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인(姜絪)[1555~1634]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인경(仁卿), 호는 시암(是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영숙(姜永叔)이고, 할아버지는 의정부사인 강온(姜溫)이다. 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姜士尙)이고, 어머니는 훈련원부정 윤광운(尹光運)의 딸 파평 윤씨(坡平 尹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고유(高裕)[1722~1779]의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자는 순지(順之), 호는 추담(秋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고한익(高漢翊)이고, 할아버지는 고사석(高師錫)이다. 아버지는 고규서(高奎瑞)이고, 어머니는 김익남(金益南)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도사 전광제(全光濟)의 딸 용궁 전씨(龍宮 全氏)이고, 두 번째 부인...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노계원(盧啓元)[1695~1740]의 본관은 광산(光山)[광주(光州)]이며, 자는 백춘(伯春), 호는 운음(芸陰)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언 노준명(盧峻命)이고, 할아버지는 노사현(盧思賢)이다. 아버지는 노하적(盧夏績)이고, 어머니는 윤휘창(尹彙昌)의 딸 파평 윤씨(坡平 尹氏)이다. 부인은 권세휘(權世徽)의 처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고, 아들은 노문헌...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이소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노대하(盧大河)[1546~1610]의 본관은 광주(光州)[광산(光山)]이며, 자는 수오(受吾), 호는 이소당(履素堂)·소헌(素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풍저창수 노후(盧珝)이고, 할아버지는 활인서별제 노홍(盧鴻)이다. 아버지는 돈녕부첨정 노극신(盧克愼)고, 어머니는 청주목사 이증영(李曾榮)의 딸 덕산 이씨(德山 李氏)이...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금산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노수신(盧守愼)[1515-1590]의 본관은 광주(光州)[광산(光山)]이며, 자는 과회(寡悔), 호는 소재(蘇齋)·이재(伊齋)·암실(暗室)·여봉노인(茹峰老人) 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돈녕부참봉 노경장(盧敬長)이고, 할아버지는 풍저창수 노후(盧珝)이다. 아버지는 활인서별제 노홍(盧鴻)이고, 어머니는 대사헌 이자화(李自華)...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거주한 문신. 신집(申楫)[1580~1639]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여섭(汝涉), 호는 하음(河陰)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호군 신종위(申從渭)이고, 할아버지는 습독 신연(申演)이다. 아버지는 주부 신경남(申慶男)이고, 어머니는 참봉 권제세(權濟世)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사정 홍덕록(洪德祿)의 딸 부림 홍씨(缶林 洪氏)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