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곡리(佳谷里)는 사방이 둘러싸여서 오목하게 되었으므로 ‘오가실’, 또는 ‘오가곡’, ‘가곡(佳谷)’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막리(可幕里)는 지형이 마치 까마귀와 같다 하여 ‘가마기’, 또는 ‘가막’이라 하였던 것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장리(佳庄里)는 가장사가 있었으므로 ‘가장골’ 혹은 ‘가장곡’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천리(佳川里)는 남천(南川) 연변에 있다는 것에 유래하여 ‘가피내’, ‘개피내’ 또는 ‘가천’이라고 부른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간상리(肝上里)는 마을 앞에 개천이 모여 들고 낙동강이 여러 번 굽이치는 간곡에 마을이 위치하여 ‘간곡’, ‘간상’, ‘가무골’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개곡리(開谷里)의 마치 고을이 열리는 형국의 지형이라고 하여 마을 이름을 ‘개곡(開谷)’이라 붙인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최대 쌀 생산지인 상주 농업과 쌀농사에 관한 이야기. 낙동강을 품은 상주 지역에서는 선사 시대부터 벼농사가 발달하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임금님의 진상미로 올려질 만큼 우수한 품질로 인정받았다. 상주 지역은 ‘삼백(三白)의 고장’이라고 불릴 정도로 쌀 주산지의 명성을 얻었으며, 지금도 경상북도 지역에서 가장 많은 쌀을 생산하고 있다. 상주쌀의 품질은 이미 세계 최고 수준임이...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화와 용역의 생산·분배·교환·소비와 관련되는 활동 전반과 영역. 경제·산업은 경제와 산업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경제는 인간이 공동 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재화나 용역을 생산, 분배, 소비하는 활동 전반을 의미한다. 산업은 경제적으로 풍요롭게 하기 위하여 재화나 서비스를 창출하는 생산적 기업이나 조직을 말한다. 농업·축산업·임업·광업·공업을...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관동리(官洞里)는 조선 시대에 농소(農所)를 두고 말을 먹이는 관가가 있었으므로 ‘관동(官洞)’이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교촌리(校村里)는 함창향교가 있어 ‘향교마을’, ‘교촌리’라고 불리게 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구도리(九道里)가 모산지(毛山池)에 비치는 경관에서 구잠리(九潛里)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구향리(舊鄕里)는 과거 함창현청이 있어 ‘구향’이라고 불린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당리(金堂里)는 큰길가에 있는 마을이라는 것에서 비롯하여 ‘큰길가’ 또는 ‘금당’이라고 한 데서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산리(錦山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금천리(錦川里)의 ‘금(錦)’ 자와 산수리(山水里)의 ‘산(山)’ 자를 따서 ‘금산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일원에서 자금의 수요자와 공급자에게 각종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 금융이란 자금 공급자와 자금 수요자 간의 자금 거래를 의미하며 금융기관(金融機關)은 금융을 매개하는 기관을 말한다. 금융과 관련된 제반 업무를 금융업이라고 하며, 근대적 금융업의 기원은 근세 초기 이탈리아에서 원격지 무역(遠隔地貿易)의 발달에 따라 외국 화폐를 교환하여 주는 환전상이 출현한 데서...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천리(琴川里)는 백화산 밑에 있는 지역이라는 뜻으로 ‘미끼미‘, ‘산금’이라고 불리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산금의 ‘금’ 자와 이천리(爾川里)의 ‘천(川)’ 자를 따서 ‘금천리’라고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흔리(衾欣里)는 명주(明紬) 비단이 많이 생산되어 ‘금실(錦室)’이라 불렀고, 사벌국 시대 도읍지였으므로 ‘금실’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후 조선 고종 때 ‘금곡’으로 고쳐 불렀고,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금곡리(衾谷里)의 ‘금(衾)’ 자와 흔곡리(欣谷里)의 ‘흔(欣)’ 자를 따서 ‘금흔리’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기업을 경영하고 있는 조직체. 기업체(企業體)는 이익을 목적으로 생산, 판매, 금융, 서비스 따위의 사업을 하는 생산 경제 단위를 말한다. 기업체는 본사, 지사, 지점, 공장, 영업소 등 1개 또는 여러 개의 사업체로 구성된다. 기업은 운영 목적을 중심으로 크게 개인이 영리 등을 목적으로 하여 운영하는 사기업과 국가 또는 공공 단체가 공공의 목적을 위하여 운영하...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나한리(羅汗里)는 나한을 모신 불당이 있었다는 것에서 유래하여 ‘나한리’로 불리었고, ‘나하당’, ‘나한’ 또는 ‘나한대’라고도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낙동리(洛東里)는 낙동강 가에 있다는 것에서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낙동(洛東)’은 낙양과 상락 동쪽에 있다는 것에서 유래하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낙동강과 인접하므로 강의 이름을 따서 낙동면(洛東面)이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에 속하는 법정리. 남곡리(南谷里)는 칠봉산(七峰山) 앞이 되므로 ‘앞실’ 또는 ‘남곡(南谷)’이라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내곡리(內谷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내하리(內下里)의 ‘내(內)’ 자와 흥곡리(興谷里)의 ‘곡(谷)’ 자를 따서 ‘내곡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일원에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지역 농가 소득 증대를 목적으로 조성된 공업 단지. 농공단지(農工團地)는 농어촌 지역 지방 자치 단체의 재정 자립과 농촌의 공업화를 통하여 도시와 농어촌 간의 균형 있는 경제 발전을 이루고자 조성한 공업 단지이다. 1983년 말에 제정되어 1984년부터 시행된 「농어촌소득원 개발촉진법」에 따라 시군별로 자치 단체장이 국고를 지원 받아 농...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토지를 이용하여 생산물을 얻는 경제 활동. 상주시는 대한민국 농업(農業)의 중심 도시이다. 경지 면적은 경상북도 1위이고 전국 지방 자치 단체 가운데 여섯 번째로 넓다.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터를 잡고 살아왔던 상주는 농업의 역사도 유구하여 선사 시대부터 벼농사 등 농업이 이루어졌고 삼국 시대부터는 벼농사 등이 본격화하였다. 일찌감치 벼농사 등 농업이 발달한...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농협중앙회 산하 지부. 농협중앙회 상주시지부(農協中央會 尙州市支部)는 경상북도 상주시 지역 농업·축산업 종사자들을 위한 특수 은행이다. 농업인들을 위한 경제 사업과 신용 사업, 지도 사업을 중심 사업으로 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달천리(達川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달성리(達城里)의 ‘달(達)’ 자와 봉천리(鳳川里)의 ‘천(川)’ 자를 따서 ‘달천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전리(大田里)는 큰 밭이 있으므로 ‘한밭’ 또는 ‘대전(大田)’이라 한 데서 명칭이 비롯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대조리(大鳥里)는 과거 왁새[왜가리]가 살았다고 하여 ‘왁새골’, ‘왁시골’ 또는 ‘대조곡’이라고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포리(大浦里)는 백학산(白鶴山) 밑이라 하여 ‘한박골’, ‘함박골’, 또는 ‘대포동(大浦洞)’이라 하였던 것에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현리(大峴里)는 마을 뒤로 넘어가는 큰 고개인 한티고개에서 마을 이름을 따서 ‘대현(大峴)’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가리(德可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덕상리(德上里)의 ‘덕(德)’ 자와 가막리(可幕里)의 ‘가(可)’ 자를 따서 ‘덕가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곡리(德谷里)는 좋은 터라 하여 ‘터골’, ‘트골’, ‘덕곡’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담리(德潭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과정에서 덕평리(德坪里)의 ‘덕(德)’ 자와 백담리(白潭里)의 ‘담(潭)’ 자를 따서 ‘덕담리’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산리(德山里)는 둔덕으로 된 산에 마을이 생겼다 하여 ‘덕산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덕통리(德通里)는 조선 시대 덕통역(德通驛)이 설치되었던 것에서 유래하여 덕통리라 이름 붙여졌다. 덕통역은 유곡도찰방(幽谷道察訪)에 속하였다. 덕통역에는 대마(大馬) 2필, 중마(中馬) 2필, 소마(小馬) 4필과 역리(驛吏) 45명, 비(婢) 11명이 있었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도안리(道安里)는 신라 경순왕(景德王) 시기 도안현(道安縣)이 있던 지역이라 하여 ‘도안리’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동관리(東觀里)는 동관음사(東觀音寺)라고 하는 절이 있었다 하여 ‘동관음’ 또는 ‘동관음리’라 하였다고 전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에 속하는 법정리. 동막리(東幕里)는 마을 동쪽에 있는 산이 장막처럼 가로막고 있다 하여 ‘동막리’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에 속하는 법정리. 두곡리(杜谷里)는 본래 ‘뒷골’이라 한 것이 변하여 ‘두곡(杜谷)’이 되었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두릉리(杜陵里)는 마을에 있는 앞산이 능과 같이 생겨 능을 막아야 마을에 좋은 일이 생긴다는 믿음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득수리(得水里)는 맑은 물이 많은 곳이라 하여 ‘득수리’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공리(馬孔里)는 기양산 아래 큰 골짜기 혹은 큰 마을이 있다는 것에서 유래하여 ‘마골’, ‘마공’, ‘마궁’이라고 불린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 마공리의 주된 자연 마을인 마공의 유래에 따르면 과거 한양에서 경주로 이어지는 길목에 마장(馬場)이 있어서 마궁(馬宮), 마골이라 하였는데 일제 강점기에 마공으로 수정되었다고 한다. ‘마(馬)’ 또...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매협리(梅俠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매중리(梅中里)의 ‘매(梅)’ 자와 협촌(俠村)의 ‘협(俠)’ 자를 따서 ‘매협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매호리(梅湖里)는 본래 낙동강 가에 있다고 하여 ‘매호’라고 불린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모동면(牟東面)은 중모현의 동쪽 지역이라는 것에서 유래하여 ‘모동면’이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모서면(牟西面)은 중모현(中牟縣)의 서쪽이 되므로 ‘모서면’이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목가리(木可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목과리(木果里)의 ‘목(木)’ 자와 추가리(追可里)의 ‘가(可)’ 자를 따서 ‘목가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에 속하는 법정리. 무릉리(武陵里)는 칠봉산에 있는 ‘무릉(武陵)’의 이름을 따 ‘무릉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묵상리(墨上里)는 묵실 위쪽에 있는 마을에서 유래하여 ‘웃묵실’, ‘상묵동’이라고 불리었고, 이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묵실의 윗마을이라는 뜻에서 ‘묵상리’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묵하리(墨下里)는 묵실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하여 ‘아래묵실’, ‘아르묵실’, ‘하묵동’으로 불렸는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묵하리’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에 속하는 법정리. 문암리(文岩里)는 문처럼 생긴 큰 바위가 있다 하여 ‘문바우’, 또는 ‘문암(文岩)’이라 하였다고 전하는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문창리(文昌里)는 옛날 고을 원이 마을에 선비가 많이 나오기를 바라는 의미로 ‘문창(文昌)’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물량리(物良里)는 낙동강의 안쪽에 위치한다는 뜻으로 ‘물안골’이라 불리다가 ‘무랑골’, ‘무량골’, ‘물량곡’ 등으로 변하여 ‘물량리’가 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반계리(磻溪里)는 본래 부산에서 서울까지 가는 거리에서 반이라고 하여 ‘반계’, 혹은 강변에 자리한 마을이라고 하여 ‘반계’라고 불렸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반곡리(盤谷里)는 내반리(內盤里)와 외반리(外盤里)를 합치어 ‘반곡리’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백전리(栢田里)는 잣나무가 많은 곳에 마을이 이루어졌으므로, ‘잣밭’ 또는 ‘백전(栢田)’이라 한 데서 비롯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백학리(白鶴里)는 마을의 산세가 아름답고 백학이 많이 모여들어서 ‘백학(白鶴)’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에 속하는 법정리. 병암리(屛巖里)는 마을 뒤에 병풍같이 생긴 바위가 있다 하여 ‘병암(屛岩)’이라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보미리(甫尾里)는 지형이 봉황의 꼬리같이 생겼다 하여 ‘봉미(鳳尾)’라 하던 것이 ‘보미(甫尾)’로 변환되었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봉강리(鳳岡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봉강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에 속하는 법정리. 봉상리(鳳上里)는 봉림(鳳林)의 위쪽이 되므로 ‘봉상(鳳上)’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에 속하는 법정리. 봉중리(鳳中里)는 봉림(鳳林)의 중심이 되므로 ‘봉중(鳳中)’이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봉촌리(鳳村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봉강리(鳳崗里)의 ‘봉(鳳)’ 자와 교촌(校村)의 ‘촌(村)’ 자를 따서 ‘봉촌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에 속하는 법정리. 부곡리(釜谷里)는 마을 앞 뒷산에 솥 모양의 기암이 있어서 ‘가마실’ 혹은 ‘부곡(釜谷)’이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분황리(分皇里)는 분수(汾水)[낙동]의 남쪽이 된다는 뜻에서 ‘분양’ 또는 ‘분황’이라고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비룡리(飛龍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비래리(飛來里)의 ‘비(飛)’ 자와 용상리(龍上里)의 ‘용(龍)’ 자를 따서 ‘비룡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법정면. 사벌국면(沙伐國面)은 사벌국의 옛이름을 따서 ‘사벌국면’이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사산리(沙山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사곡리(沙谷里)의 ‘사(沙)’ 자와 황산리(黃山里)의 ‘산(山)’ 자를 따서 ‘사산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일원에 산업의 지방 분산을 촉진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계획적으로 조성된 단지. 산업단지(産業團地)는 산업 시설을 비롯하여 산업 시설과 관련된 교육·연구·정보 처리·유통 시설 및 산업 시설의 종사자와 이용자를 위한 주거·문화·의료·관광·체육·복지 시설 등의 지원 시설을 집단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포괄적 계획에 따라 개발 및 조성된 단지를 말한다. 상주시에는...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삼괴리(三槐里)는 느티나무 세 그루가 정자를 이루었다는 것에 유래하여 ‘삼괴정’ 또는 ‘삼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삼덕리(三德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삼봉리(三峯里)의 ‘삼(三)’ 자와 덕양리(德陽里)의 ‘덕(德)’ 자를 따서 ‘삼덕리’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삼포리(三浦里)는 금계천과 화랑천, 계곡천까지 세 개의 물이 합하여 이루어진 곳이라 하여 ‘새기’, ‘세 개’ 또는 ‘사제(社堤)’, ‘삼포(三浦)’라 하였다고 전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곡리(上谷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상달리(上達里)의 ‘상(上)’ 자와 금곡리(金谷里)의 ‘곡(谷)’ 자를 따서 ‘상곡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오리(上五里)는 쉰섬이의 위쪽이 되므로 ‘웃쉰섬이’ 또는 ‘상오십석’이라 하였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쉰섬이마을은 해마다 좁쌀 쉰 섬을 하였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용리(上龍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상봉리(上鳳里)의 ‘상(上)’ 자와 복룡리(伏龍里)의 ‘용(龍)’ 자를 따서 ‘상용리’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일원에서 생산되는 농특산물. 예로부터 농경 문화가 발달한 상주시는 전형적인 농업 도시로서 쌀, 곶감[곶감의 분], 누에고치 등 흰 농산물 3가지가 많이 난다고 하여 ‘삼백(三白)의 고장’이라고 하였다. 삼백 중에서도 감을 말려서 만드는 곶감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임금의 진상 품목으로 정하였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으뜸으로 쳤다. 상주시는 상주곶감 외에...
-
경상북도 상주시 일원에서 생산되는 농특산물. 상주시는 예로부터 농경 문화가 발달한 전형적인 농업 도시로서 쌀, 곶감[곶감의 분], 누에고치 등 흰 농산물 3가지가 많이 난다고 하여 ‘삼백(三白)의 고장’이라고 하였다. 상주시는 상주쌀을 비롯하여 상주곶감, 상주한우, 사과, 포도, 오이, 배, 복숭아, 벌꿀, 오미자 등을 지역의 대표 농특산물로 내세우고 있다. 그중 상주쌀은 경상북도...
-
경상북도 상주시 일원에서 사육·생산되는 한국 고유의 소 품종, 또는 쇠고기. 상주시는 상주한우(尙州韓牛), 상주곶감, 상주쌀, 사과, 포도, 오이, 배, 복숭아, 벌꿀, 오미자 등을 지역의 대표 농특산물로 내세우고 있다. 상주한우는 면역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아연, 철분, 비타민 B군, 셀라늄 등이 풍부하고, 풍미를 좌우하는 올레인산이 풍부하여 소비자들의 각광을 받고 있으며 202...
-
경상북도의 북서부에 있는 시. 상주시는 경상북도 서북쪽의 내륙에 자리한 도농 복합형 도시이며, 동쪽으로 경상북도 구미시와 의성군, 서쪽으로 충청북도 보은군, 옥천군, 괴산군, 남쪽으로 경상북도 김천시와 충청북도 영동군, 북쪽으로 경상북도 문경시와 예천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7°47′~128°21′, 북위 36°14′~36°39′에 위치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촌리(上村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상원리(上元里)의 ‘상(上)’ 자와 송촌리(松村里)의 ‘촌(村)’ 자를 따서 ‘상촌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판리(上板里)는 본래 ‘판개’라고 불리던 반계리의 윗쪽 마을이라는 것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현리(上縣里)는 화령현(化寧縣)의 위쪽이 되므로 ‘상현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주민 생활의 편의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무형의 노무를 제공하는 산업. 서비스업은 일반적으로 물질적인 것이 아닌 무형의 노무를 제공하는 모든 업종을 말한다. 따라서, 사회가 발달할수록 직접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서비스 부문이 팽창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클라크(Clark)의 산업 분류에 따르면, 제1차산업에는 농업·목축업·수산업·임업·수렵업, 제2차산업에는...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석산리(石山里)는 뒷산에 돌이 많아 ‘돌산’, 또는 ‘석산’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선교리(仙橋里)는 하천이 양쪽으로 갈라진 머리쪽이 되므로 ‘갯머리’ 또는 ‘포두’, ‘선교’라 한 데서 ‘선교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성동리(城洞里)는 병풍산성 동쪽 아래라는 뜻으로 ‘성골’ 또는 ‘성동’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소곡리(所谷里)는 지형이 배처럼 생겼다 하여 ‘배실’, ‘주곡’, ‘소곡’이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소암리(小岩里)는 고창산 아래 마을이 있고, 남쪽에 청룡봉이 있는데, 청룡봉 아래 깊은 소가 있다 하여 ‘소안’이라 한 것이 ‘소암(素岩)’ 등으로 한역되다가 일제 강점기에 ‘소암(小岩)’으로 굳어져 ‘소암리’라 이름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소정리(召井里)는 소나무 정자가 있었다 하여 ‘소정’이라고 이름 붙였다 하는 설도 있고 한자 ‘소정(召井)’에 따라 마을이 산 중턱에 있어서 마실 물을 우물에서 길어 먹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 설도 있다. 소정은 ‘학소동’이라는 이칭도 있는데, 학소동은 마을 뒤에 있었던 산제당(山祭堂)에 노송이 많이 있어 백학이 많이 날아왔다 하...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수봉리(壽峯里)는 헌수봉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수봉리’라고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수상리(水上里)는 병성천의 서쪽 가에 있는 마을 앞산 밑에 큰 웅덩이가 있었는데, 웅덩이의 물과 병성천의 물이 수정과 같이 맑고 살기 좋은 마을이라는 것에 유래하여 ‘수중당’ 또는 ‘수상’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수정리(水晶里)는 옛날 마을 가운데 큰 돌배나무가 있어서 ‘이실’ 또는 ‘수정’이라고 부른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승곡리(升谷里)는 승장사가 있었던 것에 기인하여 ‘승장곡’, ‘승장골’, ‘승장’이라 불린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신덕리(新德里)는 지형이 용처럼 생겼다고 하여 ‘용골’, ‘용곡’으로 불렸으며, 용의 덕이 새롭다 하여 ‘신덕’이라고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봉리(新鳳里)는 마을 뒤편의 봉황산이 높다 하여 ‘신봉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상리(新上里)[낙동면]는 신촌의 위라는 뜻으로 ‘웃신촌’, ‘상신촌’, ‘신상’으로 불린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신촌은 신상리의 으뜸 마을로 조선 말 경주 이씨가 개척하였으며, 상주 금광이 생긴 뒤부터 큰 마을이 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암리(新岩里)는 큰 바위가 많이 있어 ‘신암리’라고 불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오리(新梧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신기리(新基里)의 ‘신(新)’ 자와 음오리(陰梧里)의 ‘오(梧)’ 자를 따서 ‘신오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천리(新川里)는 과거 내 바닥[냇가 바닥, 하천 바닥]이었는데 냇물이 북쪽으로 물러가서 새로운 마을이 형성되었다는 뜻에서 ‘새내’ 혹은 ‘신천’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촌리(新村里)[화동면]는 냇물과 가까운 들판으로 이주하면서 새로 만든 마을이라 하여 ‘신촌(新村)’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하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흥리(新興里)[모동면]는 새로 일어난다는 뜻에서 ‘신흥리’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신흥리(新興里)[함창읍]는 본래 함창군 동면의 지역으로 새로 새겼다는 뜻으로 ‘새마’, ‘신흥’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아천리(雅川里)는 마을의 계곡물이 맑다 하여 ‘아천(雅川)’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안용리(安龍里)는 안용사(安龍寺)가 있었으므로 ‘안용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양범리(良凡里)는 지형이 뱀의 목처럼 생겨서 ‘양배미기’ 또는 ‘양범동(良凡洞)’이라 하였다고도 하고, 마을 사람들이 착하고 선비가 많이 났다 하여 ‘양범(良凡)’이라 하였다고도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에 속하는 법정리. 양정리(楊亭里)는 공갈못[상주 공검지] 주변에 버드나무 정자가 많이 있으므로 ‘양정(楊亭)’이라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양지리(陽地里)는 산기슭 양달에 남향으로 아늑하게 위치하여 ‘양달마’, 또는 ‘양지(陽地)’라 한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어산리(於山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어산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엄암리(嚴岩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엄정리(嚴井里)의 ‘엄(嚴)’ 자와 풍암리(風岩里)의 ‘암(岩)’ 자를 따서 ‘엄암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여물리(與物里)는 마을 앞의 이안천(利安川)이 여울 지어 흘러 ‘여물’, ‘여무리’ 또는 ‘여수리’라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에 속하는 법정리. 역곡리(力谷里)는 오봉산(五峯山) 아래로 힘이 강한 사람이 많이 나와서 ‘역곡(力谷)’이라 이름이 붙여졌다....
-
선사 시대부터 현재까지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역사. 경상북도 서북쪽에 있는 상주는 서쪽으로 소백산맥, 동쪽으로 낙동강을 품고 있다. 소백산맥 자락의 여러 명산과 낙동강 유역의 너른 벌판을 중심으로 고대에는 사벌국(沙伐國)이 형성되었다. 삼국 통일 과정에서 상주는 신라의 전략적 요충지 역할을 하였다. 지금의 상주 지역은 고대·중세 동안 상주(尙州)·함창(咸昌) 두 고을을 중심으로 발...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연봉리(蓮峰里)는 조선 시대 상주목사가 한양에서 오는 귀한 손님을 맞이하는 연봉정(蓮峰亭)이 있으므로 ‘연봉정’, 혹은 ‘연봉(蓮峰)’이라 부른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예의리(禮儀里)는 처음에는 ‘여우골’ 또는 ‘여우곡’이라 하였으나 상산 박씨가 살면서 ‘예의골’ 또는 ‘예의곡’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에 속하는 법정리. 예주리(曳舟里)는 이안천(利安川) 강물이 많은 시절 소금배가 왕래하였다 하여 ‘예주(曳舟)’라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오동리(梧桐里)는 머구나무[머귀나무]가 있다 하여 ‘머구남골’, ‘머구낭골’, ‘모개남골’ 또는 ‘오동’이라고 불린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오사리(梧沙里)는 큰 우물이 있다 하여 ‘오수물’, ‘오손물’ 또는 ‘오사’라고 부른 데서 ‘오사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오상리(梧上里)는 비봉산 아래 오동에 봉황을 서식하게 한다는 뜻으로 오동나무를 많이 재배한다는 것에서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폭포. 오송폭포(五松瀑布)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폭포이다. 속리산국립공원 권역 내에 있다. 오송폭포와 오송폭포 주변의 시어동에는 칡넝쿨이 나무를 휘감으며 올라가 있는데, 원래는 땅으로 뻗던 칡넝쿨에 문장대를 오르던 세조가 걸러 넘어지자 칡넝쿨은 세조에게 큰 호통을 들었으며, 이때부터 땅으로 기지 않고 나무를 타고 올라갔다는 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에 속하는 법정리. 오태리(五台里)는 마을 뒷산의 봉우리가 다섯이고 정승도 다섯이 태어났다 하여 ‘오태(五台)’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외서면(外西面)은 상주의 바깥쪽 서편에 위치하므로 ‘외서면’이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담리(龍潭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황룡리(黃龍里)의 ‘용(龍)’ 자와 우기 시 상습 침수 지구를 ‘덤벙’이라고 한 것을 한역(漢譯)하여 ‘담’으로 고치고 ‘용담리’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과 문경시 농암면 사이를 흐르는 계곡. 용유계곡(龍遊溪谷)은 상주시 화북면에서 발원하여 도장산과 청화산 사이를 지나는 계곡이며, 낙동강 수계에 해당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유리(龍遊里)는 산수가 아름답고 용추가 있으며, 용이 노닐었다고 하여 ‘용유리’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포리(龍浦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용중리(龍中里)의 ‘용(龍)’ 자와 반포리(伴浦里)의 ‘포(浦)’ 자를 따서 ‘용포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호리(龍湖里)는 창말마을 앞 냇가에 있는 용이 승천하려다 하늘에 오르지 못하고 떨어져 바위가 되었다는 ‘용바우’에서 유래하여 ‘용호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우물리(于勿里)는 임진왜란 때 남원 양씨가 이거하였고 그 후 풍산 유씨가 이주하여 처음 마을 이름을 ‘우천(愚川)’[당나라 학자 유종원이 사는 곳이 우계라고 하는 것에 연유]이라 하다가 그 뒤 ‘우무실’로 불린 것에서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우산리(愚山里)는 우산 아래가 되므로 ‘우산(愚山)’이라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운평리(云坪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운가리(云可里)의 ‘운(云)’ 자와 신평리(新坪里)의 ‘평(坪)’ 자를 따서 ‘운평리’라고 하였다. 운가리는 운곡이라고도 하는데, 아침마다 마을 양편으로 흐르는 개울 골짜기에 안개가 자욱하다고 하여 서운(瑞雲)이 감돈다는 뜻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운흥리(雲興里)는 과거 용화사가 있어 용화마을이 본 마을이었으나,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운흥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원장리(遠墻里)는 석단산을 비롯한 산들이 멀리서 담장처럼 아름답게 둘러싸고 있다는 것에서 유래하여 ‘원(遠)’ 자와 ‘장(墻)’ 자의 뜻을 따서 ‘원장리’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원흥리(元興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백원리(白元里)의 ‘원(元)’ 자와 신흥리(新興里)의 ‘흥(興)’ 자를 따서 ‘원흥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월로리(月老里)는 사방으로 산이 에워싸고 있고 산에서 마을을 보면 다리미 모양처럼 생겼다고 하여 ‘다리굴‘, ‘월골’, ‘월로’, ‘월로곡’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유곡리(柳谷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유천리(柳川里)의 ‘유(柳)’ 자와 매곡리(梅谷里)의 ‘곡(谷)’ 자를 따서 ‘유곡리’라 하였다. 유천리는 북쪽에 있는 들이라는 뜻으로 버드들이라고 하였다. 뒷산에 매화꽃이 많이 피었다는 것에서 유래하여 매곡리라고 불렸다....
-
경상북도 상주시의 산업 중 재화 및 서비스가 생산자에서부터 최종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여러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활동과 관련된 업종. 유통(流通)은 상품의 인도·구매·보관·운반·판매 등과 관련하여 상품의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일체의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과정은 산업의 발전과 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윤직리(允直里)는 본래 함창군 북면의 지역으로 관원들의 집단촌이라는 것에서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에 속하는 법정리. 율곡리(栗谷里)는 숭덕산(崇德山) 아래 밤나무가 많아서 ‘밤실’, 혹은 ‘율곡(栗谷)’이라 한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율리(栗里)는 밤나무가 많다는 것, 도연명(陶淵明)이 살던 율리와 같다는 것에 유래하여 ‘밤갓’, ‘방갓’, ‘밤나무솔’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율림리(栗林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율현리(栗峴里)의 ‘율(栗)’ 자와 장림리(長林里)의 ‘림(林)’ 자를 따서 ‘율림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이동리(梨洞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윗배올[上梨里], 아랫배올[下梨里]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배’를 한역하여 ‘이동리’라고 하였다는 설과 음달마 동쪽 산기슭에 고목이 된 배나무가 있어 ‘이동리’라고 하였다는 설이 전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이소리(以所里)는 조선 시대 화령현(化寧縣)이 있던 곳으로 ‘너래이’, ‘누항’, ‘이소’라 불렀던 것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이안리(利安里)는 고려 때 이안부곡의 옛 이름을 따서 ‘이안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이안면(利安面)는 고려 시대에 있던 이안부곡의 옛 이름을 따서 ‘이안면’이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이천리(伊川里)는 두 개의 내[川]가 하나로 합쳐지는 곳이라 하여 ‘이천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이촌리(泥村里)는 진흙이 많으므로 ‘헐골’, 혹은 ‘이촌(泥村)’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분포하고 있는 인문 지리적 요소. 상주시는 경상북도 서북쪽의 내륙에 있는 도농 복합형 도시로서 동쪽으로 경상북도 구미시와 의성군, 서쪽으로 충청북도 보은군·옥천군·괴산군, 남쪽으로는 경상북도 김천시와 충청북도 영동군, 북쪽으로 충청북도 문경시와 예천군과 접하여 있다. 동경 127°47′~128°21′, 북위 36°14′~36°39′에 위치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임곡리(壬谷里)는 사방을 산이 에워싼 골짜기라 하여 ‘임실’, 또는 ‘임곡(壬谷)’이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와 장암리의 경계에 있는 산. 입석대(立石臺)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와 장암리의 경계에 있는 1,010.3m의 산이다. 속리산 정상부의 주 능선에서 천왕봉, 비로봉, 문장대로 이어지는 높은 봉우리 중 하나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입석리(立石里)는 선돌이 있으므로 ‘선돌’, ‘선돌배기’, ‘입석(立石)’이라 하였던 것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재배한 뽕나무로 누에를 쳐서 비단의 원료인 생사를 생산하는 전통 산업. 뽕잎을 먹여 누에를 기르는 사업을 양잠업(養蠶業)이라고 하고, 누에고치에서 명주실과 비단의 원료인 생사(生絲)를 생산하는 사업을 제사업(製絲業)이라고 한다. 양잠업과 제사업은 분리할 수 없는 관계여서 양잠업과 제사업을 합하여 잠사업(蠶絲業)이라고 칭한다. 잠사업은 비교적 협소한 토지에서...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장곡리(長谷里)는 지형이 노루처럼 생겼다 하여 ‘노루실’, 또는 ‘장곡’이라고 불린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에 속하는 법정리. 장암리(壯岩里)[은척면]는 칠봉산에 있는 ‘장암’의 이름을 따 ‘장암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장암리(壯岩里)[화북면]는 큰 바위가 있다 하여 ‘장바우’, 또는 ‘장암(壯岩)’이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정산리(井山里)는 산[백화산] 중에 우물[井]이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감뫼’, ‘감산’ 또는 ‘정산’이라고도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정양리(正陽里)는 양지바르다는 뜻에서 유래하여 ‘정양리’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의 산업 중 각종 원료를 가공하여 물품을 만들어 내는 업종. 제조업(製造業)이란 물질 또는 구성 요소에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새로운 제품으로 전환시키는 산업 활동을 의미한다. 즉 농업, 수산업, 임업 등 제1차 산업에서 생산된 원료를 가공하여 제2차적 생산을 수행하는 산업으로서 광업 등과 함께 제2차 산업으로 분류된다. 제조업은 중공업과 경공업으로 구분되기도...
-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주거 공간 및 주거와 관련된 생활 관습. 집은 인간 생활의 기본이 되는 시설로서 인간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며 가정과 사회생활의 바탕이 된다. 주거의 양식과 주생활은 자연환경이나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서 특색을 띤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은 넓은 들과 낙동강이 흐르고 있어 오래전부터 주거지가 형성되었다. 또한 근대 이전까지 경상도 지역의 주요 도시로서 읍치가...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죽암리(竹岩里)는 바위 층 위에 대나무가 무성하고 비봉산의 봉황이 죽실(竹實)을 따 먹는 형국이라는 것에 유래하여 ‘죽암’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중눌리(中訥里)는 눌리의 가운데가 되므로 ‘중눌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법정면. 중동면(中東面)은 상주 읍내 동쪽에 위치한다는 것에서 유래하여 ‘중동면’이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중벌리(中伐里)는 벌판 가운데에 마을이 들어서서 중벌리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에 속하는 법정리. 중소리(中所里)는 염소목의 중앙이라 여겨 ‘중소(中所)’라 한 데서 ‘중소리’라 명칭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증촌리(曾村里)는 가야왕릉 둘레에 동그랗게 마을이 형성됨으로써 동그라미가 변음되어 ‘징그람’, ‘징그름’, ‘징그래미’ 또는 ‘증촌’으로 부른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산리(芝山里)[모서면]는 지형이 마치 누운 소와 같고, 소에게는 풀밭이 있어야 좋다는 의미로 마을 이름을 ‘지산(芝山)’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산리(芝山里)[이안면]는 산 둘레에 잔디가 아름답게 둘러 있어 ‘지산(芝山)’이라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산리(池山里)[화서면]는 이전에 큰 못이었던 곳에 마을이 들어섰고 해당 지역이 못 안이 되므로 ‘못안’, ‘모산’, ‘제내’ 또는 ‘지산’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평리(支坪里)는 마을 앞에 동서로 큰 들이 펼쳐져 있어 ‘경들’ 또는 ‘지평(支坪)’이라 한 데서 ‘지평리’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척동리(尺洞里)는 넓은 들판이면서도 산 아래 있는 마을이라 ‘자골’·‘작골’·‘척동’이라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여기서 ‘자’는 우리말 산(山)을 뜻하는데, ‘자’를 한자로 옮기면서 훈차하여 척(尺)이라 쓴 것으로 보인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법정면. 청리면(靑里面)은 본래 조선 시대 청리현의 남쪽이라는 것에 유래하여 청남면이라 하였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청리현의 이름을 따서 ‘청리면’이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청상리(靑上里)는 과거의 청리현 읍내 위쪽 마을이라는 뜻으로 청상리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청하리(靑下里)는 청리현 읍내 아래쪽이라는 뜻으로 청하리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가축을 사육하고, 사육한 가축의 생산물을 가공하는 산업. 상주시의 축산업(畜産業)은 1960년대 이후 정부의 축산 진흥 정책에 따라 농가 부업 수준으로 영위되어 오던 가축의 사육이 중요한 농특산물 산업 중 하나로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 이후에는 축산업에 대한 각종 지원 및 소득 증가에 따른 식생활 변화로 점차 전문화되어 기업 형태로 발전하였다. 202...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태봉리(台封里)는 태봉산이 있다는 것에 유래하여 ‘태봉리’라 불리게 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퇴강리(退江里)는 낙동강 강가라는 뜻에서 ‘물미’라고 하였던 것이 한역되어 ‘물뫼[물미]→문산→퇴산(退山)→퇴강(退江)’으로 변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판곡리(板谷里)는 주위에 산이 울창하여 판자로 쓰일 아름드리 나무가 많다고 하여 ‘너러실’ 혹은 ‘판곡(板谷)’이라고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으며, ‘판곡리’는 또한 ‘너른 골짜기’라는 의미도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평산리(平山里)는 넓고 평평한 들에 산이 있으므로 ‘평산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평온리(坪溫里)는 훈기가 있고 온화한 곳이라 하여 평온리라 하였다고 전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하갈리(下葛里)는 갈미 아래쪽에 있다는 것에 유래하여 ‘하갈미’ 또는 ‘하갈산’, ‘하갈’이라고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갈미는 하갈리 남쪽 마리산 중턱에 있는 골짜기를 일컫는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하송리(下松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하달리(下達里)의 ‘하(下)’ 자와 송천리(松川里)의 ‘송(松)’ 자를 따서 ‘하송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하초리(下草里)는 샛골 아래쪽에 있다는 것에 유래하여 ‘아래샛골’, ‘새터’, ‘하초’라고 한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학하리(鶴下里)는 백학산(白鶴山)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가 이어 오는 전국 최대 명주 생산지로서의 역사와 문화, 가치에 관한 이야기. 상주시의 명주는 상주쌀, 상주곶감, 상주한우와 함께 상주 지역을 대표하는 특산물이다. 상주 지역은 조선 시대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잠사업(蠶絲業)이 크게 발달하였고, 전국 최대 양잠업 주산지로 명성을 떨쳤다. 상주의 양잠업은 특히 일제 강점기에 매우 번성하여 1943년에는 연간 누에고치...
-
경상북도 상주군에 속하는 법정읍. 함창읍(咸昌邑)은 조선 시대 함창현의 중심 지역이었던 것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고려사지리지(高麗史地理志)』에 의하면 “함창군은 원래 고령(古寧) 가야국으로 신라가 빼앗아서 고동람군(古冬欖郡)[고릉군(古陵郡)이라고도 함]으로 만들었고 경덕왕이 고령군으로 고쳤다. 964년(광종 15)에 함녕군(咸寧郡)으로 고쳤고 1018년(현종 9)에 본 목에 소속...
-
1945년 8월 15일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역사. 1945년 해방 직후 상주 지역에서는 좌우익 간의 이념 갈등이 심화됐다.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6·25 전쟁 당시 상주 지역은 주요 전장 가운데 하나였고, 큰 피해를 입었다. 1960년대 이후 산업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주 지역은 농업 중심의 경제가 발달하였다. 해방 이후 여러 차례의 행정 구역...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호음리(好音里)는 산천(山川)의 경치가 매우 빼어나다 하여 ‘호음(好音)’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화남면(化南面)은 화령현(化寧縣)의 남쪽이 되므로 화남면이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달리(化達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화룡리(化龍里)의 ‘화(化)’ 자와 달천리(達川里)의 ‘달(達)’ 자를 따서 ‘화달리’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동리(華洞里)는 조선 시대 역마를 먹이던 곳이어서 ‘수골’, ‘숫골’ 또는 ‘화동(禾洞)’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화동면(化東面)은 화령현(化寧縣)의 동쪽이 되므로 ‘화동(化東)’이라 한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화북면(化北面)은 화령현(化寧縣)의 북쪽이 되므로 ‘화북면’이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산리(花山里)는 갑장산 동남 기슭에 있으며, 마을 주변 계곡과 주위 산에 꽃이 많이 핀다고 하여 ‘화계’라고 불린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화서면(化西面)은 화령현(化寧縣)의 서쪽이 되므로 ‘화서(化西)’라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현리(花峴里)는 나화리와 나화리에 있는 접현의 이름을 따서 화현리라 하였다고 전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에 속하는 법정리. 황령리(黃嶺里)는 황령사가 있어 황령리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회상리(回上里)는 회가 많이 났다는 것 또는 마을을 떠난 사람들이 다시 돌아온다고 하여 ‘회골(回골)’이라 하였다는 것에 유래하여 ‘횟골’, ‘힛골’, ‘회곡’, ‘회상동’이라고 불린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흑암리(黑岩里)는 마을 뒤 대가산 중턱에 검은 바위가 있다 하여 ‘흑암(黑岩)’이라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