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세륜(姜世綸)[1761~1842]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문거(文擧), 호는 지원(芝園)·지포(芝圃)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통덕랑 강석번(姜碩蕃)이고, 할아버지는 장례원판결사 강박(姜檏)이다.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강필악(姜必岳)이고, 어머니는 이재후(李載厚) 딸 여주 이씨(驪州 李氏)이다. 부인은 고첨(高詹)의 딸이고, 아들은 강경흠(姜敬欽...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세백(姜世白)[1748~1824]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청지(淸之), 호는 호린(皓隣)·기치(杞痴)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석번(姜碩蕃)이고, 할아버지는 장례원판결사 강박(姜樸)이다. 아버지는 강필악(姜必岳)이며, 어머니는 사헌부지평 이재후(李載厚)의 딸 여주 이씨(驪州 李氏)이다. 부인은 박필경(朴必慶)의 딸이고, 아들은 강장흠(姜章欽)이...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항(姜杭)[1702~1787]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이직(而直), 호는 시북(市北)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홍윤(姜弘胤)이고, 할아버지는 강균(姜均)이다. 아버지는 강석우(姜碩遇)이고, 어머니는 이성일(李星逸)의 딸 예안 이씨(禮安 李氏)이다. 강항은 큰아버지 강석기(姜碩耆)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고유(高裕)[1722~1779]의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자는 순지(順之), 호는 추담(秋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고한익(高漢翊)이고, 할아버지는 고사석(高師錫)이다. 아버지는 고규서(高奎瑞)이고, 어머니는 김익남(金益南)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도사 전광제(全光濟)의 딸 용궁 전씨(龍宮 全氏)이고, 두 번째 부인...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문신. 권상일(權相一)[1679~1759]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태중(台仲), 호는 청대(淸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구(權坵)이고, 할아버지는 권이칭(權以偁)이다. 아버지는 권심(權深)이고, 어머니는 부사 이달의(李達意)의 딸 경주 이씨(慶州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김가주(金可柱)의 딸 선성 김씨(宣城 金氏), 두 번째 부인은...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의병장. 김일(金鎰)[?~1592]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계(金氵+戒)이고, 할아버지는 별좌를 지낸 김광헌(金光憲)이다. 아버지는 장사랑 김희경(金希慶)이고, 어머니는 청주 한씨(淸州 韓氏)이다. 부인은 인동 장씨(仁同 張氏)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내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녀각. 김일 효녀각(金鎰 孝女閣)은 임진왜란 때 전사한 김일(金鎰)의 딸 상산 김씨를 기리기 위하여 1793년 건립하였다. 상산 김씨는 전란 중 아버지가 전사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가노(家奴)와 함께 전쟁터에서 아버지의 시신을 찾아 임시로 매장하였다가 왜적이 물러간 뒤 장례를 치렀다. 무덤 앞에 아무 글을 새기지 않은 비석을 세우고...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류심춘(柳尋春)[1762~1834]의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상원(象遠)·상수(象叟), 호는 강고(江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류후겸(柳後謙)이고, 할아버지는 류성로(柳聖魯)이다. 아버지는 류광수(柳光洙)이고, 어머니는 조시경(趙時經)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큰아버지 류발(柳潑)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첫 번째 부인은 이의수(李宜秀)의...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상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각. 유유발 효자각(劉有發 孝子閣)은 조선 시대 상주의 속현인 청리현(靑理縣) 출신 유유발(劉有發)[1688~1756]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유유발의 효행은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와 『상산지(商山誌)』 등에 기록되어 있다. 유유발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계모의 박대에도 효도로 감동시켰고, 아버지가 사망하자...
-
임진왜란 초기 순변사 이일이 지휘하는 중앙군과 경상북도 상주의 지방군이 연합하여 중로를 따라 북상하는 왜군에 대응하여 맞서 싸운 전투. 1592년(선조 25) 4월 13일 왜란 발발 이후 조정에서는 이일(李鎰)을 순변사(巡邊使)로 임명하여 경상북도 상주로 급히 파견하였다. 『징비록(懲毖錄)』에 따르면, 이일은 군관과 궁수 60여 명만을 이끌고 경상북도 상주에 도착하였다고 한다. 당...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이경유(李敬儒)[1750~1821]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자는 덕무(德懋), 호는 임하(林下)·반속(半俗)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만부(李萬敷)이고, 할아버지는 이지빈(李之彬)이다. 아버지는 이승연(李承延)이고, 어머니는 윤수의 딸 함안 윤씨(咸安 尹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최강옥(崔光玉)의 딸 완산 최씨(完山 崔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조당(...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전극항(全克恒)[1590~1636]의 본관은 옥천(沃川)이며, 자는 덕고(德古)·덕구(德久), 호는 규천(虯川)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전혼(全焜)이고, 할아버지는 전여림(全汝霖)이다. 아버지는 대사헌 전식(全湜)이고, 어머니는 홍천서(洪天敍)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다. 부인은 사헌부감찰 조기원(趙基遠)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고, 아들은 전...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정종로(鄭宗魯)[1738~1816]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사앙(士仰), 호는 입재(立齋)·무적옹(無適翁) 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석교(鄭錫僑)이고, 할아버지는 정주원(鄭胄源)이다. 아버지는 정인모(鄭仁模)이고, 어머니는 홍익구(洪益龜)의 딸 부림 홍씨(缶林 洪氏)이다. 부인은 이민현(李民顯)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고, 아들은 정상진...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조석목(趙錫穆)[1726~1793]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원중(遠仲), 호는 정사(精舍)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대윤(趙大胤)이고, 할아버지는 조해(趙瀣)이다. 아버지는 조선경(趙善經)이고, 어머니는 박성임(朴聖任)의 딸 밀양 박씨(密陽 朴氏)이다. 작은아버지 조이경(趙履經)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첫 번째 부인은 장대의(張大誼)의 딸 인동 장...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사당. 충렬사(忠烈祠)는 상주 임란북천전적지(尙州 壬亂北川戰跡地)에 있는 사당이다. 상주 임란북천전적지는 임진왜란 북천전투(北川戰鬪) 때 중앙군이 왜군과 처음 싸운 장소로, 전쟁 과정에서 종사관 교리 윤섬(尹暹), 병조좌랑 이경류(李慶流), 종사관 박호(朴箎), 상주판관 권길(權吉), 사근도찰방 김종무(金宗武), 호장 박걸(朴傑), 의병장 김준신(金俊...
-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에 있는 조선 후기 충신과 의사를 기리는 비. 충신의사단비(忠臣義士壇碑)는 1592년(선조 25) 상주 북천전투에 참가하여 왜군과 싸우다 전사한 윤섬(尹暹)·이경류(李慶流)·박호(朴箎) 등 충신 3명과 경상북도 상주 출신으로 의병장이 되어 생을 마친 김준신(金俊臣)·김일(金鎰)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정조가 내린 단호(壇號)를 받들어 세운 비석이다. 비는 17...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황뉴(黃紐)[1578~1626]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회보(會甫), 호는 반간(槃澗)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조참판 황효헌(黃孝獻)이고, 할아버지는 황증(黃憕)이다. 아버지는 현감 황준원(黃俊元)이고, 어머니는 민사설(閔師說)의 딸 여흥 민씨(驪興 閔氏)이다. 부인은 조희철(趙希轍)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 이희민(李希閔)의 딸 연안 이...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황익재(黃翼再)[1682~1747]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재수(再叟), 호는 백화재(白華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집(黃緝)이고, 할아버지는 황재윤(黃載胤)이다. 아버지는 황진하(黃鎭夏)이고, 어머니는 김진익(金震釴)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다. 부인은 심종(沈棕)의 딸 청송 심씨(靑松 沈氏)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