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32년에 편찬된 상주목과 함창현의 관찬 읍지.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 「상주목읍지」·「함창현읍지」는 1832년(순조 32) 규장각(奎章閣)의 지시로 경상감영에서 완성한 경상도 도지의 상주목과 함창현 읍지이다. 감영의 완성본은 규장각으로 보고하여 현전하고 있지만, 당시 완성본과 같은 복본(複本)을 남겼는지는 알기 어렵다. 각 고을에 남아 있는 1832년 읍지를 보면, 경상감영...
1895년 경상도 상주목과 함창현에서 편찬한 관찬 읍지와 읍사례. 『영남읍지』 「상주목읍지」·「함창현」은 갑오개혁기인 1895년 초 경상도 상주목과 함창현에서 편찬한 읍지와 읍사례로 경상감영에서 성책하여 의정부(議政府)에 보고한 것이다....
1871년 경상도 함창현에서 편찬한 관찬 읍지. 『영남읍지(嶺南邑誌)』 「함창현읍지(咸昌縣邑誌)」는 전국 읍지 편찬 사업의 성과물로서, 경상도 함창현에서 장당 20행인 책판 견본에 맞추어 편찬한 읍지이며, 경상감영에서 성책하였다....
1871년과 1894년 경상도 유곡역에서 편찬한 상주 지역 소속 역 사례가 수록된 역지 2종. 『유곡도역지(幽谷道驛誌)』 2종은 1871년(고종 8)과 1894년 정부의 지시로 경상도 유곡역에서 편찬한 역지로 본역과 소속 18개 역의 사례를 수록하였다. 유곡도(幽谷道)는 본역인 유곡역이 문경현에 있었다. 속역은 문경현 요성역(聊城驛), 함창현 덕통역(德通驛), 상주목 낙원역(洛原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