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견훤산성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견훤성(甄萱城)」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견훤산성에 얽힌 이야기이다. 견훤산성은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장바위산 정상부를 둘러싼 산성이다. 견훤(甄萱)[867~936]이 쌓았다고 하여서 ‘견훤산성’이라 불리며, 산성과 관련하여 두 가지 전설이 전하고 있다. 하나는 지렁이의 아들인 견훤...
경상북도 상주시에 노승의 예언 및 진주 정씨 가문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노승의 예언」은 경상북도 상주에 살던 진주 정씨(晉州 鄭氏) 가문의 정번공(鄭番公)이 노승이 알려 준 명당에 산소를 들이고, 노승이 예언한 대로 행동하여 대대로 후손이 번창하였다는 이야기이다....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이소리에 있는 한 명당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어방 유살론 명당」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이소리에서 전하여 오는 풍수지리담이다. 상주시 화동면 이소리에는 어방(漁方)이라는 자연 마을이 있다. 이소리에서 제일 오래된 자연 마을이며, 마을 어딘가에 노인이 낚싯대를 드리우고 물고기를 잡는 형태인 ‘어옹수조형(漁翁垂釣形)’의 형상이 있다고 한다. 어...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 흥암서원 뒤쪽에 있는 지네 형상의 산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오공입지형의 상주 뒷산」은 상주 지역민들이 풍수지리적으로 좋지 않은 오공입지형(蜈蚣立地形) 뒷산의 기운을 바꾸기 위하여 합심하고 협력하는 이야기이다. 이야기에 등장하는 상주 조공제(尙州 趙公堤)는 2002년 7월 15일 경상북도 기념물 제14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경상북도 상주시에 전하여 내려오는 정기룡과 적렵마에 관한 이야기. 「정기룡과 적렵마」는 조선의 무신 정기룡(鄭起龍)[1562~1622]이 ‘적렵마(赤鬣馬)’라는 군마를 얻게 된 유래가 담긴 이야기이다. 정기룡이 현명한 아내의 도움으로 적렵마를 얻어 전장에서 큰 공을 세웠다는 내용이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어린 시절 호랑이 덕분에 목숨을 구한 정기룡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정무수와 호랑이」는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활약한 정기룡(鄭起龍)[1562~1622]과 관련한 이야기이다. 정무수(鄭茂壽)는 정기룡의 초명이다. 「정무수와 호랑이」는 어린 시절 정기룡이 친구들과 모여 놀 때 호랑이가 여러 번 나타났는데, 그때마다 호랑이에게 용감하게 맞서 싸운 정기...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조선의 승려 무학대사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행주형의 상주」는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1335~1408]를 도와 조선 왕조 건국에 기여한 승려 무학대사(無學大師)[1327~1405]에 관한 전설이다. 무학대사가 이성계를 위하여 한양 터에 궁궐 짓는 일을 돕다가 상주로 돌아와 동해사(東海寺)를 창건하게 된 이야기가 담겨 있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호랑이로부터 손자를 구한 김 선비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호랑이 굴에서 손자를 구하다」는 손자를 물어간 호랑이를 김 선비가 이치를 따져 퇴치한다는 내용의 민담이자 호랑이 퇴치담이다....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서 호의장군 김수택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호의장군과 소천교」는 호의장군(虎儀將軍) 김수택과 관련하여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설화이다.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는 강릉 김씨(江陵 金氏) 집성촌이 있다. 강릉 김씨의 선대에 김수택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종군한 공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른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