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화와 용역의 생산·분배·교환·소비와 관련되는 활동 전반과 영역. 경제·산업은 경제와 산업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경제는 인간이 공동 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재화나 용역을 생산, 분배, 소비하는 활동 전반을 의미한다. 산업은 경제적으로 풍요롭게 하기 위하여 재화나 서비스를 창출하는 생산적 기업이나 조직을 말한다. 농업·축산업·임업·광업·공업을...
-
경상북도 상주시 일원에서 자금의 수요자와 공급자에게 각종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 금융이란 자금 공급자와 자금 수요자 간의 자금 거래를 의미하며 금융기관(金融機關)은 금융을 매개하는 기관을 말한다. 금융과 관련된 제반 업무를 금융업이라고 하며, 근대적 금융업의 기원은 근세 초기 이탈리아에서 원격지 무역(遠隔地貿易)의 발달에 따라 외국 화폐를 교환하여 주는 환전상이 출현한 데서...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기업을 경영하고 있는 조직체. 기업체(企業體)는 이익을 목적으로 생산, 판매, 금융, 서비스 따위의 사업을 하는 생산 경제 단위를 말한다. 기업체는 본사, 지사, 지점, 공장, 영업소 등 1개 또는 여러 개의 사업체로 구성된다. 기업은 운영 목적을 중심으로 크게 개인이 영리 등을 목적으로 하여 운영하는 사기업과 국가 또는 공공 단체가 공공의 목적을 위하여 운영하...
-
경상북도 상주시 일원에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지역 농가 소득 증대를 목적으로 조성된 공업 단지. 농공단지(農工團地)는 농어촌 지역 지방 자치 단체의 재정 자립과 농촌의 공업화를 통하여 도시와 농어촌 간의 균형 있는 경제 발전을 이루고자 조성한 공업 단지이다. 1983년 말에 제정되어 1984년부터 시행된 「농어촌소득원 개발촉진법」에 따라 시군별로 자치 단체장이 국고를 지원 받아 농...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토지를 이용하여 생산물을 얻는 경제 활동. 상주시는 대한민국 농업(農業)의 중심 도시이다. 경지 면적은 경상북도 1위이고 전국 지방 자치 단체 가운데 여섯 번째로 넓다.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터를 잡고 살아왔던 상주는 농업의 역사도 유구하여 선사 시대부터 벼농사 등 농업이 이루어졌고 삼국 시대부터는 벼농사 등이 본격화하였다. 일찌감치 벼농사 등 농업이 발달한...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농협중앙회 산하 지부. 농협중앙회 상주시지부(農協中央會 尙州市支部)는 경상북도 상주시 지역 농업·축산업 종사자들을 위한 특수 은행이다. 농업인들을 위한 경제 사업과 신용 사업, 지도 사업을 중심 사업으로 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식품 첨가물 제조업체. 대평 상주공장(大平 尙州工場)은 스테비오사이드 제조업체인 대평의 생산 공장이다. 대평에서 생산하는 스테비오사이드는 천연 감미료이다. 대평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서 공장과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헌신동에 있는 콘크리트 제품 생산·시공 업체. 덕산지에스는 콘크리트 P.C.(precast concrete)[공장에서 고정 시설을 가지고 기둥, 보, 바닥판 등의 부재를 철제 거푸집으로 미리 만들어 양생시킨 기성 콘크리트 제품]를 생산, 시공하는 업체이다. 경상북도 상주시 헌신동에 본사[제1공장]를 두고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PC 사업본부,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용유리에 있는 생수 제조업체. 동천수(東天水)는 생수 및 탄산음료를 주 사업 분야로 하고 있는 회사이다. 동아쏘시오그룹의 계열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마을 주민이 지역공동체의 이익을 실현하기 위하여 설립·운영하는 마을 단위의 기업체. 마을기업은 행정안전부 소관 업무이다. 행정안전부 「마을기업 육성 사업」 시행 지침에 따라 마을기업은 마을 주민이 주도적으로 지역의 각종 자원을 활용한 수익 사업을 통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하고 지역 주민에게 소득 및 일자리를 제공하여 지역 발전에 기여하는 마을 단위의 기업 육성...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공동체 수요에 적합한 사회 서비스를 확충하고 취약 계층에게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는 기업체. 사회적 기업(社會的 企業)은 고령자와 장애인 등 취약 계층에게 안정적 일자리와 사회 서비스를 제공하고, 수익 발생 시 사회적 목적 실현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재투자하는 기업이다. 우리나라는 2007년 「사회적기업 육성법」이 제정되면서 정부와 자치단체 및 시민사회가 연대하...
-
경상북도 상주시 일원에 산업의 지방 분산을 촉진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계획적으로 조성된 단지. 산업단지(産業團地)는 산업 시설을 비롯하여 산업 시설과 관련된 교육·연구·정보 처리·유통 시설 및 산업 시설의 종사자와 이용자를 위한 주거·문화·의료·관광·체육·복지 시설 등의 지원 시설을 집단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포괄적 계획에 따라 개발 및 조성된 단지를 말한다. 상주시에는...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지역 농업인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협동조합. 상주농업협동조합(尙州農業協同組合)의 설립 목적은 조합원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그리고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과 자금, 자재 및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 실익을 증진토록 하는 것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성하동에 있는 경제 단체. 상주상공회의소(尙州商工會議所)는 전국 74개 상공회의소 중 하나로 2012년 설립되었다. 상공회의소는 제1차 산업을 제외한 모든 업종의 상공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제 단체이며, 1884년 설립된 한성상업회의소를 모태로 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개동에 있는 운수 회사. 상주여객자동차(尙州旅客自動車)는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시내버스를 운행하는 운송 업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죽전동에 있는 금속판 제품 제조업체. 상주철공소(尙州鐵工所)는 경상북도가 선정한 향토뿌리기업이다. 경상북도는 2013년 전국 최초로 「경상북도 향토뿌리기업 및 산업유산 지원 조례」[도조례 제3476호, 2013년 11월 11일]를 제정하여, 30년 이상 사업을 운영하고 전통을 유지하여 온 사업체를 ‘향토뿌리기업’으로 선정하여 오고 있다. 2022년 12월 현재 상주...
-
경상북도 상주시 서문동에 있는 축산 농가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한 협동조합. 상주축산업협동조합(尙州畜産業協同組合)은 상주 지역 축산 농가들이 중심이 되어 설립된 협동조합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개동에 있는 식품 제조 업체. 새싹식품은 50년 가까이 콩나물을 생산하여 온 식품 업체이다. 경상북도가 선정한 향토 뿌리 기업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주민 생활의 편의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무형의 노무를 제공하는 산업. 서비스업은 일반적으로 물질적인 것이 아닌 무형의 노무를 제공하는 모든 업종을 말한다. 따라서, 사회가 발달할수록 직접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서비스 부문이 팽창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클라크(Clark)의 산업 분류에 따르면, 제1차산업에는 농업·목축업·수산업·임업·수렵업, 제2차산업에는...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목가리에 있는 축산물 가공 및 저장 처리 업체. 씨티푸드는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과 지천동, 안동시 용상동에 공장을 두고 있는 축산물 가공을 주로 하는 식품 제조 업체이다.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에 영업본부를 두고 있다.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제1공장, 상주시 지천동에 제2공장, 안동시 용상동에 제3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초산동에 있는 닭고기 가공업체. 올품은 하림과 천하제일사료주식회사가 공동 출자하여 상주시에 설립한 하림의 계열사이다. 종계에서 부화, 사육, 도계, 유통까지 완벽한 수직 계열화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무항생제 닭고기는 물론 동물 복지 닭고기를 가공하여 생산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의 산업 중 재화 및 서비스가 생산자에서부터 최종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여러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활동과 관련된 업종. 유통(流通)은 상품의 인도·구매·보관·운반·판매 등과 관련하여 상품의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일체의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과정은 산업의 발전과 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봉중리에 있는 전통주 제조업체. 은척양조장(銀尺釀造場)은 3대째 대를 이어 생막걸리를 전통적 방법으로 만들어 오고 있는 양조장이다. 경상북도가 선정한 향토뿌리기업이다. 경상북도는 2013년 전국 최초로 「경상북도 향토뿌리기업 및 산업유산 지원 조례」[도조례 제3476호, 2013년 11월 11일]를 제정하여, 경상북도 내에 사업장을 두고 대를 이어 30년 이...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재배한 뽕나무로 누에를 쳐서 비단의 원료인 생사를 생산하는 전통 산업. 뽕잎을 먹여 누에를 기르는 사업을 양잠업(養蠶業)이라고 하고, 누에고치에서 명주실과 비단의 원료인 생사(生絲)를 생산하는 사업을 제사업(製絲業)이라고 한다. 양잠업과 제사업은 분리할 수 없는 관계여서 양잠업과 제사업을 합하여 잠사업(蠶絲業)이라고 칭한다. 잠사업은 비교적 협소한 토지에서...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교촌리에 있는 전통 명주 생산 업체. 장수직물(長壽織物)은 전통 방식으로 명주를 생산하고 있는 명주 생산 업체이다. 실에 물을 먹여 명주를 짠다. 경상북도가 선정한 향토뿌리기업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의 산업 중 각종 원료를 가공하여 물품을 만들어 내는 업종. 제조업(製造業)이란 물질 또는 구성 요소에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새로운 제품으로 전환시키는 산업 활동을 의미한다. 즉 농업, 수산업, 임업 등 제1차 산업에서 생산된 원료를 가공하여 제2차적 생산을 수행하는 산업으로서 광업 등과 함께 제2차 산업으로 분류된다. 제조업은 중공업과 경공업으로 구분되기도...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가축을 사육하고, 사육한 가축의 생산물을 가공하는 산업. 상주시의 축산업(畜産業)은 1960년대 이후 정부의 축산 진흥 정책에 따라 농가 부업 수준으로 영위되어 오던 가축의 사육이 중요한 농특산물 산업 중 하나로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 이후에는 축산업에 대한 각종 지원 및 소득 증가에 따른 식생활 변화로 점차 전문화되어 기업 형태로 발전하였다. 202...
-
경상북도 상주시 외답동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캐프는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생산하는 제조업체이다. 캐프는 경상북도 상주시에 본사와 공장, 연구소를 두고 있다. 캐프는 중국 광둥과 베트남에도 공장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가 이어 오는 전국 최대 명주 생산지로서의 역사와 문화, 가치에 관한 이야기. 상주시의 명주는 상주쌀, 상주곶감, 상주한우와 함께 상주 지역을 대표하는 특산물이다. 상주 지역은 조선 시대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잠사업(蠶絲業)이 크게 발달하였고, 전국 최대 양잠업 주산지로 명성을 떨쳤다. 상주의 양잠업은 특히 일제 강점기에 매우 번성하여 1943년에는 연간 누에고치...
-
경상북도 상주시 헌신동에 있는 기계 제조업체. 해청기계공업(海靑機械工業)은 해방 직후 창업하여 3대 70년의 역사를 지닌 기계 제조업체다. 해청기계공업은 경상북도가 선정한 향토 뿌리 기업이다. 경상북도는 2013년 전국 최초로 「경상북도 향토 뿌리 기업 및 산업유산 지원 조례」[도조례 제3476호, 2013년 11월 11일]를 제정하여, 30년 이상 사업을 운영하고 전통성을 유지하...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전통 명주 생산업체. 허씨비단직물(許氏緋緞織物)은 대를 이어 전통 방법으로 명주를 생산하고 있는 기업이다. 경상북도가 선정한 향토뿌리기업이자 산업유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