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권경호(權景虎)[1546~1609]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종경(從卿), 호는 만오헌(晩悟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군위현감을 지낸 권임(權琳)이고, 할아버지는 교리 권달수(權達手)이다. 아버지는 안동부사 권소(權紹)이며, 어머니는 파평 윤씨(坡平 尹氏)와 인동 장씨(仁同 張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서윤(庶尹) 이원(李愿)의 딸 성주 이씨(星...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충(金冲)[1513~1572]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며, 자는 화길(和吉), 호는 서대(西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부사과 김극효(金克孝)이고, 할아버지는 김삼산(金三山)이다. 아버지는 성균관전적 김옹(金顒)이고, 어머니는 정구(鄭俅)의 딸이다. 부인은 현감을 지낸 장세강(張世綱)의 딸 풍덕 장씨(豊德 張氏)이고, 아들은 김지대(金之岱)·김지연(金之衍...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에 있는 풍산 류씨 류진의 종가. ‘수암 류진 종가(修巖 柳袗 宗家)’는 풍산 류씨 류성룡(柳成龍)[1542-1607]의 서애파에서 분파된 우천파의 종가로 류진(柳袗)[1582~1635]을 파조로 한다. 종가의 이름은 류진의 호 수암(修巖)을 따서 지었다. 류진은 상주 우천에 이거한 이후 ‘상주 수암 류진 종가’ 또는 ‘수암공파’로 불리며 서애학통을 상...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전개된 공자의 사상을 중심으로 한 학문. 유교(儒敎)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서 전개된 공자, 맹자 등 유가의 정치 사상과 학문 수양, 그리고 의례 등의 가르침을 실천하려는 철학 사상이자 생활 윤리라 할 수 있다. 삼국 시대 전기에 도입된 이래 개인과 가족, 국가 전체를 유지하는 규범으로 자리 잡았다. 상주 지역의 유학 역시 우주의 원리를 궁구하고 윤리를...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전극항(全克恒)[1590~1636]의 본관은 옥천(沃川)이며, 자는 덕고(德古)·덕구(德久), 호는 규천(虯川)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전혼(全焜)이고, 할아버지는 전여림(全汝霖)이다. 아버지는 대사헌 전식(全湜)이고, 어머니는 홍천서(洪天敍)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다. 부인은 사헌부감찰 조기원(趙基遠)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고, 아들은 전...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정경세(鄭經世)[1563~1633]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경임(景任), 호는 우복(愚伏)·일묵(一默)·하거(河渠)·송록(松麓)·승성자(乘成子)·석총도인(石潨道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계함(鄭繼咸)이고, 할아버지는 정은성(鄭銀成)이다. 아버지는 정여관(鄭汝寬)이고, 어머니는 이가(李軻)의 딸 합천 이씨(陜川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이해...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율리에 있는 존애원의 역사적 가치와 현대적 의미. 존애원(存愛院)은 임진왜란 이후 향촌 사회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1599년(선조 32) 결성된 낙사계(洛社契)의 지원으로 설립되었다. 이후 180여 년 동안 상주 지역의 의료 기관인 동시에 강학 공간이자, 향촌 사회의 교화 기능을 담당하는 복합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존애원은 경제적 사정 등으로 인하여 18세기에...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홍여하(洪汝河)[1620~1674]의 본관은 부계(缶溪)이며, 자는 백원(百源), 호는 목재(木齋)·산택재(山澤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경삼(洪景參)이고, 할아버지는 홍덕록(洪德祿)이다. 아버지는 대사간 홍호(洪鎬)이고, 어머니는 고종후(高從厚)의 딸 장흥 고씨(長興 高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황덕유(黃德柔)의 딸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고, 첫...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황뉴(黃紐)[1578~1626]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회보(會甫), 호는 반간(槃澗)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조참판 황효헌(黃孝獻)이고, 할아버지는 황증(黃憕)이다. 아버지는 현감 황준원(黃俊元)이고, 어머니는 민사설(閔師說)의 딸 여흥 민씨(驪興 閔氏)이다. 부인은 조희철(趙希轍)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 이희민(李希閔)의 딸 연안 이...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문신. 황덕유(黃德柔)[1596~1659]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응곤(應坤), 호는 불환정(不換亭)·두곡(杜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징(黃憕)이고, 할아버지는 황준원(黃俊元)이다. 아버지는 황뉴(黃紐)이고, 어머니는 조희철(趙希轍)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부인은 사헌부대사헌 전식(全湜)의 딸 옥천 전씨(沃川 全氏)이고, 아들은...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황면(黃緬)[1600~1670]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원보(遠甫), 호는 만오(晩悟)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철성(黃鐵星)이고, 할아버지는 황확(黃確)이다. 아버지는 황현경(黃玄慶)이고, 어머니는 철성 이씨(鐵城 李氏)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