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응철(康應哲)[1562~1635]의 본관은 재령(載寧)이며, 자는 명보(明甫), 호는 남계(南溪)이다. 아버지는 강사경(康士敬)이고, 어머니는 성산 이씨(星山 李氏)이다. 부인은 정여관(鄭汝寬)의 딸 진양 정씨(晉陽 鄭氏)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견훤산성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견훤성(甄萱城)」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견훤산성에 얽힌 이야기이다. 견훤산성은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장바위산 정상부를 둘러싼 산성이다. 견훤(甄萱)[867~936]이 쌓았다고 하여서 ‘견훤산성’이라 불리며, 산성과 관련하여 두 가지 전설이 전하고 있다. 하나는 지렁이의 아들인 견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삼락(金三樂)[1610~1666]의 본관은 청도(淸道)이며, 자는 낙전(樂全), 호는 쌍수당(雙修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수의부위 김흡(金洽)이고, 할아버지는 김준신(金俊臣)이다. 아버지는 김백일(金百鎰)이고, 어머니는 신철(辛澈)의 딸 영산 신씨(靈山 辛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홍우민(洪友閔)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장...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죽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낙암서원(洛嵓書院)은 김담수(金聃壽)[1535~1603], 김정룡(金廷龍)[1561~1619], 김정견(金廷堅)[1576~1645]을 배향하기 위하여 1796년(정조 20) 건립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판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도안서원(道安書院)은 조선 후기 문인 김우태(金宇泰)[1647~1708], 김시태(金時泰)[1647~1722]를 제향하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금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봉산서원(鳳山書院)은 노수신(盧守愼)[1515~1590], 심희수(沈喜壽)[1548~1622], 성윤해(成允諧), 김홍미(金弘微)[1557~1605], 조우인(曺友仁)[1561~1625], 정호선(丁好善)[1571~1632], 황익재(黃翼再)[1682~1747]를 제향한 서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상주 옥동서원(尙州 玉洞書院)은 방촌 황희(黃喜)[1363~1452], 사서 전식(全湜)[1563~1642], 축옹 황효헌(黃孝獻)[1491~1532], 반간 황뉴(黃紐)[1578~1626]를 배향한 서원이다. 황희는 본관이 장수(長水), 자는 구부(懼夫), 호는 방촌(厖村)이다. 고려가 멸망하자 은거하다가 태조의 적극적인 출...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성헌징(成獻徵)[1654~1676]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문식(文式), 호는 통허재(洞虛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성여백(成汝栢)이고, 할아버지는 성진승(成震升)이다. 아버지는 성호영(成虎英)이고, 어머니는 통덕랑 이동야(李東野)의 딸 덕수 이씨(德水 李氏)이다. 부인은 현감 박찬선(朴纘先)의 딸 상산 박씨(商山 朴氏)이고, 동생은 성만징(成...
-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연악서원(淵嶽書院)은 박언성(朴彦誠), 김언건(金彦健)[1511~1571], 강응철(康應哲)[1562~1635], 김각(金覺)[1536~1610], 조광벽(趙光璧)[1566~1642], 강용량(康用良)[1608~1676]을 배향하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박언성의 본관은 문의(文義), 호는 낙지정(樂志亭)이다. 박언성은 12세에 할머니...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에 전하여 내려오는 김준신 부자와 관련된 이야기. 「의사 김준신 부자」는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 활동을 한 의사(義士) 김준신(金俊臣)[1561~1592]과 그 가족에 관한 이야기이다. 김준신은 상주시 화동면 판곡리에 살던 시골 선비인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 활동을 하였다. 전란 초기부터 ‘북천 전투(北川 戰鬪)’로 알려진 상주 지구 전투에 참가하여...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채소권(蔡紹權)[1480~1548]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효중(孝仲), 호는 졸옹(拙翁)·졸재(拙齋)이다. 초명은 채수동(蔡壽童)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세자시강원문학 채윤(蔡倫)이고, 할아버지는 남양도호부사 채신보(蔡申保)이다. 아버지는 호조참판 채수(蔡壽)이고, 어머니는 부사 권이순(權以順)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부인은 전양(全...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채수(蔡壽)[1449~1515]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기지(耆之), 호는 나재(懶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채영(蔡泳)이고, 할아버지는 세자시강원필선 채윤(蔡倫)이다. 아버지는 남양도호부사 채신보(蔡申保)이고, 어머니는 류승순(柳承順)의 딸 문화 류씨(文化 柳氏)이다. 부인은 권이순(權以順)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고, 아들은 채윤권(蔡...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예주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청암서원(淸巖書院)은 류포(柳砲)[1375~1448], 류달존(柳達尊)[1395~1466], 박눌(朴訥)[1448~1528], 이겸(李謙)[1452~1507], 류종인(柳宗仁)[1516~1545], 홍약창(洪約昌)[1535~1592], 남영(南嶸)[1548~1606], 정윤해(鄭允諧)[1553~1618], 박성민(朴成敏)[16...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홍여하(洪汝河)[1620~1674]의 본관은 부계(缶溪)이며, 자는 백원(百源), 호는 목재(木齋)·산택재(山澤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경삼(洪景參)이고, 할아버지는 홍덕록(洪德祿)이다. 아버지는 대사간 홍호(洪鎬)이고, 어머니는 고종후(高從厚)의 딸 장흥 고씨(長興 高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황덕유(黃德柔)의 딸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고, 첫...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용신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효곡서원(孝谷書院)은 김충(金冲)[1513~1572], 송량(宋亮)[1534~1618], 고인계(高仁繼)[1594~1647], 김광두(金光斗)[1562~1608]를 제향한 서원이다. 김충은 본관이 상산, 자는 화길(和吉), 호는 서대(西臺)이다. 1515년(명종 6) 문과에 급제하여 춘추관, 기주관, 호조정랑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