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갑장사(甲長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로서 연악산(淵岳山) 정상부에 있다. 갑장사는 서쪽 봉우리 정상부 아래에 남향으로 앉아 있다. 연악산은 갑장산(甲長山)이라고도 불린다....
-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갑장사 경내의 고려 후기 석탑. 갑장사 삼층석탑(甲長寺 三層石塔)은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말사 갑장사(甲長寺)에 있다. 갑장사는 1373년(고려 공민왕 22) 나옹(懶翁) 혜근(惠勤)[1320~1376]이 창건하고, 1797년(정조 21) 연파(蓮坡) 혜장(惠藏)[1772~1811]이 중수하였다. 갑장사 삼층석탑은 1985년 8월 5...
-
918년부터 1392년까지 고려 왕조 시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역사와 문화. 고려 시대 상주는 7개의 속군(屬郡)과 17개의 속현(屬縣), 그리고 경산부(京山府)와 안동부(安東府) 2개의 지사부를 관할하는 계수관(界首官)이었다. 현재의 행정 구역으로 보면 경상북도의 북쪽과 서남쪽 지역이 중심이고, 충청남도와 충청북도의 동남쪽 지역이 일부 포함되고 있었다. 이는 신라 후기 9주 가...
-
고려 전기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공성현(功城縣)은 고려 전기 대병부곡(大幷部曲)이 승격하여 성립하였다.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일대에 있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관음사(觀音寺)는 1938년 5월 1일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함창포교당으로 처음 건립되었다. 1962년 대한불교조계종에 등록하면서 관음사가 되었으며, 1976년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로 이전하였다. 관음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말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곡동에 있는 사찰. 도림사(道林寺)는 고려 시대 창건된 사찰로 경상북도 상주시 서곡동의 백원산 국사봉 기슭에 있다. 절 옆으로 지나는 한양옛길은 서곡동 배우이고개를 통하여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화산리로 이어지는데, 조선 시대 한양으로 과거를 보러 가던 선비들이 지나던 지름길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
통일 신라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과 모서면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도안현(道安縣)은 고려 전기 상주(尙州)의 속읍(屬邑) 중 하나로서, 940년(태조 23) 중모현(中牟縣)으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곡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동해사(東海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서곡동 식산(息山)에 자리한 전통 사찰이며, 일명 한산사(寒山寺)로도 불렸다. 동해사에는 동해사 석조여래입상(東海寺 石造如來立像)[경상북도 문화재자료]을 봉안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곡동 동해사에서 발견된 조선 시대 석불. 동해사 석조여래입상(東海寺 石造如來立像)은 1996년 동해사 경내 정지 작업 중 발견되었다. 2023년 현재 경상북도 김천시의 직지성보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2004년 3월 11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5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절터. 상안사지(詳安寺址)는 통일 신라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 일대에 조성된 사찰의 터이다. 용화사(龍華寺) 약사전(藥師殿)에 있는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보물]과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좌상[보물]은 옛 상안사에 봉안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 관음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화. 상주 관음사 아미타회상도(尙州 觀音寺 阿彌陀會上圖)는 19세기에 제작된 불화이며, 1958년 용흥사(龍興寺)로부터 관음사의 전신인 함창포교당(咸昌布敎堂)에 이안되었다. 상주 관음사 아미타회상도는 화기에 따르면 원래 1818년 당초 용흥사 도성암에 봉안되었던 탱화였는데, 도성암이 폐사되자 본사인 용흥사에서 보관하다가 관음...
-
경상북도 상주시 화남면 동관리 관음사지에 있는 조선 후기 사적비. 상주 관음사지 사적비(尙州 觀音寺址 事蹟碑)는 1707년(숙종 33) 건립한 비석이다. 2007년 4월 30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1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곡동 도림사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 시대 불교 의식용 청동 유물 일괄. 상주 도림사 소장 상주 도림사 소장 청동유물 일괄(尙州 道林寺 所藏 靑銅遺物 一括)은 고려 시대 불교 의식에 사용되었던 도구 31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림사 박물관에 있다. 2012년 5월 14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37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에 있는 고려 전기 석탑. 상주 상오리 칠층석탑(尙州 上五里 七層石塔)은 속전(俗傳) 장각사지(長角寺址)에 자리하고 있는 고려 전기 7층 석탑이다. 장각사는 비천사(備天寺)라고도 불리는데, 현전하는 문헌 자료가 없어 연혁은 명확하지 않다. 절터에는 와편 및 치석재들이 남아 있다. 상주 상오리 칠층석탑은 1980년 9월 16일 보물 제683호로 지정되었고...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신봉리에 있는 석조 불상. 상주 신봉리 석조보살입상(尙州 新鳳里 石造菩薩立像)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신봉리 국도변에 있다. 높이 230㎝ 가량의 화강암 1매에 머리에 보관을 쓴 보살상을 새겼다. 상주 신봉리 석조보살입상은 2006년에 보호각을 세워 보호하고 있다. 상주 신봉리 석조보살입상은 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26호로 지정되었고...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삼덕리 상주박물관에 있는 신장상. 상주 연원동 신장상(尙州 蓮院洞 神將像)은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 성넘들 중앙에 있던 작은 바위에 새겨진 선각상(線刻像)이며, 제작 시기는 명확하지 않다. 2023년 현재 상주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전시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운흥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절터. 상주 운흥리 사지(尙州 雲興里 寺址)에 대한 문헌 자료는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다만 현장에 산포하는 유물의 양상으로 보아 원래의 절은 통일 신라 시대 말기에서 고려 초 사이에 운영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사찰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 후기 유물도 일부 확인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 용화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불상.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尙州 曾村里 石造如來立像)은 통일 신라 시대에 제작된 석조 불상으로서,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 용화사(龍華寺) 약사전(藥師殿)에 봉안되어 있다. 본래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이 있는 곳은 ‘탑동’으로 알려져 있는데, 구전에 따르면 676년(문무왕 16)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창건한...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 용화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불상.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좌상(尙州 曾村里 石造如來坐像)은 통일 신라 시대에 제작되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8교구 직지사의 말사인 용화사(龍華寺)의 약사전(藥師殿)에 봉안되어 있다. 원래 석탑이 있던 용화사 동북쪽에 있었다고 전하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용화사는 676년(문무왕 16)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창...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에 있는 청계사 내 부도 군락. 상주 청계사 부도군(尙州 淸溪寺 浮屠群)은 경상북도 상주시의 전통 사찰인 청계사(淸溪寺) 경내에 있는 부도 2기로 조선 시대에 조성되었다. 청계사는 통일 신라 말기 국사(國師) 도선(道詵)이 창건하였다고 추정되는 사찰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황령리 황령사에 있었던 조선 후기 불화. 상주 황령사 아미타후불탱(尙州 黃嶺寺 阿彌陀後佛幀)은 1786년(정조 10) 제작된 불화이다. 황령사에 안치되어 있었으나, 2023년 현재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불화를 봉안하였던 황령사(黃嶺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다. 상주 황령사 아미타후불탱은 2002년 7월 15일 경상북...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중벌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 해인사의 말사. 신흥사(新興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중벌리에 있는 전통 사찰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인 해인사의 말사이다....
-
고려 전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는 고려 시대인 935년(태조 18) 경주에 설치되었다. 940년(태조 23) 경주가 도독부(大都督府)로 승격하였다. 상주는 995년(성종 14) 전국 12주에 절도사(節度使)를 두면서 귀덕군(歸德郡)으로 불리게 되었고 영남도(嶺南道)에 소속되었다. 그리고 1012년(현종 3) 절도사를 없애면서 안동대...
-
고려 전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안동도독부(安東都督府)는 고려 전기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 정부에서 군사적 목적으로 상주(尙州) 지역에 설치한 행정 구역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용화사(龍華寺)가 자리 잡은 곳은 과거 탑동(塔洞)으로 불리던 곳이다.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676년(문무왕 16)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창건한 절의 옛터로 전하나, 뒷받침할 기록은 찾을 수 없다. 다만 조선 후기 기록인 『함창현읍지(咸昌縣邑誌)』에는 “신라 고찰(古刹)이었으나 지금은 없고 현 서...
-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연악산(淵嶽山) 용흥사(龍興寺)는 구전에 따르면 통일 신라 시대인 839년(문성왕 1) 진감국사(眞鑑國師)가 창건하였다고 한다. 분명한 것은 1172년(고려 명종 2) 전후 임춘(林椿)이 지은 시 「여우인유용흥사해운방확사구(與友人遊龍興寺海雲房確師求)」에 용흥사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늦어도 고려 전기에 창...
-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의 용흥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화. 용흥사 삼불회 괘불탱(龍興寺 三佛會 掛佛幀)은 1684년(숙종 10) 제작된 불화이다. 불화가 봉안된 용흥사(龍興寺)는 연악산(淵嶽山) 중턱에 있으며, 통일 신라 시대에 진감선사(眞鑑禪師)가 창건하였다고 전하고 있다. 용흥사 삼불회 괘불탱은 2003년 4월 14일 보물 제1374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11월 19일 「...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또는 고려 전기 절터. 장각사지(長角寺址)는 통일 신라 시대 말 또는 고려 시대 초 건립된 장각사가 있었던 곳으로 추정된다. 비천사지(備天寺址)라고도 한다. 장각사지에서는 상주 상오리 칠층석탑[보물]을 비롯하여 와편 및 석재가 발견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절 터. 장백사지(長栢寺址)는 진감국사(眞鑑國師) 혜소(慧昭)[774~850]가 머물렀던 사찰 터로 추정하고 있다. 장백사는 사료상으로 쌍계사(雙磎寺)의 「진감선사탑비(眞鑑禪師塔碑)」와 상주 『남장사사적기(南長寺事蹟記)』에 기록이 전한다. 기록에 따르면 “상주 노악산 동쪽에 위치하며 남장사의 옛 터로, 진감국사 혜소가 830년(흥덕왕...
-
고려 전기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과 모서면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중모현(中牟縣)은 고려 시대 상주의 속현(屬縣)으로서,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모서면 일대로 비정(比定)된다....
-
삼국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지내미지현(知乃彌知縣)은 삼국 시대에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利安面) 일대에 설치된 상주의 속현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청계사(淸溪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에 있는 전통 사찰이며, 견훤산성 안에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말사이다....
-
고려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청리현(靑理縣)은 고려 시대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일대에 설치되었다가 조선 시대 때 폐현되었다....
-
고려 전기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함녕군(咸寧郡)은 옛 함창(咸昌) 지역에 있던 고령가야국(古寧伽耶國)이 자리한 곳이다. 964년(고려 광종 15) 고령군(古寧郡)을 함녕군으로 개칭하였다....
-
고려 시대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특수 행정 구역. 고려 시대 지방 행정 구조에는 일반 군(郡)·현(縣) 외 특수 행정 구역으로 향(鄕)·소(所)·부곡(部曲)·장(莊)·처(處) 등이 존재하였다. 통상 부곡제(部曲制) 지역으로도 불렸으며, 거주하는 사람들은 양인이지만 온전한 양인의 대접을 받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천인인 노비와 달리 성씨(姓氏)를 갖고 가족을 거느리는 등 독자의...
-
통일 신라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화창현(化昌縣)은 신라 경덕왕 때 지방 행정 구역을 개편하면서, 기존의 지내미지현(知乃彌知縣)을 개칭한 것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지리지에 따르면 화창현은 청효현(靑驍縣)·다인현(多仁縣)과 함께 상주의 영현으로 나오는데, 연혁은 미상이라고 처리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황령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황령사(黃嶺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황령리 칠봉산 자락에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