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신(姜紳)[1543~1615]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면경(勉卿), 호는 동고(東皐)·애련재(愛蓮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영숙(姜永叔)이고, 할아버지는 강온(姜溫)이다. 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姜士尙)이고, 어머니는 임간(任幹)의 딸 풍천 임씨(豊川 任氏)이다. 작은아버지 강사안(姜士安)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부인은 정유의(鄭惟義)의 딸...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인(姜絪)[1555~1634]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인경(仁卿), 호는 시암(是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영숙(姜永叔)이고, 할아버지는 의정부사인 강온(姜溫)이다. 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姜士尙)이고, 어머니는 훈련원부정 윤광운(尹光運)의 딸 파평 윤씨(坡平 尹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홍립(姜弘立)[1560~1627]의 본관은 진주이며, 자는 군신(君臣), 호는 내촌(耐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온(姜溫)이고, 할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姜士尙)이다. 아버지는 좌참찬 강신(姜紳)이고, 어머니는 정유의(鄭惟義)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다. 부인은 황이형(黃履亨)의 딸 우주 황씨(紆州 黃氏)이고, 아들은 강숙(姜璹)·강원(姜瑗)·...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광엽(金光燁)[1561~1610]의 본관은 순천(順川)이며, 자는 이회(而晦), 호는 죽일(竹日)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수홍(金粹洪)이고, 할아버지는 지훈련원사 김순고(金舜皐)이다. 아버지는 병마만호 김침(金琛)이고, 어머니는 승문원판교 원수장(元壽長)의 딸 원주 원씨(原州 元氏)이다. 부인은 이인수(李仁壽)의 딸 전의 이씨(全義 李氏)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죽암리에 있는 낙암서원에 배향된 조선 후기의 문신. 김정룡(金廷龍)[1561~1619]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자는 시견(時見), 호는 월담(月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장사랑 김윤적(金允迪)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김관석(金關石)이다. 아버지는 선공감참봉 김담수(金聃壽)이고, 어머니는 조몽길(曺夢吉)의 딸 창녕 조씨(昌寧 曺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통례원...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정착한 문신이자 의관. 남영(南嶸)[1548~1616]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사수(士秀)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훈련원도정 남희(南暿)이고, 할아버지는 삭녕군수 남숙(南俶)이다. 아버지는 부사과 남예석(南禮錫)이고, 어머니는 수문장 김세균(金世均)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부장 한윤복(韓胤福)의 딸 청주 한씨(淸州 韓氏)이고,...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정착한 문신. 류진(柳袗)[1582~1635]의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계화(季華), 호는 수암(修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간성군수 류공작(柳公綽)이고, 할아버지는 황해도관찰사 류중영(柳仲郢)이다. 아버지는 영의정 류성룡(柳成龍)이고, 어머니는 용궁현감 이경(李坰)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부호군 권채(權采)의 딸 안동 권씨(...
-
임진왜란 초기 순변사 이일이 지휘하는 중앙군과 경상북도 상주의 지방군이 연합하여 중로를 따라 북상하는 왜군에 대응하여 맞서 싸운 전투. 1592년(선조 25) 4월 13일 왜란 발발 이후 조정에서는 이일(李鎰)을 순변사(巡邊使)로 임명하여 경상북도 상주로 급히 파견하였다. 『징비록(懲毖錄)』에 따르면, 이일은 군관과 궁수 60여 명만을 이끌고 경상북도 상주에 도착하였다고 한다. 당...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정경세(鄭經世)[1563~1633]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경임(景任), 호는 우복(愚伏)·일묵(一默)·하거(河渠)·송록(松麓)·승성자(乘成子)·석총도인(石潨道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계함(鄭繼咸)이고, 할아버지는 정은성(鄭銀成)이다. 아버지는 정여관(鄭汝寬)이고, 어머니는 이가(李軻)의 딸 합천 이씨(陜川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이해...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무신. 정기룡(鄭起龍)[1562~1622]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경운(景雲), 호는 매헌(梅軒)이다. 초명은 정무수(鄭茂壽)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철석(鄭哲碩)이고, 할아버지는 정의걸(鄭義傑)이다. 아버지는 정호(鄭浩)이고, 어머니는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강세필(姜世弼)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고, 두 번째 부...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거주한 문신. 조우인(曺友仁)[1561~1625]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여익(汝益), 호는 이재(頤齋)·매호(梅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우부승지 조계형(曺繼衡)이고, 할아버지는 조언홍(曺彦弘)이다. 아버지는 조몽신(曺夢臣)이고, 어머니는 신주(申澍)의 딸 평산 신씨(平山 申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이영승(李令承)의 딸 영천 이씨(永川 李氏), 두...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최정호(崔挺豪)[1563~1622]의 본관은 충주(忠州)이며, 자는 시응(時應), 호는 저곡(樗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연산현감 최홍(崔洪)이고, 할아버지는 최대관(崔大觀)이다. 아버지는 최수도(崔守道)이고, 어머니는 김윤성(金允成)의 딸 예안 김씨(禮安 金氏)이다. 부인은 성균관사성 김복일(金復一)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고, 아들은 최충망(崔...
-
조선 전기 상주 지역에 이주하여 정착한 문신. 하락(河洛)[1530~1592]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도원(道源), 호는 환성재(喚醒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의흥위좌부장 하응천(河應千)이고, 할아버지는 황간현감 하형(河灐)이다. 아버지는 하인서(河麟瑞)이고, 어머니는 사인 조협(趙協)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부인은 정충즙(鄭忠楫)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