산목(堂山木)인 상주 낙화담 소나무는 주민들에게는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목이자 마을의 소중한 상징물로 여겨지고 있다. 수령 약 500여 년으로 추정되는 노거수(老巨樹)인 상주 낙화담 소나무의 생육 상태는 양호하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두곡리에 있는 수령 약 400년의 뽕나무. 상주 두곡리 뽕나무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뽕나무이며, 상주의 오랜 양잠(養蠶) 역사와 전통을 입증하여 주는 기념물이다. 상주 두곡리 뽕나무는 뽕나무 재배를 권장하였던 조선의 제16대 왕 인조[재위 1623~1649년] 때 심은 것으로 추정된다. 상주 두곡리 뽕나무는 1972년 12월 29일 ‘은척면의 뽕나무’라는...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두곡리에 있는 수령 약 450년의 은행나무. 상주 두곡리 은행나무는 1500년경 형성된 두곡리 부락과 함께 자연 발생적으로 자란 은행나무로 추정된다. 상주 두곡리 은행나무는 암나무이며, 수형(樹形)은 균형이 잘 잡혀 있고 성장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상주 두곡리 은행나무는 민속적·생물학적 자료로서의 보존 가치가 인정되어 1987년 5월 13일 경상북도 기념물...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상현리에 있는 수령 약 500년의 소나무. 상주 상현리 반송(尙州 上縣里 盤松)은 상현리 마을 건너편 논 가운데 자라고 있다. 수령은 약 500년으로 추정된다. 상주 상현리 반송은 마을의 당산목(堂山木)이며, 마을 사람들이 매우 신성하게 여긴다. 마을 사람들은 정월 대보름이면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비는 동제(洞祭)를 지낸다. 상주 상현리 반송은 민속적·생물학...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옥동서원에 있는 수령 약 443년의 배롱나무. 배롱나무는 여름이 한창인 7월부터 꽃을 피우기 시작하여 가을에 모두 질 때까지 약 100여 일 동안 꽃을 피워 백일홍(百日紅)이라고도 부르는데, 초본성 백일홍과 구별하기 위하여 목백일홍(木百日紅)이라고도 한다. 가지를 손으로 간질이면 가지 끝에 달린 잎과 꽃이 간지럼 타듯 흔들린다고 하여 간지럼나무라고도...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운평리 계곡에서 발견한 둥근 공 모양의 암석 구조를 가진 화강암. 상주 운평리 구상화강암(尙州 云坪里 球狀花崗岩)은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운평리 산17번지 일대에서 발견되었으며, 일반적인 화강암과 달리 특수한 작용에 의하여 동심원 모양의 구조를 이루며 형성된 화강암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중벌리에 있는 수령 약 315년의 물푸레나무. 물푸레나무는 잔가지의 껍질을 벗겨 물에 담가 두면 물이 푸른색으로 변하여 ‘물을 푸르게 하는 나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쉬청나무, 떡물푸레나무라고도 하며 줄기와 가지에 흰색 얼룩무늬가 있어 백침목(白梣木), 어린 가지가 초록색이라고 하여 청피목(靑皮木)이라고도 한다. 한자어로는 수정목(水精木), 수청목(...
-
경상북도 상주시 냉림동, 낙상동, 중덕동, 화산동, 계산동과 사벌국면 일대에 형성된 평야. 상주평야(尙州平野)는 고대부터 현재까지 상주 사람들의 터전이며, 병성천이 북천과 동천을 합류하는 지역에 형성된 비옥한 평야 지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평천리에 있는 수령 118년의 아까시나무. 상주 평천리 아까시나무는 공성면 평천리에 있는 옥산초등학교 교정 한쪽 끝에 자리하고 있다. 상주 평천리 아까시나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아까시나무 가운데 하나이다. 2005년 3월 14일 보호수[지정 번호 05-08-18]로 지정되었으며 정자목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신천리에서 발원하여 수봉리를 지나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으로 흘러가는 하천. 석천(石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신천리에서 금계천과 반계천이 만나 이루는 지방 하천이다. 석천은 남쪽으로 흘러 수봉리를 감입곡류하면서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마산리 초강천으로 합류한다. 금강 수계의 제2지류 하천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분포하는 식물의 종류. 상주시의 식물상(植物相) 분포 특성은 1차적으로 지형과 기후 조건에 영향을 받고 있는데, 수평적으로는 냉온대 남부·저산지 식생 지역에 해당한다. 식물 지리학적으로는 중일 식물 구계(中日 植物 區系)의 한국구, 중부아구에 속하며 식생학적으로는 졸참나무-작살나무아군단역에 해당된다. 식물 군락은 낙엽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의 2개의 상관형으로 대분류...
-
경상북도 상주시에 서식하는 척삭동물문 양서강에 속하는 동물의 총칭. 양서류(兩棲類)는 수중과 육지를 오가며 생활하여 ‘물뭍동물’이라고도 하며, 주변 온도에 따라 체온이 변하는 변온 동물이다. 서식 환경은 1차적으로 지형과 기후 조건에 영향을 많이 받는데, 상주 지역의 지형과 기후 조건이 전국적으로 큰 차이가 없어 상주 지역에 서식하는 양서류는 우리나라 국토 전역과 비슷하게 나타나고...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서 발원하여 문경시를 지나 상주시 사벌국면 퇴강리에서 낙동강으로 유입하는 하천. 영강(潁江)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 속리산 문장대를 비롯한 문수봉, 신선대, 입석대 등의 동쪽 사면에서 발원한 소하천이 동쪽으로 흘러 상주시 화북면 용유리에서 용유천, 문경시 농암면 농암리에서 궁기천, 문경시 가은읍 왕능리에서 영산천, 문경시 마성면 신현리에서 조...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현리에서 발원하여 외서면과 상주 시내 일대를 흐르는 하천. 외서천(外西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현리 주변 산지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흐르다가 가곡리에서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동류하면서 이천리, 개곡리, 관동리, 남적동, 초산동, 중덕동을 지나 낙상동 낙상교에서 동천으로 유입하는 지방 하천이다. 낙동강 수계의 제3지류 하천이며, 병성천 제2지류 하천이...
-
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에서 발원하여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 일대를 흐르는 하천. 위천(渭川)은 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 주변 산지에서 발원한 하천이 합쳐져 군위댐에 모였다가 북서쪽으로 흘러 군위군과 의성군을 가로질러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에서 낙동강으로 유입하는 지방 하천이다. 위천은 낙동강 수계의 제1지류에 해당하는 하천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남면 동관리에서 발원하여 화서면, 내서면, 외서면, 은척면, 공검면, 이안면, 함창읍 일대를 흐르는 하천. 이안천(利安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남면 동관리 주변 산지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 흘러 화서면 하송리와 상곡리를 지나고, 내서면 서원리에서 방향을 틀어 북동류하면서 서만리, 외서면 우산리·이촌리, 은척면 하흘리, 공검면 중소리·지평리·예주리를 지난다. 이안천은...
-
경상북도 상주시 지역의 자연환경을 구성하는 지질, 지형, 기후 등에 대한 지리적 조건. 상주시는 경상북도 북서쪽 내륙에 있는 도농 복합형 도시이다. 북쪽과 서쪽, 남쪽에는 소백산맥에서 뻗어 나온 산지들이 분포하고, 동쪽에는 남류하는 낙동강이 있다. 서고동저의 형태로 인하여 서부 산지에서 발원한 하천들이 동쪽으로 흘러 낙동강으로 유입되면서 중앙과 동부 지역 주변으로 넓은 평야 지대가...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에 있는 폭포. 장각폭포(長角瀑布)는 속리산 천왕봉 동쪽 장각동 계곡을 따라 동류하는 용유천에 형성된 높이 약 6m의 폭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를 상징하는 시화로 지정된 장미목 장미과의 쌍떡잎식물. 장미(薔薇)는 장미과의 덩굴성 낙엽 활엽 관목이며 조선 시대에는 장미를 사계화, 월계화, 가우(佳友)로 불렀다고 한다. 장미는 꽃의 아름다운 형태와 짙은 향기 때문에 관상용과 향료용으로 재배하여 왔다. 장미는 품종이 다양하여 전 세계에 약 100여 종이 분포하며, 각 나라에서 관상용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용포리에서 발원하여 낙동면 일대를 흐르는 하천. 장천(長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용포리 주변 산지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 흐르다가 수정리에서 북쪽으로 흘러가는 하천을 만나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북류하면서 신오리·비룡리·유곡리·내곡리·화산리를 지나 낙동면 분황리에서 동천으로 유입하는 지방 하천이다. 낙동강 수계의 제1지류 하천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서식하거나 발견되는 척물동물문 조강에 속하는 동물의 총칭. 조류(鳥類)는 스스로 몸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항온 동물[온혈 동물]이며 알을 낳는다. 대부분의 조류는 날개를 가지고 있어 하늘을 날아다닐 수 있지만, 타조나 펭귄 등 날 수 있는 능력을 잃어버린 새들도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안용리에서 발원하여 이안면과 함창읍 오사리 일대를 흐르는 하천. 지산천(芝山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안용리 주변 산지에서 발원하여 남동쪽으로 흘러 이안면 문창리·지산리·소암리·이안리를 지난 후, 함창읍 오사리에서 동류하는 이안천으로 유입되는 지방 하천이다. 지산천은 낙동강 수계의 제3지류, 영강의 제2지류, 이안천의 제1지류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 소상리에서 발원하여 청리면 일대를 흐르는 하천. 청리천(靑里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 소상리 주변 산지에서 발원하여 북동쪽으로 흘러 구서리와 청리면 덕산리를 지나 수상리에서 병성천으로 유입하는 지방 하천이다. 청리천은 낙동강 수계의 제2지류이고, 병성천의 제1지류에 해당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상리에서 발원하여 청하리와 원장리 일대를 흐르는 하천. 청하천(靑下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상리 주변 산지에서 발원하여 북서쪽으로 흘러 청하리를 지나 원장리에서 병성천으로 유입하는 지방 하천이다. 낙동강 수계의 제2지류이고, 병성천의 제1지류에 해당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의 지표를 덮고 있으며, 암석이 부서져 생긴 무기물과 동식물에서 생긴 유기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물질. 상주시에 분포하는 토양 지형은 크게 서부 산악지와 중앙 구릉지, 동부 하성 평탄지로 구분된다. 소백산맥에서 뻗어 나온 산줄기가 이어지는 서부 지역은 고도가 높은 산악지와 사면의 산록 경사지 그리고 계곡을 따라 곡간지가 분포한다. 중앙과 동부 지역은 상대적으로 고도가...
-
경상북도 상주시에 서식하는 척삭동물문 파충강 동물의 총칭. 파충류(爬蟲類)는 주변 온도에 따라 체온이 변하는 변온 동물이며, 1차적으로 지형과 기후 조건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상주 지역의 지형과 기온이 전국적으로 큰 차이가 없어 상주 지역에 서식하는 파충류는 우리나라 국토 전역과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1999년과 2005년, 그리고 2009년 환경부에서 실시한 ‘전국자연환경조...
-
경상북도 상주시 지역에서 고도가 낮고 경사가 완만하여 기복이 거의 없는 평탄한 지대가 펼쳐진 땅. 상주시는 서고동저형의 지형을 하고 있으며, 상주시의 평야는 일부 서남북부 산지 계곡의 곡저 평야를 제외하면 주로 동부 지역에 하천 범람원의 형태로 발달하였다. 상주시의 대표적 평야인 함창평야와 상주평야 등과 같이 낙동강과 낙동강 지류 하천인 병성천, 북천, 동천, 이안천 등의 유역에...
-
경상북도 상주시에 서식하고 있는 척삭동물문 포유강에 속하는 동물의 총칭. 포유류(哺乳類)는 몸에 따뜻한 피가 흐르는 온혈 동물[항온 동물]이며, 젖을 먹여 새끼를 키우는 동물을 말한다. 포유류는 육상, 수중, 공중 등 서식 환경이 다양하지만 1차적으로 지형과 기후 조건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상주 지역의 지형과 기후 조건이 전국적으로 큰 차이가 없어 상주 지역에 서식하는 포유류는...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일정한 물길을 따라 흐르는 물줄기. 상주시는 북쪽과 서쪽을 감싸며 소백산맥이 이어져, 대체로 서쪽이 높고 동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서고동저의 지형을 보인다. 이로써 상주시를 흐르는 대부분의 하천은 소백산맥에서 뻗어 나온 산줄기에서 발원하여 상주시 전역을 가로지르며 서쪽에서 동쪽 방향으로 흘러 상주시 동쪽 경계를 따라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낙동강에 유입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과 함창읍 일대에 형성된 고도가 낮고 경사가 완만하여 기복이 거의 없는 평탄한 땅. 함창평야(咸昌平野)는 함창평야는 상주시의 대표적인 평야 중 하나이다. 함창평야는 상주시 북동쪽에 있는 함창읍을 서쪽에서 동쪽으로 가로지르며 흐르는 이안천이 지산천을 만나고 영강으로 유입되는 이안면 여물리에서부터 흑암리, 소암리, 함창읍 오사리, 신흥리, 태봉리 등에 이르는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