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번성하였던 초기 국가 사벌국의 정치와 문화. 사벌국(沙伐國)은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일대에서 번영을 누렸던 삼한 시대 초기 국가이다. 소백산맥의 풍부한 삼림 자원과 낙동강에서 비롯된 넓은 충적 평야를 배경으로 기원전 2세기 무렵 사벌국이 등장하였다. 소백산맥을 넘나들 수 있는 주요 관문인 데다 낙동강·금강·남한강 수계(水系)까지 모두 연결된 수륙 교통의 결...
-
초기 국가 시대부터 통일 신라 시대까지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역사와 문화. 경상북도 상주 지역은 서쪽으로 소백산맥과 남쪽으로 낙동강을 품고 있는 교통의 요지이다. 기원전 2세기 무렵부터 초기 철기 문화를 기반으로 한 사벌국(沙伐國) 혹은 사량벌국(沙梁伐國)이라 부르는 초기 국가가 성장하였다. 사벌국은 석우로(昔于老)에 의하여 정벌됨으로써 신라의 영역이 되었다. 이후 사벌주(沙伐州)...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일대에 있었다고 전하는 가야연맹체 중의 한 나라. 고령가야(古寧伽倻)는 가야연맹을 구성하는 여섯 국가 중의 하나로 추정된다. 『삼국유사(三國遺事)』 및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실체가 드러나 있으며, 지금의 상주시 함창읍 일대를 중심지로 문경시 일부까지 점유하였다. 함창읍 증촌리에 있는 전고령가야왕릉(傳古寧伽倻王陵)[경상북도 기념물]이 중요 유적으로 전하고...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일대에 있던 초기 국가. 사벌국(沙伐國)은 사량벌국(沙梁伐國)이라고도 한다. 사벌국의 명칭은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처음 보이는데, 신라 석우로가 공격하여 멸망시켰다는 기사가 남아 있을 뿐이다. 『삼국사기』 지리지 또한 첨해왕 재위 기간에 사벌국을 취하여 주로 삼았다는 사실만 기록되어 있다. ‘사벌(沙伐)’은 이후 문헌에 따라 ‘사량벌(沙梁伐)’, ‘사불...
-
삼국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사벌주(沙伐州)는 본래 사벌국(沙伐國)[혹은 사량벌국(沙梁伐國)]이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따르면 첨해이사금(沾解尼師今)[재위 247~261] 때 석우로(昔于老)가 정벌하였으며, 이후 어느 시기에 사벌주가 되었다. 524년(신라 법흥왕 11) 처음으로 군주(軍主)를 파견하여, 상주(上州)로 삼았다. 삼국 통일 후인 7...
-
삼국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일대에 있던 신라의 지방 행정 구역. 상락군(上洛郡)은 본래 사벌국(沙伐國)[혹은 사량벌국(沙梁伐國)]이다. 사벌국은 249년 신라 첨해이사금(沾解尼師今)이 석우로(昔于老)를 파견하여 정벌하였다. 524년 법흥왕(法興王)이 처음으로 군주(軍主)를 파견하고, 상주(上州)로 삼았으며, 557년 진흥왕(眞興王)이 주를 폐지할 당시 상락군이 되었다고 한다....
-
삼국 시대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조직. 상주(上州)는 삼국 시대 신라가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에 치소(治所)를 두고 설치한 광역의 지방 행정 조직이다. 하나의 작은 주(州)로서 세 개의 영현을 거느리는 동시에 지금의 경상북도 서북부 일대를 관할하는 광역의 주치(州治)로 이중적인 기능을 수행하였다....
-
삼국 시대 상주 지역을 정벌한 신라의 왕족이자 무신. 석우로(昔于老)[?~?]는 신라의 장수로서 우로음(于老音) 또는 우로(于老)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내해이사금(奈解尼師今)이고, 아들은 흘해이사금(訖解尼師今)이다. 조분이사금(助賁尼師今)의 사위이며, 『삼국사기(三國史記)』 「석우로 열전」에는 각간 수로(水老)의 아들이라는 설도 기록으로 남아 있다. 이벌찬에 오른 이음(利音)과 형...
-
경상북도 상주시의 구석기·신석기·청동기·초기 철기 시대 등 사벌국 관련 기록이 등장하기 이전의 역사. 선사 시대는 인간이 문자(文字) 기록을 남기기 이전의 시대를 의미하며, 한국사에서는 대체로 구석기 시대부터 초기 철기 시대까지를 포괄한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은 신라의 첨해이사금(沾解尼師今)[247~261] 시대에 사벌국(沙伐國) 혹은 사량벌국(沙梁伐國)이라는 이름으로 『삼국사기(...
-
삼국 시대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신라의 지방관. 설부(薛夫)[?~?]는 신라 내해이사금(奈解尼師今)[?~230] 때 상주 지역에 있던 요거성(腰車城)의 성주로 활동하던 중 초고왕(肖古王)[166~214]이 보낸 백제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하였다. 이후 내해이사금은 백제의 공격에 대응하여 이벌찬(伊伐湌) 이음(利音)에게 정예병 6,000명을 주어 사현성(沙峴城)을 빼앗도록 하였다....
-
889년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일어난 반란. 원종(元宗)과 애노(哀奴)의 난은 889년(진성여왕 3) 신라에서 반복되는 왕위 계승 분쟁과 권력 쟁탈전으로 국가적 기반이 약화되는 가운데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일원인 사벌주(沙伐州)에서 일어난 농민 반란이다....
-
통일 신라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일대에 있던 지방 군단 조직. 삼국 통일 후 신라는 군사적 요충지에 정예군을 주둔시켰던 정(停) 제도를 재정비하여 전국 9주(州)에 10정을 설치하였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잡지(雜志)9 무관(武官) 조에는 음리화정(音里火停)이 10정 가운데 가장 먼저 기록되어 있는데, 휘장은 푸른색이었다. 군 지휘관은 중앙에서 파견하였는데 대대감(隊大監...
-
삼국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지역에 있던 신라의 지방 행정 구역. 음리화현(音里火縣)은 본래 사벌국(沙伐國)[혹은 사량벌국(沙梁伐國)]의 일부였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석우로전(昔于老傳)에 따르면 첨해이사금(沾解尼師今)[재위 247~261] 때 신라가 정벌하였고, 이후 사벌국(沙伐州)의 영현으로 처음 편제되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 청효현(靑驍縣)으로 개칭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청동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이래 철기가 등장하기 이전까지의 역사. 청동(靑銅)은 구리와 주석을 혼합한 합금을 말하며, 주석 이외에 아연이나 납을 섞기도 한다. 인류가 도구를 제작하는 데 활용한 최초의 금속으로, 청동기의 등장은 역사 발전 과정에서 청동기 시대의 시작을 의미한다. 한국의 청동기는 대체로 무기류(武器類)가 주종을 이루는데, 의기(儀器)·공구(工具)...
-
통일 신라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청효현(靑驍縣)은 757년(신라 경덕왕 16) 음리화현(音里火縣)을 개정한 지방 행정 구역이다. 통일 신라 시대 지방 군사 조직인 10정(停) 가운데 음리화정(音里火停)이 있었던 곳이며,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일대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