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곡리(佳谷里)는 사방이 둘러싸여서 오목하게 되었으므로 ‘오가실’, 또는 ‘오가곡’, ‘가곡(佳谷)’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곡리(佳谷里)는 사방이 둘러싸여서 오목하게 되었으므로 ‘오가실’, 또는 ‘오가곡’, ‘가곡(佳谷)’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초산동에 있는 닭고기 가공업체. 올품은 하림과 천하제일사료주식회사가 공동 출자하여 상주시에 설립한 하림의 계열사이다. 종계에서 부화, 사육, 도계, 유통까지 완벽한 수직 계열화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무항생제 닭고기는 물론 동물 복지 닭고기를 가공하여 생산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초산동에 있는 닭고기 가공업체. 올품은 하림과 천하제일사료주식회사가 공동 출자하여 상주시에 설립한 하림의 계열사이다. 종계에서 부화, 사육, 도계, 유통까지 완벽한 수직 계열화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무항생제 닭고기는 물론 동물 복지 닭고기를 가공하여 생산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막리(可幕里)는 지형이 마치 까마귀와 같다 하여 ‘가마기’, 또는 ‘가막’이라 하였던 것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에 속하는 법정리. 부곡리(釜谷里)는 마을 앞 뒷산에 솥 모양의 기암이 있어서 ‘가마실’ 혹은 ‘부곡(釜谷)’이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막리(可幕里)는 지형이 마치 까마귀와 같다 하여 ‘가마기’, 또는 ‘가막’이라 하였던 것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가리(德可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덕상리(德上里)의 ‘덕(德)’ 자와 가막리(可幕里)의 ‘가(可)’ 자를 따서 ‘덕가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가리(德可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덕상리(德上里)의 ‘덕(德)’ 자와 가막리(可幕里)의 ‘가(可)’ 자를 따서 ‘덕가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막리(可幕里)는 지형이 마치 까마귀와 같다 하여 ‘가마기’, 또는 ‘가막’이라 하였던 것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가리(德可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덕상리(德上里)의 ‘덕(德)’ 자와 가막리(可幕里)의 ‘가(可)’ 자를 따서 ‘덕가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간상리(肝上里)는 마을 앞에 개천이 모여 들고 낙동강이 여러 번 굽이치는 간곡에 마을이 위치하여 ‘간곡’, ‘간상’, ‘가무골’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민간에서 집 안 곳곳에 모시는 신에 대한 전통 신앙. 가신신앙은 집 안의 공간마다 모시는 가신(家神)에 대한 신앙 행위이며, 가족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기 위한 것이다. 경상북도 상주시 지역에서 확인되는 가신신앙은 성주, 삼신, 조왕, 측신, 터주 등이 있다. 성주는 가택과 대주의 수호신이며, 마루에 성주단지를 두고 성주단지 안에 쌀을 담아 모신다. 조왕은 부...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이축(李軸)[1565~1647]의 본관은 성주(星州)이며, 자는 덕재(德載), 호는 가악재(佳岳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계지(李繼祉)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이적(李績)이다. 아버지는 장례원판결사 이응춘(李應春)이고, 어머니는 함창 김씨(咸昌 金氏)이다. 부인은 안대윤(安大胤)의 딸 순흥 안씨(順興 安氏)이고, 아들은 이식(李植)·이각(李桷)·이병(李...
-
강원도 태백시에서 발원하여 경상북도 상주시를 지나 남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 낙동강(洛東江)은 경상북도 문경시에서 흘러와 상주시 사벌국면 퇴강리에서부터 낙동면 장곡리 구간을 지나 구미시로 흐르는 국가 하천이다. 낙동강의 국가 하천 구간은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삼각점, 단천삼각점 직선부터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낙동강 하굿둑의 외곽선까지이며, 유로 연장은 510.36㎞, 유역...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하여 오는 가정에서 빚는 술. 가양주(家釀酒)는 양조장이 아닌 가정에서 담그는 술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승되는 가양주는 주로 누룩과 물을 원료로 하며 집안마다 꽃이나 약재를 첨가하여 발효·숙성시킨다.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도 가정마다 대대로 전하여 오는 각기 다른 방법과 기술로 빚기 때문에 맛과 향기가 다양하다. 화학적 첨가물 없이 순수...
-
경상북도 상주시를 상징하는 시화로 지정된 장미목 장미과의 쌍떡잎식물. 장미(薔薇)는 장미과의 덩굴성 낙엽 활엽 관목이며 조선 시대에는 장미를 사계화, 월계화, 가우(佳友)로 불렀다고 한다. 장미는 꽃의 아름다운 형태와 짙은 향기 때문에 관상용과 향료용으로 재배하여 왔다. 장미는 품종이 다양하여 전 세계에 약 100여 종이 분포하며, 각 나라에서 관상용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장리(佳庄里)는 가장사가 있었으므로 ‘가장골’ 혹은 ‘가장곡’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장리(佳庄里)는 가장사가 있었으므로 ‘가장골’ 혹은 ‘가장곡’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가장동(佳庄洞)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가리(佳里)의 ‘가(佳)’ 자와 도장리(道庄里)의 ‘장(庄)’ 자를 따서 ‘가장리(佳庄里)’라 한 데서 명칭이 비롯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가장동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가장동 동제(佳狀洞 洞祭)는 경상북도 상주시 가장동에서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이 되면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고자 동제당에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가장동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가장동 동제(佳狀洞 洞祭)는 경상북도 상주시 가장동에서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이 되면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고자 동제당에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장리(佳庄里)는 가장사가 있었으므로 ‘가장골’ 혹은 ‘가장곡’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를 상징하는 시조(市鳥)로 지정된 텃새. 까치는 까마귓과의 텃새이며 15세기 문헌에는 ‘가치’로 기록되어 있고 가티, 갓치, 가지라고도 한다. 한자어로는 작(鵲), 희작(喜鵲), 신녀(神女), 비박조(飛駁鳥), 건작(乾鵲), 추미(芻尾)라고도 한다....
-
2008년에 경상북도 상주에서 활동한 아동문학가 권태문이 펴낸 동화집. 『가짜 백점』은 경상북도 안동에서 출생하고 상주에서 활동한 아동문학가 권태문(權泰文)[1938~2014]이 2008년에 홈북(Home Book)에서 펴낸 동화집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천리(佳川里)는 남천(南川) 연변에 있다는 것에 유래하여 ‘가피내’, ‘개피내’ 또는 ‘가천’이라고 부른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가천리에 있는 흥양 이씨 동성 마을. 가천리(佳川里)는 병성천과 마공천, 지류인 장산천이 합류하는 곳에 있어서 계변(溪邊) 또는 개피내·가피내라고 불렀다. 본래 청남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가천리·유천리·부담리·사계리를 합하여 경상북도 상주군 청리면 가천리로 개설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를 상징하는 시조(市鳥)로 지정된 텃새. 까치는 까마귓과의 텃새이며 15세기 문헌에는 ‘가치’로 기록되어 있고 가티, 갓치, 가지라고도 한다. 한자어로는 작(鵲), 희작(喜鵲), 신녀(神女), 비박조(飛駁鳥), 건작(乾鵲), 추미(芻尾)라고도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를 상징하는 시조(市鳥)로 지정된 텃새. 까치는 까마귓과의 텃새이며 15세기 문헌에는 ‘가치’로 기록되어 있고 가티, 갓치, 가지라고도 한다. 한자어로는 작(鵲), 희작(喜鵲), 신녀(神女), 비박조(飛駁鳥), 건작(乾鵲), 추미(芻尾)라고도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천리(佳川里)는 남천(南川) 연변에 있다는 것에 유래하여 ‘가피내’, ‘개피내’ 또는 ‘가천’이라고 부른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조익(趙翊)[1556~1613]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비중(棐仲), 호는 가휴(可畦)이다. 할아버지는 춘천부사 조윤녕(趙允寧)이고, 할아버지는 조희(趙禧)이다. 아버지는 조광헌(趙光憲)이고, 어머니는 찰방 홍윤최(洪胤崔)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사헌부감찰 박사눌(朴思訥)의 딸 밀양 박씨(密陽 朴氏)이고, 두 번째...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이루어지는 민속놀이이자 전통 운동경기.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맞잡고 상대를 먼저 넘어뜨리는 것으로 승부를 겨루는 전통 운동경기이자 민속놀이이다. 각저(角觝)·백희(百戲)·각기(角技)·상박(相撲)이라고도 한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는 주로 음력 5월 5일인 단오나 추석 같은 큰 명절에 건장한 장정들이 행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재산을 모으기 위하여 각방을 쓴 부부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각방에 거처한 부부」는 경상북도 상주시에 전하여 내려오는 민담이다. 가난한 두 부부가 각방을 쓰며 재산을 모으는 내용이다. 「각방에 거처한 부부」처럼 부를 축적하는 내용을 담은 이야기를 ‘치부담’이라고 한다. 치부담에는 몰락 양반이 농업이나 상업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어 돈을 번다거나, 양민...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이루어지는 민속놀이이자 전통 운동경기.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맞잡고 상대를 먼저 넘어뜨리는 것으로 승부를 겨루는 전통 운동경기이자 민속놀이이다. 각저(角觝)·백희(百戲)·각기(角技)·상박(相撲)이라고도 한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는 주로 음력 5월 5일인 단오나 추석 같은 큰 명절에 건장한 장정들이 행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간상리(肝上里)는 마을 앞에 개천이 모여 들고 낙동강이 여러 번 굽이치는 간곡에 마을이 위치하여 ‘간곡’, ‘간상’, ‘가무골’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류주목(柳疇睦)[1813~1872]의 본관은 풍산(豊山)이고, 자는 숙빈(叔斌), 호는 계당(溪堂)·간곡거사(澗谷居士)·노시산인(老柴散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류발(柳潑)이고, 할아버지는 돈녕부도정 류심춘(柳尋春)이다. 아버지는 좌의정 류후조(柳厚祚)이고, 어머니는 부사 이재연(李載延)의 딸 연안 이씨(延安 李氏)이다. 부인은 박기재(朴基載)의 딸 순...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간상리(肝上里)는 마을 앞에 개천이 모여 들고 낙동강이 여러 번 굽이치는 간곡에 마을이 위치하여 ‘간곡’, ‘간상’, ‘가무골’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간상리(肝上里)는 마을 앞에 개천이 모여 들고 낙동강이 여러 번 굽이치는 간곡에 마을이 위치하여 ‘간곡’, ‘간상’, ‘가무골’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간상리(肝上里)는 마을 앞에 개천이 모여 들고 낙동강이 여러 번 굽이치는 간곡에 마을이 위치하여 ‘간곡’, ‘간상’, ‘가무골’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고려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김택(金澤)[?~?]의 본관은 함창(咸昌)이며, 호는 간재(簡齋)이다. 아버지는 보문각대제학 김인완(金麟琬)이다. 부인은 영양 남씨(英陽 南氏)이고, 아들은 고려 문과에 급제하여 중대광을 지낸 김요(金饒)이다. 사위는 이곡(李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운평리(云坪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운가리(云可里)의 ‘운(云)’ 자와 신평리(新坪里)의 ‘평(坪)’ 자를 따서 ‘운평리’라고 하였다. 운가리는 운곡이라고도 하는데, 아침마다 마을 양편으로 흐르는 개울 골짜기에 안개가 자욱하다고 하여 서운(瑞雲)이 감돈다는 뜻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남면 동관리와 화북면 상오리를 연결하는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의 터널. 갈령터널은 터널이 갈령(葛嶺) 아래를 통과하여 붙은 이름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를 상징하는 시목으로 지정된 감나무목 감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감나무는 감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이며 5~6월에 담황색의 꽃이 피고 10월에 열매인 감이 등황색 또는 홍색으로 익는다. 예로부터 농경 문화가 발달한 상주시는 전형적인 농업 도시로서 쌀, 곶감[곶감의 분], 누에고치 등 흰 농산물 3가지가 많이 난다고 하여 ‘삼백(三白)의 고장’으로 유명하다. 삼백 중...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정산리(井山里)는 산[백화산] 중에 우물[井]이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감뫼’, ‘감산’ 또는 ‘정산’이라고도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정산리(井山里)는 산[백화산] 중에 우물[井]이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감뫼’, ‘감산’ 또는 ‘정산’이라고도 하였다....
-
1894년 경상북도 상주에서 일어난 동학농민군의 활동. 동학농민전쟁(東學農民戰爭)은 1894년(고종 31) 3월부터 1895년 초까지 삼남과 경기도·강원도·황해도 일대에서 동학농민군이 관군·일본군·민보군을 상대로 전개한 전쟁이다. 상주 지역에서 동학농민군은 1894년 5월 무렵부터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 이에 일본 영사관은 선산·상주·유곡이 경상도 지역에서 ‘동학농민군의 소굴’인...
-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갑장사(甲長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로서 연악산(淵岳山) 정상부에 있다. 갑장사는 서쪽 봉우리 정상부 아래에 남향으로 앉아 있다. 연악산은 갑장산(甲長山)이라고도 불린다....
-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갑장사(甲長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로서 연악산(淵岳山) 정상부에 있다. 갑장사는 서쪽 봉우리 정상부 아래에 남향으로 앉아 있다. 연악산은 갑장산(甲長山)이라고도 불린다....
-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갑장사 경내의 고려 후기 석탑. 갑장사 삼층석탑(甲長寺 三層石塔)은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말사 갑장사(甲長寺)에 있다. 갑장사는 1373년(고려 공민왕 22) 나옹(懶翁) 혜근(惠勤)[1320~1376]이 창건하고, 1797년(정조 21) 연파(蓮坡) 혜장(惠藏)[1772~1811]이 중수하였다. 갑장사 삼층석탑은 1985년 8월 5...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와 비룡리, 지천동의 경계를 이루는 산. 갑장산(甲長山)은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와 비룡리, 지천동에 걸쳐 있는 805.8m의 산이다. 예부터 상주를 대표하는 명산이며, 남 연악(淵岳)으로 불린다. 서 노악(露岳) 노음산과 북 석악(石岳) 천봉산과 함께 ‘상주 삼악’으로 이름나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를 상징하는 시조(市鳥)로 지정된 텃새. 까치는 까마귓과의 텃새이며 15세기 문헌에는 ‘가치’로 기록되어 있고 가티, 갓치, 가지라고도 한다. 한자어로는 작(鵲), 희작(喜鵲), 신녀(神女), 비박조(飛駁鳥), 건작(乾鵲), 추미(芻尾)라고도 한다....
-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경제인. 강중희(姜重熙)[1907~1977]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호는 동호(東湖)이다. 어렸을 때 이름은 강경룡(姜慶龍)이다. 아버지는 강진형(姜進馨)이고, 어머니는 장현숙(張賢淑)이다. 부인은 김을순(金乙順)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류심춘(柳尋春)[1762~1834]의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상원(象遠)·상수(象叟), 호는 강고(江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류후겸(柳後謙)이고, 할아버지는 류성로(柳聖魯)이다. 아버지는 류광수(柳光洙)이고, 어머니는 조시경(趙時經)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큰아버지 류발(柳潑)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첫 번째 부인은 이의수(李宜秀)의...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강호석(姜好錫)[1894~1950?]의 다른 이름은 강남호(姜南鎬)·강덕재(姜德載)이다. 장인은 독립유공자로 포상받은 이상룡(李相龍)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강호석(姜好錫)[1894~1950?]의 다른 이름은 강남호(姜南鎬)·강덕재(姜德載)이다. 장인은 독립유공자로 포상받은 이상룡(李相龍)이다....
-
일제 강점기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강동석(姜東錫)[1928~2004]의 본적지는 경상북도 상주시 낙양동 일대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강순필(姜順必)[1884~1921]은 일제 강점기 풍기광복단(豊基光復團)과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강병수(姜秉秀)·강병수(姜秉洙)·강병수(姜炳洙)·강병수(姜秉洙)·강순필(姜順弼) 등으로도 알려졌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권준(權晙)[1895~1959]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계언(季彦), 호는 백인(百忍)이다. 독립운동에 참가하여 국내외에 걸쳐 활동하면서 권중환(權重煥)·권중석(權重錫)·강병수(姜炳秀)·진민각(陳民覺)·장종화(張從化)·양무(揚武)·장수화(張樹華) 등 여러 이름을 사용하였다. 큰아들은 독립운동가 권태휴(權泰烋)[1917~1990...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강순필(姜順必)[1884~1921]은 일제 강점기 풍기광복단(豊基光復團)과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강병수(姜秉秀)·강병수(姜秉洙)·강병수(姜炳洙)·강병수(姜秉洙)·강순필(姜順弼) 등으로도 알려졌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강순필(姜順必)[1884~1921]은 일제 강점기 풍기광복단(豊基光復團)과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강병수(姜秉秀)·강병수(姜秉洙)·강병수(姜炳洙)·강병수(姜秉洙)·강순필(姜順弼) 등으로도 알려졌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강순필(姜順必)[1884~1921]은 일제 강점기 풍기광복단(豊基光復團)과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강병수(姜秉秀)·강병수(姜秉洙)·강병수(姜炳洙)·강병수(姜秉洙)·강순필(姜順弼) 등으로도 알려졌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강봉석(姜鳳錫)[1901~1972]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다른 이름은 강봉석(姜琫錫)이다. 형은 독립운동가 강용석(姜龍錫)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강봉석(姜鳳錫)[1901~1972]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다른 이름은 강봉석(姜琫錫)이다. 형은 독립운동가 강용석(姜龍錫)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강석필(姜碩弼)[1679~1755]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공망(公望), 호는 송은와(松隱窩)·이지재(二知齋)·송은(松隱)이다. 강사익(姜士翼)의 5대손으로, 할아버지는 강홍윤(姜弘胤)이다. 아버지는 강균(姜均)이고, 어머니는 정선 전씨(旌善 全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신평 이씨(新平 李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세규(姜世揆)[1762~1833]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공서(公敍), 호는 긍암(兢菴)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석경(姜碩經)이고, 할아버지는 강현(姜木+賢)이다. 아버지는 강필형(姜必炯)이고, 어머니는 이석좌(李碩佐)의 딸 성산 이씨(星山 李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세륜(姜世綸)[1761~1842]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문거(文擧), 호는 지원(芝園)·지포(芝圃)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통덕랑 강석번(姜碩蕃)이고, 할아버지는 장례원판결사 강박(姜檏)이다.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강필악(姜必岳)이고, 어머니는 이재후(李載厚) 딸 여주 이씨(驪州 李氏)이다. 부인은 고첨(高詹)의 딸이고, 아들은 강경흠(姜敬欽...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세백(姜世白)[1748~1824]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청지(淸之), 호는 호린(皓隣)·기치(杞痴)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석번(姜碩蕃)이고, 할아버지는 장례원판결사 강박(姜樸)이다. 아버지는 강필악(姜必岳)이며, 어머니는 사헌부지평 이재후(李載厚)의 딸 여주 이씨(驪州 李氏)이다. 부인은 박필경(朴必慶)의 딸이고, 아들은 강장흠(姜章欽)이...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강순필(姜順必)[1884~1921]은 일제 강점기 풍기광복단(豊基光復團)과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강병수(姜秉秀)·강병수(姜秉洙)·강병수(姜炳洙)·강병수(姜秉洙)·강순필(姜順弼) 등으로도 알려졌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강순필(姜順必)[1884~1921]은 일제 강점기 풍기광복단(豊基光復團)과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강병수(姜秉秀)·강병수(姜秉洙)·강병수(姜炳洙)·강병수(姜秉洙)·강순필(姜順弼) 등으로도 알려졌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신(姜紳)[1543~1615]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면경(勉卿), 호는 동고(東皐)·애련재(愛蓮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영숙(姜永叔)이고, 할아버지는 강온(姜溫)이다. 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姜士尙)이고, 어머니는 임간(任幹)의 딸 풍천 임씨(豊川 任氏)이다. 작은아버지 강사안(姜士安)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부인은 정유의(鄭惟義)의 딸...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강용석(姜龍錫)[1899~1960]의 본관은 진주(晋州)이며, 동생은 독립운동가 강봉석(姜鳳錫)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양촌동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각. 강원 효자각(康源 孝子閣)은 조선 시대 경상북도 상주 출신 강원(康源)[1656~?]의 효심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강원의 본관은 재령(載寧)이고, 할아버지는 강응철(康應哲)이며, 아버지는 강용정(康用正)이다. 어린 시절 아버지가 사망하자 홀로된 어머니를 지극정성으로 모셨다. 만년에 어머니가 병을 얻자 어머니의 변을 맛보아 건...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응철(康應哲)[1562~1635]의 본관은 재령(載寧)이며, 자는 명보(明甫), 호는 남계(南溪)이다. 아버지는 강사경(康士敬)이고, 어머니는 성산 이씨(星山 李氏)이다. 부인은 정여관(鄭汝寬)의 딸 진양 정씨(晉陽 鄭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인(姜絪)[1555~1634]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인경(仁卿), 호는 시암(是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영숙(姜永叔)이고, 할아버지는 의정부사인 강온(姜溫)이다. 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姜士尙)이고, 어머니는 훈련원부정 윤광운(尹光運)의 딸 파평 윤씨(坡平 尹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이승연(李承延)[1720~1806]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자는 태보(台甫)·석여(錫予), 호는 강재(剛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예조참판 이옥(李沃)이고, 할아버지는 이만부(李萬敷)이다. 아버지는 이지빈(李之彬)이고 어머니는 류성화(柳聖和)의 딸 풍산 류씨(豊山 柳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윤수의 딸 함안 윤씨(咸安 尹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채...
-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경제인. 강중희(姜重熙)[1907~1977]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호는 동호(東湖)이다. 어렸을 때 이름은 강경룡(姜慶龍)이다. 아버지는 강진형(姜進馨)이고, 어머니는 장현숙(張賢淑)이다. 부인은 김을순(金乙順)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죽암리와 낙동면 신상리를 연결하는 다리. 강창교(江濸橋)는 옛 영남대로의 강창나루(江濸나루)가 있었던 곳이라 하여 강창교라 명명하였다....
-
고려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요(金饒)[1312~1382]의 본관은 함창(咸昌)이며, 호는 강촌(江村)이다. 아버지는 도첨의찬성사를 지낸 김택(金澤)이며, 어머니는 영양 남씨(英陽 南氏)이다. 이곡(李穀)의 처남이자 이색(李穡)의 외삼촌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항(姜杭)[1702~1787]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이직(而直), 호는 시북(市北)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홍윤(姜弘胤)이고, 할아버지는 강균(姜均)이다. 아버지는 강석우(姜碩遇)이고, 어머니는 이성일(李星逸)의 딸 예안 이씨(禮安 李氏)이다. 강항은 큰아버지 강석기(姜碩耆)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강호석(姜好錫)[1894~1950?]의 다른 이름은 강남호(姜南鎬)·강덕재(姜德載)이다. 장인은 독립유공자로 포상받은 이상룡(李相龍)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홍립(姜弘立)[1560~1627]의 본관은 진주이며, 자는 군신(君臣), 호는 내촌(耐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온(姜溫)이고, 할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姜士尙)이다. 아버지는 좌참찬 강신(姜紳)이고, 어머니는 정유의(鄭惟義)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다. 부인은 황이형(黃履亨)의 딸 우주 황씨(紆州 黃氏)이고, 아들은 강숙(姜璹)·강원(姜瑗)·...
-
경상북도 상주시 양촌동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각. 강원 효자각(康源 孝子閣)은 조선 시대 경상북도 상주 출신 강원(康源)[1656~?]의 효심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강원의 본관은 재령(載寧)이고, 할아버지는 강응철(康應哲)이며, 아버지는 강용정(康用正)이다. 어린 시절 아버지가 사망하자 홀로된 어머니를 지극정성으로 모셨다. 만년에 어머니가 병을 얻자 어머니의 변을 맛보아 건...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개곡리(開谷里)의 마치 고을이 열리는 형국의 지형이라고 하여 마을 이름을 ‘개곡(開谷)’이라 붙인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상주시에서 의로운 개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개무덤」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의견(義犬)’ 설화의 한 유형이다. 경상북도 상주시의 경우 만산동에 있는 ‘개무덤’이 마을의 지명 유래 전설이다....
-
강원도 태백시에서 발원하여 경상북도 상주시를 지나 남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 낙동강(洛東江)은 경상북도 문경시에서 흘러와 상주시 사벌국면 퇴강리에서부터 낙동면 장곡리 구간을 지나 구미시로 흐르는 국가 하천이다. 낙동강의 국가 하천 구간은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삼각점, 단천삼각점 직선부터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낙동강 하굿둑의 외곽선까지이며, 유로 연장은 510.36㎞, 유역...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그리스도교의 주요 분파. 개신교는 16세기 로마 가톨릭에 대항하여 이루어진 종교개혁을 통하여 성립된 복음주의 성향의 기독교 분파이다. 18세기 이후 아시아와 아프리카 등지에 전도되었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는 19세기 후반에 개신교 신자가 등장하였으며, 1900년 초 교회 설립이 본격화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개운동(開雲洞)은 언제나 안개와 구름이 끼어 있었는데, 고려 때 고승이 지나다가 ‘개운(開雲)’이라는 마을 이름을 짓자 안개와 구름이 걷히어 ‘개운’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개운동에 있는 천주교 안동교구 소속 성당. 개운동성당(開雲洞聖堂)은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가장 최근에 설립된 성당이다. 그리스도의 교육 수녀회가 활동하고 있으며, 외남공소를 관리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개운동에서 발원하여 상주 시가지 일대를 흐르는 하천. 개운천(開雲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개운동 주변 산지에서 발원하여 북동쪽으로 흘러 낙양동을 지나 무양동에서 북천으로 유입하는 지방 하천이다. 낙동강 수계의 제3지류이고, 병성천의 제2지류, 북천의 제1지류 하천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천리(佳川里)는 남천(南川) 연변에 있다는 것에 유래하여 ‘가피내’, ‘개피내’ 또는 ‘가천’이라고 부른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
-
1864년 이후부터 1910년 국권 상실까지 상주 지역의 역사. 상주 지역에서는 19세기 중반 서구 열강의 침략 이후 반봉건 농민 항쟁과 위정척사 운동이 전개되었고, 대한 제국기 일본의 침략 이후 국권회복운동이 일어났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거동리(巨洞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거물리(巨物里)의 ‘거(巨)’ 자와 장동(長洞)의 ‘동(洞)’ 자를 따서 ‘거동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운평리 계곡에서 발견한 둥근 공 모양의 암석 구조를 가진 화강암. 상주 운평리 구상화강암(尙州 云坪里 球狀花崗岩)은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운평리 산17번지 일대에서 발견되었으며, 일반적인 화강암과 달리 특수한 작용에 의하여 동심원 모양의 구조를 이루며 형성된 화강암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운평리 계곡에서 발견한 둥근 공 모양의 암석 구조를 가진 화강암. 상주 운평리 구상화강암(尙州 云坪里 球狀花崗岩)은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운평리 산17번지 일대에서 발견되었으며, 일반적인 화강암과 달리 특수한 작용에 의하여 동심원 모양의 구조를 이루며 형성된 화강암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거창리(巨倉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거야리(巨夜里)의 ‘거(巨)’ 자와 창리(倉里)의 ‘창(倉)’ 자를 따서 ‘거창리’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정월대보름 무렵에 풍물패가 집마다 방문하여 복을 빌어 주는 민속놀이. 지신밟기는 집터를 지키는 지신(地神)을 달래고자 마을 사람들이 풍물패를 앞세워 집마다 다니며 풍물을 치면서 가정의 복과 안녕을 축원하는 민속놀이이다. 매귀라고도 한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는 지신밟기가 일반적으로 정월대보름에 즈음하여 동제의 부대행사로서 이루어진다. 풍물패가 지신밟기로 복을...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정월대보름 무렵에 풍물패가 집마다 방문하여 복을 빌어 주는 민속놀이. 지신밟기는 집터를 지키는 지신(地神)을 달래고자 마을 사람들이 풍물패를 앞세워 집마다 다니며 풍물을 치면서 가정의 복과 안녕을 축원하는 민속놀이이다. 매귀라고도 한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는 지신밟기가 일반적으로 정월대보름에 즈음하여 동제의 부대행사로서 이루어진다. 풍물패가 지신밟기로 복을...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조정(趙靖)[1555~1636]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안중(安中), 호는 검간(黔澗)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춘천부사 조윤녕(趙允寧)이고, 할아버지는 조희(趙禧)이다. 아버지는 조광헌(趙光憲)이고, 어머니는 찰방 홍윤최(洪胤崔)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다. 부인은 성주목사 김극일(金克一)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고, 아들은 조기원(趙...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의병장. 김광두(金光斗)[1562~1608]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며, 자는 경추(景樞)·여우(汝遇), 호는 검암(黔巖)·일묵재(一默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감찰 김유(金洧)이고, 할아버지는 곡산부사 김국량(金國良)이다. 아버지는 김인(金仁)이고, 어머니는 김사숙(金嗣叔)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며, 부인은 문경세(文經世)의 딸 감천 문씨(甘泉 文氏)이...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신흥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임호서원(臨湖書院)은 조선 시대 경상북도 상주 지역과 함창 지역에서 활동한 인물인 남계(藍溪) 표연말(表沿沫)[1449~1498],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1438~1504], 나재(懶齋) 채수(蔡壽)[1449~1515], 동계(桐溪) 권달수(權達手)[1469~1504], 휴암(休庵) 채무일(蔡無逸)[1496~1556...
-
남북국 시대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후백제의 초대 국왕. 견훤(甄萱)[867~936]의 아버지는 상주 가은현(加恩縣)[현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의 농민 출신으로 뒤에 상주 지역의 호족이자 장군이 된 아자개(阿慈介)이다. 『삼국사본전(三國史本傳)』에 따르면 견훤은 원래 이(李)씨였는데 후에 견(甄)씨로 성씨를 바꾸었다고 한다. 견훤의 동생은 능애(能哀)·용개(龍盖)·보개(寶盖)·소개...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견훤산성(甄萱山城)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의 북쪽에 있다. 높이 541m의 장바위산 정상부와 일부 계곡부를 둘러싼 내외협축식(內外夾築式)의 테뫼식 산성이다. 견훤이 쌓아 견훤산성으로 불린다고 하나 공식적인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 1984년 12월 29일 경상북도 기념물 제5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견훤산성(甄萱山城)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의 북쪽에 있다. 높이 541m의 장바위산 정상부와 일부 계곡부를 둘러싼 내외협축식(內外夾築式)의 테뫼식 산성이다. 견훤이 쌓아 견훤산성으로 불린다고 하나 공식적인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 1984년 12월 29일 경상북도 기념물 제5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견훤산성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견훤성(甄萱城)」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견훤산성에 얽힌 이야기이다. 견훤산성은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장바위산 정상부를 둘러싼 산성이다. 견훤(甄萱)[867~936]이 쌓았다고 하여서 ‘견훤산성’이라 불리며, 산성과 관련하여 두 가지 전설이 전하고 있다. 하나는 지렁이의 아들인 견훤...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홍귀달(洪貴達)[1438~1504]의 본관은 부림(缶林)[부계(缶溪)]이며, 자는 겸선(兼善), 호는 허백정(虛白亭)·함허정(涵虛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사재감정 홍순(洪淳)이고, 할아버지는 홍득우(洪得禹)이다. 아버지는 홍효손(洪孝孫)이고, 어머니는 노집(盧緝)의 딸 안강 노씨(安康 盧氏)이다. 부인은 김숙정(金淑貞)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고...
-
개항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의병. 이기찬(李起璨)[1853~1908]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경능(敬能), 호는 지산(止山)·금초(錦樵)·금초산인(錦樵山人)이다. 아들은 이강하(李康夏)·이강은(李康殷)·이강한(李康漢)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봉강서원(鳳崗書院)은 강희중(姜淮仲)[1359~1421], 강형(姜詗)[1451~1504]을 제향하는 서원으로 1817년(순조 17) 경덕사(敬德祠)로 처음 건립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봉강서원(鳳崗書院)은 강희중(姜淮仲)[1359~1421], 강형(姜詗)[1451~1504]을 제향하는 서원으로 1817년(순조 17) 경덕사(敬德祠)로 처음 건립하였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송량(宋亮)[1534~1618]의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자는 경명(景明), 호는 우곡(愚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사헌부집의 송숙기(宋叔琪)이고, 할아버지는 용양위부사직 송세휘(宋洗輝)이다. 아버지는 부호군 송당(宋璫)이고, 어머니는 강완(康琬)의 딸 재령 강씨(載寧 康氏)이다. 부인은 박언기(朴彦箕)의 딸 밀양 박씨(密陽 朴氏)이고, 아들은 송이회...
-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에 있는 지역 소방 행정 기관. 상주소방서(尙州消防署)는 경상북도 상주시 지역의 소방과 인명 구조 업무를 주로 담당하는 행정 기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가장동에 있는 국립 종합 대학 경북대학교의 상주 캠퍼스. 경북대학교(慶北大學校)의 교육 이념은 ‘세계를 주도하는 첨성인, 미래를 선도하는 경북대’이다. 첨성인은 첨성대를 세운 신라인의 진리 탐구, 긍지 추구, 봉사 실천의 정신을 바탕으로 미래를 개척하고 세계를 주도하는 창의적 인재를 가리킨다. 교시는 “진리, 긍지, 봉사”이다.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의 전신인 상주대...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산현리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올바른 가치관을 가진 도덕적, 자주적인 인간을 기른다[도덕인],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배양하여 창의적인 인간을 기른다[창조인], 과학 기술 교육을 내실화하여 건전한 생활인을 기른다[생활인], 보건·체육 교육을 충실히 하여 건전한 생활인을 기른다[건강인]’이다. 교훈은 “참되게, 바르게, 뜻있게 살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산현리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올바른 가치관을 가진 도덕적, 자주적인 인간을 기른다[도덕인],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배양하여 창의적인 인간을 기른다[창조인], 과학 기술 교육을 내실화하여 건전한 생활인을 기른다[생활인], 보건·체육 교육을 충실히 하여 건전한 생활인을 기른다[건강인]’이다. 교훈은 “참되게, 바르게, 뜻있게 살자”이다....
-
경상북도 최대 쌀 생산지인 상주 농업과 쌀농사에 관한 이야기. 낙동강을 품은 상주 지역에서는 선사 시대부터 벼농사가 발달하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임금님의 진상미로 올려질 만큼 우수한 품질로 인정받았다. 상주 지역은 ‘삼백(三白)의 고장’이라고 불릴 정도로 쌀 주산지의 명성을 얻었으며, 지금도 경상북도 지역에서 가장 많은 쌀을 생산하고 있다. 상주쌀의 품질은 이미 세계 최고 수준임이...
-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상주시를 거쳐 영주시를 연결하는 철도. 경상북도 내륙 중심 지역을 통과하여 경북선(慶北線)이라 명명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산현리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올바른 가치관을 가진 도덕적, 자주적인 인간을 기른다[도덕인],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배양하여 창의적인 인간을 기른다[창조인], 과학 기술 교육을 내실화하여 건전한 생활인을 기른다[생활인], 보건·체육 교육을 충실히 하여 건전한 생활인을 기른다[건강인]’이다. 교훈은 “참되게, 바르게, 뜻있게 살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산현리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올바른 가치관을 가진 도덕적, 자주적인 인간을 기른다[도덕인],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배양하여 창의적인 인간을 기른다[창조인], 과학 기술 교육을 내실화하여 건전한 생활인을 기른다[생활인], 보건·체육 교육을 충실히 하여 건전한 생활인을 기른다[건강인]’이다. 교훈은 “참되게, 바르게, 뜻있게 살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산현리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올바른 가치관을 가진 도덕적, 자주적인 인간을 기른다[도덕인],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배양하여 창의적인 인간을 기른다[창조인], 과학 기술 교육을 내실화하여 건전한 생활인을 기른다[생활인], 보건·체육 교육을 충실히 하여 건전한 생활인을 기른다[건강인]’이다. 교훈은 “참되게, 바르게, 뜻있게 살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산현리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올바른 가치관을 가진 도덕적, 자주적인 인간을 기른다[도덕인],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배양하여 창의적인 인간을 기른다[창조인], 과학 기술 교육을 내실화하여 건전한 생활인을 기른다[생활인], 보건·체육 교육을 충실히 하여 건전한 생활인을 기른다[건강인]’이다. 교훈은 “참되게, 바르게, 뜻있게 살자”이다....
-
1469년에 편찬된 경상도 상주목과 함창현 지리지. 『경상도속찬지리지(慶尙道續撰地理誌)』는 『팔도지리지』 속찬 사업 중이던 1469년(예종 1) 경상감영에서 편찬한 경상도 지리지이다. 『경상도속찬지리지』 「상주도(尙州道)」에는 상주목과 함창현 관련 기록이 실려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삼덕리 상주박물관에 있는 고려 시대 경상도안찰사와 조선 시대 경상도관찰사 명단을 기록한 책. 『경상도영주제명기(慶尙道營主題名記)』는 고려 시대 안찰사(按察使)와 조선 시대 관찰사(觀察使)의 명단과 인적 정보를 수록한 책이다. 1622년 김지남(金止男)[1559~1631]이 잔존본을 필사하여 제작한 이후 조선 말까지 추록하였다. 현재 경주본과 상주본 2종이...
-
1832년에 편찬된 상주목과 함창현의 관찬 읍지.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 「상주목읍지」·「함창현읍지」는 1832년(순조 32) 규장각(奎章閣)의 지시로 경상감영에서 완성한 경상도 도지의 상주목과 함창현 읍지이다. 감영의 완성본은 규장각으로 보고하여 현전하고 있지만, 당시 완성본과 같은 복본(複本)을 남겼는지는 알기 어렵다. 각 고을에 남아 있는 1832년 읍지를 보면, 경상감영...
-
1878년에 편찬된 경상도 상주목과 함창현의 관찬 읍지. 『경상도읍지』 「상주목읍지」·「함창현읍지」[1878]는 1878년(고종 15)에 편찬한 『경상도읍지』 전14책의 일부이다.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가 1909년 6월 14일 통감에서 물러나면서 반출하였다가 100년 만에 돌려받은 환수 문화재이다. 원래 이문원(摛文院)에 있던 다른 지역의 읍지와 달리 열고관(閱古觀)에 있었다....
-
1786년 규장각과 경상감영의 지시로 편찬한 상주목과 함창현의 관찬 읍지.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 「상주진상주목(尙州鎭尙州牧)」·「상주진함창현(尙州鎭咸昌縣)」은, 모든 고을 읍지를 하나의 유형으로 일치시키기는 1832년 이전의 과도기적인 모습을 잘 보여 준다. 1768년에 『여지도서(輿地圖書)』 대체 유형[『경상도읍지』 유형]의 수록 규정이 보급되었지만, 『경상도읍지』 「상주진...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교촌리에 있는 문화 시설. 경상북도 곤충생태전시관(慶尙北道 昆蟲生態展示館)은 경상북도 농업자원관리원 잠사곤충사업장 내 멸종위기 곤충 보전, 증식 연구를 위하여 조성되었다. 테마는 ‘인간과 곤충이 조화롭게 공존하고 지속 가능한 세계를 만들기 위한 작은 세계로의 여행’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공 도서관. 경상북도교육청 상주도서관(慶尙北道敎育廳 尙州圖書館)은 경상북도교육청이 운영하는 상주시의 공공 도서관이다. 상주 시민들에게 20만여 권의 장서, 전자 신문을 포함한 각종 디지털 콘텐츠, 다양한 평생학습 강좌를 제공하는 지역 사회 종합 정보·평생학습 센터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공 도서관. 경상북도교육청 상주도서관(慶尙北道敎育廳 尙州圖書館)은 경상북도교육청이 운영하는 상주시의 공공 도서관이다. 상주 시민들에게 20만여 권의 장서, 전자 신문을 포함한 각종 디지털 콘텐츠, 다양한 평생학습 강좌를 제공하는 지역 사회 종합 정보·평생학습 센터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교육 체험 시설. 경상북도교육청 상주수학체험센터는 경상북도 서부 권역 학생들을 위한 거점 교육 체험 시설이다. 학생들에게 다양한 체험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면서 수학의 유용성과 가치, 수학의 아름다움에 빠져들게 하는 수학 문화의 공간이다. 경상북도 내 권역별로 구축되는 수학체험센터 중 안동·칠곡에 이어 세 번째로 개관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에 있는 경상북도교육청 산하 수련원. 경상북도교육청 상주학생수련원(慶尙北道敎育廳 尙州學生修練院)은 1987년 9월 7일 폐교된 상오국민학교 자리에 경상북도 상주학생야영장으로 개장한 이후 낙후한 시설을 재공사하여 2015년 4월 29일 경상북도상주학생수련원으로 개원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에 있는 경상북도교육청 산하 수련원. 경상북도교육청 상주학생수련원(慶尙北道敎育廳 尙州學生修練院)은 1987년 9월 7일 폐교된 상오국민학교 자리에 경상북도 상주학생야영장으로 개장한 이후 낙후한 시설을 재공사하여 2015년 4월 29일 경상북도상주학생수련원으로 개원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장동리에 있는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소속 연구 기관.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상주감연구소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떫은감을 연구하는 기관이다. 감 부가가치 창출 및 촉진을 위한 감 가공품 개발에 역점을 두고 연구를 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장동리에 있는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소속 연구 기관.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상주감연구소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떫은감을 연구하는 기관이다. 감 부가가치 창출 및 촉진을 위한 감 가공품 개발에 역점을 두고 연구를 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교촌리에 있는 경상북도청 산하 사업소. 경상북도 농업자원관리원 잠사곤충사업장(慶尙北道 農業資源管理院 蠶絲昆蟲事業場)은 누에, 벌, 나비 등 유용 곤충 자원 발굴 및 산업화를 위한 경상북도 산하 사업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교촌리에 있는 경상북도청 산하 사업소. 경상북도 농업자원관리원 잠사곤충사업장(慶尙北道 農業資源管理院 蠶絲昆蟲事業場)은 누에, 벌, 나비 등 유용 곤충 자원 발굴 및 산업화를 위한 경상북도 산하 사업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교촌리에 있는 경상북도청 산하 사업소. 경상북도 농업자원관리원 잠사곤충사업장(慶尙北道 農業資源管理院 蠶絲昆蟲事業場)은 누에, 벌, 나비 등 유용 곤충 자원 발굴 및 산업화를 위한 경상북도 산하 사업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교촌리에 있는 경상북도청 산하 사업소. 경상북도 농업자원관리원 잠사곤충사업장(慶尙北道 農業資源管理院 蠶絲昆蟲事業場)은 누에, 벌, 나비 등 유용 곤충 자원 발굴 및 산업화를 위한 경상북도 산하 사업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교육 행정 기관. 경상북도상주교육지원청(慶尙北道尙州敎育支援廳)은 1952년 개청한 이래 상주 지역의 교육 사무 일체를 총괄·관리·감독하는 교육 행정 기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교촌리에 있는 경상북도청 산하 사업소. 경상북도 농업자원관리원 잠사곤충사업장(慶尙北道 農業資源管理院 蠶絲昆蟲事業場)은 누에, 벌, 나비 등 유용 곤충 자원 발굴 및 산업화를 위한 경상북도 산하 사업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교촌리에 있는 경상북도청 산하 사업소. 경상북도 농업자원관리원 잠사곤충사업장(慶尙北道 農業資源管理院 蠶絲昆蟲事業場)은 누에, 벌, 나비 등 유용 곤충 자원 발굴 및 산업화를 위한 경상북도 산하 사업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교촌리에 있는 경상북도청 산하 사업소. 경상북도 농업자원관리원 잠사곤충사업장(慶尙北道 農業資源管理院 蠶絲昆蟲事業場)은 누에, 벌, 나비 등 유용 곤충 자원 발굴 및 산업화를 위한 경상북도 산하 사업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교촌리에 있는 경상북도청 산하 사업소. 경상북도 농업자원관리원 잠사곤충사업장(慶尙北道 農業資源管理院 蠶絲昆蟲事業場)은 누에, 벌, 나비 등 유용 곤충 자원 발굴 및 산업화를 위한 경상북도 산하 사업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장동리에 있는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소속 연구 기관.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상주감연구소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떫은감을 연구하는 기관이다. 감 부가가치 창출 및 촉진을 위한 감 가공품 개발에 역점을 두고 연구를 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장동리에 있는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소속 연구 기관.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상주감연구소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떫은감을 연구하는 기관이다. 감 부가가치 창출 및 촉진을 위한 감 가공품 개발에 역점을 두고 연구를 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공 도서관. 경상북도교육청 상주도서관(慶尙北道敎育廳 尙州圖書館)은 경상북도교육청이 운영하는 상주시의 공공 도서관이다. 상주 시민들에게 20만여 권의 장서, 전자 신문을 포함한 각종 디지털 콘텐츠, 다양한 평생학습 강좌를 제공하는 지역 사회 종합 정보·평생학습 센터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공 도서관. 경상북도교육청 상주도서관(慶尙北道敎育廳 尙州圖書館)은 경상북도교육청이 운영하는 상주시의 공공 도서관이다. 상주 시민들에게 20만여 권의 장서, 전자 신문을 포함한 각종 디지털 콘텐츠, 다양한 평생학습 강좌를 제공하는 지역 사회 종합 정보·평생학습 센터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교육 행정 기관. 경상북도상주교육지원청(慶尙北道尙州敎育支援廳)은 1952년 개청한 이래 상주 지역의 교육 사무 일체를 총괄·관리·감독하는 교육 행정 기관이다....
-
1899년 경상북도 상주군에서 편찬한 관찬 읍지. 『상주군읍지(尙州郡邑誌)』는 대한제국 내부(內部)의 읍지수상령(邑誌修上令)에 따라 경상북도 상주군에서 1899년(광무 3)에 편찬한 관찬 읍지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각(金覺)[1536~1610]의 본관은 영동(永同)[영산(永山)]이며, 자는 경성(景惺), 호는 석천(石川)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김공저(金公著)이고, 할아버지는 장사랑 김자(金滋)이다. 아버지는 김언건(金彦健)이고, 어머니는 참봉 조이(趙恞)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부인은 성균관사성 김충(金冲)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고...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조석우(趙錫愚)[1721~1760]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경안(景顔)·성백(省伯), 호는 존성재(存省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대윤(趙大胤)이고, 할아버지는 조해(趙瀣)이다. 아버지는 조시경(趙時經)이고, 어머니는 여이현(呂以賢)의 딸 성산 여씨(星山 呂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류후잠(柳後潛)의 딸 풍산 류씨(豊山 柳氏)이고, 두 번째 부...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조석룡(趙錫龍)[1721~1793]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경운(景雲), 호는 만락재(晩樂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대윤(趙大胤)이고, 할아버지는 조해(趙瀣)이다. 아버지는 조인경(趙麟經)이고, 어머니는 참봉 정규양(鄭葵陽)의 딸 연일 정씨(延日 鄭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손운억(孫雲億)의 딸 월성 손씨(月城 孫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홍...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무신. 정기룡(鄭起龍)[1562~1622]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경운(景雲), 호는 매헌(梅軒)이다. 초명은 정무수(鄭茂壽)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철석(鄭哲碩)이고, 할아버지는 정의걸(鄭義傑)이다. 아버지는 정호(鄭浩)이고, 어머니는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강세필(姜世弼)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고, 두 번째 부...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의병장. 홍약창(洪約昌)[1535~1592]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자는 경원(景遠), 호는 구촌(龜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영효(洪永孝)이고, 할아버지는 홍부(洪頫)이다. 아버지는 찰방 홍윤최(洪胤崔)이고, 어머니는 남원 양씨(南原 梁氏)이다. 부인은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고, 아들은 홍민헌(洪民獻)이다. 친아버지는 홍의범(洪義範)이고, 홍윤최의 양...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정경세(鄭經世)[1563~1633]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경임(景任), 호는 우복(愚伏)·일묵(一默)·하거(河渠)·송록(松麓)·승성자(乘成子)·석총도인(石潨道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계함(鄭繼咸)이고, 할아버지는 정은성(鄭銀成)이다. 아버지는 정여관(鄭汝寬)이고, 어머니는 이가(李軻)의 딸 합천 이씨(陜川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이해...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화와 용역의 생산·분배·교환·소비와 관련되는 활동 전반과 영역. 경제·산업은 경제와 산업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경제는 인간이 공동 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재화나 용역을 생산, 분배, 소비하는 활동 전반을 의미한다. 산업은 경제적으로 풍요롭게 하기 위하여 재화나 서비스를 창출하는 생산적 기업이나 조직을 말한다. 농업·축산업·임업·광업·공업을...
-
손순(孫順)을 시조로 하고, 손당(孫糖)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상주시의 세거 성씨.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따르면 진한(辰韓) 6촌 중 무산대수촌(茂山大樹村)의 촌장 구례마(俱禮馬)가 처음 이산(伊山)에 내려와 모량부(牟梁部) 손씨(孫氏)의 원조(元祖)가 되었다고 한다. 『동국통감(東國通鑑)』에는 신라 유리이사금 9년(서기 32년) 6부의 명칭을 고쳐서 대수부(大樹部)를 모량...
-
고려 후기 상주 지역에 거주하였던 문신. 김구용(金九容)[1338~1384]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경지(敬之)·백은(伯誾), 호는 척약재(惕若齋)·육우당(六友堂)이다. 초명은 김제민(金齊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선(金愃)이고, 할아버지는 김승택(金承澤)이다. 아버지는 상락군(上洛君) 김묘(金昴)이고, 어머니는 여흥군(驪興君) 민사평(閔思平)의 딸 여흥 민씨(驪興 閔氏)...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조기원(趙基遠)[1574~1652]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경진(景進), 호는 초은(樵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희(趙禧)이고, 할아버지는 조광헌(趙光憲)이다. 아버지는 봉상시정 조정(趙靖)이고, 어머니는 성주목사 김극일(金克一)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다. 부인은 이의정(李宜正)의 딸 신평 이씨(新平 李氏)이고, 아들은 조예(趙秇)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삼덕리에 있는 관광지. 경천대국민관광지(擎天臺國民觀光地)는 상주시 사벌국면 동쪽 경계를 따라 흐르는 낙동강 강변에 조성된 관광지이다. ‘낙동강 제1경’으로 알려진 경천대 주변으로 전망대와 인공 폭포, 포토 존, 나무다리, 구름다리 등이 있어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오상리에 있는 경천섬 일대의 공원. 경천섬공원은 2009년 4대강 정비 사업으로 상주보가 조성되고 ‘낙동강 희망의 숲’ 사업이 실시되면서 상주시에서 수변 생태 공원으로 조성하였다....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학자. 황계희(黃啓熙)[1727~1785]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경초(景初), 호는 심기당(審幾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종량(黃鍾亮), 할아버지는 황연(黃沇), 아버지는 황도중(黃道重)이다. 어머니는 이만헌(李萬憲)의 딸 연안 이씨(延安 李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의병장. 김광두(金光斗)[1562~1608]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며, 자는 경추(景樞)·여우(汝遇), 호는 검암(黔巖)·일묵재(一默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감찰 김유(金洧)이고, 할아버지는 곡산부사 김국량(金國良)이다. 아버지는 김인(金仁)이고, 어머니는 김사숙(金嗣叔)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며, 부인은 문경세(文經世)의 딸 감천 문씨(甘泉 文氏)이...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의병장이자 문신. 곽수인(郭守仁)[1537~1602]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자는 경택(景宅), 호는 양담(瀼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곽계종(郭繼宗)이고, 할아버지는 풍덕훈도를 지낸 곽상(郭商)이다. 아버지는 주부 곽림(郭琳)이고, 어머니는 전력부위 조식(曺軾)의 딸 창녕 조씨(昌寧 曺氏)이다. 부인은 찰방 이굉(李宏)의 딸 진성 이씨(眞城 李氏)이고,...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채이항(蔡以恒)[1596~1666]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여구(汝久), 호는 오봉(五峰)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채무경(蔡無競)이고, 할아버지는 채유업(蔡有業)이다. 아버지는 채천서(蔡天瑞)이고, 어머니는 동지중추부사 남국신(南國臣)의 딸 영양 남씨(英陽 南氏)이다. 부인은 권극성(權克誠)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고, 아들은 채지연(蔡之演...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조용구(趙龍九)[1830~1882]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경희(景羲), 호는 규원(樛園)이다. 초명은 조재원(趙在元)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탁수(趙濯洙)이고, 할아버지는 참의 조덕(趙㯖)이다. 아버지는 조현기(趙鉉基)이고, 어머니는 강굉흠(姜肱欽)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고성겸(高聖謙)의 딸 개성 고씨(開城 高氏)...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류주목(柳疇睦)[1813~1872]의 본관은 풍산(豊山)이고, 자는 숙빈(叔斌), 호는 계당(溪堂)·간곡거사(澗谷居士)·노시산인(老柴散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류발(柳潑)이고, 할아버지는 돈녕부도정 류심춘(柳尋春)이다. 아버지는 좌의정 류후조(柳厚祚)이고, 어머니는 부사 이재연(李載延)의 딸 연안 이씨(延安 李氏)이다. 부인은 박기재(朴基載)의 딸 순...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홍석주(洪錫疇)[1757~1813]의 본관은 부림(缶林)[부계(缶溪)]이며, 자는 계도(繼道), 호는 방와(方窩)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수귀(洪守龜)이고, 할아버지는 영릉참봉 홍상문(洪相文)이다. 아버지는 홍우길(洪羽吉)이고, 어머니는 이수증(李守曾)의 딸 진성 이씨(眞城 李氏)이다. 부인은 정동첨(鄭東瞻)의 딸 청주 정씨(淸州 鄭氏)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냉림동에 있는 천주교 안동교구 소속 성당. 계림동성당(溪林洞聖堂)은 서문동성당의 관할 구역이 너무 방대하고 많은 신자 수를 수용할 수 없게 되어 새롭게 설립된 본당이다. 주보성인은 ‘성 정하상 바오로’이다. 관리 공소로 길마을공소가 있다....
-
개항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전개된 국권 회복 운동. 대한 제국기 국권 회복 운동은 의병 운동과 애국계몽운동으로 전개되었다. 애국계몽운동은 갑신정변과 독립협회 운동으로 대표되는 개화 자강 계열의 민족운동을 계승한 것이었다. 1905년 을사조약 체결을 계기로 개화 자강 계열의 지식인들은 국권 회복을 위한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상주 지역의 애국계몽운동은 국권 회복을 위한 신교육...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계산동(溪山洞)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신계리(新溪里)의 ‘계(溪)’ 자와 소산리(小山里)의 ‘산(山)’ 자를 따서 ‘계산리(溪山里)’라 하였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권준(權晙)[1895~1959]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계언(季彦), 호는 백인(百忍)이다. 독립운동에 참가하여 국내외에 걸쳐 활동하면서 권중환(權重煥)·권중석(權重錫)·강병수(姜炳秀)·진민각(陳民覺)·장종화(張從化)·양무(揚武)·장수화(張樹華) 등 여러 이름을 사용하였다. 큰아들은 독립운동가 권태휴(權泰烋)[1917~1990...
-
개항기 상주 출신의 문신. 조남식(趙南軾)[1845~1920]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계의(季擬)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술요(趙述堯)이고, 할아버지는 조욱영(趙郁榮)이다. 아버지는 형조참의 조준구(趙駿九)이고, 어머니는 강선영(姜選永)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다. 큰아버지 조기문(趙起文)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첫 번째 부인은 선공감감역 이만연(李萬淵)의 딸 광주 이씨...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정지모(鄭智模)[1716~1776]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계정(季貞), 호는 추간(秋澗)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세자시강원자의 정도응(鄭道應)이고, 할아버지는 영양군수 정석교(鄭錫僑)이다. 아버지는 장릉참봉 정주원(鄭冑源)이고, 어머니는 장대유(張大猷)의 딸 인동 장씨(仁同 張氏)이다. 부인은 채보(蔡寶)의 딸 인천 채씨(仁川 蔡氏)이고, 아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조대윤(趙大胤)[1638~1705]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계창(季昌), 호는 입재(立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봉상시정 조정(趙靖)이고, 할아버지는 조영원(趙榮遠)이다. 아버지는 조릉(趙稜)이고, 어머니는 부호군 왕준도(王濬道)의 딸 개성 왕씨(開城 王氏)이다. 부인은 현감 김형(金珩)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고, 아들은 조해(趙瀣)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정착한 문신. 류진(柳袗)[1582~1635]의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계화(季華), 호는 수암(修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간성군수 류공작(柳公綽)이고, 할아버지는 황해도관찰사 류중영(柳仲郢)이다. 아버지는 영의정 류성룡(柳成龍)이고, 어머니는 용궁현감 이경(李坰)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부호군 권채(權采)의 딸 안동 권씨(...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고곡리(古谷里) 명칭은 마을이 산 속에 있어 ‘고실’ 또는 ‘고곡’이라 한 데서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일대에 있었다고 전하는 가야연맹체 중의 한 나라. 고령가야(古寧伽倻)는 가야연맹을 구성하는 여섯 국가 중의 하나로 추정된다. 『삼국유사(三國遺事)』 및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실체가 드러나 있으며, 지금의 상주시 함창읍 일대를 중심지로 문경시 일부까지 점유하였다. 함창읍 증촌리에 있는 전고령가야왕릉(傳古寧伽倻王陵)[경상북도 기념물]이 중요 유적으로 전하고...
-
초기 국가 시대부터 통일 신라 시대까지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역사와 문화. 경상북도 상주 지역은 서쪽으로 소백산맥과 남쪽으로 낙동강을 품고 있는 교통의 요지이다. 기원전 2세기 무렵부터 초기 철기 문화를 기반으로 한 사벌국(沙伐國) 혹은 사량벌국(沙梁伐國)이라 부르는 초기 국가가 성장하였다. 사벌국은 석우로(昔于老)에 의하여 정벌됨으로써 신라의 영역이 되었다. 이후 사벌주(沙伐州)...
-
삼국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공검면·이안면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고동람군(古冬攬郡)은 원래 고령가야국(古寧加耶國)이 있던 곳으로 신라에 편입되어 지방 행정 구역이 되었다.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일대를 관할하였다. 고릉현(古陵縣)이라고도 불렀다....
-
조선 시대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함창현(咸昌縣)은 1413년(태종 13) 행정 구역이 재편되면서 함창군(咸昌郡)에서 함창현으로 읍격이 강등되었다. 이후 상주목 관할로 있다가 1466년(세조 12) 진관체제가 시행되면서 상주진(尙州鎭) 관할로 전환되었다. 1895년(고종 32) 23부제로 행정 구역이 재편되면서 함창현에서 군으로 승격하고 안동부 관할이 되었다....
-
1895년부터 1914년까지 경상북도 상주군 함창읍, 공검면, 이안면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함창은 고려 광종 대 함녕으로 불렸다가 1018년(고려 현종 9) 상주군에 소속되면서 함창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
1895년부터 1914년까지 경상북도 상주군 함창읍, 공검면, 이안면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함창은 고려 광종 대 함녕으로 불렸다가 1018년(고려 현종 9) 상주군에 소속되면서 함창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
918년부터 1392년까지 고려 왕조 시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역사와 문화. 고려 시대 상주는 7개의 속군(屬郡)과 17개의 속현(屬縣), 그리고 경산부(京山府)와 안동부(安東府) 2개의 지사부를 관할하는 계수관(界首官)이었다. 현재의 행정 구역으로 보면 경상북도의 북쪽과 서남쪽 지역이 중심이고, 충청남도와 충청북도의 동남쪽 지역이 일부 포함되고 있었다. 이는 신라 후기 9주 가...
-
918년부터 1392년까지 고려 왕조 시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역사와 문화. 고려 시대 상주는 7개의 속군(屬郡)과 17개의 속현(屬縣), 그리고 경산부(京山府)와 안동부(安東府) 2개의 지사부를 관할하는 계수관(界首官)이었다. 현재의 행정 구역으로 보면 경상북도의 북쪽과 서남쪽 지역이 중심이고, 충청남도와 충청북도의 동남쪽 지역이 일부 포함되고 있었다. 이는 신라 후기 9주 가...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일대에 있었다고 전하는 가야연맹체 중의 한 나라. 고령가야(古寧伽倻)는 가야연맹을 구성하는 여섯 국가 중의 하나로 추정된다. 『삼국유사(三國遺事)』 및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실체가 드러나 있으며, 지금의 상주시 함창읍 일대를 중심지로 문경시 일부까지 점유하였다. 함창읍 증촌리에 있는 전고령가야왕릉(傳古寧伽倻王陵)[경상북도 기념물]이 중요 유적으로 전하고...
-
경상북도 상주시에 전하여지는 고령가야의 왕이 하늘에서 내려온 이야기. 「고령가야왕의 강생」은 구지봉(龜旨峰)에서 수로왕(首露王)[?~199]과 함께 금합에서 태어난 고령가야(古寧伽倻)의 왕에 대한 이야기이다. 『삼국유사(三國遺事)』 「가락국기(駕洛國記)」에 의하면 하늘에서 여섯 개의 알이 내려와 그중 하나에서 수로왕이 태어나 가락국(駕洛國)의 왕이 되었고, 나머지 다섯 개의 알은...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일대에 있었다고 전하는 가야연맹체 중의 한 나라. 고령가야(古寧伽倻)는 가야연맹을 구성하는 여섯 국가 중의 하나로 추정된다. 『삼국유사(三國遺事)』 및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실체가 드러나 있으며, 지금의 상주시 함창읍 일대를 중심지로 문경시 일부까지 점유하였다. 함창읍 증촌리에 있는 전고령가야왕릉(傳古寧伽倻王陵)[경상북도 기념물]이 중요 유적으로 전하고...
-
통일 신라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공검면·이안면·은척면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고령군(古寧郡)은 원래 고령가야국으로 신라가 취하여 고동람군(古冬攬郡)으로 삼았다. 757년(신라 경덕왕 16) 이름을 고쳐 고령군이 되었다.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일대를 관할하였다....
-
1895년부터 1914년까지 경상북도 상주군 함창읍, 공검면, 이안면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함창은 고려 광종 대 함녕으로 불렸다가 1018년(고려 현종 9) 상주군에 소속되면서 함창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
1895년부터 1914년까지 경상북도 상주군 함창읍, 공검면, 이안면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함창은 고려 광종 대 함녕으로 불렸다가 1018년(고려 현종 9) 상주군에 소속되면서 함창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
조선 시대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함창현(咸昌縣)은 1413년(태종 13) 행정 구역이 재편되면서 함창군(咸昌郡)에서 함창현으로 읍격이 강등되었다. 이후 상주목 관할로 있다가 1466년(세조 12) 진관체제가 시행되면서 상주진(尙州鎭) 관할로 전환되었다. 1895년(고종 32) 23부제로 행정 구역이 재편되면서 함창현에서 군으로 승격하고 안동부 관할이 되었다....
-
1895년부터 1914년까지 경상북도 상주군 함창읍, 공검면, 이안면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함창은 고려 광종 대 함녕으로 불렸다가 1018년(고려 현종 9) 상주군에 소속되면서 함창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
1895년부터 1914년까지 경상북도 상주군 함창읍, 공검면, 이안면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함창은 고려 광종 대 함녕으로 불렸다가 1018년(고려 현종 9) 상주군에 소속되면서 함창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
삼국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공검면·이안면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고동람군(古冬攬郡)은 원래 고령가야국(古寧加耶國)이 있던 곳으로 신라에 편입되어 지방 행정 구역이 되었다.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일대를 관할하였다. 고릉현(古陵縣)이라고도 불렀다....
-
삼국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공검면·이안면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고동람군(古冬攬郡)은 원래 고령가야국(古寧加耶國)이 있던 곳으로 신라에 편입되어 지방 행정 구역이 되었다.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일대를 관할하였다. 고릉현(古陵縣)이라고도 불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고사리를 뜯을 때 부르던 노래.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전승되어 오는 「고사리노래」는 부녀자들이 고사리를 뜯을 때 힘든 것을 잊으려고 부르던 일종의 노동요이다. 힘들게 고사리를 뜯어 집에 왔는데 마침 멀리 떠났던 낭군이 집에 돌아와 있어 반가운 마음으로 고사리를 맛있게 볶아 낭군과 함께 밤새워 먹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대조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고상안(高尙顔)[1553~1623]의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자는 사물(思勿), 호는 태촌(泰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무과에 급제하여 부장을 지낸 고수연(高壽延)이고, 할아버지는 충의교위 고극공(高克恭)이다. 아버지는 좌부장 고천우(高天佑)이고, 어머니는 습독 강희언(康希彦)의 딸 신천 강씨(信川 康氏)이다. 첫 번...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장. 고상증(高尙曾)[1550~1627]의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자는 사성(思省), 호는 성재(省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고수연(高壽延)이고, 할아버지는 충의교위 고극공(高克恭)이다. 아버지는 좌부장 고천우(高天佑)이고, 어머니는 습독 강희언(康希彦)의 딸 신천 강씨(信川 康氏)이다. 부인은 습독 최진(崔縝)의 딸 전주 최씨(全州 崔氏)이고,...
-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경상북도 상주시를 거쳐 경기도 양평군을 연결하는 고속국도. 중부내륙고속도로(中部內陸高速道路)는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과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을 연결하는 고속국도이다. 총길이는 302.03㎞이며, 노선 번호는 제45호이다. 상주시 동부 지역을 남북 방향으로 통과하며 상주시 내 연장은 35.86㎞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고유(高裕)[1722~1779]의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자는 순지(順之), 호는 추담(秋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고한익(高漢翊)이고, 할아버지는 고사석(高師錫)이다. 아버지는 고규서(高奎瑞)이고, 어머니는 김익남(金益南)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도사 전광제(全光濟)의 딸 용궁 전씨(龍宮 全氏)이고, 두 번째 부인...
-
경상북도 상주시에 전하여 내려오는 명관 고유에 관한 이야기. 「고유가 베푼 음덕」은 상주 지역에 전하여지는 조선 후기 명관(明官) 고유(高裕)[1722~1779]에 관한 이야기이다. 고유의 자는 순지(順之)이며, 호는 추담(秋潭)이다. 1722년(경종 2) 경상도 상주에서 태어났으며 1743년(영조 19) 정시 문과에 급제하여, 창녕현감(昌寧縣監), 경상도사(慶尙都使) 등 여러 관...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용신리에 있는 효곡서원에 배향된 조선 후기의 문신. 고인계(高仁繼)[1564~1647]의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자는 선승(善承), 호는 월봉(月峯)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고극검(高克儉)이고, 할아버지는 주부 고윤종(高胤宗)이다. 아버지는 전력부위 고경운(高慶雲)이며, 어머니는 안동 김씨(安東 金氏)이다. 부인은 채유부(蔡有孚)의 딸 인천 채씨(仁川 蔡氏)이...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정상관(鄭象觀)[1776~1820]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용빈(用賓)·숙무(叔毋)·숙옹(叔顒), 호는 곡구원(谷口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주원(鄭冑源)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정인모(鄭仁模)이다. 아버지는 정종로(鄭宗魯)이고, 어머니는 이민현(李民顯)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아버지의 사촌 형제인 정성로(鄭成魯)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서식하는 동물 분류에서 절지동물문 곤충강에 속하는 작은 동물의 총칭. 상주시에 분포하는 곤충류는 1차적으로 지형과 기후 조건에 영향을 많이 받는데, 상주 지역의 지형과 기후 조건이 전국적으로 큰 차이가 없어 상주 지역에 서식하는 곤충류는 우리나라 국토 전역과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2009년 환경부와 2018년 국립생태원에서 실시한 ‘전국자연환경조사’를 통하여...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촌리(新村里)[내서면]는 골짜기 안쪽에 마을이 새로 생겼다고 ‘골안’ 또는 ‘신촌’이라 부른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영오리와 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 김천시 어모면의 경계에 있는 산. 웅이산(熊耳山)은 경상북도 상주시의 남서쪽에 있으며, 공성면 영오리와 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 김천시 어모면의 경계를 이루는 794.2m의 산이다. 백두대간의 줄기를 이루며, 남으로는 맷돌봉과 갈현, 무좌골산, 작점고개로 이어지고, 북으로는 682.3m 고지, 큰재로 연결된다. ‘국수봉(...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양정리에 있는 삼국 시대 저수지. 상주 공검지(尙州 恭儉池)는 제천 의림지, 김제 벽골제와 더불어 조선 시대 3대 저수지로 알려져 있으며 공갈못이라고도 한다. 못둑을 쌓을 때 ‘공갈’이라는 아이를 묻었다는 매아 설화가 있지만, 조선 전기의 학자 홍귀달(洪貴達)은 「명삼정기(名三亭記)」에서 신뢰할 수 없는 것이라고 하였다. 저수지 축조 방식으로 ‘공글리다[땅...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상주 공검지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공갈못 전설」은 상주시에 있는 공갈못[공검지(恭儉池)]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다양한 이야기들이다. 공갈못의 축조 과정에 얽힌 이야기, 공갈못에 살면서 물을 관장하는 용에 관한 이야기, 공갈못의 크기와 명성에 관한 이야기 등이 담겨 있다. 「공갈못 전설」은 공갈못에 대한 사물 전설이면서 상주 지역에서 주로 전...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부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지표는 ‘여유·즐김·베풂으로 행복한 인재 육성’이고, 기본 생활 습관이 건전한 어린이[건전인], 스스로 공부하는 자율적인 어린이[자주인], 창의성을 가지고 탐구하는 어린이[창의인], 미래를 위해 준비하는 어린이[개척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부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지표는 ‘여유·즐김·베풂으로 행복한 인재 육성’이고, 기본 생활 습관이 건전한 어린이[건전인], 스스로 공부하는 자율적인 어린이[자주인], 창의성을 가지고 탐구하는 어린이[창의인], 미래를 위해 준비하는 어린이[개척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부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지표는 ‘여유·즐김·베풂으로 행복한 인재 육성’이고, 기본 생활 습관이 건전한 어린이[건전인], 스스로 공부하는 자율적인 어린이[자주인], 창의성을 가지고 탐구하는 어린이[창의인], 미래를 위해 준비하는 어린이[개척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부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지표는 ‘여유·즐김·베풂으로 행복한 인재 육성’이고, 기본 생활 습관이 건전한 어린이[건전인], 스스로 공부하는 자율적인 어린이[자주인], 창의성을 가지고 탐구하는 어린이[창의인], 미래를 위해 준비하는 어린이[개척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공검면(恭儉面)은 지역에 있는 오래된 수리 시설인 공검지(恭儉池)[공갈못]의 이름을 따서 ‘공검면’이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부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지표는 ‘여유·즐김·베풂으로 행복한 인재 육성’이고, 기본 생활 습관이 건전한 어린이[건전인], 스스로 공부하는 자율적인 어린이[자주인], 창의성을 가지고 탐구하는 어린이[창의인], 미래를 위해 준비하는 어린이[개척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부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지표는 ‘여유·즐김·베풂으로 행복한 인재 육성’이고, 기본 생활 습관이 건전한 어린이[건전인], 스스로 공부하는 자율적인 어린이[자주인], 창의성을 가지고 탐구하는 어린이[창의인], 미래를 위해 준비하는 어린이[개척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부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지표는 ‘여유·즐김·베풂으로 행복한 인재 육성’이고, 기본 생활 습관이 건전한 어린이[건전인], 스스로 공부하는 자율적인 어린이[자주인], 창의성을 가지고 탐구하는 어린이[창의인], 미래를 위해 준비하는 어린이[개척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부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지표는 ‘여유·즐김·베풂으로 행복한 인재 육성’이고, 기본 생활 습관이 건전한 어린이[건전인], 스스로 공부하는 자율적인 어린이[자주인], 창의성을 가지고 탐구하는 어린이[창의인], 미래를 위해 준비하는 어린이[개척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공성면(功城面)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고려 초의 공성현(功城縣)에서 이름을 가져와 ‘공성면’이라 하였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강석필(姜碩弼)[1679~1755]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공망(公望), 호는 송은와(松隱窩)·이지재(二知齋)·송은(松隱)이다. 강사익(姜士翼)의 5대손으로, 할아버지는 강홍윤(姜弘胤)이다. 아버지는 강균(姜均)이고, 어머니는 정선 전씨(旌善 全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신평 이씨(新平 李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세규(姜世揆)[1762~1833]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공서(公敍), 호는 긍암(兢菴)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석경(姜碩經)이고, 할아버지는 강현(姜木+賢)이다. 아버지는 강필형(姜必炯)이고, 어머니는 이석좌(李碩佐)의 딸 성산 이씨(星山 李氏)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옥산리에 있는 전통시장. 공성시장(功城市場)은 상주시 공성면 옥산리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상주시에는 공성시장을 포함하여 남성시장, 상주중앙시장, 상주풍물시장, 함창시장, 화령시장, 은척시장 등 7개의 전통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공성면(功城面)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고려 초의 공성현(功城縣)에서 이름을 가져와 ‘공성면’이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옥산리에 있는 전통시장. 공성시장(功城市場)은 상주시 공성면 옥산리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상주시에는 공성시장을 포함하여 남성시장, 상주중앙시장, 상주풍물시장, 함창시장, 화령시장, 은척시장 등 7개의 전통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
고려 전기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공성현(功城縣)은 고려 전기 대병부곡(大幷部曲)이 승격하여 성립하였다.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일대에 있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공성면(功城面)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고려 초의 공성현(功城縣)에서 이름을 가져와 ‘공성면’이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시민들의 소득 증대를 위하여 연구 개발되고 있는 과학과 기술 및 관련 기관과 활동. 과학 기술은 과학(科學)과 기술(技術)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과학은 보편적 현상에 대하여 합리적 이해를 목적으로 수학과 실험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지적 탐구 활동 및 그 결과물을 의미한다. 기술은 과학의 결과물로 축적된 기법을 활용하는 방법을 말한다. 과학은 기술의 발달...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홍도달(洪道達)[1664~1726]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자는 제겸(濟兼), 호는 과헌(果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유승(洪裕承)이고, 할아버지는 홍이해(洪以海)이다. 아버지는 홍뢰(洪賚)이고, 어머니는 이홍벽(李弘璧)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부인은 신명기(申命基)의 딸 평산 신씨(平山 申氏)이다. 형은 홍도함(洪道涵)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금산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노수신(盧守愼)[1515-1590]의 본관은 광주(光州)[광산(光山)]이며, 자는 과회(寡悔), 호는 소재(蘇齋)·이재(伊齋)·암실(暗室)·여봉노인(茹峰老人) 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돈녕부참봉 노경장(盧敬長)이고, 할아버지는 풍저창수 노후(盧珝)이다. 아버지는 활인서별제 노홍(盧鴻)이고, 어머니는 대사헌 이자화(李自華)...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의병장이자 문신. 곽수인(郭守仁)[1537~1602]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자는 경택(景宅), 호는 양담(瀼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곽계종(郭繼宗)이고, 할아버지는 풍덕훈도를 지낸 곽상(郭商)이다. 아버지는 주부 곽림(郭琳)이고, 어머니는 전력부위 조식(曺軾)의 딸 창녕 조씨(昌寧 曺氏)이다. 부인은 찰방 이굉(李宏)의 딸 진성 이씨(眞城 李氏)이고,...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곽용백(郭龍伯)[1588~1646]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호는 사오(沙塢), 초명은 곽준립(郭峻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풍덕훈도를 지낸 곽상(郭商)이고, 할아버지는 주부 곽림(郭琳)이다. 아버지는 송라도찰방 곽수지(郭守智)이고, 어머니는 이극검(李克儉)의 딸 공주 이씨(公州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참봉 장여침(張汝沈)의 딸 울진 장씨(蔚珍...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곽이정(郭以楨)[1595~1685]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자는 위경(衛卿), 호는 양헌(讓軒)이다. 초명은 곽이완(郭以完)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천문습독 곽림(郭琳)이고, 할아버지는 송라도찰방 곽수지(郭守智)이다. 아버지는 봉상시정 곽용백(郭龍伯)이고, 어머니는 참봉 박찬선(朴纘先)의 딸 함양 박씨(咸陽 朴氏)이다. 부인은 봉사 조유일(趙惟一)의...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곽이정(郭以楨)[1595~1685]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자는 위경(衛卿), 호는 양헌(讓軒)이다. 초명은 곽이완(郭以完)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천문습독 곽림(郭琳)이고, 할아버지는 송라도찰방 곽수지(郭守智)이다. 아버지는 봉상시정 곽용백(郭龍伯)이고, 어머니는 참봉 박찬선(朴纘先)의 딸 함양 박씨(咸陽 朴氏)이다. 부인은 봉사 조유일(趙惟一)의...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곽용백(郭龍伯)[1588~1646]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호는 사오(沙塢), 초명은 곽준립(郭峻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풍덕훈도를 지낸 곽상(郭商)이고, 할아버지는 주부 곽림(郭琳)이다. 아버지는 송라도찰방 곽수지(郭守智)이고, 어머니는 이극검(李克儉)의 딸 공주 이씨(公州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참봉 장여침(張汝沈)의 딸 울진 장씨(蔚珍...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풍경, 풍습, 사적 등을 체험하거나 구경하는 일. 상주시는 경상북도에서 가장 서쪽에 있으며, 동쪽으로는 낙동강이 북에서 남으로 흐르고, 서쪽은 백두대간에 해당하여 전반적으로 서고동저의 지형이다. 상주의 관광 자원도 이러한 자연 지형에 따라 나뉘는데, 산간 지역은 백두대간의 속리산국립공원 일대에 해당되며 동쪽의 낙동강 유역은 경천섬 일대를 따라 관광지가 조성되어...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관동리(官洞里)는 조선 시대에 농소(農所)를 두고 말을 먹이는 관가가 있었으므로 ‘관동(官洞)’이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동리에 있는 옥천 전씨 동성 마을. 관동리(官洞里)는 조선 시대에 농소를 두고 말을 먹이는 관가가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중산리(中山里)·마평리(馬坪里)·농산(農山)을 합하여 관동리라 하고 경상북도 상주군 외서면 관동리로 개설되었다. 자연 마을로는 관동마을, 구호마을, 바깥마마을, 숙골마을, 히지마을 등이 있다....
-
전학준을 시조로 하고 전여림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상주시의 세거 성씨. 우리나라의 전(全)씨는 도시조인 백제의 개국공신 전섭(全聶) 이후 18본이 분적되었고, 옥천 전씨(沃川 全氏)의 시조는 고려 때 영동정(令同正)이라는 벼슬을 지낸 전학준(全學浚)이다. 전학준의 현손[증손자의 아들] 전유(全侑)가 고려 충숙왕 때 밀직부사·판도판서 벼슬을 지내고 관성군(管城君)에 책봉되어 후손...
-
경상북도 상주시에 조선 전기 문인 김수온과 관련하여 전하여지는 이야기. 「관상(觀相)」은 조선 전기 문인 김수온(金守溫)[1410~1481]과 관련하여 경상북도 상주시에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이다. 김수온의 본관은 영동(永同)이고, 자는 문량(文良), 호는 괴애(乖崖)·식우(拭疣)이다. 「관상」은 김수온이 사람들의 관상을 본 것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이다....
-
전학준을 시조로 하고 전여림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상주시의 세거 성씨. 우리나라의 전(全)씨는 도시조인 백제의 개국공신 전섭(全聶) 이후 18본이 분적되었고, 옥천 전씨(沃川 全氏)의 시조는 고려 때 영동정(令同正)이라는 벼슬을 지낸 전학준(全學浚)이다. 전학준의 현손[증손자의 아들] 전유(全侑)가 고려 충숙왕 때 밀직부사·판도판서 벼슬을 지내고 관성군(管城君)에 책봉되어 후손...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와 의성군 단밀면 낙정리를 연결하던 낙동강 나루. 낙동나루는 낙동강을 건너는 나루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소속 사찰인 남장사의 부속 암자. 관음선원(觀音禪院)은 통일신라 시대 진감국사(眞鑑國師) 혜소(慧昭)가 창건하였다고 전하여지는 비구니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인 남장사(南長寺)의 부속 암자이다. 관음선원은 본래 남장사 내의 전각이었으나 알 수 없는 시기부터 독립된 암자로서 기능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소속 사찰인 남장사의 부속 암자. 관음선원(觀音禪院)은 통일신라 시대 진감국사(眞鑑國師) 혜소(慧昭)가 창건하였다고 전하여지는 비구니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인 남장사(南長寺)의 부속 암자이다. 관음선원은 본래 남장사 내의 전각이었으나 알 수 없는 시기부터 독립된 암자로서 기능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관음사(觀音寺)는 1938년 5월 1일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함창포교당으로 처음 건립되었다. 1962년 대한불교조계종에 등록하면서 관음사가 되었으며, 1976년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로 이전하였다. 관음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말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관음사(觀音寺)는 1938년 5월 1일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함창포교당으로 처음 건립되었다. 1962년 대한불교조계종에 등록하면서 관음사가 되었으며, 1976년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로 이전하였다. 관음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말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남면 동관리에 있는 관음사 절터에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관음사 터」에 나오는 관음사(觀音寺) 절터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남면 동관리에 있는 절골마을 일대이다. 옛날부터 절이 있었다고 하여 ‘절골’이라고 불린다. 관음사는 통일 신라 시대의 승려 도의선사(道義禪師)가 창건하였다고 전하여진다. 상주 관음사지 사적비(尙州 觀音寺址 事蹟碑)에 의하면, 관음사는 임진왜란...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서 발원하여 문경시를 지나 상주시 사벌국면 퇴강리에서 낙동강으로 유입하는 하천. 영강(潁江)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 속리산 문장대를 비롯한 문수봉, 신선대, 입석대 등의 동쪽 사면에서 발원한 소하천이 동쪽으로 흘러 상주시 화북면 용유리에서 용유천, 문경시 농암면 농암리에서 궁기천, 문경시 가은읍 왕능리에서 영산천, 문경시 마성면 신현리에서 조...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관현리(官峴里)는 과거를 보러 가는 길목에 있다 하여 ‘관현(官峴)’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 구서리에 있는 대한불교법화종의 말사. 광덕사(廣德寺)는 동학(東學)의 상주 지구 접주였던 해운당(海雲堂) 배순강(裵順江)이 1925년에 창건한 사찰이다. 1988년 전통 사찰로 지정되었으며, 대한불교법화종의 말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 구서리에 있는 대한불교법화종의 말사. 광덕사(廣德寺)는 동학(東學)의 상주 지구 접주였던 해운당(海雲堂) 배순강(裵順江)이 1925년에 창건한 사찰이다. 1988년 전통 사찰로 지정되었으며, 대한불교법화종의 말사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한극술(韓克述)[1598~1653]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자는 광보(光甫), 호는 소호(蘇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한봉조(韓奉祖)이고, 할아버지는 한효간(韓孝榦)이다. 아버지는 예빈시직장 한서(韓瑞)이고, 어머니는 정종계(鄭宗繼)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다. 부인은 류춘성(柳春成)의 딸 문화 류씨(文化 柳氏)이고, 아들은 한수(韓忄+遂)·한...
-
일제 강점기 상주 출신 채기중이 참여하여 활동하였던 독립운동 단체.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는 1913년 1월 경상북도 풍기군[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서 조직된 풍기광복단(豊基光復團)[대한광복단]과 1915년 1월 대구에서 조직된 조선국권회복단(朝鮮國權恢復團)의 투쟁적 인사들이 조직한 비밀결사 독립운동 단체이다. 채기중(蔡基中) 등 상주 출신의 인사들이 참여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문동에서 여자로 태어난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면서 부른 작자 미상의 선 후기 규방 가사. 「광사탄이라」는 경상북도 상주시 서문동에서 전하여지는 신변 탄식류의 규방 가사이다. 내용은 여자로 태어난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면서도 남자의 무능함과 무지함을 낱낱이 들어 해학적으로 그리고 있다. 마지막 구절에서는 죽어서 환생하게 된다면 남자로 태어나기를 소망하였다....
-
노수를 시조로 하고 노상인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상주시의 세거 성씨. 광주 노씨(光州 盧氏)의 시조는 중국 범양(范陽) 출신으로 당나라 때 한림학사를 지낸 노수(盧穗)이다. 당나라 선종(宣宗) 말엽인 859년 전후에 난을 피하여 아들 9형제를 이끌고 바다를 건너 신라로 이주하였다. 처음에는 평안도 정주(定州) 능리촌(菱里村)에 정착하였다가 용강(龍岡) 쌍제촌(雙悌村)으로 옮겨...
-
조선 후기 제작된 회화식 채색 지도의 상주목과 함창현 지도. 『광여도(廣輿圖)』는 총 7책으로 크기는 가로 28.6㎝, 세로 36.8㎝이다. 총 381장에 달하는 채색 지도(彩色地圖)이며, 제1책 천하도(天下圖)·중국도·유구도(琉球圖)·일본도·요계관방지도(遼薊關防地圖)·조선지도·도성도(都城圖)·경기도, 제2책 호서도, 제3책 호남도, 제4책 관서도·해서도, 제5책 영우도(嶺右圖),...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상리에 있는 조선 후기 열녀각. 광주 김씨 열녀각(廣州 金氏 烈女閣)은 고성인 이의봉(李鳳儀)의 부인 광주 김씨의 정열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광주 김씨는 이의봉과 혼인하여 두속마을(杜俗마을)로 출가하였다. 시부모를 모시는 데 효성을 다하고, 남편을 섬기는 데 지극정성을 다하였다. 남편이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나자 남편 옆을 떠나지 않고 식음을 전폐하...
-
노수를 시조로 하고 노상인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상주시의 세거 성씨. 광주 노씨(光州 盧氏)의 시조는 중국 범양(范陽) 출신으로 당나라 때 한림학사를 지낸 노수(盧穗)이다. 당나라 선종(宣宗) 말엽인 859년 전후에 난을 피하여 아들 9형제를 이끌고 바다를 건너 신라로 이주하였다. 처음에는 평안도 정주(定州) 능리촌(菱里村)에 정착하였다가 용강(龍岡) 쌍제촌(雙悌村)으로 옮겨...
-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하천을 건너거나 지장물, 다른 도로 등을 통과할 목적으로 만든 도로상의 인공 구조물. 상주시는 낙동강·영강·병성천·이안천·북천을 비롯한 여러 하천이 흐르고, 산지 사이의 계곡 지류 또한 수없이 많아, 도로에 교량이 많이 가설되어 있다. 국토교통부의 『도로 교량 및 터널 현황 조서』에 상주시의 교량으로 분류된 것은 2021년 말 현재 396개에 달한다....
-
전통 시대부터 현대까지 경상북도 상주 지역 교육의 역사와 현황. 고려 시대 상주향교가 설치된 이래 조선 시대 상주목사를 지낸 신잠(申潛)[1491~1554]이 세운 도곡서당(道谷書堂)을 비롯하여 1606년(선조 39) 영남의 으뜸 서원인 도남서원(道南書院) 등이 설립된 상주는 교육(敎育)과 관련하여 유서 깊은 지역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교촌리(校村里)는 함창향교가 있어 ‘향교마을’, ‘교촌리’라고 불리게 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교촌리(校村里)는 함창향교가 있어 ‘향교마을’, ‘교촌리’라고 불리게 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주요 도로, 철도와 교통수단 및 관련 시설. 상주는 예로부터 경상도 지방과 서울을 연결하는 도로 교통의 중심지였다. 나라의 화물 수송은 육로보다 낙동강 등 뱃길에 더 의존하였으나 사람의 이동은 육로가 중심이었다....
-
개항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의병. 김진구(金鎭九)[1847~1925]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자는 성소(聖韶), 호는 구고(九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고택. 상주 오작당(尙州 悟昨堂)은 구당(舊堂) 조목수(趙沐洙)[1736~1807]의 호를 따서 ‘구당’이라고도 한다. 상주 양진당을 건립한 문신 조정(趙靖)[1555~1636]의 둘째 아들의 후손들이 거주한 집이다. 문중 자료를 종합하면, 조정의 둘째 아들 조영원(趙榮遠)[1577~1640]이 혼인한 후 상주 양진당과 인접한 마을로...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고택. 상주 오작당(尙州 悟昨堂)은 구당(舊堂) 조목수(趙沐洙)[1736~1807]의 호를 따서 ‘구당’이라고도 한다. 상주 양진당을 건립한 문신 조정(趙靖)[1555~1636]의 둘째 아들의 후손들이 거주한 집이다. 문중 자료를 종합하면, 조정의 둘째 아들 조영원(趙榮遠)[1577~1640]이 혼인한 후 상주 양진당과 인접한 마을로...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구도리(九道里)가 모산지(毛山池)에 비치는 경관에서 구잠리(九潛里)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오태리에서 발원하여 외서면과 사벌국면 일대를 흐르는 하천. 동천(銅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오태리에서 발원하여 북동류한다. 이어서 공검면 행정복지센터와 공검지의 북쪽을 돌아 공검교에서 남동쪽으로 흘러 외서면과 사벌국면을 지나 낙상동 낙상교에서 외서천과 합류한다. 외서천과 합류하여 흐르다가 병성동에서 병성천으로 유입되는 지방 하천이다. 낙동강 수계의 제2...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덕가리에 있는 구름못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구름못」은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덕가리에 있는 구름못의 유래를 담은 전설이다. 고려 17대 왕인 인종(仁宗)[1109~1146]의 왕비에 대한 예찬을 담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오태리에서 발원하여 외서면과 사벌국면 일대를 흐르는 하천. 동천(銅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오태리에서 발원하여 북동류한다. 이어서 공검면 행정복지센터와 공검지의 북쪽을 돌아 공검교에서 남동쪽으로 흘러 외서면과 사벌국면을 지나 낙상동 낙상교에서 외서천과 합류한다. 외서천과 합류하여 흐르다가 병성동에서 병성천으로 유입되는 지방 하천이다. 낙동강 수계의 제2...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서만리에 있는 곶감을 생산하는 테마 체험 마을. 1450년경에 생긴 구마이[九萬里]마을은 이안천 물굽이가 기암절벽을 아홉 번 안고 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상주시의 대표적인 곶감 마을이며, 마을 주민의 90%가 곶감 생산에 주력하고 있다. 작은 마을이지만 상주시 곶감 생산량의 20%를 차지하고 있다. 감 따기, 곶감 만들기 체험이 대표적이며, 계절별로...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구미리(龜尾里)는 마을 뒷산인 작약산(芍藥山) 형세가 마치 거북의 꼬리 같다 하여 ‘구미(龜尾)’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오래전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어린이들의 노래. 동요는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어린이들의 노래이다. 어린이들이 부르는 노래인 동요는 언제, 누가 지었는지도 모르면서 입에서 입으로 전하여 내려오는 전승 동요와 어린이를 위하여 창작한 노래, 즉 창작 동요로 나누어진다. 한국의 동요는 한국의 자연환경과 인문 환경[풍토, 사회, 습속]을 바탕으로 하여 오랜 옛...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말과 기억으로 향유되고 전승되는 민간 문화의 총체. 구비 전승(口碑 傳承)은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말과 기억으로 향유되고 전승되는 문화, 문학, 지식 등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구비 전승의 범주에는 설화, 민요, 무가, 속담, 수수께끼 등이 포함되는데, 상주시에서 가장 많이 전승되고 지역적 특색을 잘 반영하는 것은 설화와 민요이다. 상주 지역의 설화와 민요는 『한국...
-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구서리(舊書里)는 자연 마을인 구서원(舊書院)에서 이름을 딴 것으로 보인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덕통리(德通里)는 조선 시대 덕통역(德通驛)이 설치되었던 것에서 유래하여 덕통리라 이름 붙여졌다. 덕통역은 유곡도찰방(幽谷道察訪)에 속하였다. 덕통역에는 대마(大馬) 2필, 중마(中馬) 2필, 소마(小馬) 4필과 역리(驛吏) 45명, 비(婢) 11명이 있었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구도리(九道里)가 모산지(毛山池)에 비치는 경관에서 구잠리(九潛里)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오래전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어린이들의 노래. 동요는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어린이들의 노래이다. 어린이들이 부르는 노래인 동요는 언제, 누가 지었는지도 모르면서 입에서 입으로 전하여 내려오는 전승 동요와 어린이를 위하여 창작한 노래, 즉 창작 동요로 나누어진다. 한국의 동요는 한국의 자연환경과 인문 환경[풍토, 사회, 습속]을 바탕으로 하여 오랜 옛...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구도리(九道里)가 모산지(毛山池)에 비치는 경관에서 구잠리(九潛里) 명칭이 유래하였다....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의병장. 홍약창(洪約昌)[1535~1592]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자는 경원(景遠), 호는 구촌(龜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영효(洪永孝)이고, 할아버지는 홍부(洪頫)이다. 아버지는 찰방 홍윤최(洪胤崔)이고, 어머니는 남원 양씨(南原 梁氏)이다. 부인은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고, 아들은 홍민헌(洪民獻)이다. 친아버지는 홍의범(洪義範)이고, 홍윤최의 양...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권구(權坵)[1611~1682]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차산(次山), 호는 장재(藏齋) 또는 구학재(溝壑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대기(權大器)이고, 할아버지는 왕자사부를 지낸 권우(權宇)이다. 아버지는 권익린(權益隣)이고, 어머니는 좌랑 안명남(安命男)의 딸 순흥 안씨(純興 安氏)이다. 부인은 장령 이익(李瀷)의 딸 경주 이씨(慶州...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구향리(舊鄕里)는 과거 함창현청이 있어 ‘구향’이라고 불린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구향리(舊鄕里)는 과거 함창현청이 있어 ‘구향’이라고 불린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대전광역시에서 경상북도 상주시를 거쳐 경상북도 문경시를 연결하는 국가지원지방도.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國家支援地方道 第32號)는 대전광역시 유성구와 경상북도 문경시를 연결하는 국가지원지방도이다. 전용 연장은 106.819㎞이며, 중복 연장 13.35㎞를 포함한 전체 연장은 120.169㎞이다. 상주시에서는 시의 북쪽 끝을 통과하며, 상주시 내 전체 연장은 24.245㎞이다....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경상북도 상주시를 거쳐 강원도 원주시를 연결하는 국가지원지방도.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國家支援地方道 第49號)는 전라남도 해남군과 강원도 원주시를 연결하는 국가지원 지방도이다. 전용 연장은 383.822㎞이며, 중복 연장 88.561㎞를 포함한 전체 연장은 472.383㎞이다. 상주시에서는 시의 서쪽 끝을 종단하며, 상주시 내 전체 연장은 52.023㎞이다....
-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경상북도 상주시를 거쳐 경상북도 경주시를 연결하는 국가지원지방도.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國家支援地方道 第68號)는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과 경상북도 경주시를 연결하는 국가지원지방도이다. 전용 연장은 300.855㎞이며, 중복 연장 81.582㎞를 포함한 전체 연장은 382.437㎞이다. 상주시에서는 시의 남쪽 끝을 통과하며, 상주시 내 전체 연장은 24.722...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서 경상북도 상주시를 거쳐 충청북도 청주시를 연결하는 일반 국도. 국도 제25호(國道 第25號)는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옛 진해시]와 충청북도 청주시를 연결하는 일반 국도로, 노선명은 ‘진해-청주선’이다. 전용 연장은 283.763㎞이며, 중복 연장 35.445㎞를 포함한 전체 연장은 319.208㎞이다. 전체적으로 국토를 종단하는 노선이나 상주시에서는 시...
-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경상북도 상주시를 거쳐 경기도 파주시를 연결하는 일반 국도. 국도 제37호(國道 第37號)는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과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을 연결하는 일반 국도로 노선명은 ‘거창-파주선’이다. 전용 연장은 388.214㎞이며, 중복 연장 62.754㎞를 포함한 전체 연장은 450.968㎞이다. 상주시에서는 시의 북서단 지역을 통과하며, 상주시 내 전체 연장은 4...
-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경상북도 상주시를 거쳐 평안북도 초산군을 연결하는 일반 국도. 국도 제3호(國道 第3號)는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과 평안북도 초산군 초산면을 연결하는 일반 국도로 노선명은 ‘남해-초산선’이다. 북한 구간을 제외하고, 전용 연장은 581.825㎞이며, 중복 연장 3.495㎞를 포함한 전체 연장은 585.32㎞이다. 상주시에서는 시의 중동부 지역을 종단하며, 상주시...
-
전라남도 광양시에서 경상북도 상주시를 거쳐 강원도 양양군을 연결하는 일반 국도. 국도 제59호는 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과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을 연결하는 일반 국도로 노선명은 ‘광양-양양선’이다. 전용 연장은 413.512㎞이며, 중복 연장 95.783㎞를 포함한 전체 연장은 509.295㎞이다. 상주시에서는 시의 동쪽 끝 지역을 종단하며, 상주시 내 전체 연장은 12.27㎞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도남동에 있는 담수 생물 전문 연구 기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國立洛東江生物資源館)은 환경부 산하 담수 생물 전문 연구 기관이다. 우리나라의 생물 주권을 확립하기 위하여 담수 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물 자원[동식물, 조류, 균류, 원핵생물]을 발굴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도남동에 있는 담수 생물 전문 연구 기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國立洛東江生物資源館)은 환경부 산하 담수 생물 전문 연구 기관이다. 우리나라의 생물 주권을 확립하기 위하여 담수 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물 자원[동식물, 조류, 균류, 원핵생물]을 발굴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영오리와 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 김천시 어모면의 경계에 있는 산. 웅이산(熊耳山)은 경상북도 상주시의 남서쪽에 있으며, 공성면 영오리와 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 김천시 어모면의 경계를 이루는 794.2m의 산이다. 백두대간의 줄기를 이루며, 남으로는 맷돌봉과 갈현, 무좌골산, 작점고개로 이어지고, 북으로는 682.3m 고지, 큰재로 연결된다. ‘국수봉(...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조동석(趙東奭)[1845~1896]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국필(國弼), 호는 국음(菊陰)이다. 아버지는 조주하(趙冑夏)이다....
-
1907년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전개된 국채보상운동. 국채보상운동(國債報償運動)은 1905년 을사늑약(乙巳勒約) 이후 일제가 차관 1300만 원을 빌미로 대한제국을 경제적으로 예속시키려 하자 국민들이 상환을 주도한 범국민적 운동이다. 국채보상운동은 1907년 1월 29일 대구광문사(大邱廣文社) 사장 김광제(金光濟), 부사장 서상돈(徐相燉), 대동광문회(大東廣文會) 회장 박해령(朴...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조동석(趙東奭)[1845~1896]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국필(國弼), 호는 국음(菊陰)이다. 아버지는 조주하(趙冑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이지성(李知聖)[1686~?]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국화(國華)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중산군(中山君) 이연(李演)이고, 할아버지는 이진하(李震厦)이다. 아버지는 이이달(李以達)이고, 어머니는 박태장(朴泰章)의 딸 나주 박씨(羅州 朴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신일성(申日星)의 딸 아주 신씨(鵝州 申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임세정(林世貞)의 딸...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중벌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 해인사의 말사. 신흥사(新興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중벌리에 있는 전통 사찰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인 해인사의 말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중벌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 해인사의 말사. 신흥사(新興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중벌리에 있는 전통 사찰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인 해인사의 말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주로 단오에 여성들이 행하는 민속놀이. 그네뛰기는 주로 음력 5월 5일인 단오에 여성들이 즐기는 우리나라 전통 민속놀이이다. 한자어로는 ‘추천희(鞦韆戱)’, ‘반선희(半仙戱)’, ‘유선희(遊仙戱)’라고 하며, 간단하게 ‘그네’라고도 일컫는데, 그네는 그네뛰기의 놀이 기구이기도 하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는 ‘군데’라고 한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홍립(姜弘立)[1560~1627]의 본관은 진주이며, 자는 군신(君臣), 호는 내촌(耐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온(姜溫)이고, 할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姜士尙)이다. 아버지는 좌참찬 강신(姜紳)이고, 어머니는 정유의(鄭惟義)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다. 부인은 황이형(黃履亨)의 딸 우주 황씨(紆州 黃氏)이고, 아들은 강숙(姜璹)·강원(姜瑗)·...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조천경(趙天經)[1695~1776]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군일(君一), 호는 이안당(易安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도(趙䆃)이고, 할아버지는 조덕윤(趙德胤)이다. 아버지는 조자신(趙自愼)이고, 어머니는 권계형(權繼亨)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부인은 강여보(姜汝輔)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운흥리와 충청북도 보은군 산외면 대원리를 연결하는 고개. 활목재라는 명칭은 고개의 형태가 활의 구부러진 목과 비슷한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된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권경호(權景虎)[1546~1609]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종경(從卿), 호는 만오헌(晩悟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군위현감을 지낸 권임(權琳)이고, 할아버지는 교리 권달수(權達手)이다. 아버지는 안동부사 권소(權紹)이며, 어머니는 파평 윤씨(坡平 尹氏)와 인동 장씨(仁同 張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서윤(庶尹) 이원(李愿)의 딸 성주 이씨(星...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권구(權坵)[1611~1682]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차산(次山), 호는 장재(藏齋) 또는 구학재(溝壑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대기(權大器)이고, 할아버지는 왕자사부를 지낸 권우(權宇)이다. 아버지는 권익린(權益隣)이고, 어머니는 좌랑 안명남(安命男)의 딸 순흥 안씨(純興 安氏)이다. 부인은 장령 이익(李瀷)의 딸 경주 이씨(慶州...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 권용중(權用中)[1552~1598]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기수(器叟), 호는 천연재(天淵齋)·활사(活沙)이다. 초명은 권기수(權己壽)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충순위 권자평(權自平)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권수화(權秀華)이다. 아버지는 전생서별제 권세기(權世麒)이고, 어머니는 참봉 이기영(李基榮)의 딸 성산 이씨(星山 李氏)이다. 큰아버지...
-
조선 후기 상주판관을 역임한 문신. 권길(權吉)[1550~1592]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응선(應善)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천부사 권한(權僩)이고, 할아버지는 충좌위호군 권승업(權承業)이다. 아버지는 충좌위사직 권익(權翊)이고, 어머니는 박종원(朴宗員)의 딸 상주 박씨(尙州 朴氏)이다. 부인은 박염(朴𥖝)의 딸 창원 박씨(昌原 朴氏)이고, 아들은 권흔(權訢)·권함(權諴...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권상룡(權相龍)[1706~1765]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용여(龍汝), 호는 긍재(兢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구(權坵)이고, 할아버지는 권이칭(權以偁)이다. 아버지는 권한(權澣)이고, 어머니는 통덕랑 조연(趙淵)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부인은 이화(李華)의 딸 흥양 이씨(興陽 李氏)이고, 아들은 권경(權檾)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문신. 권상일(權相一)[1679~1759]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태중(台仲), 호는 청대(淸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구(權坵)이고, 할아버지는 권이칭(權以偁)이다. 아버지는 권심(權深)이고, 어머니는 부사 이달의(李達意)의 딸 경주 이씨(慶州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김가주(金可柱)의 딸 선성 김씨(宣城 金氏), 두 번째 부인은...
-
개항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의병. 권상중(權相中)[1882~1929]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어렸을 때 이름은 권석출(權石出), 자는 윤집(閏集)이다. 아버지는 권복규(權福奎)이며, 어머니는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본적지가 상주이다....
-
개항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의병. 권상중(權相中)[1882~1929]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어렸을 때 이름은 권석출(權石出), 자는 윤집(閏集)이다. 아버지는 권복규(權福奎)이며, 어머니는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본적지가 상주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 권용중(權用中)[1552~1598]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기수(器叟), 호는 천연재(天淵齋)·활사(活沙)이다. 초명은 권기수(權己壽)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충순위 권자평(權自平)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권수화(權秀華)이다. 아버지는 전생서별제 권세기(權世麒)이고, 어머니는 참봉 이기영(李基榮)의 딸 성산 이씨(星山 李氏)이다. 큰아버지...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권준(權晙)[1895~1959]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계언(季彦), 호는 백인(百忍)이다. 독립운동에 참가하여 국내외에 걸쳐 활동하면서 권중환(權重煥)·권중석(權重錫)·강병수(姜炳秀)·진민각(陳民覺)·장종화(張從化)·양무(揚武)·장수화(張樹華) 등 여러 이름을 사용하였다. 큰아들은 독립운동가 권태휴(權泰烋)[1917~1990...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권준(權晙)[1895~1959]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계언(季彦), 호는 백인(百忍)이다. 독립운동에 참가하여 국내외에 걸쳐 활동하면서 권중환(權重煥)·권중석(權重錫)·강병수(姜炳秀)·진민각(陳民覺)·장종화(張從化)·양무(揚武)·장수화(張樹華) 등 여러 이름을 사용하였다. 큰아들은 독립운동가 권태휴(權泰烋)[1917~1990...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권준(權晙)[1895~1959]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계언(季彦), 호는 백인(百忍)이다. 독립운동에 참가하여 국내외에 걸쳐 활동하면서 권중환(權重煥)·권중석(權重錫)·강병수(姜炳秀)·진민각(陳民覺)·장종화(張從化)·양무(揚武)·장수화(張樹華) 등 여러 이름을 사용하였다. 큰아들은 독립운동가 권태휴(權泰烋)[1917~1990...
-
일제 강점기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권태휴(權泰烋)[1917~1990]의 본적지는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이며, 다른 이름은 장의(張毅)이다. 아버지는 독립운동가 권준(權晙)이며, 어머니는 이석우(李錫雨)이다. 형은 권태옥(權泰玉), 동생은 권태환(權泰環)이다. 아내는 독립운동가 민영숙(閔泳淑)[1920~1989]이다. 자녀는 권영철(權寧喆), 권영혁(權寧爀), 권영빈(權寧彬),...
-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법정면. 사벌국면(沙伐國面)은 사벌국의 옛이름을 따서 ‘사벌국면’이라고 하였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조용구(趙龍九)[1830~1882]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경희(景羲), 호는 규원(樛園)이다. 초명은 조재원(趙在元)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탁수(趙濯洙)이고, 할아버지는 참의 조덕(趙㯖)이다. 아버지는 조현기(趙鉉基)이고, 어머니는 강굉흠(姜肱欽)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고성겸(高聖謙)의 딸 개성 고씨(開城 高氏)...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신후재(申厚載)[1636~1699]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덕부(德夫), 호는 규정(葵亭)·서암(恕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신여길(申汝吉)이고, 할아버지는 호조정랑 신상철(申尙哲)이다. 아버지는 제천현감 신항구(申恒耉)이고, 어머니는 허한(許僩)의 딸 양천 허씨(陽川 許氏)이다. 부인은 부사 류호연(柳浩然)의 딸 진주 류씨(晉州 柳氏...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전극항(全克恒)[1590~1636]의 본관은 옥천(沃川)이며, 자는 덕고(德古)·덕구(德久), 호는 규천(虯川)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전혼(全焜)이고, 할아버지는 전여림(全汝霖)이다. 아버지는 대사헌 전식(全湜)이고, 어머니는 홍천서(洪天敍)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다. 부인은 사헌부감찰 조기원(趙基遠)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고, 아들은 전...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주로 단오에 여성들이 행하는 민속놀이. 그네뛰기는 주로 음력 5월 5일인 단오에 여성들이 즐기는 우리나라 전통 민속놀이이다. 한자어로는 ‘추천희(鞦韆戱)’, ‘반선희(半仙戱)’, ‘유선희(遊仙戱)’라고 하며, 간단하게 ‘그네’라고도 일컫는데, 그네는 그네뛰기의 놀이 기구이기도 하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는 ‘군데’라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주로 단오에 여성들이 행하는 민속놀이. 그네뛰기는 주로 음력 5월 5일인 단오에 여성들이 즐기는 우리나라 전통 민속놀이이다. 한자어로는 ‘추천희(鞦韆戱)’, ‘반선희(半仙戱)’, ‘유선희(遊仙戱)’라고 하며, 간단하게 ‘그네’라고도 일컫는데, 그네는 그네뛰기의 놀이 기구이기도 하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는 ‘군데’라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화현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극락암(極樂庵)은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김천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며,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화현리 웃쇠실마을에 있는 전통 사찰이다. 극락암은 웃쇠실마을 남서쪽 팔음산 기슭에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화현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극락암(極樂庵)은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김천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며,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화현리 웃쇠실마을에 있는 전통 사찰이다. 극락암은 웃쇠실마을 남서쪽 팔음산 기슭에 있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채기중(蔡基中)[1873~1921]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극오(極五), 호는 소몽(素夢)이다. 아버지는 채헌락(蔡憲洛)이고, 어머니는 곡부 공씨(曲阜 孔氏)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인옥(朴寅玉)[1899~1947]의 호는 근원(瑾園)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계리(金溪里)는 금학포란형(金鶴抱卵形) 형국이라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보미리에서 발원하여 모서면과 모동면 일대를 흐르는 하천. 금계천(錦溪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보미리에서 발원하여 모서면 화현리와 지산리를 지나 삼포리에서 삼포리천과 만나 남쪽으로 흐르다가 모서면을 지나 모동면 금천리에서 반계천과 합류하여 석천에 유입하는 지방 하천이다. 금강 수계의 제3지류 하천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흔리(衾欣里)는 명주(明紬) 비단이 많이 생산되어 ‘금실(錦室)’이라 불렀고, 사벌국 시대 도읍지였으므로 ‘금실’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후 조선 고종 때 ‘금곡’으로 고쳐 불렀고,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금곡리(衾谷里)의 ‘금(衾)’ 자와 흔곡리(欣谷里)의 ‘흔(欣)’ 자를 따서 ‘금흔리’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금곡리(金谷里)는 금이 많이 생산되었다는 것에서 유래하여 ‘금곡리’로 불리게 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당리(金堂里)는 큰길가에 있는 마을이라는 것에서 비롯하여 ‘큰길가’ 또는 ‘금당’이라고 한 데서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백화산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금돌성(今突城)은 삼국 시대에는 ‘금돌성’, 고려 시대에는 ‘상주산성(尙州山城)’으로 불렸고, 조선 시대에는 ‘백화산성(白華山城)’·‘보문성(普文城)’ 등으로 불렸다. 금돌성은 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3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백화산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금돌성(今突城)은 삼국 시대에는 ‘금돌성’, 고려 시대에는 ‘상주산성(尙州山城)’으로 불렸고, 조선 시대에는 ‘백화산성(白華山城)’·‘보문성(普文城)’ 등으로 불렸다. 금돌성은 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3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산리(錦山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금천리(錦川里)의 ‘금(錦)’ 자와 산수리(山水里)의 ‘산(山)’ 자를 따서 ‘금산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흔리(衾欣里)는 명주(明紬) 비단이 많이 생산되어 ‘금실(錦室)’이라 불렀고, 사벌국 시대 도읍지였으므로 ‘금실’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후 조선 고종 때 ‘금곡’으로 고쳐 불렀고,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금곡리(衾谷里)의 ‘금(衾)’ 자와 흔곡리(欣谷里)의 ‘흔(欣)’ 자를 따서 ‘금흔리’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일원에서 자금의 수요자와 공급자에게 각종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 금융이란 자금 공급자와 자금 수요자 간의 자금 거래를 의미하며 금융기관(金融機關)은 금융을 매개하는 기관을 말한다. 금융과 관련된 제반 업무를 금융업이라고 하며, 근대적 금융업의 기원은 근세 초기 이탈리아에서 원격지 무역(遠隔地貿易)의 발달에 따라 외국 화폐를 교환하여 주는 환전상이 출현한 데서...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보미리에서 발원하여 모서면과 모동면 일대를 흐르는 하천. 금계천(錦溪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보미리에서 발원하여 모서면 화현리와 지산리를 지나 삼포리에서 삼포리천과 만나 남쪽으로 흐르다가 모서면을 지나 모동면 금천리에서 반계천과 합류하여 석천에 유입하는 지방 하천이다. 금강 수계의 제3지류 하천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천리(琴川里)는 백화산 밑에 있는 지역이라는 뜻으로 ‘미끼미‘, ‘산금’이라고 불리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산금의 ‘금’ 자와 이천리(爾川里)의 ‘천(川)’ 자를 따서 ‘금천리’라고 하였다고 한다....
-
개항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의병. 이기찬(李起璨)[1853~1908]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경능(敬能), 호는 지산(止山)·금초(錦樵)·금초산인(錦樵山人)이다. 아들은 이강하(李康夏)·이강은(李康殷)·이강한(李康漢)이다....
-
개항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의병. 이기찬(李起璨)[1853~1908]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경능(敬能), 호는 지산(止山)·금초(錦樵)·금초산인(錦樵山人)이다. 아들은 이강하(李康夏)·이강은(李康殷)·이강한(李康漢)이다....
-
개항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의병이자 독립운동가. 노병대(盧炳大)[1856~1913]의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자는 상요(相堯), 호는 금포(錦圃)이다. 처음 이름은 노병직(盧炳稷)이다. 아버지 노종구(盧宗九), 어머니 의성 김씨(義城 金氏)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흔리(衾欣里)는 명주(明紬) 비단이 많이 생산되어 ‘금실(錦室)’이라 불렀고, 사벌국 시대 도읍지였으므로 ‘금실’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후 조선 고종 때 ‘금곡’으로 고쳐 불렀고,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금곡리(衾谷里)의 ‘금(衾)’ 자와 흔곡리(欣谷里)의 ‘흔(欣)’ 자를 따서 ‘금흔리’라고 하였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세규(姜世揆)[1762~1833]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공서(公敍), 호는 긍암(兢菴)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석경(姜碩經)이고, 할아버지는 강현(姜木+賢)이다. 아버지는 강필형(姜必炯)이고, 어머니는 이석좌(李碩佐)의 딸 성산 이씨(星山 李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권상룡(權相龍)[1706~1765]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용여(龍汝), 호는 긍재(兢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구(權坵)이고, 할아버지는 권이칭(權以偁)이다. 아버지는 권한(權澣)이고, 어머니는 통덕랑 조연(趙淵)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부인은 이화(李華)의 딸 흥양 이씨(興陽 李氏)이고, 아들은 권경(權檾)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정의묵(鄭宜默)[1847~1906]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맹제(孟齊), 호는 긍재(肯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민수(鄭民秀)이고, 할아버지는 정윤우(鄭允愚)이다. 아버지는 부교리 정동규(鄭東奎)이고, 어머니는 이휘규(李彙圭)의 딸 진성 이씨(眞城 李氏)이다. 부인은 류진익(柳進翼) 딸 풍산 류씨(豊山 柳氏)이고, 아들은 정재붕(鄭在鵬)·정재...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곡리(德谷里)는 좋은 터라 하여 ‘터골’, ‘트골’, ‘덕곡’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그리스도교의 주요 분파. 개신교는 16세기 로마 가톨릭에 대항하여 이루어진 종교개혁을 통하여 성립된 복음주의 성향의 기독교 분파이다. 18세기 이후 아시아와 아프리카 등지에 전도되었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는 19세기 후반에 개신교 신자가 등장하였으며, 1900년 초 교회 설립이 본격화되었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 권용중(權用中)[1552~1598]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기수(器叟), 호는 천연재(天淵齋)·활사(活沙)이다. 초명은 권기수(權己壽)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충순위 권자평(權自平)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권수화(權秀華)이다. 아버지는 전생서별제 권세기(權世麒)이고, 어머니는 참봉 이기영(李基榮)의 딸 성산 이씨(星山 李氏)이다. 큰아버지...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기업을 경영하고 있는 조직체. 기업체(企業體)는 이익을 목적으로 생산, 판매, 금융, 서비스 따위의 사업을 하는 생산 경제 단위를 말한다. 기업체는 본사, 지사, 지점, 공장, 영업소 등 1개 또는 여러 개의 사업체로 구성된다. 기업은 운영 목적을 중심으로 크게 개인이 영리 등을 목적으로 하여 운영하는 사기업과 국가 또는 공공 단체가 공공의 목적을 위하여 운영하...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금산리 봉산서원에 소장된 조선 전기 기로연 그림. 「기영회도(耆英會圖)」는 조선 초기 문신이자 학자인 노수신(盧守愼)[1515~1590]이 70세가 넘는 정이품 이상의 문관들을 예우하기 위하여 설치한 기구인 기로소(耆老所)에 입소한 후 개최된 기로연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금산리의 봉산서원(鳳山書院)에서 소장하고 있다. 「기영회도」는...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비가 내리기를 염원하며 지내는 제사. 농업이 주요한 생계 수단이었던 전근대 사회에서 농작물에 물을 대는 것은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였다. 특히 한반도에서는 논에 물을 대어 짓는 벼농사인 수도작(水稻作)이 중심이 된 이후로 논에 제때 물을 대려고 물웅덩이를 파거나 저수지를 축조하여 물을 저장하고자 하였다. 그럼에도 저수 시설이 충분하지 않아 대부분 농사에 필...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정민병(鄭民秉)[1800~1882]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문호(文好), 호는 기주(箕疇)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예모(鄭禮模)이고, 할아버지는 정성로(鄭成魯)이다. 아버지는 정상관(鄭象觀)이고, 어머니는 남한조(南漢朝)의 딸 의령 남씨(宜寧 南氏)이다. 부인은 한성부우윤 박광석(朴光錫)의 딸 순천 박씨(順天 朴氏)이고, 아들은 정급우(鄭及愚)...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채수(蔡壽)[1449~1515]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기지(耆之), 호는 나재(懶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채영(蔡泳)이고, 할아버지는 세자시강원필선 채윤(蔡倫)이다. 아버지는 남양도호부사 채신보(蔡申保)이고, 어머니는 류승순(柳承順)의 딸 문화 류씨(文化 柳氏)이다. 부인은 권이순(權以順)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고, 아들은 채윤권(蔡...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세백(姜世白)[1748~1824]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청지(淸之), 호는 호린(皓隣)·기치(杞痴)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석번(姜碩蕃)이고, 할아버지는 장례원판결사 강박(姜樸)이다. 아버지는 강필악(姜必岳)이며, 어머니는 사헌부지평 이재후(李載厚)의 딸 여주 이씨(驪州 李氏)이다. 부인은 박필경(朴必慶)의 딸이고, 아들은 강장흠(姜章欽)이...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규칙적으로 되풀이되는 일정 기간의 평균 기상 상태. 우리나라의 남동부 내륙, 경상북도 북서부 내륙 지방에 있는 상주 지역은 남부 내륙형 기후구에 속한다. 북쪽과 서쪽으로 소백산맥이 막고 있는 지형 특성으로 인하여 고온 다습한 여름과 한랭 건조한 겨울로 인하여 연교차가 크다. 또 건기와 우기가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보인다. 199...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당리(金堂里)는 큰길가에 있는 마을이라는 것에서 비롯하여 ‘큰길가’ 또는 ‘금당’이라고 한 데서 유래되었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각(金覺)[1536~1610]의 본관은 영동(永同)[영산(永山)]이며, 자는 경성(景惺), 호는 석천(石川)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김공저(金公著)이고, 할아버지는 장사랑 김자(金滋)이다. 아버지는 김언건(金彦健)이고, 어머니는 참봉 조이(趙恞)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부인은 성균관사성 김충(金冲)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고...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의병장. 김광두(金光斗)[1562~1608]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며, 자는 경추(景樞)·여우(汝遇), 호는 검암(黔巖)·일묵재(一默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감찰 김유(金洧)이고, 할아버지는 곡산부사 김국량(金國良)이다. 아버지는 김인(金仁)이고, 어머니는 김사숙(金嗣叔)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며, 부인은 문경세(文經世)의 딸 감천 문씨(甘泉 文氏)이...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광엽(金光燁)[1561~1610]의 본관은 순천(順川)이며, 자는 이회(而晦), 호는 죽일(竹日)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수홍(金粹洪)이고, 할아버지는 지훈련원사 김순고(金舜皐)이다. 아버지는 병마만호 김침(金琛)이고, 어머니는 승문원판교 원수장(元壽長)의 딸 원주 원씨(原州 元氏)이다. 부인은 이인수(李仁壽)의 딸 전의 이씨(全義 李氏)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중벌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 해인사의 말사. 신흥사(新興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중벌리에 있는 전통 사찰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인 해인사의 말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중벌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 해인사의 말사. 신흥사(新興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중벌리에 있는 전통 사찰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인 해인사의 말사이다....
-
고려 후기 상주 지역에 거주하였던 문신. 김구용(金九容)[1338~1384]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경지(敬之)·백은(伯誾), 호는 척약재(惕若齋)·육우당(六友堂)이다. 초명은 김제민(金齊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선(金愃)이고, 할아버지는 김승택(金承澤)이다. 아버지는 상락군(上洛君) 김묘(金昴)이고, 어머니는 여흥군(驪興君) 민사평(閔思平)의 딸 여흥 민씨(驪興 閔氏)...
-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시인. 김구용(金丘庸)[1922~2001]의 원래 이름은 김영탁(金永卓)이며, 구용은 아호(雅號)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목사. 김재수(金在洙)[1854~1941]의 개명한 이름은 김기원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길상(金吉相)[1924~1985]은 1924년 6월 12일 경상북도 상주군 상주읍 읍내(邑內)에서 태어났다. 일제가 태평양전쟁을 일으킨 1940년대 초반 일본군으로 참전하여 1944년 9월 중국 후난성[湖南省] 창사[長沙] 지구에 주둔하였다. 당시 한국광복군은 중국 전역에서 일본군에 강제 징병된 한국 청년들을 대상으로 병력 모집과 선...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이주하여 정착한 학자. 김담수(金聃壽)[1535~1603]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자는 태수(台叟), 호는 서계(西溪)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부사직 김귀손(金貴孫)이고, 할아버지는 장사랑 김윤적(金允迪)이다. 아버지는 참봉 김관석(金關石)이고, 어머니는 박탄(朴坦)의 딸 순천 박씨(順天 朴氏)이다. 부인은 조몽길(曺夢吉)의 딸 창녕 조씨(昌寧 曺氏)이고,...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덕영(金德永)[1887~1921]의 본적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금산리이다....
-
고려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득배(金得培)[1312~1362]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며, 호는 난계(蘭溪),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지연(金之衍)이고, 할아버지는 김일(金鎰)이다. 아버지는 판전의를 지낸 김록(金祿)이고, 동생은 김득제(金得齊)·김선치(金先致)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만식(金萬植)[1921~1990]의 본적은 경상북도 상주군 상주읍 무양리이다....
-
개항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의병. 김만원(金萬源)[1857~1932]의 다른 이름은 김일원(金一源)이다....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천주교 신부. 김문옥(金紋玉)[1873~1941]은 1873년 6월 7일 경상남도 울주군 언양읍 살티 교구촌에서 태어났다. 신학생으로 선발되어 1883년 말레이시아 페낭신학교로 유학하였으며, 1892년 귀국하여 서울 용산신학교에서 학업을 이어 갔다. 1900년 9월 22일, 한국인 사제로서 12번째로 서품되었다....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학자이자 문신. 김범(金範)[1512~1566]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며, 자는 덕용(德容), 호는 후계(后溪)·동계(桐溪)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통례문통찬 김극충(金克忠)이고, 할아버지는 부사직 김예강(金禮康)이다. 아버지는 장사랑 김윤검(金允儉)이고, 어머니는 종사랑 김증(金增)의 딸 선산 김씨(善山 金氏)이다. 부인은 계공랑 조한신(曺漢臣)의 딸 창녕 조...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사용(金思容)[1883~1941]은 1883년 10월 7일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인봉동에서 태어났다. 1907년 조필연 등과 함께 상주 유림들이 전개한 상산중학설립찬성회(商山中學設立贊成會) 사무원으로 활동하였다. 또한 1908년 3월 조직된 교남교육회(嶠南敎育會), 1909년 10월경 조직된 대동청년단(大東靑年團), 1915년 1월...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삼락(金三樂)[1610~1666]의 본관은 청도(淸道)이며, 자는 낙전(樂全), 호는 쌍수당(雙修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수의부위 김흡(金洽)이고, 할아버지는 김준신(金俊臣)이다. 아버지는 김백일(金百鎰)이고, 어머니는 신철(辛澈)의 딸 영산 신씨(靈山 辛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홍우민(洪友閔)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장...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성덕(金盛德)[1897~1949]은 1897년 12월 21일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서 태어났다. 1919년 6월 30일 경성고등보통학교[현 경기고등학교] 학생으로서 독립 의식을 고취하는 문서를 배포하였다. 당시 김성덕은 서울 종로구 사간동의 김만심(金萬心) 집에 거주하였는데, 상주 출신의 서울 보성고등보통학교 4학년생 장재관(張在瓘...
-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기업인 겸 교육자이자 정치인. 김세영(金洗榮)[1920~2010]의 본관은 함녕(咸寧)이며, 호는 세심(洗心)이다. 아버지는 김혁진이다....
-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영화인. 김소동(金蘇東)[1911~1988]은 1911년 6월 3일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서 태어났다. 1924년 함창공립보통학교[현 함창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니혼대학[日本大學] 예과에 다니면서 영화구락부에서 활동하였다. 1938년 도쿄중앙음악학교를 졸업하고, 이후 다시 니혼대학 법문학부 법률학과를 마쳤다. 졸업 후 변호사가 되기 위하여 고...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김안절(金安節)[1564~1632]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며, 자는 자형(子亨), 호는 낙애(洛涯)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승의부위 김광범(金光範)이고, 할아버지는 안기도찰방 김표(金彪)이다. 아버지는 수의부위 김종선(金宗善)이고, 어머니는 이재(李宰)의 딸 진성 이씨(眞城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조광헌(趙光憲)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고, 두...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학자이자 효자. 김언건(金彦健)[1511~1571]의 본관은 영동(永同)이며, 자는 정보(精甫), 호는 운정(芸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형조좌랑 김민(金旼)이고, 할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김공저(金公著)이다. 아버지는 장사랑 김자(金滋)이고, 어머니는 이철강(李鐵剛)의 딸 흥양 이씨(興陽 李氏)이다. 부인은 조이(趙恞)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영이(金榮伊)[1924~1945]의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아버지는 김동호(金同浩)이며, 어머니 성술이(成述伊)이다....
-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시인. 김구용(金丘庸)[1922~2001]의 원래 이름은 김영탁(金永卓)이며, 구용은 아호(雅號)이다....
-
고려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요(金饒)[1312~1382]의 본관은 함창(咸昌)이며, 호는 강촌(江村)이다. 아버지는 도첨의찬성사를 지낸 김택(金澤)이며, 어머니는 영양 남씨(英陽 南氏)이다. 이곡(李穀)의 처남이자 이색(李穡)의 외삼촌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한석(金漢奭)[1920~1950]의 창씨개명한 이름은 김원한석(金原漢奭)이다. 아버지는 김순진(金順鎭)이고, 어머니는 황복희(黃福姬)이다....
-
개항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의병. 김윤황(金允璜)[1886~1908]은 1886년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태어났다. 1903년 9월경 김문진(金問辰), 김곤이(金坤伊), 김향군(金香君), 소춘화(蘇春和) 등과 함께 경상북도 청도군(淸道郡) 팔조령(八助嶺)에서 일본인 이노우에 슌타로[井上俊太郞]의 총과 칼, 그리고 소지품을 탈취한 뒤 살해하였다. 1904년 6월 탁영조(卓永祚)...
-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군인이자 정치인. 김인(金仁)[1924~1998]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의병장. 김일(金鎰)[?~1592]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계(金氵+戒)이고, 할아버지는 별좌를 지낸 김광헌(金光憲)이다. 아버지는 장사랑 김희경(金希慶)이고, 어머니는 청주 한씨(淸州 韓氏)이다. 부인은 인동 장씨(仁同 張氏)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내곡리에 있는 효녀각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김일 따님의 효행」은 전쟁의 위험 속에서 부모의 시신을 수습하여 고향에 안장한 딸에 대한 인물 전설이자 효행담이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활약한 의병장 김일(金鎰)[?~1592]의 딸이 행한 효성을 기리기 위하여 세워진 김일 효녀각은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내곡리에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내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녀각. 김일 효녀각(金鎰 孝女閣)은 임진왜란 때 전사한 김일(金鎰)의 딸 상산 김씨를 기리기 위하여 1793년 건립하였다. 상산 김씨는 전란 중 아버지가 전사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가노(家奴)와 함께 전쟁터에서 아버지의 시신을 찾아 임시로 매장하였다가 왜적이 물러간 뒤 장례를 치렀다. 무덤 앞에 아무 글을 새기지 않은 비석을 세우고...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내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녀각. 김일 효녀각(金鎰 孝女閣)은 임진왜란 때 전사한 김일(金鎰)의 딸 상산 김씨를 기리기 위하여 1793년 건립하였다. 상산 김씨는 전란 중 아버지가 전사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가노(家奴)와 함께 전쟁터에서 아버지의 시신을 찾아 임시로 매장하였다가 왜적이 물러간 뒤 장례를 치렀다. 무덤 앞에 아무 글을 새기지 않은 비석을 세우고...
-
개항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의병. 김만원(金萬源)[1857~1932]의 다른 이름은 김일원(金一源)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재수(金在洙)[1888~1955]는 1888년 11월 19일 지금의 상주시 인봉동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김두인(金斗寅)이고, 어머니는 최차도(崔次度)이다. 부인 김청옥(金淸玉)과의 사이에서 3남 3녀를 두었다. 호는 무성(無聲)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목사. 김재수(金在洙)[1854~1941]의 개명한 이름은 김기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죽암리에 있는 낙암서원에 배향된 조선 후기의 문신. 김정룡(金廷龍)[1561~1619]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자는 시견(時見), 호는 월담(月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장사랑 김윤적(金允迪)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김관석(金關石)이다. 아버지는 선공감참봉 김담수(金聃壽)이고, 어머니는 조몽길(曺夢吉)의 딸 창녕 조씨(昌寧 曺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통례원...
-
고려 후기 상주 지역에 거주하였던 문신. 김구용(金九容)[1338~1384]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경지(敬之)·백은(伯誾), 호는 척약재(惕若齋)·육우당(六友堂)이다. 초명은 김제민(金齊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선(金愃)이고, 할아버지는 김승택(金承澤)이다. 아버지는 상락군(上洛君) 김묘(金昴)이고, 어머니는 여흥군(驪興君) 민사평(閔思平)의 딸 여흥 민씨(驪興 閔氏)...
-
고려 후기 상주 출신의 향리. 김조(金祚)[?~?]는 고려 후기 향리(鄕吏)로서 상산 김씨(尙山 金氏) 중시조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의병장. 김준신(金俊臣)[1561~1592]의 본관은 청도(淸道)이며, 호는 절곡(節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장수도찰방 김이인(金以仁)이고, 할아버지는 부사직 김승조(金承祖)이다. 아버지는 수의부위 김흡(金洽)이고, 어머니는 경주 김씨(慶州 金氏)이다. 부인은 훈련원참군 신호(申浩)의 딸 고령 신씨(高靈 申氏)이고, 아들은 김백일(金百鎰)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지복(金知復)[1568~1635]의 본관은 영동(永同)[영산(永山)]이며, 자는 무회(無悔)·수초(守初), 호는 우연(愚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장사랑 김자(金滋)이고, 할아버지는 김언건(金彦健)이다. 아버지는 군자감정 김각(金覺)이고, 어머니는 성균관사성 김충(金冲)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다. 부인은 직장 전개(全漑)의 딸 관산 전씨(管山...
-
개항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의병. 김진구(金鎭九)[1847~1925]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자는 성소(聖韶), 호는 구고(九皐)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진호(金鎭浩)[1873~1960]의 호는 애산(愛山)이다....
-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의사이자 정치인. 김집(金潗)[1926~2012년]의 본관은 함창(咸昌)이며, 호는 인봉(仁峯)이다. 부인은 김인덕(金仁悳)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지평리에 있는 개항기 충효각. 김축 부자 충효각(金軸 父子 忠孝閣)은 1883년(고종 20) 전쟁 중에 사망한 김축(金軸)과 아들 김영달의 충효를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김축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켰으나, 큰 성과를 내지 못하였다. 이후 단신으로 장군 이순신(李舜臣) 휘하에 들어가 활동하였다. 김문열(金文烈) 진중에 참전하여 전공을 세웠으나 전...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지평리에 있는 개항기 충효각. 김축 부자 충효각(金軸 父子 忠孝閣)은 1883년(고종 20) 전쟁 중에 사망한 김축(金軸)과 아들 김영달의 충효를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김축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켰으나, 큰 성과를 내지 못하였다. 이후 단신으로 장군 이순신(李舜臣) 휘하에 들어가 활동하였다. 김문열(金文烈) 진중에 참전하여 전공을 세웠으나 전...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충(金冲)[1513~1572]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며, 자는 화길(和吉), 호는 서대(西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부사과 김극효(金克孝)이고, 할아버지는 김삼산(金三山)이다. 아버지는 성균관전적 김옹(金顒)이고, 어머니는 정구(鄭俅)의 딸이다. 부인은 현감을 지낸 장세강(張世綱)의 딸 풍덕 장씨(豊德 張氏)이고, 아들은 김지대(金之岱)·김지연(金之衍...
-
고려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김택(金澤)[?~?]의 본관은 함창(咸昌)이며, 호는 간재(簡齋)이다. 아버지는 보문각대제학 김인완(金麟琬)이다. 부인은 영양 남씨(英陽 南氏)이고, 아들은 고려 문과에 급제하여 중대광을 지낸 김요(金饒)이다. 사위는 이곡(李穀)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한석(金漢奭)[1920~1950]의 창씨개명한 이름은 김원한석(金原漢奭)이다. 아버지는 김순진(金順鎭)이고, 어머니는 황복희(黃福姬)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김해(金楷)[1633~1716]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정칙(正則), 호는 부훤당(負暄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군수를 지낸 김집(金緝)이고, 할아버지는 김사득(金士得)이다. 아버지는 김광호(金光灝)이고, 어머니는 정신(鄭伸)의 딸 청주 정씨(淸州 鄭氏)이다. 부인은 이한미(李漢美)의 딸 연안 이씨(延安 李氏)이고, 아들은 김만지(金萬...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홍미(金弘微)[1557~1605]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며, 자는 창원(昌遠), 호는 성극당(省克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부사직 김예강(金禮康)이고, 할아버지는 장사랑 김윤검(金允儉)이다. 아버지는 옥과현감 김범(金範)이고, 어머니는 계공랑 조한신(曺漢臣)의 딸 창녕 조씨(昌寧 曺氏)이다. 부인은 원주목사 류운룡(柳雲龍)의 딸 풍산 류씨(豊山 柳氏)...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홍민(金弘敏)[1540~1594]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며, 자는 임보(任父·任甫)·중원(重遠), 호는 사담(沙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부사직 김예강(金禮康)이고, 할아버지는 장사랑 김윤검(金允儉)이다. 아버지는 옥과현감 김범(金範)이고, 어머니는 계공랑 조한신(曺漢臣)의 딸 창녕 조씨(昌寧 曺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별제 이천(李蒨)의 딸 월성...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양범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효자각. 김회복 효자각(金會福孝子閣)은 경상북도 상주 출신 김회복(金會福)[1861~?]의 효심을 기리기 위하여 1921년 건립하였다. 김회복의 본관은 함녕(咸寧)이다. 김회복은 7세 때 아버지가 죽고 홀어모니를 모시고 살았다. 후에 어머니가 병에 걸리자 강북 망계산을 돌아다녀 ‘박활인’이란 약을 구하여 병을 치료하였다. 10세 때...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양범리에 있는 김회복 효자각에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김회복의 효자각」은 효자 김회복(金會福)이 지극한 효심으로 어머니의 병환을 낫게 하였다는 이야기이다. 김회복은 함녕 김씨(咸寧 金氏) 집안의 사람이다. 일곱 살에 아버지를 여의고 가난한 살림에도 어머니를 지극정성으로 모시며 살았다. 그러던 중 어머니가 병에 걸리자 여러 산을 일주일 넘게 돌아다니면서 약...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가리(德可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덕상리(德上里)의 ‘덕(德)’ 자와 가막리(可幕里)의 ‘가(可)’ 자를 따서 ‘덕가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를 상징하는 시조(市鳥)로 지정된 텃새. 까치는 까마귓과의 텃새이며 15세기 문헌에는 ‘가치’로 기록되어 있고 가티, 갓치, 가지라고도 한다. 한자어로는 작(鵲), 희작(喜鵲), 신녀(神女), 비박조(飛駁鳥), 건작(乾鵲), 추미(芻尾)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