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세규(姜世揆)[1762~1833]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공서(公敍), 호는 긍암(兢菴)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석경(姜碩經)이고, 할아버지는 강현(姜木+賢)이다. 아버지는 강필형(姜必炯)이고, 어머니는 이석좌(李碩佐)의 딸 성산 이씨(星山 李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세륜(姜世綸)[1761~1842]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문거(文擧), 호는 지원(芝園)·지포(芝圃)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통덕랑 강석번(姜碩蕃)이고, 할아버지는 장례원판결사 강박(姜檏)이다.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강필악(姜必岳)이고, 어머니는 이재후(李載厚) 딸 여주 이씨(驪州 李氏)이다. 부인은 고첨(高詹)의 딸이고, 아들은 강경흠(姜敬欽...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세백(姜世白)[1748~1824]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청지(淸之), 호는 호린(皓隣)·기치(杞痴)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석번(姜碩蕃)이고, 할아버지는 장례원판결사 강박(姜樸)이다. 아버지는 강필악(姜必岳)이며, 어머니는 사헌부지평 이재후(李載厚)의 딸 여주 이씨(驪州 李氏)이다. 부인은 박필경(朴必慶)의 딸이고, 아들은 강장흠(姜章欽)이...
-
조선 후기 상주판관을 역임한 문신. 권길(權吉)[1550~1592]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응선(應善)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천부사 권한(權僩)이고, 할아버지는 충좌위호군 권승업(權承業)이다. 아버지는 충좌위사직 권익(權翊)이고, 어머니는 박종원(朴宗員)의 딸 상주 박씨(尙州 朴氏)이다. 부인은 박염(朴𥖝)의 딸 창원 박씨(昌原 朴氏)이고, 아들은 권흔(權訢)·권함(權諴...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류심춘(柳尋春)[1762~1834]의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상원(象遠)·상수(象叟), 호는 강고(江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류후겸(柳後謙)이고, 할아버지는 류성로(柳聖魯)이다. 아버지는 류광수(柳光洙)이고, 어머니는 조시경(趙時經)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큰아버지 류발(柳潑)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첫 번째 부인은 이의수(李宜秀)의...
-
경상북도 상주시 무양동에 있는 개항기 충효각. 이삼억 사세 충효각(李三億 四世 忠孝閣)은 이삼억(李三億)과 아들 이경번(李慶蕃), 증손 이정하(李挺夏), 현손 이복운(李復運), 상주 아전 이경대(李慶大)의 충효를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이삼억의 본관은 경주로, 임진왜란 때 활약한 이경남(李景南)의 후손이다.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키고 장기(將旗)에 피로 ‘단단고충(...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사당. 충렬사(忠烈祠)는 상주 임란북천전적지(尙州 壬亂北川戰跡地)에 있는 사당이다. 상주 임란북천전적지는 임진왜란 북천전투(北川戰鬪) 때 중앙군이 왜군과 처음 싸운 장소로, 전쟁 과정에서 종사관 교리 윤섬(尹暹), 병조좌랑 이경류(李慶流), 종사관 박호(朴箎), 상주판관 권길(權吉), 사근도찰방 김종무(金宗武), 호장 박걸(朴傑), 의병장 김준신(金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