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최대 쌀 생산지인 상주 농업과 쌀농사에 관한 이야기. 낙동강을 품은 상주 지역에서는 선사 시대부터 벼농사가 발달하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임금님의 진상미로 올려질 만큼 우수한 품질로 인정받았다. 상주 지역은 ‘삼백(三白)의 고장’이라고 불릴 정도로 쌀 주산지의 명성을 얻었으며, 지금도 경상북도 지역에서 가장 많은 쌀을 생산하고 있다. 상주쌀의 품질은 이미 세계 최고 수준임이...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옥산리에 있는 전통시장. 공성시장(功城市場)은 상주시 공성면 옥산리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상주시에는 공성시장을 포함하여 남성시장, 상주중앙시장, 상주풍물시장, 함창시장, 화령시장, 은척시장 등 7개의 전통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기업인 겸 교육자이자 정치인. 김세영(金洗榮)[1920~2010]의 본관은 함녕(咸寧)이며, 호는 세심(洗心)이다. 아버지는 김혁진이다....
-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군인이자 정치인. 김인(金仁)[1924~1998]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다....
-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의사이자 정치인. 김집(金潗)[1926~2012년]의 본관은 함창(咸昌)이며, 호는 인봉(仁峯)이다. 부인은 김인덕(金仁悳)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 남성시장(南城市場)은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상주시에는 남성시장을 포함하여 공성시장, 상주중앙시장, 상주풍물시장, 함창시장, 화령시장, 은척시장 등 7개의 전통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대구지방검찰청 산하 행정 기관. 대구지방검찰청 상주지청(大邱地方檢察廳 尙州支廳)은 대구지방검찰청 산하에 있는 행정 기관이다. 대구지방검찰청은 법무부에 소속되어 있으며,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전역의 검찰 사무를 담당하기 위하여 본청[대구광역시, 영천시, 경산시, 칠곡군, 청도군 관할]과 8개 지청[서부·안동·경주·포항·김천·상주·의성·영덕], 2개 지방...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대구지방법원 산하 사법 기관. 대구지방법원 상주지원(大邱地方法院 尙州支院)은 대구지방법원 산하의 사법 기관이다. 대구지방법원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전역을 담당하는 법원으로서 본원과 본원이 관할하는 4개 시·군 법원[경산·영천·청도·칠곡], 8개 지원[서부·안동·경주·포항·김천·상주·의성·영덕]과 15개 시·군 법원, 1개 등기국과 16개 등기소를 두...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생산되는 농특산물의 공동 브랜드. 명실상주(名實尙州)는 상주시의 농특산물에 붙여지는 공동 브랜드이다. 명실상주는 알려진 이름과 실제 내용이 꼭 맞는다는 뜻의 사자성어 ‘명실상부(名實相符)’와 지역명인 ‘상주(尙州)’의 합성어이며, 명실상주의 슬로건은 ‘그 명성 그대로’이다. 명실상주는 삼백(三白)의 고장이자 전국 최대의 농업 도시인 상주의 이름에 걸맞은 최고의...
-
경상북도 상주시가 운영하는 공식 온라인 쇼핑몰. 명실상주몰은 경상북도 상주시 농민들이 생산한 농산물과 가공식품 등을 판매하는 공식 온라인 쇼핑몰이다. 상주시의 위탁으로 경상북도 농식품유통교육진흥원과 웨보노믹스에서 관리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기업인이자 정치인. 박우병(朴佑炳)[1933~2015]의 본관은 상주(尙州)이다....
-
경상북도 상주에서 활동한 정치인. 백남식(白南軾)[1901~1964]의 본관은 수원(水原)이며, 자는 성첨(聖瞻), 호는 낙추(落樞)이다. 아버지는 백낙찬(白樂燦)이고, 어머니는 인동 장씨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의 대표적 특산물인 상주곶감의 유래와 특징, 상주곶감이 명품으로 인정받기까지 과정에 대한 이야기. 감나무는 15세기 전부터 상주 지역에 자생하였으며 상주에서 감나무가 재배되었다는 기록은 1530년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전한다. 상주 지역은 일교차가 커서 감의 당분 축적에 유리한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토질이 비옥하고 배수가 양호하여 예부터 곶...
-
경상북도 상주시 성하동에 있는 경상북도경찰청 소속의 경찰서. 상주경찰서(尙州警察署))는 경상북도 상주 시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 보호, 범죄 예방·진압 및 수사, 치안 정보 수집, 교통 단속, 기타 공공의 안녕과 질서 유지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일원에서 생산되는 농특산물. 예로부터 농경 문화가 발달한 상주시는 전형적인 농업 도시로서 쌀, 곶감[곶감의 분], 누에고치 등 흰 농산물 3가지가 많이 난다고 하여 ‘삼백(三白)의 고장’이라고 하였다. 삼백 중에서도 감을 말려서 만드는 곶감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임금의 진상 품목으로 정하였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으뜸으로 쳤다. 상주시는 상주곶감 외에...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대구지방국세청 산하 세무 행정 기관. 상주세무서(尙州稅務署)는 국세청의 대구지방국세청 산하 기관이다. 국세청은 산하에 6개의 지방국세청[서울·중부·대전·광주·대구·부산지방국세청]을 두고 있으며, 각 지방국세청은 다시 관내 각 시군 지역을 관할하는 125개 세무서와 19개 세무서 지서들을 운영한다. 대구지방국세청은 14개 세무서와 4개 지서를 산하에 두...
-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에 있는 지역 소방 행정 기관. 상주소방서(尙州消防署)는 경상북도 상주시 지역의 소방과 인명 구조 업무를 주로 담당하는 행정 기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시민 의식을 고취하기 위하여 구성원의 긍지와 다짐을 담아 제정한 실천 규범. 상주시민헌장(尙州市民憲章)은 상주시에 거주하는 주민과 상주시 출신 사람들에게 지역의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하여 1999년 10월 11일에 「상주시민의날 조례」[조례 제308호]로 확정되었고, 2000년 10월 12일 공포되었다....
-
상주시가 자랑스러운 시민에게 상주 시민의 이름으로 수여하기 위하여 제정한 상. 상주시민상은 살기 좋은 상주 건설과 향토 문화 창달에 기여한 공적이 많은 자랑스러운 시민에게 상주 시민의 이름으로 수여하는 상이다. 1984년 이후 2022년까지 총 167명에게 상을 수여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무양동에 있는 상주시민의 대의기관. 상주시의회(尙州市議會)는 지방자치제도에 의하여 경상북도 상주시의 주민 대표 기관이자 의결·입법 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상주 지역의 행정 업무를 총괄하는 행정 기관. 상주시청(尙州市廳)은 기초 지방 자치 단체인 경상북도 상주시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일원에서 생산되는 농특산물. 상주시는 예로부터 농경 문화가 발달한 전형적인 농업 도시로서 쌀, 곶감[곶감의 분], 누에고치 등 흰 농산물 3가지가 많이 난다고 하여 ‘삼백(三白)의 고장’이라고 하였다. 상주시는 상주쌀을 비롯하여 상주곶감, 상주한우, 사과, 포도, 오이, 배, 복숭아, 벌꿀, 오미자 등을 지역의 대표 농특산물로 내세우고 있다. 그중 상주쌀은 경상북도...
-
경상북도 상주시 성하동에 있는 경북지방우정청 산하 우정 사업 기관. 상주우체국(尙州郵遞局)은 경북우정사업본부가 관할하고 있는 대구·경북 지역 시·군의 33개 우체국과 우편집중국 중 하나로 운영되고 있는 우정 사업 기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 상주중앙시장(尙州中央市場)은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상주시에는 상주중앙시장을 포함하여 남성시장, 공성시장, 상주풍물시장, 함창시장, 화령시장, 은척시장 등 7개의 전통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 상주풍물시장(尙州風物市場)은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상주시에는 상주풍물시장을 포함하여 상주중앙시장, 남성시장, 공성시장, 함창시장, 화령시장, 은척시장 등 7개의 전통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일원에서 사육·생산되는 한국 고유의 소 품종, 또는 쇠고기. 상주시는 상주한우(尙州韓牛), 상주곶감, 상주쌀, 사과, 포도, 오이, 배, 복숭아, 벌꿀, 오미자 등을 지역의 대표 농특산물로 내세우고 있다. 상주한우는 면역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아연, 철분, 비타민 B군, 셀라늄 등이 풍부하고, 풍미를 좌우하는 올레인산이 풍부하여 소비자들의 각광을 받고 있으며 202...
-
경상북도 상주시 초산동에 있는 농업 기술 개발 및 연구 기관. 상주시농업기술센터는 상주시청의 직속 기관 4개소[보건소·농업기술센터·평생학습원·상주박물관] 중 한 곳이다. 상주 지역 농민들에게 농업 기술과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선거 관리 기관. 상주시선거관리위원회(尙州市選擧管理委員會)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시·도 선거관리위원회 중 하나인 경상북도선거관리위원회가 담당하고 있는 24개 시·군·구선거관리위원회에 속한다. 선거관리위원회는 「헌법」 제114조의 규정에 따라 1963년에 설치되었으며, 국회·행정부·법원·헌법재판소와 병행하는 독립된 합의제 헌법 기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선거권을 가진 주민이 국가 및 지방 자치 단체의 공직에 임할 사람을 투표를 통하여 선출하는 행위. 선거(選擧)란 민주주의 정치 체제에서 국민이 주권을 행사하고 정치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하는 행위이다.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주요 선거로는 대통령 선거, 국회의원 선거, 「지방자치법」에 따라 지방 의회 의원 및 지방 자치 단체의 장을 선출하는 지방...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재화와 용역이 거래되는 장소. 시장(市場)이란 상품이 교환되는 구체적인 장소를 일컫는 말이며, 예전에는 ‘장(場)’, ‘시(市)’, ‘장시(場市)’로, 현대에는 재래시장, 전통시장 등으로 부르고 있다. 시장은 5일 또는 10일 간격의 개설 주기를 두고 정기적으로 열리는가, 또는 매일 열리는가에 따라 정기 시장과 상설 시장으로 구분된다. 근대 이전의 시장은 대개...
-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사회운동가이자 정치인. 전준한(錢俊漢)[1898~1967]의 본관은 문경(聞慶)이며, 처음 이름은 전경준(錢京俊)이다. 어렸을 때 이름은 전중종(錢仲宗), 호는 목촌(牧村)이다. 아버지는 전경준(錢京俊)이고, 어머니는 박성악(朴城岳)이다....
-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정치인이자 사회운동가. 전진한(錢鎭漢)[1901~1972]의 본관은 문경(聞慶)이며, 호는 우촌(牛村)이다. 아버지는 전경준(錢京俊)이며, 어머니는 박성악(朴城岳)이다....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권력과 권위를 획득·유지·행사하고, 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갈등을 조정·통합하는 총체적 활동.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에는 항상 희소한 자원을 획득하고 배분하는 과정을 둘러싼 갈등이 발생한다. 개개인의 정치(政治)·경제·사회·문화 지위가 평등하지 않은 데다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기 때문이다. 정치는 이러한 불평등과 갈등·대립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과정이며, 권...
-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기업인이자 정치인. 정휘동(鄭輝東)[1925~2012]의 본관은 동래(東萊)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주민이 자치권을 이양받아 스스로 참여와 결정에 따라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제반 활동. 지방 자치(地方 自治)는 단체 자치(團體 自治)와 주민 자치(住民 自治)가 결합한 용어이며 자신이 속한 지역의 일을 주민 자신이 처리한다는 민주 정치의 가장 기본적인 요구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지방 자치는 일정한 지역의 주민들이 법률에 따라 지방 자치 단체를 구성하여 중앙...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 산하 지사. 한국농어촌공사의 지방 조직은 3개 원[농어촌연구원, 인재개발원, 농어촌자원개발원], 9개 지역본부[경기, 강원,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남, 경북, 제주], 93개 지사, 8개 사업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북지역본부에는 17개 지사가 소속되어 있다.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 상주지사는 17개 지사 중 한...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있는 전통시장. 함창시장(咸昌市場)은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상주시에는 함창시장을 포함하여 상주풍물시장, 남성시장, 공성시장, 상주중앙시장, 화령시장, 은척시장 등 7개의 전통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신봉리에 있는 전통시장. 화령시장(化寧市場)은 상주시 화서면 신봉리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상주시에는 화령시장을 포함하여 상주풍물시장, 남성시장, 공성시장, 상주중앙시장, 함창시장, 은척시장 등 7개의 전통시장이 개설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