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강석필(姜碩弼)[1679~1755]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공망(公望), 호는 송은와(松隱窩)·이지재(二知齋)·송은(松隱)이다. 강사익(姜士翼)의 5대손으로, 할아버지는 강홍윤(姜弘胤)이다. 아버지는 강균(姜均)이고, 어머니는 정선 전씨(旌善 全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신평 이씨(新平 李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신(姜紳)[1543~1615]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면경(勉卿), 호는 동고(東皐)·애련재(愛蓮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영숙(姜永叔)이고, 할아버지는 강온(姜溫)이다. 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姜士尙)이고, 어머니는 임간(任幹)의 딸 풍천 임씨(豊川 任氏)이다. 작은아버지 강사안(姜士安)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부인은 정유의(鄭惟義)의 딸...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성이홍(成爾鴻)[1691~1749]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중거(仲擧), 호는 취음(翠陰)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성진승(成震升)이고, 할아버지는 성호영(成虎英)이다. 아버지는 성만징(成晩徵)이고, 어머니는 현감 이상길(李相吉)의 딸 함평 이씨(咸平 李氏)이다....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전개된 공자의 사상을 중심으로 한 학문. 유교(儒敎)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서 전개된 공자, 맹자 등 유가의 정치 사상과 학문 수양, 그리고 의례 등의 가르침을 실천하려는 철학 사상이자 생활 윤리라 할 수 있다. 삼국 시대 전기에 도입된 이래 개인과 가족, 국가 전체를 유지하는 규범으로 자리 잡았다. 상주 지역의 유학 역시 우주의 원리를 궁구하고 윤리를...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채헌징(蔡獻徵)[1648~1726]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문수(文叟), 호는 우헌(愚軒)·여물헌(與物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채천계(蔡天啓)이고, 할아버지는 채이복(蔡以復)이다. 아버지는 충의위 채기종(蔡起宗)이고, 어머니는 순천 김씨(順天 金氏)이다. 아버지의 육촌 형제인 채지수(蔡之洙)의 양자로 입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