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구잠리와 물량리 경계에 있는 산. 나각산(螺角山)은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구잠리와 물량리, 낙동리에 걸쳐 낙동강 변에 솟아 있는 240.2m의 구릉성 산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율곡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채수의 신도비. 나재 채수 신도비(懶齋 蔡壽 神道碑)는 채수(蔡壽)[1449~1515]를 기리기 위하여 1517년(중종 12) 세워졌다. 채수는 본관이 인천, 호는 나재(懶齋)로 충청도관찰사·성균관·대사성·호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세종실록』과 『예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대사헌으로 있을 때에는 폐비 윤씨를 옹호하다가...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채수(蔡壽)[1449~1515]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기지(耆之), 호는 나재(懶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채영(蔡泳)이고, 할아버지는 세자시강원필선 채윤(蔡倫)이다. 아버지는 남양도호부사 채신보(蔡申保)이고, 어머니는 류승순(柳承順)의 딸 문화 류씨(文化 柳氏)이다. 부인은 권이순(權以順)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고, 아들은 채윤권(蔡...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나한리(羅汗里)는 나한을 모신 불당이 있었다는 것에서 유래하여 ‘나한리’로 불리었고, ‘나하당’, ‘나한’ 또는 ‘나한대’라고도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나한리(羅汗里)는 나한을 모신 불당이 있었다는 것에서 유래하여 ‘나한리’로 불리었고, ‘나하당’, ‘나한’ 또는 ‘나한대’라고도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나한리(羅汗里)는 나한을 모신 불당이 있었다는 것에서 유래하여 ‘나한리’로 불리었고, ‘나하당’, ‘나한’ 또는 ‘나한대’라고도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나한리(羅汗里)는 나한을 모신 불당이 있었다는 것에서 유래하여 ‘나한리’로 불리었고, ‘나하당’, ‘나한’ 또는 ‘나한대’라고도 하였다....
-
2002년부터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강 일원에서 낙강시회를 재현하여 매년 개최하는 문학 축제. 낙강시제(洛江詩祭)는 선비들이 낙동강(洛東江)에서 뱃놀이를 하며 시를 읊던 낙강시회(洛江詩會)를 재현하여 2002년부터 해마다 개최하는 문학 축제이다. 1196년부터 1862년까지 51회 동안 면면히 이어 오던 낙강시회를 계승하여 2002년 당시 한국문인협회 경북지회에서 부활시킨 전국적인...
-
2002년부터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강 일원에서 낙강시회를 재현하여 매년 개최하는 문학 축제. 낙강시제(洛江詩祭)는 선비들이 낙동강(洛東江)에서 뱃놀이를 하며 시를 읊던 낙강시회(洛江詩會)를 재현하여 2002년부터 해마다 개최하는 문학 축제이다. 1196년부터 1862년까지 51회 동안 면면히 이어 오던 낙강시회를 계승하여 2002년 당시 한국문인협회 경북지회에서 부활시킨 전국적인...
-
1196년부터 1862년까지 경상북도 상주의 낙동강을 중심으로 열린 시회. 낙강시회(洛江詩會)는 1196년(명종 26) 6월 백운(白雲) 이규보(李奎報)[1168~1241]가 최충헌(崔忠獻)[1149~1219]의 난을 피하여 상주로 와서 낙강(洛江)[현재의 낙동강]에 배를 띄우고 시회를 가진 이래, 1862년(철종 13) 계당(溪堂) 류주목(柳疇睦)[1813~1872]의 시회에 이...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와 의성군 단밀면 낙정리를 연결하는 다리. 낙단대교(洛丹大橋)는 다리가 놓인 낙동강 양쪽 기슭의 상주시 낙동면(洛東面)과 의성군 단밀면(丹密面)에서 한 글자씩 따서 명명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와 의성군 단밀면 낙정리를 연결하는 다리. 낙단교(洛丹橋)는 다리가 놓인 상주시 낙동면(洛東面)의 ‘낙(洛)’ 자와 의성군 단밀면(丹密面)의 ‘단(丹)’ 자를 따서 명명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낙동리(洛東里)는 낙동강 가에 있다는 것에서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와 의성군 단밀면 낙정리를 연결하던 낙동강 나루. 낙동나루는 낙동강을 건너는 나루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지표는 ‘새로운 생각과 참된 마음을 지닌 인재 육성’이고, 정직하고 예의 바른 사람[도덕인], 스스로 실천하는 사람[자주인],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창의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사람[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정직하고 예의 바른 사람[도덕인], 스스로 실천하는 사람[자주인],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창의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사람[건강인]을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내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비전은 ‘배움과 나눔으로 함께 성장하는 낙동 교육’이고, 교육 지표는 ‘배움으로 즐거운 교실, 나눔으로 따뜻한 학교, 함께 자라는 교육’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내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비전은 ‘배움과 나눔으로 함께 성장하는 낙동 교육’이고, 교육 지표는 ‘배움으로 즐거운 교실, 나눔으로 따뜻한 학교, 함께 자라는 교육’이다....
-
강원도 태백시에서 발원하여 경상북도 상주시를 지나 남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 낙동강(洛東江)은 경상북도 문경시에서 흘러와 상주시 사벌국면 퇴강리에서부터 낙동면 장곡리 구간을 지나 구미시로 흐르는 국가 하천이다. 낙동강의 국가 하천 구간은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삼각점, 단천삼각점 직선부터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낙동강 하굿둑의 외곽선까지이며, 유로 연장은 510.36㎞, 유역...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와 의성군 단밀면 낙정리를 연결하는 다리. 낙동강(洛東江)을 통과하는 장대한 규모의 다리라는 의미로 낙동강대교(洛東江大橋)라고 명명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회상리에 있는 문학관. 낙동강문학관(洛東江文學官)은 경상북도 상주에 낙강시회(洛江詩會)의 전통을 계승하고 ‘낙동강 문학’의 총체적인 보존을 위하여 2021년 9월 건립된 문학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회상리에 있는 문학관. 낙동강문학관(洛東江文學官)은 경상북도 상주에 낙강시회(洛江詩會)의 전통을 계승하고 ‘낙동강 문학’의 총체적인 보존을 위하여 2021년 9월 건립된 문학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에 있는 시립 박물관. 낙동강역사이야기관은 낙동강이 간직한 유구한 역사와 전통 문화를 보전·전시 활동을 하는 시립 박물관이다. 상주 시민들을 위한 문화·교육 시설로 낙동강 중심의 역사와 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강 강변에 있는 자전거가 다닐 수 있도록 한 도로. 낙동강자전거길은 낙동강 강변을 통과하는 자전거길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지표는 ‘새로운 생각과 참된 마음을 지닌 인재 육성’이고, 정직하고 예의 바른 사람[도덕인], 스스로 실천하는 사람[자주인],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창의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사람[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지표는 ‘새로운 생각과 참된 마음을 지닌 인재 육성’이고, 정직하고 예의 바른 사람[도덕인], 스스로 실천하는 사람[자주인],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창의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사람[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지표는 ‘새로운 생각과 참된 마음을 지닌 인재 육성’이고, 정직하고 예의 바른 사람[도덕인], 스스로 실천하는 사람[자주인],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창의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사람[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낙동리(洛東里)는 낙동강 가에 있다는 것에서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낙동(洛東)’은 낙양과 상락 동쪽에 있다는 것에서 유래하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낙동강과 인접하므로 강의 이름을 따서 낙동면(洛東面)이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정직하고 예의 바른 사람[도덕인], 스스로 실천하는 사람[자주인],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창의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사람[건강인]을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정직하고 예의 바른 사람[도덕인], 스스로 실천하는 사람[자주인],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창의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사람[건강인]을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와 의성군 단밀면 낙정리를 연결하던 낙동강 나루. 낙동나루는 낙동강을 건너는 나루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내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비전은 ‘배움과 나눔으로 함께 성장하는 낙동 교육’이고, 교육 지표는 ‘배움으로 즐거운 교실, 나눔으로 따뜻한 학교, 함께 자라는 교육’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내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비전은 ‘배움과 나눔으로 함께 성장하는 낙동 교육’이고, 교육 지표는 ‘배움으로 즐거운 교실, 나눔으로 따뜻한 학교, 함께 자라는 교육’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내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비전은 ‘배움과 나눔으로 함께 성장하는 낙동 교육’이고, 교육 지표는 ‘배움으로 즐거운 교실, 나눔으로 따뜻한 학교, 함께 자라는 교육’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내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비전은 ‘배움과 나눔으로 함께 성장하는 낙동 교육’이고, 교육 지표는 ‘배움으로 즐거운 교실, 나눔으로 따뜻한 학교, 함께 자라는 교육’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내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비전은 ‘배움과 나눔으로 함께 성장하는 낙동 교육’이고, 교육 지표는 ‘배움으로 즐거운 교실, 나눔으로 따뜻한 학교, 함께 자라는 교육’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내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비전은 ‘배움과 나눔으로 함께 성장하는 낙동 교육’이고, 교육 지표는 ‘배움으로 즐거운 교실, 나눔으로 따뜻한 학교, 함께 자라는 교육’이다....
-
개항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문신이자 의병. 유인목(柳寅睦)[1838~1900]의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낙삼(樂三), 호는 차산(此山)이다. 어릴 때 이름은 유향목(柳香睦)이다. 아버지는 행지례현감(行知禮縣監)를 지낸 유교조(柳敎祚)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낙상동(洛上洞)은 낙동강(洛東江) 위쪽이 된다 하여 ‘낙상(洛上)’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낙서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낙서교회(洛西敎會)는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낙서리에 있는 100년의 역사를 지닌 개신교 교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낙서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낙서교회(洛西敎會)는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낙서리에 있는 100년의 역사를 지닌 개신교 교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낙서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주적인 어린이[자기 관리 역량], 창의적인 어린이[창의적 사고 역량], 교양 있는 어린이[지식 정보 처리 역량, 심미적 사고 역량], 더불어 사는 어린이[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밝고 맑고 높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낙서리(洛西里)는 낙양과 상락(上洛)[상주의 옛 별호]의 서쪽에 있다고 하여 ‘낙서’, ‘낙서골’, ‘낙수골’이라 한 데서 ‘낙서리’라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낙서리(洛西里)는 낙양과 상락(上洛)[상주의 옛 별호]의 서쪽에 있다고 하여 ‘낙서’, ‘낙서골’, ‘낙수골’이라 한 데서 ‘낙서리’라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낙서리(洛西里)는 낙양과 상락(上洛)[상주의 옛 별호]의 서쪽에 있다고 하여 ‘낙서’, ‘낙서골’, ‘낙수골’이라 한 데서 ‘낙서리’라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낙서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주적인 어린이[자기 관리 역량], 창의적인 어린이[창의적 사고 역량], 교양 있는 어린이[지식 정보 처리 역량, 심미적 사고 역량], 더불어 사는 어린이[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밝고 맑고 높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낙서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주적인 어린이[자기 관리 역량], 창의적인 어린이[창의적 사고 역량], 교양 있는 어린이[지식 정보 처리 역량, 심미적 사고 역량], 더불어 사는 어린이[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밝고 맑고 높게”이다....
-
강원도 태백시에서 발원하여 경상북도 상주시를 지나 남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 낙동강(洛東江)은 경상북도 문경시에서 흘러와 상주시 사벌국면 퇴강리에서부터 낙동면 장곡리 구간을 지나 구미시로 흐르는 국가 하천이다. 낙동강의 국가 하천 구간은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삼각점, 단천삼각점 직선부터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낙동강 하굿둑의 외곽선까지이며, 유로 연장은 510.36㎞, 유역...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죽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낙암서원(洛嵓書院)은 김담수(金聃壽)[1535~1603], 김정룡(金廷龍)[1561~1619], 김정견(金廷堅)[1576~1645]을 배향하기 위하여 1796년(정조 20) 건립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죽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낙암서원(洛嵓書院)은 김담수(金聃壽)[1535~1603], 김정룡(金廷龍)[1561~1619], 김정견(金廷堅)[1576~1645]을 배향하기 위하여 1796년(정조 20) 건립하였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김안절(金安節)[1564~1632]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며, 자는 자형(子亨), 호는 낙애(洛涯)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승의부위 김광범(金光範)이고, 할아버지는 안기도찰방 김표(金彪)이다. 아버지는 수의부위 김종선(金宗善)이고, 어머니는 이재(李宰)의 딸 진성 이씨(眞城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조광헌(趙光憲)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고, 두...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낙양동(洛陽洞)은 상락[상주의 옛 이름]의 남쪽에 위치하여 ‘낙양(洛陽)’이라 하였으며, 또는 중국의 낙양과 흡사하여 ‘낙양’이라 한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상촌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기본 생활 예절이 바른 학생을 기른다, 다양성의 기반 위에 자율적인 학생을 기른다, 자신감을 가진 적극적인 학생을 기른다, 자신의 적성을 찾아 행복한 꿈을 가꾸는 학생을 기른다, 우리 학교를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학생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상촌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기본 생활 예절이 바른 학생을 기른다, 다양성의 기반 위에 자율적인 학생을 기른다, 자신감을 가진 적극적인 학생을 기른다, 자신의 적성을 찾아 행복한 꿈을 가꾸는 학생을 기른다, 우리 학교를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학생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상촌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기본 생활 예절이 바른 학생을 기른다, 다양성의 기반 위에 자율적인 학생을 기른다, 자신감을 가진 적극적인 학생을 기른다, 자신의 적성을 찾아 행복한 꿈을 가꾸는 학생을 기른다, 우리 학교를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학생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조태연(趙台衍)[1895~1945]의 아명은 조학연(趙學衍)이며, 자는 취삼(聚三), 호는 낙재(樂齋)이다. 아버지는 조남욱(趙南昱)이고, 아들은 조성철(趙誠轍)·조성식(趙誠軾)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삼락(金三樂)[1610~1666]의 본관은 청도(淸道)이며, 자는 낙전(樂全), 호는 쌍수당(雙修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수의부위 김흡(金洽)이고, 할아버지는 김준신(金俊臣)이다. 아버지는 김백일(金百鎰)이고, 어머니는 신철(辛澈)의 딸 영산 신씨(靈山 辛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홍우민(洪友閔)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장...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와 의성군 단밀면 낙정리를 연결하던 낙동강 나루. 낙동나루는 낙동강을 건너는 나루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와 의성군 단밀면 낙정리를 연결하던 낙동강 나루. 낙동나루는 낙동강을 건너는 나루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경상북도 상주에서 활동한 정치인. 백남식(白南軾)[1901~1964]의 본관은 수원(水原)이며, 자는 성첨(聖瞻), 호는 낙추(落樞)이다. 아버지는 백낙찬(白樂燦)이고, 어머니는 인동 장씨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류후조(柳厚祚)[1798~1876]의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재가(載可), 호는 낙파(洛坡)·매산(梅山)·영매(嶺梅)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류성로(柳聖魯)이고, 할아버지는 류발(柳潑)이다. 아버지는 돈녕부도정 류심춘(柳尋春)이고, 어머니는 김정엽(金鼎曄)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다. 부인은 부사 이재연(李載延)의 딸 연안 이씨(延安 李氏)이...
-
고려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득배(金得培)[1312~1362]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며, 호는 난계(蘭溪),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지연(金之衍)이고, 할아버지는 김일(金鎰)이다. 아버지는 판전의를 지낸 김록(金祿)이고, 동생은 김득제(金得齊)·김선치(金先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규칙적으로 되풀이되는 일정 기간의 평균 기상 상태. 우리나라의 남동부 내륙, 경상북도 북서부 내륙 지방에 있는 상주 지역은 남부 내륙형 기후구에 속한다. 북쪽과 서쪽으로 소백산맥이 막고 있는 지형 특성으로 인하여 고온 다습한 여름과 한랭 건조한 겨울로 인하여 연교차가 크다. 또 건기와 우기가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보인다. 199...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응철(康應哲)[1562~1635]의 본관은 재령(載寧)이며, 자는 명보(明甫), 호는 남계(南溪)이다. 아버지는 강사경(康士敬)이고, 어머니는 성산 이씨(星山 李氏)이다. 부인은 정여관(鄭汝寬)의 딸 진양 정씨(晉陽 鄭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송규필(宋奎弼)[1780~1847]의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자는 문징(文徵), 호는 남고(南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송식(宋王+寔)이고, 할아버지는 송진복(宋震復)이다. 아버지는 송계주(宋啓周)이고, 어머니는 이희원(李禧遠)의 딸 흥양 이씨(興陽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사헌부지평 조억(趙嶷)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에 속하는 법정리. 남곡리(南谷里)는 칠봉산(七峰山) 앞이 되므로 ‘앞실’ 또는 ‘남곡(南谷)’이라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에 속하는 법정리. 남곡리(南谷里)는 칠봉산(七峰山) 앞이 되므로 ‘앞실’ 또는 ‘남곡(南谷)’이라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남극표(南極杓)[1639~1701]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명세(明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부사과 남예석(南禮錫)이고, 할아버지는 현감 남영(南嶸)이다. 아버지는 통덕랑 남창하(南昌夏)이고, 어머니는 황현경(黃玄慶)의 딸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현감 성진장(成震長)의 딸 창녕 성씨(昌寧 成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부호군...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남곡리와 외서면 대전리 경계에 있는 산. 남산(南山)은 상주시 은척면 남곡리와 외서면 대전리 경계에 있는 높이 819.9m의 산이다. 상주시의 북서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북동쪽으로는 성주봉과 이어지고, 북서쪽으로는 국사봉과 연결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신흥리와 공검면 역곡리에 걸쳐 있는 산성. 남산고성(南山古城)은 삼국 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산성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양동에 있는 사립 남자 중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과 마음을 지닌 인간을 기른다, 자립과 어울림을 더불어 하는 인간을 기른다, 전통과 새로움을 인습과 방종으로부터 구분할 수 있는 인간을 기른다, 냉철한 판단과 뜨거운 감성을 함께 갖춘 인간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참된 사람, 봉사하는 사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양동에 있는 사립 남자 중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과 마음을 지닌 인간을 기른다, 자립과 어울림을 더불어 하는 인간을 기른다, 전통과 새로움을 인습과 방종으로부터 구분할 수 있는 인간을 기른다, 냉철한 판단과 뜨거운 감성을 함께 갖춘 인간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참된 사람, 봉사하는 사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양동에 있는 사립 남자 중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과 마음을 지닌 인간을 기른다, 자립과 어울림을 더불어 하는 인간을 기른다, 전통과 새로움을 인습과 방종으로부터 구분할 수 있는 인간을 기른다, 냉철한 판단과 뜨거운 감성을 함께 갖춘 인간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참된 사람, 봉사하는 사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양동에 있는 사립 남자 중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과 마음을 지닌 인간을 기른다, 자립과 어울림을 더불어 하는 인간을 기른다, 전통과 새로움을 인습과 방종으로부터 구분할 수 있는 인간을 기른다, 냉철한 판단과 뜨거운 감성을 함께 갖춘 인간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참된 사람, 봉사하는 사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양동에 있는 사립 남자 중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과 마음을 지닌 인간을 기른다, 자립과 어울림을 더불어 하는 인간을 기른다, 전통과 새로움을 인습과 방종으로부터 구분할 수 있는 인간을 기른다, 냉철한 판단과 뜨거운 감성을 함께 갖춘 인간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참된 사람, 봉사하는 사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양동에 있는 사립 남자 중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과 마음을 지닌 인간을 기른다, 자립과 어울림을 더불어 하는 인간을 기른다, 전통과 새로움을 인습과 방종으로부터 구분할 수 있는 인간을 기른다, 냉철한 판단과 뜨거운 감성을 함께 갖춘 인간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참된 사람, 봉사하는 사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대조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고상안(高尙顔)[1553~1623]의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자는 사물(思勿), 호는 태촌(泰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무과에 급제하여 부장을 지낸 고수연(高壽延)이고, 할아버지는 충의교위 고극공(高克恭)이다. 아버지는 좌부장 고천우(高天佑)이고, 어머니는 습독 강희언(康希彦)의 딸 신천 강씨(信川 康氏)이다. 첫 번...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 남성시장(南城市場)은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상주시에는 남성시장을 포함하여 공성시장, 상주중앙시장, 상주풍물시장, 함창시장, 화령시장, 은척시장 등 7개의 전통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 남성시장(南城市場)은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상주시에는 남성시장을 포함하여 공성시장, 상주중앙시장, 상주풍물시장, 함창시장, 화령시장, 은척시장 등 7개의 전통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남성동(南城洞)은 상주읍성(邑城)의 남쪽에 위치하여 ‘남성(南城)’ 또는 ‘남성내(南城內)’라 한 데서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천주교 안동교구 소속 성당. 남성동성당(南城洞聖堂)은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천주교 예배당이다. 주보성인으로 ‘구세주 예수’를 모시고 있으며, 그리스도의 교육 수녀회가 활동하고 있다. 4개의 공소를 거느리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천주교 안동교구 소속 성당. 남성동성당(南城洞聖堂)은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천주교 예배당이다. 주보성인으로 ‘구세주 예수’를 모시고 있으며, 그리스도의 교육 수녀회가 활동하고 있다. 4개의 공소를 거느리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 남성시장(南城市場)은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상주시에는 남성시장을 포함하여 공성시장, 상주중앙시장, 상주풍물시장, 함창시장, 화령시장, 은척시장 등 7개의 전통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 남성시장(南城市場)은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상주시에는 남성시장을 포함하여 공성시장, 상주중앙시장, 상주풍물시장, 함창시장, 화령시장, 은척시장 등 7개의 전통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손경석(孫景錫)[1669~1732]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중백(仲百), 호는 남암(南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손당(孫禟)이며, 할아버지는 손신의(孫愼儀)이다. 아버지는 경주부윤 손만웅(孫萬雄)이고, 어머니는 강용직(康用直)의 딸 재령 강씨(載寧 康氏)이다. 부인은 권수경(權守經)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정착한 문신이자 의관. 남영(南嶸)[1548~1616]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사수(士秀)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훈련원도정 남희(南暿)이고, 할아버지는 삭녕군수 남숙(南俶)이다. 아버지는 부사과 남예석(南禮錫)이고, 어머니는 수문장 김세균(金世均)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부장 한윤복(韓胤福)의 딸 청주 한씨(淸州 韓氏)이고,...
-
고려 후기 문인 이규보가 경기도 여주와 경상북도 상주를 여행하며 지은 한시. 「남유시(南遊詩)」는 고려 시대의 문인 이규보(李奎報)[1168~1241]의 문집인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6권에 수록된 한시이다. 29세 때인 1196년(명종 26) 5월에서 10월 사이에 황려(黃驪)[경기도 여주의 옛 이름]와 상주(尙州)를 왕래하면서 지은 92수의 기행시이다. 『동국이상국집』...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남이목(南履穆)[1792~1858]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순지(純之), 호는 직암(直菴)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남도식(南道軾)이고, 할아버지는 남종성(南宗晟)이다. 아버지는 남윤한(南胤漢)이고, 어머니는 신광조(申光祖)의 딸 평산 신씨(平山 申氏)와 구형운(具亨運)의 딸 능성 구씨(綾城 具氏)이다. 부인은 권석우(權錫祐)의 딸 안동 권씨(安東...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남장동(南長洞)은 관내에 있는 남장사(南長寺)의 이름을 따서 ‘남장동’이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남장동 동제(南長洞 洞祭)는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고자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제사는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 저녁 10시 무렵부터 동제당 앞에서 모신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남장동 동제(南長洞 洞祭)는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고자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제사는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 저녁 10시 무렵부터 동제당 앞에서 모신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건립된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남장사(南長寺)는 832년(흥덕왕 7) 진감국사(眞鑑國師) 혜소(慧昭)가 창건한 사찰이자 보물 8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1점,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1점을 보유한 고찰이다. 1988년에 전통 사찰로 지정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건립된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남장사(南長寺)는 832년(흥덕왕 7) 진감국사(眞鑑國師) 혜소(慧昭)가 창건한 사찰이자 보물 8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1점,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1점을 보유한 고찰이다. 1988년에 전통 사찰로 지정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에 있는 조선 후기 장승. 남장사 석장승(南長寺 石長丞)은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에 있다. 1982년 2월 24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3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남적동(南積洞)은 외서천(外西川) 남쪽에 위치하여 ‘남적(南積)’이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남전(南躔)[1664~1737]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일승(日昇), 호는 소헌(素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현감 남영(南嶸)이고, 할아버지는 통덕랑 남창하(南昌夏)이다. 아버지는 의금부도사 남극표(南極杓)아고, 어머니는 현감 성진장(成震長)의 딸 창녕 성씨(昌寧 成氏)이다. 부인은 송규림(宋奎臨)의 딸 은진 송씨(恩津 宋氏)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영오리에서 발원하여 청리면과 상주 시가지 일대를 흐르는 하천. 병성천(屛城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영오리에서 발원하여 이화리에서 이화천, 초오리에서 장산천, 청리면 수상리에서 청하천과 청리천, 외답동에서 북천, 병성동에서 동천과 합류하여 도남동에서 낙동강으로 유입하는 지방 하천이다. 낙동강 수계의 제1지류 하천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남한조(南漢朝)[1744~1809]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종백(宗伯), 호는 손재(損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남도훤(南圖翧)이고, 할아버지는 남정삼(南鼎三)이다. 아버지는 남필용(南必容)이고, 어머니는 참봉 김경온(金景溫)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다. 부인은 정언의(鄭彥儀)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남후(南垕)[1644~1690]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재원(載元), 호는 퇴촌(退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현감 남영(南嶸)이고, 할아버지는 현감 남창조(南昌祖)이다. 아버지는 남극로(南極老)이고, 어머니는 도사 이영광(李榮光)의 딸 완산 이씨(完山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부사 이숭언(李崇彦)의 딸 경주 이씨(慶州 李氏)이고, 두 번째...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내곡리(內谷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내하리(內下里)의 ‘내(內)’ 자와 흥곡리(興谷里)의 ‘곡(谷)’ 자를 따서 ‘내곡리’라 하였다....
-
삼국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지내미지현(知乃彌知縣)은 삼국 시대에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利安面) 일대에 설치된 상주의 속현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낙서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신나는 교실에서 즐거운 배움을 통해 미래 역량을 갖춘 인재를 기른다. 구성원들의 민주적인 참여를 보장하여 원활한 소통을 하는 인재를 기른다. 교육 공동체와의 협력을 통하여 미래의 창의 융합 인재를 기른다’이다. 교훈은 “스스로 서고 함께 가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낙서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신나는 교실에서 즐거운 배움을 통해 미래 역량을 갖춘 인재를 기른다. 구성원들의 민주적인 참여를 보장하여 원활한 소통을 하는 인재를 기른다. 교육 공동체와의 협력을 통하여 미래의 창의 융합 인재를 기른다’이다. 교훈은 “스스로 서고 함께 가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능암리와 외남면 지사리를 연결하는 서산영덕고속도로의 터널. 서산영덕고속도로가 통과하는 상주시 내서면에 4개의 터널이 건설되었는데, 서쪽부터 순서대로 내서1터널, 내서2터널, 내서3터널 및 내서4터널이라 명명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내서면(內西面)은 상주의 서쪽에 위치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낙서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신나는 교실에서 즐거운 배움을 통해 미래 역량을 갖춘 인재를 기른다. 구성원들의 민주적인 참여를 보장하여 원활한 소통을 하는 인재를 기른다. 교육 공동체와의 협력을 통하여 미래의 창의 융합 인재를 기른다’이다. 교훈은 “스스로 서고 함께 가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낙서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신나는 교실에서 즐거운 배움을 통해 미래 역량을 갖춘 인재를 기른다. 구성원들의 민주적인 참여를 보장하여 원활한 소통을 하는 인재를 기른다. 교육 공동체와의 협력을 통하여 미래의 창의 융합 인재를 기른다’이다. 교훈은 “스스로 서고 함께 가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낙서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신나는 교실에서 즐거운 배움을 통해 미래 역량을 갖춘 인재를 기른다. 구성원들의 민주적인 참여를 보장하여 원활한 소통을 하는 인재를 기른다. 교육 공동체와의 협력을 통하여 미래의 창의 융합 인재를 기른다’이다. 교훈은 “스스로 서고 함께 가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낙서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신나는 교실에서 즐거운 배움을 통해 미래 역량을 갖춘 인재를 기른다. 구성원들의 민주적인 참여를 보장하여 원활한 소통을 하는 인재를 기른다. 교육 공동체와의 협력을 통하여 미래의 창의 융합 인재를 기른다’이다. 교훈은 “스스로 서고 함께 가자”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홍립(姜弘立)[1560~1627]의 본관은 진주이며, 자는 군신(君臣), 호는 내촌(耐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온(姜溫)이고, 할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姜士尙)이다. 아버지는 좌참찬 강신(姜紳)이고, 어머니는 정유의(鄭惟義)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다. 부인은 황이형(黃履亨)의 딸 우주 황씨(紆州 黃氏)이고, 아들은 강숙(姜璹)·강원(姜瑗)·...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냉림동(冷林洞)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냉정리(冷井里)의 ‘냉(冷)’ 자와 임하리(林下里)의 ‘임(林)’ 자를 따서 ‘냉림리(冷林里)’라 한 데서 비롯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냉림동에서 정월 초닷새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냉림동 동제(冷林洞 洞祭)는 경상북도 상주시 냉림동 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고자 지내던 마을 제사이다. 제사는 해마다 정월 초닷새에 상주시 냉림3길 51[냉림동 152]에 있는 냉림동회관 옆의 느티나무 앞에서 지낸다....
-
경상북도 상주시 냉림동에서 정월 초닷새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냉림동 동제(冷林洞 洞祭)는 경상북도 상주시 냉림동 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고자 지내던 마을 제사이다. 제사는 해마다 정월 초닷새에 상주시 냉림3길 51[냉림동 152]에 있는 냉림동회관 옆의 느티나무 앞에서 지낸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판곡리(板谷里)는 주위에 산이 울창하여 판자로 쓰일 아름드리 나무가 많다고 하여 ‘너러실’ 혹은 ‘판곡(板谷)’이라고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으며, ‘판곡리’는 또한 ‘너른 골짜기’라는 의미도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반계리(磻溪里)는 본래 부산에서 서울까지 가는 거리에서 반이라고 하여 ‘반계’, 혹은 강변에 자리한 마을이라고 하여 ‘반계’라고 불렸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널을 뛰면서 노는 민속놀이. 널뛰기는 긴 널빤지 밑 가운데를 짚단이나 포대로 괴어 놓고 양쪽에 사람이 올라가 서로의 체중을 실은 반동을 이용하여 뛰어오르는 놀이이다. ‘초판희(超板戲)’, ‘판무(板舞)’, ‘도판희(蹴板戲)’라고도 한다. 설날이나 추석, 단오에 여성들이 많이 즐기는 놀이이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는 “널을 뛰면 발에 가시가 안 든다”라고 하여...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널을 뛰면서 노는 민속놀이. 널뛰기는 긴 널빤지 밑 가운데를 짚단이나 포대로 괴어 놓고 양쪽에 사람이 올라가 서로의 체중을 실은 반동을 이용하여 뛰어오르는 놀이이다. ‘초판희(超板戲)’, ‘판무(板舞)’, ‘도판희(蹴板戲)’라고도 한다. 설날이나 추석, 단오에 여성들이 많이 즐기는 놀이이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는 “널을 뛰면 발에 가시가 안 든다”라고 하여...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노계원(盧啓元)[1695~1740]의 본관은 광산(光山)[광주(光州)]이며, 자는 백춘(伯春), 호는 운음(芸陰)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언 노준명(盧峻命)이고, 할아버지는 노사현(盧思賢)이다. 아버지는 노하적(盧夏績)이고, 어머니는 윤휘창(尹彙昌)의 딸 파평 윤씨(坡平 尹氏)이다. 부인은 권세휘(權世徽)의 처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고, 아들은 노문헌...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이소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노대하(盧大河)[1546~1610]의 본관은 광주(光州)[광산(光山)]이며, 자는 수오(受吾), 호는 이소당(履素堂)·소헌(素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풍저창수 노후(盧珝)이고, 할아버지는 활인서별제 노홍(盧鴻)이다. 아버지는 돈녕부첨정 노극신(盧克愼)고, 어머니는 청주목사 이증영(李曾榮)의 딸 덕산 이씨(德山 李氏)이...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노류리(蘆柳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노산리(蘆山里)의 ‘노(蘆)’ 자와 유정리(柳亭里)의 ‘유(柳)’ 자를 따서 ‘노류리’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장곡리(長谷里)는 지형이 노루처럼 생겼다 하여 ‘노루실’, 또는 ‘장곡’이라고 불린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개항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의병이자 독립운동가. 노병대(盧炳大)[1856~1913]의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자는 상요(相堯), 호는 금포(錦圃)이다. 처음 이름은 노병직(盧炳稷)이다. 아버지 노종구(盧宗九), 어머니 의성 김씨(義城 金氏)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다....
-
개항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의병이자 독립운동가. 노병대(盧炳大)[1856~1913]의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자는 상요(相堯), 호는 금포(錦圃)이다. 처음 이름은 노병직(盧炳稷)이다. 아버지 노종구(盧宗九), 어머니 의성 김씨(義城 金氏)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다....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인 노수신 가문에서 소장하고 있던 문적. 노소재문적(盧蘇齋文籍)은 노수신(盧守愼)[1515~1590]의 문집과 일기 및 관계 문적이다. 『노소재문집(盧蘇齋文集)』, 『정사수록(呈辭手錄)』, 『정청일기(政廳日記)』, 『춘추관일기(春秋館日記)』, 『광산노씨보략(光山盧氏譜略)』 등 서적과 매매 문서·만사(輓詞) 등 고문서, 그림 등이 포함되어 있다. 1986년...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금산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노수신(盧守愼)[1515-1590]의 본관은 광주(光州)[광산(光山)]이며, 자는 과회(寡悔), 호는 소재(蘇齋)·이재(伊齋)·암실(暗室)·여봉노인(茹峰老人) 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돈녕부참봉 노경장(盧敬長)이고, 할아버지는 풍저창수 노후(盧珝)이다. 아버지는 활인서별제 노홍(盧鴻)이고, 어머니는 대사헌 이자화(李自華)...
-
경상북도 상주시에 노승의 예언 및 진주 정씨 가문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노승의 예언」은 경상북도 상주에 살던 진주 정씨(晉州 鄭氏) 가문의 정번공(鄭番公)이 노승이 알려 준 명당에 산소를 들이고, 노승이 예언한 대로 행동하여 대대로 후손이 번창하였다는 이야기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류주목(柳疇睦)[1813~1872]의 본관은 풍산(豊山)이고, 자는 숙빈(叔斌), 호는 계당(溪堂)·간곡거사(澗谷居士)·노시산인(老柴散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류발(柳潑)이고, 할아버지는 돈녕부도정 류심춘(柳尋春)이다. 아버지는 좌의정 류후조(柳厚祚)이고, 어머니는 부사 이재연(李載延)의 딸 연안 이씨(延安 李氏)이다. 부인은 박기재(朴基載)의 딸 순...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과 외서면 백전리, 내서면 북장리 경계에 있는 산. 노음산(露陰山)은 상주시 남장동과 외서면 백전리, 내서면 북장리에 걸쳐 있는 높이 725.5m의 산이다. 상주시의 서쪽에 자리한 명산이며, 노악산(露嶽山)이라고도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과 외서면 백전리, 내서면 북장리 경계에 있는 산. 노음산(露陰山)은 상주시 남장동과 외서면 백전리, 내서면 북장리에 걸쳐 있는 높이 725.5m의 산이다. 상주시의 서쪽에 자리한 명산이며, 노악산(露嶽山)이라고도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시집을 못 가서 노처녀가 되었음을 한탄하면서 지은 작자 미상의 조선 시대 규방 가사. 상주시에서 전하여지는 「노처녀가(老處女歌)」는 자신이 병신인 탓으로 50세가 되도록 시집을 못 가서 노처녀가 되었음을 한탄하는 내용이다. 비록 용모는 남들보다 뒤떨어지지만 자신은 효행록과 열녀전을 열심히 읽은 까닭에 행실은 나무랄 데 없고, 시부모 봉양도 누구보다 잘할 수 있으...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사산리에 있는 조선 전기 노후와 노홍의 신도비. 노후 및 노홍신도비(盧珝 및 盧鴻神道碑)는 조선 전기 문인 노후(盧珝)[1475~1546]과 아들 노홍(盧鴻)[1496~1568]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신도비이다. 노후는 본관이 광주(光州)이며 풍저창수 등을 역임하였고, 노홍은 활인서별제를 지냈다. 노홍의 아들은 영의정을 역임한 노수신(盧守愼)[1515~159...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논에서 김을 맬 때 부르던 노래. 「논매기 노래」는 논에서 김을 맬 때 부르는 노래이다. 모를 심은 후에는 그냥 두는 것이 아니라 호미나 기계로 두세 차례에 걸쳐 애벌매기[논이나 밭을 맨 처음으로 김매는 일], 이듬매기[논밭을 두 번째 갈거나 매는 일], 만물매기[벼를 심은 논에 마지막으로 하는 김매기]를 하는데, 매번 노동의 강도나 조건은 조금씩 다르다. 「논...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과 외서면 백전리, 내서면 북장리 경계에 있는 산. 노음산(露陰山)은 상주시 남장동과 외서면 백전리, 내서면 북장리에 걸쳐 있는 높이 725.5m의 산이다. 상주시의 서쪽에 자리한 명산이며, 노악산(露嶽山)이라고도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일원에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지역 농가 소득 증대를 목적으로 조성된 공업 단지. 농공단지(農工團地)는 농어촌 지역 지방 자치 단체의 재정 자립과 농촌의 공업화를 통하여 도시와 농어촌 간의 균형 있는 경제 발전을 이루고자 조성한 공업 단지이다. 1983년 말에 제정되어 1984년부터 시행된 「농어촌소득원 개발촉진법」에 따라 시군별로 자치 단체장이 국고를 지원 받아 농...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 산하 지사. 한국농어촌공사의 지방 조직은 3개 원[농어촌연구원, 인재개발원, 농어촌자원개발원], 9개 지역본부[경기, 강원,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남, 경북, 제주], 93개 지사, 8개 사업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북지역본부에는 17개 지사가 소속되어 있다.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 상주지사는 17개 지사 중 한...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토지를 이용하여 생산물을 얻는 경제 활동. 상주시는 대한민국 농업(農業)의 중심 도시이다. 경지 면적은 경상북도 1위이고 전국 지방 자치 단체 가운데 여섯 번째로 넓다.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터를 잡고 살아왔던 상주는 농업의 역사도 유구하여 선사 시대부터 벼농사 등 농업이 이루어졌고 삼국 시대부터는 벼농사 등이 본격화하였다. 일찌감치 벼농사 등 농업이 발달한...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장동리에 있는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소속 연구 기관.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상주감연구소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떫은감을 연구하는 기관이다. 감 부가가치 창출 및 촉진을 위한 감 가공품 개발에 역점을 두고 연구를 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장동리에 있는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소속 연구 기관.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상주감연구소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떫은감을 연구하는 기관이다. 감 부가가치 창출 및 촉진을 위한 감 가공품 개발에 역점을 두고 연구를 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농협중앙회 산하 지부. 농협중앙회 상주시지부(農協中央會 尙州市支部)는 경상북도 상주시 지역 농업·축산업 종사자들을 위한 특수 은행이다. 농업인들을 위한 경제 사업과 신용 사업, 지도 사업을 중심 사업으로 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능암리(綾巖里)는 마을에 능바우라는 바위가 있어 ‘능바우’ 또는 ‘능암(綾岩)’이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능암리(綾巖里)는 마을에 능바우라는 바위가 있어 ‘능바우’ 또는 ‘능암(綾岩)’이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능암리(綾巖里)는 마을에 능바우라는 바위가 있어 ‘능바우’ 또는 ‘능암(綾岩)’이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능암리에 있는 창녕 성씨 동성 마을. 능암리(陵岩里)는 마을 뒷산에 사람 키의 50배가량 되는 절벽바위[쉰질바위]가 있는데, 멀리서 보면 비단 폭과도 같이 보인다고 하여 비단 ‘능(綾)’ 자와 바위 ‘암(岩)’ 자를 써서 능암리라 하였다고 한다. 농촌(農村) 또는 임촌(林村)이라고도 불리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묵동(墨洞)과 퇴동(退洞)을 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