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신석번(申碩蕃)[1596~1675]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중연(仲衍), 호는 백원(百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부사용 신공헌(申公獻)이고, 할아버지는 사복시주부 신운(申雲)이다. 아버지는 신근(申謹)이고, 어머니는 덕수 이씨(德水 李氏)이다. 부인은 현감 정숭연(鄭崇衍)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고, 아들은 신행(申烆)·신관(申爟)·신난(...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이주하여 정착한 문신. 이옥(李沃)[1641~1698]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자는 문약(文若), 호는 박천(博泉)·북애(北厓)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함경도관찰사 이창정(李昌庭)이고, 할아버지는 이심(李襑)이다. 아버지는 이조판서 이관징(李觀徵)이고, 어머니는 최호(崔皥)의 딸 삭녕 최씨(朔寧 崔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이동규(李同揆)의 딸 전주 이씨(全...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홍여하(洪汝河)[1620~1674]의 본관은 부계(缶溪)이며, 자는 백원(百源), 호는 목재(木齋)·산택재(山澤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경삼(洪景參)이고, 할아버지는 홍덕록(洪德祿)이다. 아버지는 대사간 홍호(洪鎬)이고, 어머니는 고종후(高從厚)의 딸 장흥 고씨(長興 高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황덕유(黃德柔)의 딸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고, 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