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상주시를 상징하는 시화로 지정된 장미목 장미과의 쌍떡잎식물. 장미(薔薇)는 장미과의 덩굴성 낙엽 활엽 관목이며 조선 시대에는 장미를 사계화, 월계화, 가우(佳友)로 불렀다고 한다. 장미는 꽃의 아름다운 형태와 짙은 향기 때문에 관상용과 향료용으로 재배하여 왔다. 장미는 품종이 다양하여 전 세계에 약 100여 종이 분포하며, 각 나라에서 관상용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홍민(金弘敏)[1540~1594]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며, 자는 임보(任父·任甫)·중원(重遠), 호는 사담(沙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부사직 김예강(金禮康)이고, 할아버지는 장사랑 김윤검(金允儉)이다. 아버지는 옥과현감 김범(金範)이고, 어머니는 계공랑 조한신(曺漢臣)의 딸 창녕 조씨(昌寧 曺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별제 이천(李蒨)의 딸 월성...
-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법정면. 사벌국면(沙伐國面)은 사벌국의 옛이름을 따서 ‘사벌국면’이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일대에 있던 초기 국가. 사벌국(沙伐國)은 사량벌국(沙梁伐國)이라고도 한다. 사벌국의 명칭은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처음 보이는데, 신라 석우로가 공격하여 멸망시켰다는 기사가 남아 있을 뿐이다. 『삼국사기』 지리지 또한 첨해왕 재위 기간에 사벌국을 취하여 주로 삼았다는 사실만 기록되어 있다. ‘사벌(沙伐)’은 이후 문헌에 따라 ‘사량벌(沙梁伐)’, ‘사불...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원흥리(元興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백원리(白元里)의 ‘원(元)’ 자와 신흥리(新興里)의 ‘흥(興)’ 자를 따서 ‘원흥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대조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고상안(高尙顔)[1553~1623]의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자는 사물(思勿), 호는 태촌(泰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무과에 급제하여 부장을 지낸 고수연(高壽延)이고, 할아버지는 충의교위 고극공(高克恭)이다. 아버지는 좌부장 고천우(高天佑)이고, 어머니는 습독 강희언(康希彦)의 딸 신천 강씨(信川 康氏)이다. 첫 번...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덕담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를 스스로 개척하는 어린이[자율],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건강], 깊이 있게 생각하는 어린이[창의], 예의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인성]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지혜롭고 성실하며 건강한 어린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덕담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를 스스로 개척하는 어린이[자율],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건강], 깊이 있게 생각하는 어린이[창의], 예의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인성]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지혜롭고 성실하며 건강한 어린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일대에 있던 초기 국가. 사벌국(沙伐國)은 사량벌국(沙梁伐國)이라고도 한다. 사벌국의 명칭은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처음 보이는데, 신라 석우로가 공격하여 멸망시켰다는 기사가 남아 있을 뿐이다. 『삼국사기』 지리지 또한 첨해왕 재위 기간에 사벌국을 취하여 주로 삼았다는 사실만 기록되어 있다. ‘사벌(沙伐)’은 이후 문헌에 따라 ‘사량벌(沙梁伐)’, ‘사불...
-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법정면. 사벌국면(沙伐國面)은 사벌국의 옛이름을 따서 ‘사벌국면’이라고 하였다....
-
삼국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사벌주(沙伐州)는 본래 사벌국(沙伐國)[혹은 사량벌국(沙梁伐國)]이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따르면 첨해이사금(沾解尼師今)[재위 247~261] 때 석우로(昔于老)가 정벌하였으며, 이후 어느 시기에 사벌주가 되었다. 524년(신라 법흥왕 11) 처음으로 군주(軍主)를 파견하여, 상주(上州)로 삼았다. 삼국 통일 후인 7...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덕담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를 스스로 개척하는 어린이[자율],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건강], 깊이 있게 생각하는 어린이[창의], 예의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인성]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지혜롭고 성실하며 건강한 어린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덕담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를 스스로 개척하는 어린이[자율],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건강], 깊이 있게 생각하는 어린이[창의], 예의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인성]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지혜롭고 성실하며 건강한 어린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덕담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를 스스로 개척하는 어린이[자율],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건강], 깊이 있게 생각하는 어린이[창의], 예의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인성]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지혜롭고 성실하며 건강한 어린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덕담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를 스스로 개척하는 어린이[자율],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건강], 깊이 있게 생각하는 어린이[창의], 예의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인성]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지혜롭고 성실하며 건강한 어린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법정면. 사벌국면(沙伐國面)은 사벌국의 옛이름을 따서 ‘사벌국면’이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일대에 있던 초기 국가. 사벌국(沙伐國)은 사량벌국(沙梁伐國)이라고도 한다. 사벌국의 명칭은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처음 보이는데, 신라 석우로가 공격하여 멸망시켰다는 기사가 남아 있을 뿐이다. 『삼국사기』 지리지 또한 첨해왕 재위 기간에 사벌국을 취하여 주로 삼았다는 사실만 기록되어 있다. ‘사벌(沙伐)’은 이후 문헌에 따라 ‘사량벌(沙梁伐)’, ‘사불...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사산리(沙山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사곡리(沙谷里)의 ‘사(沙)’ 자와 황산리(黃山里)의 ‘산(山)’ 자를 따서 ‘사산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사산리에 있는 광주 노씨 동성 마을. 본래 화령현(化寧縣)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사곡리(沙谷里)·용강리(龍岡里)·우산리(牛山里)·황산리(黃山里)·마암리(馬岩里)를 합쳐 경상북도 상주군 화서면 사산리(沙山里)로 개설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사산리에 있는 광주 노씨 동성 마을. 본래 화령현(化寧縣)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사곡리(沙谷里)·용강리(龍岡里)·우산리(牛山里)·황산리(黃山里)·마암리(馬岩里)를 합쳐 경상북도 상주군 화서면 사산리(沙山里)로 개설되었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전식(全湜)[1563~1642]의 본관은 옥천(沃川)이며, 자는 정원(淨遠), 호는 사서(沙西)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상주목사 전팽령(全彭齡)이고, 할아버지는 전혼(全焜)이다. 아버지는 전여림(全汝霖)이고, 어머니는 참봉 이신(李信)의 딸 월성 이씨(月城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최사립(崔斯立)의 딸 강화 최씨(江華 崔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홍천...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장. 고상증(高尙曾)[1550~1627]의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자는 사성(思省), 호는 성재(省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고수연(高壽延)이고, 할아버지는 충의교위 고극공(高克恭)이다. 아버지는 좌부장 고천우(高天佑)이고, 어머니는 습독 강희언(康希彦)의 딸 신천 강씨(信川 康氏)이다. 부인은 습독 최진(崔縝)의 딸 전주 최씨(全州 崔氏)이고,...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정착한 문신이자 의관. 남영(南嶸)[1548~1616]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사수(士秀)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훈련원도정 남희(南暿)이고, 할아버지는 삭녕군수 남숙(南俶)이다. 아버지는 부사과 남예석(南禮錫)이고, 어머니는 수문장 김세균(金世均)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부장 한윤복(韓胤福)의 딸 청주 한씨(淸州 韓氏)이고,...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정종로(鄭宗魯)[1738~1816]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사앙(士仰), 호는 입재(立齋)·무적옹(無適翁) 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석교(鄭錫僑)이고, 할아버지는 정주원(鄭胄源)이다. 아버지는 정인모(鄭仁模)이고, 어머니는 홍익구(洪益龜)의 딸 부림 홍씨(缶林 洪氏)이다. 부인은 이민현(李民顯)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고, 아들은 정상진...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정착한 유의이자 문신. 성람(成灠)[1556~1620]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사열(士悅), 호는 청죽(聽竹)이다. 초명은 성협(成浹)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성완(成玩)이고, 할아버지는 예빈시정 성희주(成希周)이다. 아버지는 강원감사 성세평(成世平)이고, 어머니는 노공좌(盧公佐)의 딸이다. 아들은 성여춘(成汝櫄)·성여백(成汝栢)이다. 형은 성락(成洛)...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곽용백(郭龍伯)[1588~1646]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호는 사오(沙塢), 초명은 곽준립(郭峻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풍덕훈도를 지낸 곽상(郭商)이고, 할아버지는 주부 곽림(郭琳)이다. 아버지는 송라도찰방 곽수지(郭守智)이고, 어머니는 이극검(李克儉)의 딸 공주 이씨(公州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참봉 장여침(張汝沈)의 딸 울진 장씨(蔚珍...
-
경상북도 상주시가 운영하는 공식 온라인 쇼핑몰. 명실상주몰은 경상북도 상주시 농민들이 생산한 농산물과 가공식품 등을 판매하는 공식 온라인 쇼핑몰이다. 상주시의 위탁으로 경상북도 농식품유통교육진흥원과 웨보노믹스에서 관리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 일대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주 지역어. 방언(方言)은 표준어와 대립하는 개념의 말이며, 한 언어 내부에서 나타나는 지역적 변이 양상을 뜻한다. 상주는 현재 1읍, 17면, 6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로는 문경시와 동쪽으로는 예천군, 의성군과 접하고 있으며 아래로는 구미시, 김천시, 서쪽으로는 충청도의 보은군, 옥천군, 영동군과 닿아 있다. 서쪽 지역이 소백산맥과 접...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시민의 생활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실시되고 있는 사회 보장 정책. 「사회보장기본법」에 의하여 모든 지방 자치 단체는 주민의 인간다운 생활을 유지·증진시킬 책임을 지고 있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도 사회 복지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인간의 존엄성과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보장하여 주는 사회 복지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상주시는 사회 복지의 전문성...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공동체 수요에 적합한 사회 서비스를 확충하고 취약 계층에게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는 기업체. 사회적 기업(社會的 企業)은 고령자와 장애인 등 취약 계층에게 안정적 일자리와 사회 서비스를 제공하고, 수익 발생 시 사회적 목적 실현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재투자하는 기업이다. 우리나라는 2007년 「사회적기업 육성법」이 제정되면서 정부와 자치단체 및 시민사회가 연대하...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조남수(趙南洙)[1744~1822]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사휴(士休), 호는 쇄소재(灑埽齋)이다. 초명은 조기연(趙麒然)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해(趙瀣)이고, 할아버지는 조시경(趙時經)이다. 아버지는 조석로(趙錫魯)이고, 어머니는 김여명(金汝鳴)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다. 부인은 첨추 김호련(金虎鍊)의 딸 선성 김씨(宣城 金氏)이고,...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윷으로 승부를 겨루는 민속놀이. 윷놀이는 나무를 깎아 만든 4개의 윷가락을 던져서 바닥에 놓인 윷가락의 형태에 따라 말을 움직이는 민속놀이이다. 사희(柶戲), 척사놀이(擲柶-)라고도 한다. 윷놀이는 주로 정월대보름에 행하는데, 한 해의 복을 점치는 의미도 띠고 있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는 마을마다 편을 가르거나 마을 내에서 편을 나누어서 놀기도 한다. 편을 나누...
-
경상북도 상주시의 산지 분포와 특성. 상주의 높은 산지는 주로 북부와 서부 지역의 경계를 이루는 소백산맥에 해당하는 산들이다. 소백산맥에서 갈라진 북부 지역의 산지는 작약지맥의 산지, 중부 지역은 숭덕지맥의 산지, 그리고 남부 지역은 기양지맥에 해당하는 산지로 상주시의 남쪽과 남동쪽 경계를 이룬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천리(琴川里)는 백화산 밑에 있는 지역이라는 뜻으로 ‘미끼미‘, ‘산금’이라고 불리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산금의 ‘금’ 자와 이천리(爾川里)의 ‘천(川)’ 자를 따서 ‘금천리’라고 하였다고 한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이구(李榘)[1613~1654]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대방(大方), 호는 활재(活齋)·산양처사(山陽處士)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단성현감 이경금(李景嶔)이고, 할아버지는 호조좌랑 이돈(李惇)이다. 아버지는 공조정랑 이광흡(李光洽)이고, 어머니는 황시간(黃時幹) 딸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경유후(慶有後)의 딸 청주...
-
경상북도 상주시 일원에 산업의 지방 분산을 촉진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계획적으로 조성된 단지. 산업단지(産業團地)는 산업 시설을 비롯하여 산업 시설과 관련된 교육·연구·정보 처리·유통 시설 및 산업 시설의 종사자와 이용자를 위한 주거·문화·의료·관광·체육·복지 시설 등의 지원 시설을 집단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포괄적 계획에 따라 개발 및 조성된 단지를 말한다. 상주시에는...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홍여하(洪汝河)[1620~1674]의 본관은 부계(缶溪)이며, 자는 백원(百源), 호는 목재(木齋)·산택재(山澤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경삼(洪景參)이고, 할아버지는 홍덕록(洪德祿)이다. 아버지는 대사간 홍호(洪鎬)이고, 어머니는 고종후(高從厚)의 딸 장흥 고씨(長興 高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황덕유(黃德柔)의 딸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고, 첫...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산현리(山玄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안산리(安山里)의 ‘산(山)’ 자와 보현리(甫玄里)의 ‘현(玄)’ 자를 따서 ‘산현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삼괴리(三槐里)는 느티나무 세 그루가 정자를 이루었다는 것에 유래하여 ‘삼괴정’ 또는 ‘삼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삼괴리(三槐里)는 느티나무 세 그루가 정자를 이루었다는 것에 유래하여 ‘삼괴정’ 또는 ‘삼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삼괴리(三槐里)는 느티나무 세 그루가 정자를 이루었다는 것에 유래하여 ‘삼괴정’ 또는 ‘삼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삼덕리(三德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삼봉리(三峯里)의 ‘삼(三)’ 자와 덕양리(德陽里)의 ‘덕(德)’ 자를 따서 ‘삼덕리’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에 있는 삼백을 테마로 한 공원. 삼백농업농촌테마공원은 2007년 농림부가 시행하는 농업 농촌 테마 공원 조성 사업에 선정되어 경상북도 잠사곤충사업장이 있던 부지에 농업 고유의 생활문화 자원을 활용한 테마 공원으로 건립하였다. 이에 2012년 10월 상주시 복룡동 일원의 4만 7166㎡ 부지에 213억 2900만 원의 사업비를 투자하여, 2014년 11월 준공...
-
경상북도 상주시 화개동과 복룡동을 연결하는 병성천의 다리. 화개교(花開橋)는 다리가 통과하는 화개동(花開洞)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의 대표적 특산물인 상주곶감의 유래와 특징, 상주곶감이 명품으로 인정받기까지 과정에 대한 이야기. 감나무는 15세기 전부터 상주 지역에 자생하였으며 상주에서 감나무가 재배되었다는 기록은 1530년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전한다. 상주 지역은 일교차가 커서 감의 당분 축적에 유리한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토질이 비옥하고 배수가 양호하여 예부터 곶...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삼덕리(三德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삼봉리(三峯里)의 ‘삼(三)’ 자와 덕양리(德陽里)의 ‘덕(德)’ 자를 따서 ‘삼덕리’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상촌리와 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구봉리의 경계에 있는 산. 삼봉산(三峰山)은 상주시의 남동쪽 낙동면 행정복지센터 앞에 있는 높이 447.6m의 산이다. 산 정상이 봉우리 세 개로 이루어진 명산이며, 북쪽은 낙동면의 평야 지대이고 동쪽은 낙동강이 유유히 흘러 경관이 뛰어나다. 주변에 복우산, 금오산, 갑장산, 식산, 나각산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삼괴리(三槐里)는 느티나무 세 그루가 정자를 이루었다는 것에 유래하여 ‘삼괴정’ 또는 ‘삼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해지는 부녀자들이 삼을 삼으면서 부르던 길쌈노동요. 삼삼기는 가늘게 찢은 삼실을 한 올 한 올 맞대어 비벼 꼬아서 길게 이어 붙이는 일이다. 이렇게 삼을 삼는 작업을 하면서 졸음을 쫓거나 힘든 것을 잠시라도 잊고자 노래를 부르는데, 이 노래가 「삼삼기노래」, 또는 「삼 삼는 노래」이다. 노래의 내용이 주로 밤을 새워 삼을 삼다가 잠을 쫓는 것으로 되어 있어,...
-
경상북도 상주시 외답동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캐프는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생산하는 제조업체이다. 캐프는 경상북도 상주시에 본사와 공장, 연구소를 두고 있다. 캐프는 중국 광둥과 베트남에도 공장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답동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캐프는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생산하는 제조업체이다. 캐프는 경상북도 상주시에 본사와 공장, 연구소를 두고 있다. 캐프는 중국 광둥과 베트남에도 공장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
1919년 민족 독립 쟁취를 위하여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일어난 독립운동.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는 1919년 3월 23일부터 4월 9일까지 상주 장터, 이안면 소암리, 화북면 장암리와 운흥리 일대에서 3·1 운동이 전개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삼포리(三浦里)는 금계천과 화랑천, 계곡천까지 세 개의 물이 합하여 이루어진 곳이라 하여 ‘새기’, ‘세 개’ 또는 ‘사제(社堤)’, ‘삼포(三浦)’라 하였다고 전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곡리(上谷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상달리(上達里)의 ‘상(上)’ 자와 금곡리(金谷里)의 ‘곡(谷)’ 자를 따서 ‘상곡리’라 하였다....
-
통일 신라 시대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상주(尙州)[남북국(南北國)]는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의 지명으로서, 757년부터 776년 무렵까지 사용되었다....
-
삼국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일대에 있던 신라의 지방 행정 구역. 상락군(上洛郡)은 본래 사벌국(沙伐國)[혹은 사량벌국(沙梁伐國)]이다. 사벌국은 249년 신라 첨해이사금(沾解尼師今)이 석우로(昔于老)를 파견하여 정벌하였다. 524년 법흥왕(法興王)이 처음으로 군주(軍主)를 파견하고, 상주(上州)로 삼았으며, 557년 진흥왕(眞興王)이 주를 폐지할 당시 상락군이 되었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상락사(常樂寺)는 1921년 설홍이 냉림동에 조그만 법당을 건립하고, 김룡사(金龍寺)에서 목조 불상[상주 상락사 대웅전 목조석가여래좌상(尙州 常樂寺 大雄殿 木造釋迦如來坐像)]을 모셔다가 상주포교원으로 문을 연 것이 처음이었다. 1960년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 60-8번지의 민가를 매입하여 1969년 도량을...
-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상락사(常樂寺)는 1921년 설홍이 냉림동에 조그만 법당을 건립하고, 김룡사(金龍寺)에서 목조 불상[상주 상락사 대웅전 목조석가여래좌상(尙州 常樂寺 大雄殿 木造釋迦如來坐像)]을 모셔다가 상주포교원으로 문을 연 것이 처음이었다. 1960년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 60-8번지의 민가를 매입하여 1969년 도량을...
-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시인. 이대희(李大熙)[1925~1990]의 호는 상몽(尙夢)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묵상리(墨上里)는 묵실 위쪽에 있는 마을에서 유래하여 ‘웃묵실’, ‘상묵동’이라고 불리었고, 이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묵실의 윗마을이라는 뜻에서 ‘묵상리’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이루어지는 민속놀이이자 전통 운동경기.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맞잡고 상대를 먼저 넘어뜨리는 것으로 승부를 겨루는 전통 운동경기이자 민속놀이이다. 각저(角觝)·백희(百戲)·각기(角技)·상박(相撲)이라고도 한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는 주로 음력 5월 5일인 단오나 추석 같은 큰 명절에 건장한 장정들이 행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갑장사의 상사암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상사암(相思巖)」은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갑장사(甲長寺)의 상사암에 얽힌 유래담이다. 이루지 못한 사랑과 관련한 두 가지 설화를 통하여 상사암의 유래를 설명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법정면. 사벌국면(沙伐國面)은 사벌국의 옛이름을 따서 ‘사벌국면’이라고 하였다....
-
통일 신라 시대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상주(尙州)[남북국(南北國)]는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의 지명으로서, 757년부터 776년 무렵까지 사용되었다....
-
김수와 김조를 시조로 하는 경상북도 상주시의 토착 성씨. 상산(商山)은 상주의 옛 지명으로 삼한 시대에 진한(辰韓)의 영토였으며, 185년(신라 벌휴왕 2) 사벌국(沙伐國) 또는 사불(沙弗)로 독립을 유지하다가 신라 법흥왕 때 상주(上州)라 하였다. 이후 상락군(上洛郡), 사벌주(沙伐州) 등으로 불리다가 경덕왕(景德王) 때 상주(尙州)로 개칭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내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녀각. 김일 효녀각(金鎰 孝女閣)은 임진왜란 때 전사한 김일(金鎰)의 딸 상산 김씨를 기리기 위하여 1793년 건립하였다. 상산 김씨는 전란 중 아버지가 전사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가노(家奴)와 함께 전쟁터에서 아버지의 시신을 찾아 임시로 매장하였다가 왜적이 물러간 뒤 장례를 치렀다. 무덤 앞에 아무 글을 새기지 않은 비석을 세우고...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내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녀각. 김일 효녀각(金鎰 孝女閣)은 임진왜란 때 전사한 김일(金鎰)의 딸 상산 김씨를 기리기 위하여 1793년 건립하였다. 상산 김씨는 전란 중 아버지가 전사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가노(家奴)와 함께 전쟁터에서 아버지의 시신을 찾아 임시로 매장하였다가 왜적이 물러간 뒤 장례를 치렀다. 무덤 앞에 아무 글을 새기지 않은 비석을 세우고...
-
1794년 편찬된 경상도 상주목의 읍사례. 1794년(정조 18) 편찬된 『상산읍례(商山邑例)』는 상주목 읍지 가운데 하나이다. 상주 관아 소속 각 소의 수입·지출·상납 및 사무 분장을 규정한 것으로 당시 상주 관아의 실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계산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공감 능력과 창의력을 지닌 기능인 양성’이며, 교훈은 “자존자강(自尊自强)”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계산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공감 능력과 창의력을 지닌 기능인 양성’이며, 교훈은 “자존자강(自尊自强)”이다....
-
1890년에 금초가 제작한 상주목 지도첩. 『상산지도첩자(商山地圖帖子)』는 1890년(고종 27) 금초(錦樵)에 의하여 제작된 상주목(尙州牧) 지도이다. 현재 소장처를 알 수 없으며, 복사본을 영인한 자료만 전한다. 첫 장은 상주목 전체 개요도, 둘째 장은 읍내 전도이다. 이후 내동면도(內東面圖)부터 산북면도(山北面圖)에 이르기까지 모두 31개 면의 지도를 실었다. 지도첩 마지막에...
-
경상북도 상주시 냉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주적인 학습력을 키워 가는 어린이,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꿈과 끼를 찾아가는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냉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주적인 학습력을 키워 가는 어린이,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꿈과 끼를 찾아가는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1617년 작성된 조선 시대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향안. 조선 시대 경상북도 상주 지역 유향소(留鄕所)·향청(鄕廳)의 향원(鄕員) 명부이다. 유향소는 조선 시대 재지사족이 주도하던 향촌 자치 기구로서, 조선 후기에는 향청이라 불렸다. 재지사족 층은 유향소 운영을 통하여 향촌 교화, 향리 규찰, 수령 자문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향촌 사회 내에서 자신들의 지위를 확보하였다. 향안은...
-
경상북도 상주시 계산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공감 능력과 창의력을 지닌 기능인 양성’이며, 교훈은 “자존자강(自尊自强)”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계산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공감 능력과 창의력을 지닌 기능인 양성’이며, 교훈은 “자존자강(自尊自强)”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계산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공감 능력과 창의력을 지닌 기능인 양성’이며, 교훈은 “자존자강(自尊自强)”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계산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공감 능력과 창의력을 지닌 기능인 양성’이며, 교훈은 “자존자강(自尊自强)”이다....
-
1929년 출판한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사찬 읍지. 『상산지(商山誌)』[1929]는 1928년 경상북도 상주 지역 유림(儒林)이 주도하여 1929년에 활판으로 인쇄한 사찬 읍지이다. 『상산지』[1929]는 1617년에 편찬한 『상산지』[창석본(蒼石本)], 1749년 편찬한 『상산지』[청대본(淸臺本)], 1832년 편찬한 『상산지』[임진본(壬辰本)]을 저본으로 삼고 있으며, 근대...
-
1617년 이준이 편찬한 경상도 상주목의 사찬 읍지. 『상산지』[창석본]은 17세기 전반에 활동한 경상도 상주목의 사대부 이준(李埈)[1560~1635]이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구희급(丘希岌)이 등사한 공관 기록 등을 참고하여 1617년(광해군 9) 완성한 사찬 읍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냉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주적인 학습력을 키워 가는 어린이,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꿈과 끼를 찾아가는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냉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주적인 학습력을 키워 가는 어린이,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꿈과 끼를 찾아가는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냉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주적인 학습력을 키워 가는 어린이,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꿈과 끼를 찾아가는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냉림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주적인 학습력을 키워 가는 어린이,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꿈과 끼를 찾아가는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류심춘(柳尋春)[1762~1834]의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상원(象遠)·상수(象叟), 호는 강고(江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류후겸(柳後謙)이고, 할아버지는 류성로(柳聖魯)이다. 아버지는 류광수(柳光洙)이고, 어머니는 조시경(趙時經)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큰아버지 류발(柳潑)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첫 번째 부인은 이의수(李宜秀)의...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상리(新上里)[낙동면]는 신촌의 위라는 뜻으로 ‘웃신촌’, ‘상신촌’, ‘신상’으로 불린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신촌은 신상리의 으뜸 마을로 조선 말 경주 이씨가 개척하였으며, 상주 금광이 생긴 뒤부터 큰 마을이 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절터. 상안사지(詳安寺址)는 통일 신라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 일대에 조성된 사찰의 터이다. 용화사(龍華寺) 약사전(藥師殿)에 있는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보물]과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좌상[보물]은 옛 상안사에 봉안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민요. 전국 여러 지역에서 불리는 「상엿소리」는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의식요이다. 전통 사회의 농촌에서는 초상이 나면 마을 단위로 마을 사람들이 서로 협동하여 장례를 치르고, 또 상여꾼들이 되어서 「상엿소리」를 부르곤 하였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하여 오는 「상엿소리」는 「상여소리」라는 이름으로 채록되었는데...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나를 사랑하는 상영 교육, 함께 놀고 함께 배우는 상영 교육, 따뜻한 마음을 나누는 상영 교육, 꿈을 찾아가는 상영’이고,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나를 사랑하는 상영 교육, 함께 놀고 함께 배우는 상영 교육, 따뜻한 마음을 나누는 상영 교육, 꿈을 찾아가는 상영’이고,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나를 사랑하는 상영 교육, 함께 놀고 함께 배우는 상영 교육, 따뜻한 마음을 나누는 상영 교육, 꿈을 찾아가는 상영’이고,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나를 사랑하는 상영 교육, 함께 놀고 함께 배우는 상영 교육, 따뜻한 마음을 나누는 상영 교육, 꿈을 찾아가는 상영’이고,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나를 사랑하는 상영 교육, 함께 놀고 함께 배우는 상영 교육, 따뜻한 마음을 나누는 상영 교육, 꿈을 찾아가는 상영’이고,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나를 사랑하는 상영 교육, 함께 놀고 함께 배우는 상영 교육, 따뜻한 마음을 나누는 상영 교육, 꿈을 찾아가는 상영’이고,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상오2리 동제(上蜈二里 洞祭)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의 상오2리 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이며 산신제라고 불린다. 제사는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 밤 11시에 지내며, 제의 장소는 산제당 옆에 있는 큰 소나무 앞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상오2리 동제(上蜈二里 洞祭)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의 상오2리 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이며 산신제라고 불린다. 제사는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 밤 11시에 지내며, 제의 장소는 산제당 옆에 있는 큰 소나무 앞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오리(上五里)는 쉰섬이의 위쪽이 되므로 ‘웃쉰섬이’ 또는 ‘상오십석’이라 하였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쉰섬이마을은 해마다 좁쌀 쉰 섬을 하였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개항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의병이자 독립운동가. 노병대(盧炳大)[1856~1913]의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자는 상요(相堯), 호는 금포(錦圃)이다. 처음 이름은 노병직(盧炳稷)이다. 아버지 노종구(盧宗九), 어머니 의성 김씨(義城 金氏)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용리(上龍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상봉리(上鳳里)의 ‘상(上)’ 자와 복룡리(伏龍里)의 ‘용(龍)’ 자를 따서 ‘상용리’라 하였다고 한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류심춘(柳尋春)[1762~1834]의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상원(象遠)·상수(象叟), 호는 강고(江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류후겸(柳後謙)이고, 할아버지는 류성로(柳聖魯)이다. 아버지는 류광수(柳光洙)이고, 어머니는 조시경(趙時經)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큰아버지 류발(柳潑)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첫 번째 부인은 이의수(李宜秀)의...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사람이 죽었을 때 수반되는 의례. 사람은 누구나 세상에 태어나 죽음을 맞는다. 사람의 일생에서 마지막 관문인 죽음에 따르는 의례를 상장례(喪葬禮)라고 한다. 상(喪)은 죽음을 의미하며, 특히 자녀가 부모의 죽음을 말할 때 상이라고 한다. 따라서 상은 제례(祭禮)와 함께 선조에 대한 의례이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경우 전통사회에서는 상장례가 유교의 영향 아래...
-
경상북도 상주 출신 문신 조정의 조선 후기 문집 목판. 상주 검간 조정 문집목판(尙州 黔澗 趙靖 文集木板)은 조정(趙靖)[1555~1636]의 문집인 『검간선생문집(黔澗先生文集)』과 임진왜란 당시 조정의 일기 『진사일록(辰巳日錄)』의 책판이다. 2018년 2월 22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5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상주 견훤사당(尙州 甄萱祠堂)은 후백제를 세운 견훤(甄萱)에게 제사를 지내는 공간이다. ‘선신각’ 혹은 ‘선신당’이라고도 한다. 2013년 3월 18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5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성하동에 있는 경상북도경찰청 소속의 경찰서. 상주경찰서(尙州警察署))는 경상북도 상주 시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 보호, 범죄 예방·진압 및 수사, 치안 정보 수집, 교통 단속, 기타 공공의 안녕과 질서 유지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상주고등학교(尙州高等學校)의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 민주 시민, 자기 주도 학습, 배움 중심 수업, 창의 융합 사고, 심미 역량 강화’이며, 추구하는 학생상은 ‘인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 융합 인재’이다. 교훈은 “옳게 배우고 참되게 살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상주고등학교(尙州高等學校)의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 민주 시민, 자기 주도 학습, 배움 중심 수업, 창의 융합 사고, 심미 역량 강화’이며, 추구하는 학생상은 ‘인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 융합 인재’이다. 교훈은 “옳게 배우고 참되게 살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양정리에 있는 삼국 시대 저수지. 상주 공검지(尙州 恭儉池)는 제천 의림지, 김제 벽골제와 더불어 조선 시대 3대 저수지로 알려져 있으며 공갈못이라고도 한다. 못둑을 쌓을 때 ‘공갈’이라는 아이를 묻었다는 매아 설화가 있지만, 조선 전기의 학자 홍귀달(洪貴達)은 「명삼정기(名三亭記)」에서 신뢰할 수 없는 것이라고 하였다. 저수지 축조 방식으로 ‘공글리다[땅...
-
경상북도 상주시 낙양동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건학 이념은 ‘자유로운 사고·표현·행동이 곧 진리·아름다움·정의로 이어질 수 있는 참된 인간을 도야·배출한다’이다. 교육 목표는 ‘산업 사회에 필요한 유능한 기능인 양성’이며, 교훈은 “참된 사람, 봉사하는 사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양동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건학 이념은 ‘자유로운 사고·표현·행동이 곧 진리·아름다움·정의로 이어질 수 있는 참된 인간을 도야·배출한다’이다. 교육 목표는 ‘산업 사회에 필요한 유능한 기능인 양성’이며, 교훈은 “참된 사람, 봉사하는 사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일원에서 생산되는 농특산물. 예로부터 농경 문화가 발달한 상주시는 전형적인 농업 도시로서 쌀, 곶감[곶감의 분], 누에고치 등 흰 농산물 3가지가 많이 난다고 하여 ‘삼백(三白)의 고장’이라고 하였다. 삼백 중에서도 감을 말려서 만드는 곶감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임금의 진상 품목으로 정하였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으뜸으로 쳤다. 상주시는 상주곶감 외에...
-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 소은리에 있는 상주곶감을 테마로 한 공원. 상주곶감공원은 소설가 우봉규의 동화 『호랑이보다 더 무서운 곶감』을 테마로 한 공원이다. 상주는 지리적으로 구릉성 산지가 많고 자연환경이 감 재배의 최적지로 알려져 왔으며, 전국 곶감 생산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예부터 상주곶감에 상주 농민들의 지혜가 담겨 있어 상주곶감 농업이 2019년 국가중요농업유산 제15호...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개최하는 마라톤 대회. 상주곶감마라톤대회는 상주 지역의 특산물인 곶감을 내세운 마라톤 대회이다. 2003년 제1회 대회를 시작으로 2022년 11월 20회 대회가 개최되었다. 상주시민운동장에서 출발하여 상주시 일원을 일주하면서 가을의 정취를 즐길 수 있는 대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개최하는 마라톤 대회. 상주곶감마라톤대회는 상주 지역의 특산물인 곶감을 내세운 마라톤 대회이다. 2003년 제1회 대회를 시작으로 2022년 11월 20회 대회가 개최되었다. 상주시민운동장에서 출발하여 상주시 일원을 일주하면서 가을의 정취를 즐길 수 있는 대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매년 겨울에 개최하는 지역 문화 축제. 상주곶감축제는 전국 최대의 곶감 주산지인 경상북도 상주곶감의 우수한 품질과 맛을 홍보하기 위하여 개최하는 지역 축제이다. 매년 12월에 개최하며 곶감을 주제로 한 제품 판매와 경매, 음악 공연, 전시 및 체험 활동이 3일간 진행된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매년 겨울에 개최하는 지역 문화 축제. 상주곶감축제는 전국 최대의 곶감 주산지인 경상북도 상주곶감의 우수한 품질과 맛을 홍보하기 위하여 개최하는 지역 축제이다. 매년 12월에 개최하며 곶감을 주제로 한 제품 판매와 경매, 음악 공연, 전시 및 체험 활동이 3일간 진행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 왕산역사공원 일대에 있는 조선 시대 상주목의 관아 유적. 상주 관아 유적(尙州 官衙 遺蹟)은 상주읍성 내에 있으며, 1827년에서 1870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강주진 소장 「상주성도」에 의하면 왕산의 남쪽에 동헌인 청유당(廳猶堂)·내삼문·태평루가 일직선상에 배치되었다. 동헌의 서쪽에 내아(內衙), 내아 서편에는 오죽헌(梧竹軒), 오죽헌 북서쪽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 관음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화. 상주 관음사 아미타회상도(尙州 觀音寺 阿彌陀會上圖)는 19세기에 제작된 불화이며, 1958년 용흥사(龍興寺)로부터 관음사의 전신인 함창포교당(咸昌布敎堂)에 이안되었다. 상주 관음사 아미타회상도는 화기에 따르면 원래 1818년 당초 용흥사 도성암에 봉안되었던 탱화였는데, 도성암이 폐사되자 본사인 용흥사에서 보관하다가 관음...
-
경상북도 상주시 화남면 동관리 관음사지에 있는 조선 후기 사적비. 상주 관음사지 사적비(尙州 觀音寺址 事蹟碑)는 1707년(숙종 33) 건립한 비석이다. 2007년 4월 30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1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무양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상주교회(尙州敎會)는 19세기 초 처음 개척된 이래 상주 지역 개신교 신앙의 중심지 역할을 하여 온 유서 깊은 기독교 교회이다. 일찍이 1937년 신봉교회를 분립한 이래 상산교회, 지사교회, 병성교회, 외답교회, 서문교회를 분립한 상주 지역 여러 교회의 모교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신촌리에 있는 옛 면사무소. 상주 구 내서면사무소(尙州 舊 內西面事務所)는 옛 경상북도 상주군 내서면의 지방 행정 업무를 보던 관공서이다. 2006년 9월 19일 국가등록문화재 제27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국가등록문화재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신촌리에 있는 옛 면사무소. 상주 구 내서면사무소(尙州 舊 內西面事務所)는 옛 경상북도 상주군 내서면의 지방 행정 업무를 보던 관공서이다. 2006년 9월 19일 국가등록문화재 제27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국가등록문화재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구잠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토기 가마터. 상주 구잠리 요지(尙州 九潛里 窯址)는 현재 2개소가 발굴 조사되었다. 구잠리 295-1번지는 민묘를 이장하면서 드러난 단면에서 토기 가마가 노출되어 2000년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에서 긴급 수습 조사하였다. 구잠리 489번지 일대는 상주-안동간 고속도로 건설로 인하여 2011년 동국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를...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화달리에 있는 국제 규격 승마장. 상주국제승마장(尙州國際乘馬場)은 국제 규격에 맞춘 승마장이며, 대한승마협회로부터 인정받은 국내 유일의 승마장이다. 매년 전국승마대회를 개최할 뿐만 아니라 일반 회원 강습과 더불어 승마 교육 및 체험 활동을 통하여 전국의 많은 승마인들을 불러들이는 승마장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화달리에 있는 국제 규격 승마장. 상주국제승마장(尙州國際乘馬場)은 국제 규격에 맞춘 승마장이며, 대한승마협회로부터 인정받은 국내 유일의 승마장이다. 매년 전국승마대회를 개최할 뿐만 아니라 일반 회원 강습과 더불어 승마 교육 및 체험 활동을 통하여 전국의 많은 승마인들을 불러들이는 승마장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금곡리에 있는 조선 전기 누정. 봉황정(鳳凰亭)은 조선 전기 교수(敎授)를 지낸 진주(晉州) 출신 류희임(柳希任)이 유상(遊賞)하던 정자이다. 현재 건물은 후손들이 류희임을 추모하여 1990년 새롭게 중건한 것이다. 정자 안 현판에는 전윤석(全胤錫)의 기문과 채휴징(蔡休徵)의 시가 남아 있다. 상주 금곡리 봉황정이라고도 부른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금곡리에 있는 조선 전기 누정. 봉황정(鳳凰亭)은 조선 전기 교수(敎授)를 지낸 진주(晉州) 출신 류희임(柳希任)이 유상(遊賞)하던 정자이다. 현재 건물은 후손들이 류희임을 추모하여 1990년 새롭게 중건한 것이다. 정자 안 현판에는 전윤석(全胤錫)의 기문과 채휴징(蔡休徵)의 시가 남아 있다. 상주 금곡리 봉황정이라고도 부른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상동과 사벌국면 금흔리와 엄암리에 걸쳐 있는 토성. 상주 금흔리 이부곡 토성(尙州 衾欣里 吏部谷 土城)은 경상북도 상주시의 수계가 모여 낙동강으로 유입되는 요충지에 있는 성이며, 사벌국과 관련되어 주목을 받은 토성이다. 1998년 4월 13일 경상북도 기념물 제12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었던 기독교 청년 단체. 상주기독청년회(尙州基督靑年會)는 1921년 6월 13일에 종교 활동을 목적으로 창립된 기독교 청년 단체이다. 창립 당시 대표 인물은 박정탁(朴政卓)·유원명(柳元明) 등이었다....
-
김수와 김조를 시조로 하는 경상북도 상주시의 토착 성씨. 상산(商山)은 상주의 옛 지명으로 삼한 시대에 진한(辰韓)의 영토였으며, 185년(신라 벌휴왕 2) 사벌국(沙伐國) 또는 사불(沙弗)로 독립을 유지하다가 신라 법흥왕 때 상주(上州)라 하였다. 이후 상락군(上洛郡), 사벌주(沙伐州) 등으로 불리다가 경덕왕(景德王) 때 상주(尙州)로 개칭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판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제단비. 상주 김준신의사 제단비(尙州 金俊臣義士 祭壇碑)는 임진왜란 때 전사한 김준신(金俊臣)[1561~1592]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제단비이다. 김준신은 상주목 화령현(化寧縣) 판곡리(板谷里) 출신으로 본관은 청도이며, 호는 절곡(節谷)이다.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상주목사 김해(金澥)의 예하의 솔령장(率領將)으로 상주의 관군...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판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제단비. 상주 김준신의사 제단비(尙州 金俊臣義士 祭壇碑)는 임진왜란 때 전사한 김준신(金俊臣)[1561~1592]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제단비이다. 김준신은 상주목 화령현(化寧縣) 판곡리(板谷里) 출신으로 본관은 청도이며, 호는 절곡(節谷)이다.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상주목사 김해(金澥)의 예하의 솔령장(率領將)으로 상주의 관군...
-
경상북도 상주에 있는 낙동강 나루의 역사. 나루는 강이나 좁은 바닷목에서 배가 건너다니는 일정한 장소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한자로는 도(渡)·진(津) 또는 좀 큰 것을 포(浦)라고 한다. 나루는 교통로와 연결되어 발달한다. 큰 강이 흘러 육로를 차단하는 경우 하천을 횡단하여 육로를 연결하는 강나루가 필요하다. 또한, 하구에서 수로를 따라 가항 지점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경우에도 나루...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물량리, 낙동리와 의성군 단밀면 생송리를 연결하는 다리. 상주낙동강교(尙州洛東江橋)는 상주시 동편을 흐르는 낙동강(洛東江)을 통과하는 다리라는 뜻에서 명명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 낙동중학교에 있는 조선 후기 선정비. 상주 낙동리 비석군(尙州 洛東里 碑石群)은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 낙동중학교에 있으며, 불망비 5기, 선정비 1기, 은덕비·송덕비·기타 각 1기 등 총 9기의 선정비가 있다. 직위별로는 목사비 6기, 아전비 2기, 기타 1기이며. 건립 연대는 1813년(순조 13)에서 1895년(고종 32)까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삼덕리 상주박물관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폐탑. 상주 낙상동 폐탑(尙州 洛上洞 廢塔)은 낙상동 사지에서 발굴된 23점의 통일 신라 시대 석탑 부재이다. 원래 낙상동 사지에 흩어져 있던 것을 1982년 4월 19일 발굴하여 2000년 5월 23일 상주시 금흔리 충의사(忠毅祠) 관리소 뒤편에 임시로 보관하였다. 2007년 10월 27일 상주시 사벌국면 삼덕리...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판곡리에 있는 수령 약 500년 된 소나무. 상주 낙화담 소나무는 조선 시대 초에 조성된 연못인 낙화담 한가운데 인공 섬에서 자라는 소나무이다. 당산목(堂山木)인 상주 낙화담 소나무는 주민들에게는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목이자 마을의 소중한 상징물로 여겨지고 있다. 수령 약 500여 년으로 추정되는 노거수(老巨樹)인 상주 낙화담 소나무의 생육 상태는 양호하다....
-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기 정체성[self-identity]을 이루는 교육, 다양한 문화 예술을 경험하고 아름다운 감성을 가꾸는 교육, 민주적이고 협력적인 태도를 가꾸는 교육, 평화롭고 생태적인 태도를 가꾸는 교육, 창의적인 사고와 지속적인 노력으로 지적 성장을 이루는 교육’이고, 교훈은 “정직·성실·협동”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기 정체성[self-identity]을 이루는 교육, 다양한 문화 예술을 경험하고 아름다운 감성을 가꾸는 교육, 민주적이고 협력적인 태도를 가꾸는 교육, 평화롭고 생태적인 태도를 가꾸는 교육, 창의적인 사고와 지속적인 노력으로 지적 성장을 이루는 교육’이고, 교훈은 “정직·성실·협동”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화. 상주 남장사 감로왕도(尙州 南長寺 甘露王圖)는 18세기 전반 경상도에서 활동하였던 탁휘(卓輝)·성징(性澄)·설봉(雪岺) 등의 화승이 1701년(숙종 27) 제작한 불화이다. 전체적으로 화면은 3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인물들의 배치가 일률적이어서 상당히 도식화된 느낌을 준다. 2010년 2월 24일 보물 제1641호로 지정되었...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의 속암인 관음선원에 있는 조선 후기 목각탱.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尙州 南長寺 觀音禪院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은 관음전 관음보살좌상의 후불탱으로 묵서에 1695년(숙종 21)에 조성되었다고 하였으나, 「천주산북장사사적기(天柱山北長寺事蹟記)」에는 갑술년인 1694년(숙종 20) 화주 희선(熙善)에 의하여 조성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상...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의 부속 암자인 관음선원의 관음전에 있는 목불상.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조관음보살좌상(尙州 南長寺 觀音禪院 木造觀音菩薩坐像)은 조선 전기에 조성된 목불상으로 높이는 93㎝이다. 상주시 남장동에 있는 남장사의 부속 암자인 관음선원의 관음전에 모셔져 있다. 2020년 6월 23일 보물 제206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상. 상주 남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尙州 南長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은 1645년(인조 23) 청허(淸虛)가 5명의 조각승과 함께 제작한 목불상이다. 남장사 극락보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불상이다. 본존인 높이 139㎝의 아미타여래상을 중심으로 높이 128㎝의 관음보살상과 높이 131㎝의 대세지보살상이 좌우로 협시하고 있...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 보광전에 있는 조선 후기 목각탱. 상주 남장사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尙州 南長寺 普光殿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은 상주 남장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의 후불탱으로 조선 후기에 조성되었다. 보물인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과 쌍벽을 이루는 목각탱이다. 상주 남장사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은 1987년 7월 16일 보물 제922호로 지정되었고...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부도. 상주 남장사 부도군(尙州 北長寺 浮屠群)은 남장사에 주석하였던 승려들의 묘탑, 즉 사리탑이다. 조선 후기에 조성된 석종형 4기와 최근에 조성된 1기 등 총 5기이며, 부도 주인을 모두 알 수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화.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尙州 南長寺 靈山會 掛佛圖)는 1788년(정조 12) 불화승(佛畫僧)인 상겸(尙謙)의 주도로 총 22명의 화승이 참여하여 제작한 것으로 크기는 가로 645.5㎝, 세로 1,066.7㎝이다. 2018년에 보물 제2007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에 있었던 조선 후기 불화 및 불구.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및 복장유물(尙州 南長寺 靈山會 掛佛圖 및 腹藏遺物)은 1776년(정조 즉위) 불화승(佛畫僧)인 유성(有誠) 등 23명의 화승이 참여하여 제작하였다. 괘불도와 복장낭(腹藏囊)·동경(銅鏡)·복장낭 보관함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3년 현재 직지사(直指寺) 성보박물관에 보관 중이다. 상주...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에 있는 조선 후기 일주문. 상주 남장사 일주문(尙州 南長寺 一柱門)은 1882년(고종 19) 세운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에 있다. 2003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42호로 지정되었다가 2013년 4월 8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에서 지정 해제되고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등급이 조정되었다. 2013년 4월 8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68호로 지정되...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에 있는 조선 전기 철조 불상. 상주 남장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尙州 南長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은 조선 초기에 조성된 철불상이며, 높이 133㎝, 머리 높이 34㎝, 어깨 폭 58㎝, 가슴 폭 35㎝, 무릎 높이 20㎝, 무릎 폭 120㎝의 규모이다. 상주 남장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은 1989년 4월 10일 보물 제99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내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녀각. 김일 효녀각(金鎰 孝女閣)은 임진왜란 때 전사한 김일(金鎰)의 딸 상산 김씨를 기리기 위하여 1793년 건립하였다. 상산 김씨는 전란 중 아버지가 전사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가노(家奴)와 함께 전쟁터에서 아버지의 시신을 찾아 임시로 매장하였다가 왜적이 물러간 뒤 장례를 치렀다. 무덤 앞에 아무 글을 새기지 않은 비석을 세우고...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내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녀각. 김일 효녀각(金鎰 孝女閣)은 임진왜란 때 전사한 김일(金鎰)의 딸 상산 김씨를 기리기 위하여 1793년 건립하였다. 상산 김씨는 전란 중 아버지가 전사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가노(家奴)와 함께 전쟁터에서 아버지의 시신을 찾아 임시로 매장하였다가 왜적이 물러간 뒤 장례를 치렀다. 무덤 앞에 아무 글을 새기지 않은 비석을 세우고...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었던 청년 운동 단체 상주노동청년회(尙州勞動靑年會)는 무산계급의 당면 이익과 승리, 합리적 사회생활 획득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지역 농업인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협동조합. 상주농업협동조합(尙州農業協同組合)의 설립 목적은 조합원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그리고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과 자금, 자재 및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 실익을 증진토록 하는 것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지역 농업인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협동조합. 상주농업협동조합(尙州農業協同組合)의 설립 목적은 조합원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그리고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과 자금, 자재 및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 실익을 증진토록 하는 것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 산하 지사. 한국농어촌공사의 지방 조직은 3개 원[농어촌연구원, 인재개발원, 농어촌자원개발원], 9개 지역본부[경기, 강원,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남, 경북, 제주], 93개 지사, 8개 사업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북지역본부에는 17개 지사가 소속되어 있다.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 상주지사는 17개 지사 중 한...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 산하 지사. 한국농어촌공사의 지방 조직은 3개 원[농어촌연구원, 인재개발원, 농어촌자원개발원], 9개 지역본부[경기, 강원,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남, 경북, 제주], 93개 지사, 8개 사업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북지역본부에는 17개 지사가 소속되어 있다.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 상주지사는 17개 지사 중 한...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일제 강점기 상주농협의 창고. 상주농협 구 창고(尙州農協 舊 倉庫)는 1931년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생산된 양곡을 반출하기 위하여 경북선 상주역 곁에 건축한 임시 양곡 보관 창고이다. 당시에는 창고가 여러 동이 있었다고 하나, 6·25 전쟁 때 불타 없어지고, 현재는 한 동(棟)만 남아 있다. 상주농협 구 창고는 2006년 12월 4일 국가등록문화...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우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누정 겸 서실. 상주 대산루(尙州 對山樓)는 영남학파의 대표 학자인 문신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1563~1633]가 1602년 건립한 누정 겸 서실이다. 정경세의 별서로 건립된 뒤 후손에 의하여 정사와 누정, 서고를 함께 갖춘 복합 건물로 중건되었다. 상주 대산루는 1982년 2월 24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6호로 지정되...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대포리에 있는 조선 시대 자기 가마터.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상주목(尙州牧)에는 상품(上品) 2개소, 중품(中品) 1개소의 자기소(磁器所)가 있었다고 한다. 중모현(中牟縣) 북쪽 추현리(楸縣里)의 상품 자기소는 현재의 모서면 대포리 일대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상주 대포리 자기 요지(尙州 大杓里 磁器 窯址)는 2019년 상주박물관에 의하여 정밀 지표...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도곡리에 있는 고려 전기 마애불입상. 상주 도곡리 마애불입상(尙州 道谷里 磨崖佛立像)은 자연석에 선각으로 부조한 마애불이며, 통일 신라 시대와 고려 시대 양식이 혼재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곡동 도림사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 시대 불교 의식용 청동 유물 일괄. 상주 도림사 소장 상주 도림사 소장 청동유물 일괄(尙州 道林寺 所藏 靑銅遺物 一括)은 고려 시대 불교 의식에 사용되었던 도구 31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림사 박물관에 있다. 2012년 5월 14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37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
-
경상북도 상주시 헌신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소질을 발견하여 진로를 개척하는 자주적인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고 상상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마음의 문을 열어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다양한 경험을 융합적으로 활용하고 탐구하는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밝고 씩씩한 어린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우기리에 있는 동학교 교당. 상주 동학교당(尙州 東學敎堂)은 동학(東學) 교리를 바탕으로 교당을 운영하고 포교 활동을 하기 위하여 건립한 국내 유일의 동학교 본부 건물이다. 동학의 남쪽 책임자인 김주희(金周熙)[1860~1944]는 1904년(광무 8) 동학계 경천교를 창립한 이후 1915년 상주에 정착하여 상주 동학교당을 건립하였다. 상주 동학교당은 199...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우기리에 있는 동학교 교당. 상주 동학교당(尙州 東學敎堂)은 동학(東學) 교리를 바탕으로 교당을 운영하고 포교 활동을 하기 위하여 건립한 국내 유일의 동학교 본부 건물이다. 동학의 남쪽 책임자인 김주희(金周熙)[1860~1944]는 1904년(광무 8) 동학계 경천교를 창립한 이후 1915년 상주에 정착하여 상주 동학교당을 건립하였다. 상주 동학교당은 199...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우기리 상주 동학교당에 있는 일제 강점기 동학 관련 유물. 상주 동학교당 유물(尙州 東學敎堂 遺物)은 총 177종 1084점으로 상주 동학교당 유물전시관에 보관되어 있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에서 일어난 동학교당 탄압 사건. 상주 동학교당의 보안법위반사건(尙州 東學敎堂의 保安法違反事件)은 1943년 일본 경찰이 상주 동학교 교주 김주희(金周熙)와 부교주 김낙세(金洛世) 등을 「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하고 상주 동학교당을 압수 수색한 사건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에서 일어난 동학교당 탄압 사건. 상주 동학교당의 보안법위반사건(尙州 東學敎堂의 保安法違反事件)은 1943년 일본 경찰이 상주 동학교 교주 김주희(金周熙)와 부교주 김낙세(金洛世) 등을 「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하고 상주 동학교당을 압수 수색한 사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두곡리에 있는 수령 약 400년의 뽕나무. 상주 두곡리 뽕나무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뽕나무이며, 상주의 오랜 양잠(養蠶) 역사와 전통을 입증하여 주는 기념물이다. 상주 두곡리 뽕나무는 뽕나무 재배를 권장하였던 조선의 제16대 왕 인조[재위 1623~1649년] 때 심은 것으로 추정된다. 상주 두곡리 뽕나무는 1972년 12월 29일 ‘은척면의 뽕나무’라는...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두곡리에 있는 수령 약 450년의 은행나무. 상주 두곡리 은행나무는 1500년경 형성된 두곡리 부락과 함께 자연 발생적으로 자란 은행나무로 추정된다. 상주 두곡리 은행나무는 암나무이며, 수형(樹形)은 균형이 잘 잡혀 있고 성장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상주 두곡리 은행나무는 민속적·생물학적 자료로서의 보존 가치가 인정되어 1987년 5월 13일 경상북도 기념물...
-
1919년 민족 독립 쟁취를 위하여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일어난 독립운동.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는 1919년 3월 23일부터 4월 9일까지 상주 장터, 이안면 소암리, 화북면 장암리와 운흥리 일대에서 3·1 운동이 전개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목가리에 있는 고려 전기 불상. 상주 목가리 석조관세음보살입상(尙州 木可里 石造觀世音菩薩立像)은 고려 전기 불상이며, 2003년 4월 14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3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남곡리에 있는 목재 체험장. 상주목재문화체험장(尙州木材文化體驗場)은 2013년 산림청에서 진행하는 목재 체험장 조성 사업 공모에 선정되어 국비 52억 원을 지원받아 상주시 한방산업단지 내에 조성되었다. 목재 체험장은 목재 문화 진흥을 위하여 각 시도에서 운영 중이거나 조성 중에 있다. 상주시는 2019년 상주목재문화체험장을 개장하여 친환경 소재인 목재에 대한...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무곡리에 있는 고려 시대 석탑. 상주 무곡리 삼층석탑(尙州 茂谷里 三層石塔)은 고려 시대 탑으로 상주시 공성면 무곡리 영암산 기슭에 넘어져 있던 것을 현재 위치에 복원하였다. 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2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거동동에 있는 조선 전기 거북모양 받침. 상주 무양동 석조귀부(尙州 武陽洞 石造龜趺)는 비를 받치는 받침돌로 거북 모양이다. 상주 무양동 석조귀부가 있는 곳은 경상북도 상주시 거동동이지만 명칭은 원래 있었던 곳의 지명을 따랐다. 상주 무양동 석조귀부는 비신과 이수는 없고 거북모양받침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상주 무양동 석조귀부는 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 문화재...
-
1987년에 한국문인협회 상주지부에서 창간한 기관지. 『상주문학(尙州文學)』은 한국문인협회 상주지부에서 발행하는 기관지이다. 시, 소설, 수필, 동시, 평론, 논문 등 회원들의 작품을 비롯하여 상주 출신의 문인들과 상주에 거주하는 문인들의 작품도 싣고 있다....
-
상주문화원에서 매년 발행하는 지역 향토지. 『상주문화(尙州文化)』는 상주문화원에서 발행하는 연간 향토지이다. 상주 지역의 역사와 문화유산을 조사·보고·연구한 내용을 담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지역 문화 예술 진흥 기관. 상주문화원(尙州文化院)은 1961년 설립된 이래 충효교실, 경북선비아카데미 등 문화 교육과 풍물대축제, 민요경창대회 등 지역 문화 축제를 개최하여 상주 문화 진흥에 힘쓰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초산동에서 논농사를 지을 때 부르던 민요. 상주민요(尙州民謠)는 경상북도 상주시 초산동을 배경으로 하여 협업이 필요한 영농 과정에서 형성된 농요(農謠)이다. 상주 초산민요라고도 한다. 노래의 구성은 농사의 전개와 어우러진 노동요답게 크게는 「모심기노래」, 「논매기노래」[「아시논매기노래」, 「두벌논매기노래」], 「타작노래」[「자르개타작노래」, 「도리깨타작노래」]의 세...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삼덕리에 있는 시립 박물관. 상주박물관(尙州博物館)은 경상북도 상주시의 역사와 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수집·보전하고, 상주 지역의 다양한 역사 문화 연구와 전시 활동을 하는 시립 박물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삼덕리에 있는 시립 박물관. 상주박물관(尙州博物館)은 경상북도 상주시의 역사와 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수집·보전하고, 상주 지역의 다양한 역사 문화 연구와 전시 활동을 하는 시립 박물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체계. 언어(言語)는 생각, 느낌 등을 나타내거나 전달하는 데에 쓰는 음성·문자 따위의 수단 또는 사회 관습적인 체계를 말한다. 경상북도 상주시의 언어는 ‘상주 지역어’라고 할 수 있다. 상주의 언어는 지리적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상주는 서쪽으로 길게 접하고 있는 소백산맥을 통하여 충청도와 접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낙동강의 상류와 접하...
-
경상북도 상주시 병성동과 헌신동 일대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상주 병풍산 고분군(尙州 屛風山 古墳群)은 경상북도 상주 지역 최대 규모의 고분군이다. 고분군을 축조한 세력은 사벌국의 중심 세력이거나 삼국 시대 상주 지역의 유력한 재지 세력으로 추정된다. 상주 병풍산 고분군은 1998년 4월 13일 경상북도 기념물 제12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
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당간지주. 상주 복룡동 당간지주(尙州 伏龍洞 幢竿支柱)는 통일 신라 시대에 제작되었다. 일반적으로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한다.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경우 ‘당’이라는 깃발을 다는데, 깃발을 매달아 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고, 양쪽에서 지탱하여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고 한다. 보통 당은 없고 드물게 당간이 있으나 대...
-
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도시 유적. 상주 복룡동 유적(尙州 伏龍洞 遺蹟)은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처음으로 발굴 조사된 대규모 취락 유적으로 청동기 시대 주거지와 통일 신라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는 대규모 생활 유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2003년 6월 16일부터 9월 17일까지 영남문화재연구원에서 상주 복룡 2지구 주택 건설 부지 내 상주 복룡동 256번...
-
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당간지주. 상주 복룡동 당간지주(尙州 伏龍洞 幢竿支柱)는 통일 신라 시대에 제작되었다. 일반적으로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한다.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경우 ‘당’이라는 깃발을 다는데, 깃발을 매달아 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고, 양쪽에서 지탱하여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고 한다. 보통 당은 없고 드물게 당간이 있으나 대...
-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에 있는 고려 시대 불상. 상주 복용동 석조여래좌상(尙州 伏龍洞 石造如來坐像)은 부분적으로 파손되고 결실되었지만 고려 시대에 조성된 불상이다. 1975년 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에서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 왕산 동쪽 기슭으로 옮겼다.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11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
-
경상북도 상주시 부원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상주 부원동 지석묘군(尙州 釜院洞 支石墓群)은 청동기 시대 유적으로 현재까지 고인돌 8기가 확인되었다. 이 중 1기의 상석에서 바위 구멍[성혈]이 관찰된다. 부원 초리미 고인돌이라고도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북장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상. 상주 북장사 극락보전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尙州 北長寺 極樂寶殿 木彫阿彌陀如來三尊坐像)은 1676년(숙종 2)에 조성된 목조 불상이다. 2017년 8월 31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북장사 명부전에 봉안된 조선 후기 목조 불상. 상주 북장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尙州 北長寺 冥府殿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一括)은 24구의 목조 불상으로 1689년(숙종 15)에 제작되었다. 2017년 8월 31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1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
-
경상북도 상주시 북장사 극락보전에 있었던 조선 후기 목조 경장. 상주 북장사 목조경장(尙州 北長寺 木造經欌) 한 쌍은 상주 북장사 극락보전에 봉안되어 있었으나, 2023년 현재 김천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위탁 관리하고 있다. 상주 북장사 목조경장은 2018년 12월 20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2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북장리 북장사에 있었던 조선 후기 전패. 상주 북장사 목조삼전패(尙州 北長寺 木造三殿牌)는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북장리 북장사 극락보전에 봉안되었으나 2023년 현재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위탁 보관되어 있다. 2018년 12월 20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2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
-
경상북도 상주시 외답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전식의 신도비. 상주 사서 전식 신도비(尙州 沙西 全湜 神道碑)는 1700년(숙종 26) 세운 조선 후기 문신 전식(全湜)[1563~1642]의 신도비이다. 전식은 본관이 옥천(沃川)이고, 자는 정원(淨遠), 호는 사서(沙西),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류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정경세(鄭經世)·이준(李埈)과 더불어 ‘상사삼로(商社三老...
-
경상북도 상주의 산간 지역에서 형성된 생업, 신앙 등의 문화적 양상. 경상북도 상주시는 영남과 충청의 경계를 이루는 경상북도 서북단에 자리 잡고 있으며, 백두대간에서 동쪽으로 낮아지는 동저서고(東低西高)의 지형을 보인다. 상주시의 서쪽·남쪽·북쪽은 속리산 천왕봉, 문장대 등 기암괴석의 비경이 어우러진 높은 산악지대이며, 동쪽은 낙동강 유역을 따라 발달한 기름진 평야가 펼쳐져 있어...
-
경상북도 상주시 성하동에 있는 경제 단체. 상주상공회의소(尙州商工會議所)는 전국 74개 상공회의소 중 하나로 2012년 설립되었다. 상공회의소는 제1차 산업을 제외한 모든 업종의 상공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제 단체이며, 1884년 설립된 한성상업회의소를 모태로 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 상락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상. 상주 상락사 대웅전 목조석가여래좌상(尙州 常樂寺 大雄殿 木造釋迦如來坐像)은 조선 후기에 조성되었으며, 머리 부분이 특별히 큰 목불상이다. 2008년 4월 28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 객사. 상주 상산관(尙州 商山館)은 고려 시대 및 조선 시대의 지방 관사인 객사이다. 객사는 기록상 고려 시대부터 존재하여 사신과 손님을 접대하고 왕정의 권위를 펴서 관아의 권위를 세우는 장소로 활용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왕을 상징하는 전패(殿牌)를 모시고 망궐례를 행하였다. 객사는 지방 관아의 중심에 주로 있으며, 건물은 전패...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에 있는 고려 전기 석탑. 상주 상오리 칠층석탑(尙州 上五里 七層石塔)은 속전(俗傳) 장각사지(長角寺址)에 자리하고 있는 고려 전기 7층 석탑이다. 장각사는 비천사(備天寺)라고도 불리는데, 현전하는 문헌 자료가 없어 연혁은 명확하지 않다. 절터에는 와편 및 치석재들이 남아 있다. 상주 상오리 칠층석탑은 1980년 9월 16일 보물 제683호로 지정되었고...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상판리에 있는 조선 전기 자기 가마터.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의하면 상주목(尙州牧)에는 상품(上品) 2개소, 중품(中品) 1개소의 자기소(磁器所)가 있다고 하였다. 전국 4개소의 상품 자기소 중 2개소가 상주에 있었으며, 이 중 중모현(中牟縣) 동쪽 이미외리(已未隈里)의 자기소는 현재의 모동면 상판리 일대에 있었던 것으로 비정된다. 지표 조사를...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상판리에 있는 조선 전기 자기 가마터.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의하면 상주목(尙州牧)에는 상품(上品) 2개소, 중품(中品) 1개소의 자기소(磁器所)가 있다고 하였다. 전국 4개소의 상품 자기소 중 2개소가 상주에 있었으며, 이 중 중모현(中牟縣) 동쪽 이미외리(已未隈里)의 자기소는 현재의 모동면 상판리 일대에 있었던 것으로 비정된다. 지표 조사를...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상판리에 있는 안양군과 완원군의 태실. 상주 상판리 태실(尙州 上板里 胎室)은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상판리에 있는 안양군(安陽君) 이항(李㤚)[1480~1505]과 완원군(完原君) 이수(李𢢝)[1480~1509]의 태실이다. 이항은 성종의 3남으로 친어머니는 귀인(貴人) 정씨(鄭氏)이고, 이수는 성종의 4남으로 친어머니는 숙의(淑儀) 홍씨(洪氏)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상현리에 있는 수령 약 500년의 소나무. 상주 상현리 반송(尙州 上縣里 盤松)은 상현리 마을 건너편 논 가운데 자라고 있다. 수령은 약 500년으로 추정된다. 상주 상현리 반송은 마을의 당산목(堂山木)이며, 마을 사람들이 매우 신성하게 여긴다. 마을 사람들은 정월 대보름이면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비는 동제(洞祭)를 지낸다. 상주 상현리 반송은 민속적·생물학...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상현리에 있는 수령 약 500년의 소나무. 상주 상현리 반송(尙州 上縣里 盤松)은 상현리 마을 건너편 논 가운데 자라고 있다. 수령은 약 500년으로 추정된다. 상주 상현리 반송은 마을의 당산목(堂山木)이며, 마을 사람들이 매우 신성하게 여긴다. 마을 사람들은 정월 대보름이면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비는 동제(洞祭)를 지낸다. 상주 상현리 반송은 민속적·생물학...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상현리에 있는 연산군의 원자 이황 태실. 태실은 왕실에서 자손을 출산하면 태를 봉안하는 곳이다. 크게 아기태실과 가봉태실(加封胎室)로 구분되는데, 가봉태실은 아기태실의 태주가 왕이 되면 석물을 추가 의장하고 가봉한 태실을 말한다. 화서면(化西面) 태봉산(胎封山)의 태실비(胎室碑)는 아기태실에 해당한다. 상현리 태실의 태주 ‘원자 금돌이 이황(元子金乭伊李𩔇)...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창립되어 활동한 사상운동 단체. 상주새모임은 1924년 결성된 사상 단체였으며, 상주에 거주하는 신진 청년과 해외 또는 국내에 유학하는 청년들인 박인옥(朴寅玉), 지경재(池璟宰), 박순(朴淳), 신영균(申永均), 김경인(金慶仁) 등이 조직하였다. 상주새모임 결성의 주역들은 다분히 사회주의적인 성향을 가진 청년들이었으며, 청년에 대한 사상적 계몽을...
-
경상북도 상주시 서곡동에 있는 고려 시대 절터. 상주 서곡동 사지(尙州 書谷洞 寺址)는 고려 시대 절터로 추정되며, 동해사 석조여래입상[경상북도 문화재자료]과 상주 도림사 소장 청동유물 일괄[경상북도 유형문화재], 그 외 범종 등이 출토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상주서문교회(尙州西門敎會)는 1950년대 설립 이래 상주 지역의 복음화를 위하여 활동하고 있는 개신교 교회이다. 어린이집 운영 등 상주 지역 어린이 교육에도 힘쓰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서보라는 보를 치면서 부르던 노래.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승되어 오는 「상주 서보가(尙州 西洑歌)」는 상주의 서보(西洑)를 배경으로 하여 보를 고치거나 보수를 하는 과정에서 자연발생적으로 나타난 노동요이다. 상주 고유의 민요로서 「채련요」와 함께 상주민요의 쌍벽을 이루며, 상주 지역 사람들이 가장 즐겨 부르는 노래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삼덕리 상주박물관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천인상. 상주 석조천인상(尙州 石造天人像)은 통일 신라 시대에 제작된 천인상으로 상주 석각천인상이라고도 한다. 1980년 6월 11일 보물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보물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삼덕리 상주박물관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천인상. 상주 석조천인상(尙州 石造天人像)은 통일 신라 시대에 제작된 천인상으로 상주 석각천인상이라고도 한다. 1980년 6월 11일 보물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보물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성동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상주 성동리 고분군(尙州 城洞里 古墳群)은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낙동면으로 넘어가는 성골고개 남쪽에 있다. 도로 개설로 인하여 발굴 조사가 두 차례 실시되었다. 삼국 시대 무덤과 고려 시대 무덤 및 건물지, 고려 시대 이후 무덤 등이 조사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와 화남면 동관리 사이 청계산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상주 성산산성(尙州 城山山城)은 ‘견훤성’, ‘대궐터’ 등으로 불리며,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와 화남면 동관리 사이 청계산에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대구지방국세청 산하 세무 행정 기관. 상주세무서(尙州稅務署)는 국세청의 대구지방국세청 산하 기관이다. 국세청은 산하에 6개의 지방국세청[서울·중부·대전·광주·대구·부산지방국세청]을 두고 있으며, 각 지방국세청은 다시 관내 각 시군 지역을 관할하는 125개 세무서와 19개 세무서 지서들을 운영한다. 대구지방국세청은 14개 세무서와 4개 지서를 산하에 두...
-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에 있는 지역 소방 행정 기관. 상주소방서(尙州消防署)는 경상북도 상주시 지역의 소방과 인명 구조 업무를 주로 담당하는 행정 기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 산하 지사. 한국농어촌공사의 지방 조직은 3개 원[농어촌연구원, 인재개발원, 농어촌자원개발원], 9개 지역본부[경기, 강원,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남, 경북, 제주], 93개 지사, 8개 사업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북지역본부에는 17개 지사가 소속되어 있다.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 상주지사는 17개 지사 중 한...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옥동서원에 있는 수령 약 443년의 배롱나무. 배롱나무는 여름이 한창인 7월부터 꽃을 피우기 시작하여 가을에 모두 질 때까지 약 100여 일 동안 꽃을 피워 백일홍(百日紅)이라고도 부르는데, 초본성 백일홍과 구별하기 위하여 목백일홍(木百日紅)이라고도 한다. 가지를 손으로 간질이면 가지 끝에 달린 잎과 꽃이 간지럼 타듯 흔들린다고 하여 간지럼나무라고도...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군. 상주 수봉리 지석묘군(尙州 壽峯里 支石墓群)은 청동기 시대 유적으로 1998년 지표 조사 때 49기가 확인되었으며, 군집 상태에 따라 6개의 지석묘군으로 구분된다. 수봉리 고인돌이라고도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에 있는 고택. 상주 수암종택(尙州 修巖宗宅)은 류성룡(柳成龍)[1542~1607]의 셋째 아들 수암(修巖) 류진(柳袗)[1582~1635]을 불천위로 모시는 종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에 있는 고택. 상주 수암종택(尙州 修巖宗宅)은 류성룡(柳成龍)[1542~1607]의 셋째 아들 수암(修巖) 류진(柳袗)[1582~1635]을 불천위로 모시는 종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실. 상주 승곡리 추원당(尙州 升谷里 追遠堂)은 조정(趙靖)[1555~1636]을 제향하는 불천위 사당과 재실이다. 조정의 본관은 풍양(豊壤)이고 호는 검간(黔澗)이며 아버지는 조광헌(趙光憲)이다. 학봉 김성일의 문인으로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창의하여 공을 세웠다. 선무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조정이 임진왜란 때 쓴 일기 등이 조정 임...
-
경상북도 상주시 도남동에 있는 노인 전문 공립 요양 병원. 상주시립요양병원(尙州市立療養病院)은 치매 환자를 비롯한 노인성 질환을 전문적으로 치료하고 간호하는 공공 의료 기관이다. 의료법인 삼백의료재단에서 상주시와 위탁 및 수탁 협약을 체결하여 운영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에 있는 기독교 교회. 상주시민교회(尙州市民敎會)는 상주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개신교 교회의 하나이다. 상주 지역의 여러 교회의 모교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에 있는 기독교 교회. 상주시민교회(尙州市民敎會)는 상주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개신교 교회의 하나이다. 상주 지역의 여러 교회의 모교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시민 의식을 고취하기 위하여 구성원의 긍지와 다짐을 담아 제정한 실천 규범. 상주시민헌장(尙州市民憲章)은 상주시에 거주하는 주민과 상주시 출신 사람들에게 지역의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하여 1999년 10월 11일에 「상주시민의날 조례」[조례 제308호]로 확정되었고, 2000년 10월 12일 공포되었다....
-
상주시가 자랑스러운 시민에게 상주 시민의 이름으로 수여하기 위하여 제정한 상. 상주시민상은 살기 좋은 상주 건설과 향토 문화 창달에 기여한 공적이 많은 자랑스러운 시민에게 상주 시민의 이름으로 수여하는 상이다. 1984년 이후 2022년까지 총 167명에게 상을 수여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역사·정치·행정·경제·문화예술·인물 등을 집대성한 향토지. 『상주시사(尙州市史)』는 상주시사편찬위원회에서 3년에 걸쳐 상주 지역의 역사·정치·행정·경제·문화예술·인물 등을 현대적 시각으로 조사 및 정리하여 2010년 간행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무양동에 있는 상주시민의 대의기관. 상주시의회(尙州市議會)는 지방자치제도에 의하여 경상북도 상주시의 주민 대표 기관이자 의결·입법 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상주 지역의 행정 업무를 총괄하는 행정 기관. 상주시청(尙州市廳)은 기초 지방 자치 단체인 경상북도 상주시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상주 지역의 행정 업무를 총괄하는 행정 기관. 상주시청(尙州市廳)은 기초 지방 자치 단체인 경상북도 상주시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신봉리에 있는 석조 불상. 상주 신봉리 석조보살입상(尙州 新鳳里 石造菩薩立像)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신봉리 국도변에 있다. 높이 230㎝ 가량의 화강암 1매에 머리에 보관을 쓴 보살상을 새겼다. 상주 신봉리 석조보살입상은 2006년에 보호각을 세워 보호하고 있다. 상주 신봉리 석조보살입상은 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26호로 지정되었고...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신상리에 있는 구석기 시대 유적. 상주 신상리 구석기 유적(尙州 新上里 舊石器 遺蹟)은 낙동-상주 간 국도 제25호의 확·포장 공사 구간에 포함되어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에 의하여 2001년 소규모로 발굴 조사되었다. 인접한 지역에 대하여 2003년 다시 시굴 조사가 실시되어 구석기 시대 문화층과 유물 등이 확인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신상리에 있는 구석기 시대 유적. 상주 신상리 구석기 유적(尙州 新上里 舊石器 遺蹟)은 낙동-상주 간 국도 제25호의 확·포장 공사 구간에 포함되어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에 의하여 2001년 소규모로 발굴 조사되었다. 인접한 지역에 대하여 2003년 다시 시굴 조사가 실시되어 구석기 시대 문화층과 유물 등이 확인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 신촌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효자각. 주형원 효자각(朱亭源 孝子閣)은 신안인(新安人) 주형원(朱亭源)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주형원은 어려서부터 효행이 지극하였고 아버지가 늙어 병을 얻자 10년 동안 극진히 간호하였다. 하지만 아버지가 죽자 묘소 옆에 움막을 짓고 3년간 묘살이를 하였다. 주형원 효자각은 상주 신촌리 주형원 효자비각이라고도 부른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일원에서 생산되는 농특산물. 상주시는 예로부터 농경 문화가 발달한 전형적인 농업 도시로서 쌀, 곶감[곶감의 분], 누에고치 등 흰 농산물 3가지가 많이 난다고 하여 ‘삼백(三白)의 고장’이라고 하였다. 상주시는 상주쌀을 비롯하여 상주곶감, 상주한우, 사과, 포도, 오이, 배, 복숭아, 벌꿀, 오미자 등을 지역의 대표 농특산물로 내세우고 있다. 그중 상주쌀은 경상북도...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구전으로 전승되고 재창조되어 온 전통민요. 「아리랑」은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라리~”라는 말이 들어 있거나 이러한 말의 변이를 후렴 또는 앞소리로 지니고 있는 민요이다. ‘아리랑’이라는 명칭도 여기에서 비롯하고 있다. 「아리랑」은 전국에 고루 분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해외에도 널리 퍼져 있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승되고 있는 「상주아리랑」은 상주시...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아천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각. 류거인 효자각(柳居仁 孝子閣)은 조선 시대 함창현 출신 류거인(柳居仁)의 효심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류거인은 과거 시험을 보기 위하여 집을 나섰는데, 그사이 어머니가 급한 병을 얻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에 눈물을 흘리고 있으니 호랑이가 나타나 류거인을 데려다주었다고 한다. 또 추운 겨울날 어머니가 잉어를 먹고 싶다고...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견직물을 생산하고자 누에를 치는 일. 양잠(養蠶)은 누에를 사육하여 누에고치를 생산하는 일을 일컫는다. 누에고치에서 나오는 실로 짜낸 명주는 오랫동안 최고급 직물로 여겨졌고, 상주는 조선 시대부터 전국 제일의 누에고치 및 명주의 생산지였다. 일제 강점기와 현대의 통계를 보더라도 누에고치의 생산량이 가장 많은 도는 늘 경상북도였으며 그중에서도 단연 상주 지역의 생...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고택. 상주 양진당(尙州 養眞堂)은 검간(黔澗) 조정(趙靖)[1555~1636]이 임진왜란 때 불탄 옛 선조의 집터에 제선(祭先), 목인(睦婣), 교양(敎養) 등의 유교 사상 실천과 이상향의 터전으로 삼기 위하여 1628년 건립한 종가이다. 당호는 조정이 평생 실천하고자 한 제선, 목인, 교양 등 본성을 성실히 지켜 자연의 도리에서...
-
경상북도 상주시 화개동에 있는 운수 회사. 상주여객자동차(尙州旅客自動車)는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시내버스를 운행하는 운송 업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에 있는 자율형 공립 여자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과 창의성을 지닌 미래 인재 육성’이며, 추구하는 인재상은 ‘진취적인 꿈을 키워 가는 미래 지향적인 사람, 더불어 살아가는 올바른 인성을 가진 사람. 주도적으로 미래 사회를 이끌 창의 융합적인 사람’이다. 교훈은 “열린 마음, 높은 이상, 힘찬 도전”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에 있는 자율형 공립 여자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과 창의성을 지닌 미래 인재 육성’이며, 추구하는 인재상은 ‘진취적인 꿈을 키워 가는 미래 지향적인 사람, 더불어 살아가는 올바른 인성을 가진 사람. 주도적으로 미래 사회를 이끌 창의 융합적인 사람’이다. 교훈은 “열린 마음, 높은 이상, 힘찬 도전”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었던 기독교 여성 청년 단체. 상주여자기독청년회(尙州女子基督靑年會)는 1921년 7월 27일 상주 서정동 예배당에서 창립된 기독교 여성 청년 단체이다. 창립 당시 대표 인물은 김혜경(金惠卿)·천선희(千善喜) 등이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합리적인 사고와 예의 바른 행동을 하는 사람[도덕인], 스스로 학습력을 길러 가는 사람[자주인], 과학적 창의력과 소질을 계발하는 사람[창조인], 세계화와 정보화 시대에 대비하는 사람[교양인], 기초 체력이 다져진 건강한 사람[건강인]’을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삼덕리 상주박물관에 있는 신장상. 상주 연원동 신장상(尙州 蓮院洞 神將像)은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 성넘들 중앙에 있던 작은 바위에 새겨진 선각상(線刻像)이며, 제작 시기는 명확하지 않다. 2023년 현재 상주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전시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와 경상북도 영천시를 연결하는 고속국도. 상주영천고속도로(尙州永川高速道路)는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과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을 연결하는 고속국도이다. 총길이는 94㎞이며, 노선 번호는 제301호이다. 상주시 남동부를 통과하며 상주시 내 연장은 7.12㎞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삼포리에 있는 골프장 및 호텔. 2008년 개장한 블루원상주골프리조트는 109만 910.09㎡[약 33만 평] 규모로 운동과 휴양을 위한 골프 코스를 갖추고 있다. 산악 지형에 조성된 코스지만 자연스러운 설계로 편안한 느낌이고, 코스 전체의 고저 차가 35m 이내로 평지에 가깝다. 산맥과 계곡의 흐름을 살려 호수와 능선과 숲이 자연스럽게 코스와 조화를 이루고...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고택. 상주 오작당(尙州 悟昨堂)은 구당(舊堂) 조목수(趙沐洙)[1736~1807]의 호를 따서 ‘구당’이라고도 한다. 상주 양진당을 건립한 문신 조정(趙靖)[1555~1636]의 둘째 아들의 후손들이 거주한 집이다. 문중 자료를 종합하면, 조정의 둘째 아들 조영원(趙榮遠)[1577~1640]이 혼인한 후 상주 양진당과 인접한 마을로...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고택. 상주 오작당(尙州 悟昨堂)은 구당(舊堂) 조목수(趙沐洙)[1736~1807]의 호를 따서 ‘구당’이라고도 한다. 상주 양진당을 건립한 문신 조정(趙靖)[1555~1636]의 둘째 아들의 후손들이 거주한 집이다. 문중 자료를 종합하면, 조정의 둘째 아들 조영원(趙榮遠)[1577~1640]이 혼인한 후 상주 양진당과 인접한 마을로...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상주 옥동서원(尙州 玉洞書院)은 방촌 황희(黃喜)[1363~1452], 사서 전식(全湜)[1563~1642], 축옹 황효헌(黃孝獻)[1491~1532], 반간 황뉴(黃紐)[1578~1626]를 배향한 서원이다. 황희는 본관이 장수(長水), 자는 구부(懼夫), 호는 방촌(厖村)이다. 고려가 멸망하자 은거하다가 태조의 적극적인 출...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사. 상주 용산정사(尙州 龍山精舍)는 상주 양진당 서쪽 산기슭에 있는데, 정사와 함께 연지를 두어 일명 ‘와연당(臥淵堂)’으로도 불린다. 풍양 조씨 검간공파 9대 주손인 위재(危齋) 조상덕(趙相悳)[1808~1870]의 「용산정사와용당기(龍山精舍臥龍堂記)」에 “9대조 검간의 양진당 뒤쪽 선조 묘 밑에 와룡당을 짓는다”라고 하여 선조...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사. 상주 용산정사(尙州 龍山精舍)는 상주 양진당 서쪽 산기슭에 있는데, 정사와 함께 연지를 두어 일명 ‘와연당(臥淵堂)’으로도 불린다. 풍양 조씨 검간공파 9대 주손인 위재(危齋) 조상덕(趙相悳)[1808~1870]의 「용산정사와용당기(龍山精舍臥龍堂記)」에 “9대조 검간의 양진당 뒤쪽 선조 묘 밑에 와룡당을 짓는다”라고 하여 선조...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었던 청년 운동 단체. 상주용혁단(尙州勇革團)은 1925년 4월 25일 경상북도 상주군 상주면 남정리 4에서 상주의 유지 청년들이 중심이 되어 창립한 청년 운동 단체였다. 창립 당시 임원은 단장 박동욱(朴東旭), 총간사 권명금(權明金), 간사 심성칠(沈成七), 이사 박정근(朴正根)·양경술(梁京述)·박동륜(朴東淪)·박상특(朴相特)·김무호(金武浩)·...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우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정경세의 종택. 상주 우복 종택(尙州 愚伏 宗宅)은 1750년대 조정으로부터 사패지[왕이 내려 준 논과 밭]가 내려오자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1563~1633]의 현손 정주원(鄭冑源)[1686~1756]이 건립한 종택이다. 『진주정씨세보』에 따르면, 정주원은 만년에 우산으로 들어와 엽동(燁洞)을 자호(自號)로 삼았다는 기...
-
경상북도 상주시 성하동에 있는 경북지방우정청 산하 우정 사업 기관. 상주우체국(尙州郵遞局)은 경북우정사업본부가 관할하고 있는 대구·경북 지역 시·군의 33개 우체국과 우편집중국 중 하나로 운영되고 있는 우정 사업 기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우하리에 있는 조선 전기 자기 가마터.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의하면 상주목(尙州牧)에는 상품(上品) 2개소, 중품(中品) 1개소의 자기소(磁器所)가 있다고 하였다. 이 중 공성현(功城縣) 서쪽 원동(院洞)의 중품 자기소는 현재의 공성면 우하리 일대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우하리 가마터는 지표 조사를 통하여 유적이 확인되었으며, 상주박물관에...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운평리 계곡에서 발견한 둥근 공 모양의 암석 구조를 가진 화강암. 상주 운평리 구상화강암(尙州 云坪里 球狀花崗岩)은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운평리 산17번지 일대에서 발견되었으며, 일반적인 화강암과 달리 특수한 작용에 의하여 동심원 모양의 구조를 이루며 형성된 화강암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운흥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절터. 상주 운흥리 사지(尙州 雲興里 寺址)에 대한 문헌 자료는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다만 현장에 산포하는 유물의 양상으로 보아 원래의 절은 통일 신라 시대 말기에서 고려 초 사이에 운영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사찰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 후기 유물도 일부 확인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인봉동에 있는 조선 시대 자치 기구의 건물. 상주향청(尙州鄕廳)은 조선 시대 상주 지역에 파견된 지방관을 보좌하던 자치 기구의 건물이다. 상주향청은 유향소라고도 부른다. 조선 시대 향청은 풍기 단속, 향리 감찰, 인재 추천, 조세 및 부역 자문 등의 임무를 띠었다. 상주향청은 1997년 9월 29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3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서문동·서성동·성하동 일대에 있었던 조선 시대 읍성 터. 상주읍성지(尙州邑城址)는 조선 시대의 읍성 터로 상주읍성터라고도 한다.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서문동·서성동·성하동 일대에 있으며 2차례 발굴 조사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운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종택. 상주 의암고택(尙州 依巖古宅)은 풍양 조씨 검간종파 극암(克庵) 조식(趙栻)[1774~1837]의 종택이며, 안채, 사랑채, 도장채, 뒤주채, 사당, 대문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임당 연안 이씨[1749~1826]가 34세 때 남편 조형연[1750~1783]과 사별하고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큰아들 조식과 함께 1800년경...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인창리에 있는 고려 시대 절터. 상주 인창리 사지(尙州 仁昌里 寺址)는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인창리 탑골마을 동쪽 서산 산자락에 있는 고려 시대 절터이다. 근처에 상주 인창리 석탑이 남아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임진왜란 전적지. 상주 임란북천전적지(尙州 壬亂北川戰跡地)는 임진왜란[1592] 때 조선 중앙군과 왜병의 선봉 주력 부대가 최초로 싸운 장소로 800여 명이 순국한 곳이다. 1990년부터 정화 사업을 실시하여 상산관, 태평루 등의 문화재도 옮겨 역사의 산 교육장으로 조성하였다. 북천전투에서 전사한 윤섬(尹暹), 박호(朴箎), 이경류(李慶流) 3충신과...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 임란북천전적지 내에 있는 조선 후기 비석군. 상주 임란북천전적지(尙州 壬亂北川戰跡地) 내에는 조선 시대와 최근의 비 등 총 20기가 산재하고 있다. 조선 시대 비는 사의비 1기, 경상도관찰사 비 2기, 상주목사 비 3기, 척화비 1기 등 총 7기이다. 건립 연대는 1612년(순조 13)부터 1890년(고종 27)까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도남동에 있는 자전거 박물관. 상주 자전거박물관(尙州 自轉車博物館)은 자전거의 역사와 문화를 전시·설명하고, 다양한 종류의 자전거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전국 유일의 시립 자전거 박물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도남동에 있는 자전거 박물관. 상주 자전거박물관(尙州 自轉車博物館)은 자전거의 역사와 문화를 전시·설명하고, 다양한 종류의 자전거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전국 유일의 시립 자전거 박물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장곡리에 있는 삼국 시대 토기 가마터. 상주 장곡리 요지(尙州 長谷里 窯址)는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장곡리 544번지에 있다. 낙동강대교를 건너 낙동분기점을 지나 오른쪽을 보면 고속도로와 능선이 접하는 지점 하부에 요지가 있었다. 이 곳은 삼봉산으로부터 동쪽으로 이어진 사면 말단부인데, 서쪽으로는 산이 인접하여 연료를 조달하기 용이하며, 남동쪽으로 약 30...
-
1919년 3월 23일 경상북도 상주시 성하동 상주 장터에서 일어난 독립운동.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민족 대표 29명은 서울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식을 거행하였다. 이어 2시 30분경 파고다공원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면서 3·1 운동이 시작되었다. 경상북도 상주에서는 3월 23일 상주 장터에서 한암회(韓岩回)의 주도로 첫 만세운동이 전개되었고,...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공 의료 기관. 상주적십자병원(尙州赤十字病院)은 경상북도 서북부 지역 주민들의 건강을 도모하는 한편, 인도주의에 바탕을 둔 적십자 정신을 실천하기 위하여 1955년 대구적십자병원 상주분원으로 처음 설립되었다. 상주시 최초의 종합 병원이자 지역 거점 공공 병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1999년부터 열리는 전국 민요 경창 대회. 상주전국민요경창대회(尙州全國民謠京唱大會)는 경상북도 상주시와 상주문화원이 주최하여 개최하는 전국 민요 경창 대회이다. 1999년 3월 27일 제1회 상주전국민요경창대회가 개최되었다. 상주전국민요경창대회는 잊혀져 가는 전통문화를 되살리고, 민요의 대중화와 상주민요를 육성 및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동리 전식 종가에 소장되어 있는 전식의 조복 및 공예품 유물. 상주 전식조복 및 공예품 일괄(尙州 全湜朝服 및 工藝品 一括)은 조선 시대 문신 사서(沙西) 전식(全湜)[1563~1642]의 조복과 공예품 일괄을 가리키는 유물이며, 2021년 12월 20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조복은 홍의와 훈상, 대대 및 패옥, 아홀 등 5종이 남아 있고, 공...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동리 전식 종가에 소장되어 있는 고문서. 상주 전식종가 소장 고문서(尙州 全湜宗家 所藏 古文書)는 조선 시대 문신인 사서(沙西) 전식(全湜)[1563~1642]의 종가에 소장되어 있는 고문서이다. 1596년부터 1697년까지 발급된 유지·교지·녹패 등 69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1년 12월 20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동리 전식 종가에 소장되어 있는 전식의 초상과 초본 및 영정 보관함. 조선 시대 문신 사서(沙西) 전식(全湜)[1563~1642]의 초상과 초본 및 영정 보관함으로, 경상북도 상주시 지역에서 수백 년간 세거하여 온 전식 종가에 소장되어 있는 전세(傳世) 유물이다. 초상 1점이 1987년 충청북도 옥천의 목담서원 영당에 이안되어 1992년 10월 23일 충청...
-
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과 무양동에 있는 개항기 제방. 상주 조공제(尙州 趙公堤)는 상주목사(尙州牧使) 조병로(趙秉老)[1816~1886]가 재임하던 시기인 1871~1873년 사이에 쌓은 제방이다. 2002년 7월 15일 경상북도 기념물 제14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기념물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과 무양동에 있는 개항기 제방. 상주 조공제(尙州 趙公堤)는 상주목사(尙州牧使) 조병로(趙秉老)[1816~1886]가 재임하던 시기인 1871~1873년 사이에 쌓은 제방이다. 2002년 7월 15일 경상북도 기념물 제14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기념물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무양동에 있는 버스 터미널. 상주종합버스터미널은 경상북도 상주시 무양동의 국도 제3호 도로변에 있다.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구미시, 경상북도 안동시 등뿐만 아니라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충청도 및 서울특별시, 경기도·인천광역시 방면까지 버스가 운행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중벌리에 있는 수령 약 315년의 물푸레나무. 물푸레나무는 잔가지의 껍질을 벗겨 물에 담가 두면 물이 푸른색으로 변하여 ‘물을 푸르게 하는 나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쉬청나무, 떡물푸레나무라고도 하며 줄기와 가지에 흰색 얼룩무늬가 있어 백침목(白梣木), 어린 가지가 초록색이라고 하여 청피목(靑皮木)이라고도 한다. 한자어로는 수정목(水精木), 수청목(...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 상주중앙시장(尙州中央市場)은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상주시에는 상주중앙시장을 포함하여 남성시장, 공성시장, 상주풍물시장, 함창시장, 화령시장, 은척시장 등 7개의 전통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 상주중앙시장(尙州中央市場)은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상주시에는 상주중앙시장을 포함하여 남성시장, 공성시장, 상주풍물시장, 함창시장, 화령시장, 은척시장 등 7개의 전통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별처럼 빛나는 고운 품성을 지닌 어린이, 새롭게 사고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꿈과 재능을 키우는 행복한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별처럼 빛나는 고운 품성을 지닌 어린이, 새롭게 사고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꿈과 재능을 키우는 행복한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으뜸 생활 실천으로 바른 삶을 추구하는 민주 시민을 육성한다, 충실한 교육 과정 운영을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신장한다, 꿈과 재능을 펼칠 수 있도록 창의력과 사고력을 계발시킨다, 교단 지원의 효율화로 교육력을 제고한다’이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조선 후기 경상도 상주 지역에서 실시하였던 향약 관련 문적. 『상주 증손향약(尙州 增損鄕約)』은 1634년(인조 12) 경상도 상주목에서 처음 실시하였고, 1692년(숙종 18) 관련 규정을 엮어 『상주 증손향약』을 편찬하였다. 1986년 12월 11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1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 용화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불상.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尙州 曾村里 石造如來立像)은 통일 신라 시대에 제작된 석조 불상으로서,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 용화사(龍華寺) 약사전(藥師殿)에 봉안되어 있다. 본래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이 있는 곳은 ‘탑동’으로 알려져 있는데, 구전에 따르면 676년(문무왕 16)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창건한...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 용화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불상.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좌상(尙州 曾村里 石造如來坐像)은 통일 신라 시대에 제작되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8교구 직지사의 말사인 용화사(龍華寺)의 약사전(藥師殿)에 봉안되어 있다. 원래 석탑이 있던 용화사 동북쪽에 있었다고 전하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용화사는 676년(문무왕 16)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창...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체계. 언어(言語)는 생각, 느낌 등을 나타내거나 전달하는 데에 쓰는 음성·문자 따위의 수단 또는 사회 관습적인 체계를 말한다. 경상북도 상주시의 언어는 ‘상주 지역어’라고 할 수 있다. 상주의 언어는 지리적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상주는 서쪽으로 길게 접하고 있는 소백산맥을 통하여 충청도와 접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낙동강의 상류와 접하...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삼괴리에 있는 천주교 신앙고백비. 상주 천주교 신앙고백비(尙州 天主敎 信仰告白碑)는 김삼록(金三祿)[1843~1935] 도미니코가 문중이 살고 있던 석단산 아래에 자신의 신앙 고백을 바위에 새긴 것이다. 1984년 교회 사적(史蹟)으로 고증되었다. 2009년 12월 28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6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삼괴리에 있는 천주교 신앙고백비. 상주 천주교 신앙고백비(尙州 天主敎 信仰告白碑)는 김삼록(金三祿)[1843~1935] 도미니코가 문중이 살고 있던 석단산 아래에 자신의 신앙 고백을 바위에 새긴 것이다. 1984년 교회 사적(史蹟)으로 고증되었다. 2009년 12월 28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6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
경상북도 상주시 죽전동에 있는 금속판 제품 제조업체. 상주철공소(尙州鐵工所)는 경상북도가 선정한 향토뿌리기업이다. 경상북도는 2013년 전국 최초로 「경상북도 향토뿌리기업 및 산업유산 지원 조례」[도조례 제3476호, 2013년 11월 11일]를 제정하여, 30년 이상 사업을 운영하고 전통을 유지하여 온 사업체를 ‘향토뿌리기업’으로 선정하여 오고 있다. 2022년 12월 현재 상주...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운평리에 있는 조선 후기 누정. 상주 청간정(尙州 聽澗亭)은 가곡(柯谷) 조예(趙秇)[1608~1661]가 1650년경 건립하여 자연을 벗삼아 학문을 닦던 곳이다. 풍양 조씨 집성촌인 운평리 운곡마을에 있는 연당형 누정이자 호군공파 검간공 자손들의 학문 장소이다. ‘청간’은 ‘골짜기에 흐르는 물소리를 듣고 또한 마음 내면의 소리를 듣는다’는 뜻으로 누정의 건...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에 있는 청계사 내 부도 군락. 상주 청계사 부도군(尙州 淸溪寺 浮屠群)은 경상북도 상주시의 전통 사찰인 청계사(淸溪寺) 경내에 있는 부도 2기로 조선 시대에 조성되었다. 청계사는 통일 신라 말기 국사(國師) 도선(道詵)이 창건하였다고 추정되는 사찰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상주에 있던 상주 청년 운동의 통일적 지도 기관. 상주청년동맹(尙州靑年同盟)은 1927년 10월 5일 상주청년회관에서 창립되었다. 상주청년동맹은 경상북도 상주를 기반으로 청년 운동을 전개하고, 신간회 상주지회 활동에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대표적 청년 운동 조직. 상주청년연맹(尙州靑年聯盟)은 1925년 10월 상주청년회를 중심으로 함창청년회, 옥산청년회 등이 참여한 가운데 창립되었다. 창립 후 상주노동청년회와 연봉청년회가 새로이 상주청년연맹에 가입하였다. 이로써 상주청년연맹은 1920년대 중반 경상북도 상주군의 대표적 청년 단체로 상주를 비롯한 경상북도 나아가 전국 차원에서 청...
-
1920년대 경상북도 상주에서 결성된 청년 운동 단체. 상주청년회(尙州靑年會)는 1920년 4월에 상주청년구락부의 명칭을 바꾸어 창립된 청년 운동 단체이다. 창립 당시 회원은 300여 명 정도였다. 상주청년회의 전신인 상주청년구락부는 1919년 10월 26일에 유홍우(柳弘佑)·강상희(姜相熙)·석응목(石應穆) 외 수십 명의 청년이 발기하여 설립된 단체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마공리·청하리·하초리 일대에 있던 청동기 시대부터 근대까지의 복합 유적. 상주 청리 유적(尙州 靑里 遺蹟)은 한국문화재보호재단에 의하여 1996년·1997년·1999년 3차례 발굴 조사가 실시되었다. 발굴 조사는 북쪽에 있는 능선을 A·F·H지구, 중앙부의 밀매동산 부분을 B지구, 남쪽에 있는 능선 지대를 C·D·E·I지구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분묘 등 총...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상리에 있는 조선 후기 열녀각. 광주 김씨 열녀각(廣州 金氏 烈女閣)은 고성인 이의봉(李鳳儀)의 부인 광주 김씨의 정열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광주 김씨는 이의봉과 혼인하여 두속마을(杜俗마을)로 출가하였다. 시부모를 모시는 데 효성을 다하고, 남편을 섬기는 데 지극정성을 다하였다. 남편이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나자 남편 옆을 떠나지 않고 식음을 전폐하...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상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각. 유유발 효자각(劉有發 孝子閣)은 조선 시대 상주의 속현인 청리현(靑理縣) 출신 유유발(劉有發)[1688~1756]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유유발의 효행은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와 『상산지(商山誌)』 등에 기록되어 있다. 유유발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계모의 박대에도 효도로 감동시켰고, 아버지가 사망하자...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능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성람의 묘갈. 상주 청죽 성람 묘갈(尙州 聽竹 成灠 墓碣)은 조선 후기 문신 성람(成灠)[1556~1620]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묘갈이다. 성람은 본관이 창녕, 호는 청죽이며, 효릉참봉·공조좌랑·무주현감 등을 역임한 학자이다. 조선 시대 양명학의 사상적 체계를 완성한 남언경에게 수업하여 학문으로 이름을 떨쳤고, 이이와 성혼을...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능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성람의 묘갈. 상주 청죽 성람 묘갈(尙州 聽竹 成灠 墓碣)은 조선 후기 문신 성람(成灠)[1556~1620]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묘갈이다. 성람은 본관이 창녕, 호는 청죽이며, 효릉참봉·공조좌랑·무주현감 등을 역임한 학자이다. 조선 시대 양명학의 사상적 체계를 완성한 남언경에게 수업하여 학문으로 이름을 떨쳤고, 이이와 성혼을...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선돌. 상주 청하리 입석(尙州 靑下里 立石)은 청동기 시대 의례 및 이정표 기능을 위하여 세운 돌이다. 상주 청하리 선돌이라고도 부른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선돌. 상주 청하리 입석(尙州 靑下里 立石)은 청동기 시대 의례 및 이정표 기능을 위하여 세운 돌이다. 상주 청하리 선돌이라고도 부른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건강인], 스스로 공부하는 실력 있는 어린이[자주인],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창조인], 더불어 생활하는 예절 바른 어린이[예절인]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밝고 바르고 부지런한 어린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건강인], 스스로 공부하는 실력 있는 어린이[자주인],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창조인], 더불어 생활하는 예절 바른 어린이[예절인]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밝고 바르고 부지런한 어린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초오리에 있는 고려 시대 절터. 상주 초오리 사지(尙州 草梧里 寺址)는 고려 시대 절터이다.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초오리 상초마을 북서편 완만한 경사면에 상주 초오리 사지가 있는데, ‘부처골’, ‘불당골’, ‘절터’ 등으로 부른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양범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사. 상주 추원재(尙州 追遠齋)는 진주 강씨 찬성공파 종중 재사로 양범리 추원재라고도 한다. 선현의 묘소를 수호하고 후손들의 회합을 도모하는 장소로 활용하고 있다. 상주 추원재는 2010년 3월 11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64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양범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사. 상주 추원재(尙州 追遠齋)는 진주 강씨 찬성공파 종중 재사로 양범리 추원재라고도 한다. 선현의 묘소를 수호하고 후손들의 회합을 도모하는 장소로 활용하고 있다. 상주 추원재는 2010년 3월 11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64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
경상북도 상주시 서문동에 있는 축산 농가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한 협동조합. 상주축산업협동조합(尙州畜産業協同組合)은 상주 지역 축산 농가들이 중심이 되어 설립된 협동조합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문동에 있는 축산 농가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한 협동조합. 상주축산업협동조합(尙州畜産業協同組合)은 상주 지역 축산 농가들이 중심이 되어 설립된 협동조합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봉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고택. 상주 취은고택(尙州 醉隱古宅)은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봉산리 골가실마을에서 세거하여 온 여산 송씨(礪山 宋氏) 정가공파(正嘉公派)의 고택이다. 500m 정도의 토석 담장 안에 6동의 건물이 들어서 있다. 상주 취은고택은 송덕부(宋德溥)[1603~1674]가 골가실에 정착하면서, 처음 건립되었다. 2011년 1월 3일 경상북도...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봉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고택. 상주 취은고택(尙州 醉隱古宅)은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봉산리 골가실마을에서 세거하여 온 여산 송씨(礪山 宋氏) 정가공파(正嘉公派)의 고택이다. 500m 정도의 토석 담장 안에 6동의 건물이 들어서 있다. 상주 취은고택은 송덕부(宋德溥)[1603~1674]가 골가실에 정착하면서, 처음 건립되었다. 2011년 1월 3일 경상북도...
-
경상북도 상주시 인봉동에 있는 침례교 교회. 상주침례교회(尙州浸禮敎會)는 1952년 1월 20일 상주 지역의 침례교 복음화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인봉동에 있는 침례교 교회. 상주침례교회(尙州浸禮敎會)는 1952년 1월 20일 상주 지역의 침례교 복음화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이안리에 있는 조선 전기 정자. 상주 쾌재정(尙州 快哉亭)은 조선 전기 문장가이자 중종반정으로 분의정국공신 4등에 녹훈된 인천 채씨 채수(蔡壽)[1449~1515]가 1509년 건립한 누정이다. ‘쾌재정’은 ‘마음이 통하는 집’이라는 뜻이다. 채수는 유교 이념으로 설명할 수 없는 영혼과 사후 세계의 문제를 끌어와 당대의 정치와 사회 및 유교 이념의 한계를 비...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이안리에 있는 조선 전기 정자. 상주 쾌재정(尙州 快哉亭)은 조선 전기 문장가이자 중종반정으로 분의정국공신 4등에 녹훈된 인천 채씨 채수(蔡壽)[1449~1515]가 1509년 건립한 누정이다. ‘쾌재정’은 ‘마음이 통하는 집’이라는 뜻이다. 채수는 유교 이념으로 설명할 수 없는 영혼과 사후 세계의 문제를 끌어와 당대의 정치와 사회 및 유교 이념의 한계를 비...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일제 강점기 무렵까지 행하여졌던 대규모의 민속놀이. 상주 큰줄당기기는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일제 강점기 이전까지 이루어진 큰 규모의 고을 줄다리기이다. 당기는 줄의 규모가 크고 참여하는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에 ‘큰줄당기기’라 불렸고, 마을 단위로 열리는 비교적 작은 규모의 줄다리기는 ‘애기줄당기기’라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상주 큰줄당기기를 한 것이 19...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신오리와 구미시 옥성면 산촌리를 연결하는 중부내륙고속도로의 터널. 상주터널은 중부내륙고속도로를 타고 상주시로 들어오는 입구에 있어 붙은 이름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퇴강리에 있는 천주교 안동교구 소속 성당. 상주 퇴강성당(尙州 退江聖堂)은 1903년 물미공소로 시작된 상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교당이다. ‘성모마리아’를 주보성인으로 모시고 있으며, 한국순교복자수녀회가 활동하고 있다. 1950년대 지어진 고딕풍의 건물은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높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판곡리에 있는 수령 약 500년 된 소나무. 상주 낙화담 소나무는 조선 시대 초에 조성된 연못인 낙화담 한가운데 인공 섬에서 자라는 소나무이다. 당산목(堂山木)인 상주 낙화담 소나무는 주민들에게는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목이자 마을의 소중한 상징물로 여겨지고 있다. 수령 약 500여 년으로 추정되는 노거수(老巨樹)인 상주 낙화담 소나무의 생육 상태는 양호하다....
-
경상북도 상주시 냉림동, 낙상동, 중덕동, 화산동, 계산동과 사벌국면 일대에 형성된 평야. 상주평야(尙州平野)는 고대부터 현재까지 상주 사람들의 터전이며, 병성천이 북천과 동천을 합류하는 지역에 형성된 비옥한 평야 지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평지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마애불상. 상주 평지리 마애불좌상(尙州 平地里 磨崖佛坐像)은 3단 폭포 상단에 양각된 불상으로 원형이 크게 변형되지 않은 상태의 통일 신라 시대 불상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평천리에 있는 수령 118년의 아까시나무. 상주 평천리 아까시나무는 공성면 평천리에 있는 옥산초등학교 교정 한쪽 끝에 자리하고 있다. 상주 평천리 아까시나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아까시나무 가운데 하나이다. 2005년 3월 14일 보호수[지정 번호 05-08-18]로 지정되었으며 정자목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 상주풍물시장(尙州風物市場)은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상주시에는 상주풍물시장을 포함하여 상주중앙시장, 남성시장, 공성시장, 함창시장, 화령시장, 은척시장 등 7개의 전통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 상주풍물시장(尙州風物市場)은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상주시에는 상주풍물시장을 포함하여 상주중앙시장, 남성시장, 공성시장, 함창시장, 화령시장, 은척시장 등 7개의 전통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일원에서 펼쳐지는 자전거 관련 문화 생활상. 자전거는 20세기 초반 상주 지역에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상주 시민들에게 자전거는 단순한 교통수단에 머무르지 않고, 삶의 일부분으로 자리 잡게 되면서 상주를 대표하는 브랜드로 평판을 쌓아 가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일원에서 사육·생산되는 한국 고유의 소 품종, 또는 쇠고기. 상주시는 상주한우(尙州韓牛), 상주곶감, 상주쌀, 사과, 포도, 오이, 배, 복숭아, 벌꿀, 오미자 등을 지역의 대표 농특산물로 내세우고 있다. 상주한우는 면역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아연, 철분, 비타민 B군, 셀라늄 등이 풍부하고, 풍미를 좌우하는 올레인산이 풍부하여 소비자들의 각광을 받고 있으며 202...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신흥리에 있는 3종의 고서. 상주 함창사마소 유물(尙州 咸昌司馬所 遺物)은 함창읍 신흥리의 함창 사마록 봉안소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함녕사마록(咸寧司馬錄)』, 『함녕사마록계안(咸寧司馬錄稧案)』, 『함녕사마록(咸寧司馬錄)』 등 3종의 고서이다. 2013년 8월 19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1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교촌리에 있는 조선 시대 관학 기구. 상주 함창향교(尙州 咸昌鄕校)는 조선 시대 경상도 함창현(咸昌縣)에 건립된 공립 교육 기관이다. 2013년 4월 8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6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교촌리에 있는 조선 시대 관학 기구. 상주 함창향교(尙州 咸昌鄕校)는 조선 시대 경상도 함창현(咸昌縣)에 건립된 공립 교육 기관이다. 2013년 4월 8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6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에 있는 고려 시대·조선 시대 교육 기관. 상주향교(尙州鄕校)는 고려 시대 건립한 이래 상주 지역의 공립 교육 기관으로 교육과 제향의 기능을 담당하였다. 또한 유향소(留鄕所)·서원(書院)과 더불어 조선 시대 상주 지역 향론을 주도하는 기구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 상주향교에 있는 조선 후기 건물. 상주향교(尙州鄕校)는 고려 시대 건립한 이래 전통 시대 상주목(尙州牧)의 공립 교육 기관으로 교육과 제향의 기능을 담당하였다. 대성전(大成殿) 및 동무·서무는 향교에서 공자의 위패를 봉안하고 향사를 지내는 곳이다. 조선 시대에는 읍격에 따라 향교의 격도 달랐는데, 상주향교의 경우 대설위(大設位)로 성균관(成均館)의 문묘(文廟...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삼덕리 상주박물관에 있는 상주향교 소장 조선 후기 전적 일괄. 상주향교 소장 전적(尙州鄕校 所藏 典籍)은 조선 시대 경상도 상주의 관학(官學) 기구인 상주향교에 전하여 오던 전적류이다. 필사본 23종 24책이 전하여 왔으며, 2023년 현재 상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인봉동에 있는 조선 시대 자치 기구의 건물. 상주향청(尙州鄕廳)은 조선 시대 상주 지역에 파견된 지방관을 보좌하던 자치 기구의 건물이다. 상주향청은 유향소라고도 부른다. 조선 시대 향청은 풍기 단속, 향리 감찰, 인재 추천, 조세 및 부역 자문 등의 임무를 띠었다. 상주향청은 1997년 9월 29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3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
경상북도 상주시 헌신동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상주 헌신동 고분군(尙州 軒新洞 古墳群)은 삼국 시대 고분군으로 경상북도 상주시 헌신동에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헌신동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상주 헌신동 고분군(尙州 軒新洞 古墳群)은 삼국 시대 고분군으로 경상북도 상주시 헌신동에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헌신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 선돌. 상주 헌신동 입석(尙州 軒新洞 立石)은 청동기 시대 의례 및 이정표 기능을 위하여 세운 것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헌신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 선돌. 상주 헌신동 입석(尙州 軒新洞 立石)은 청동기 시대 의례 및 이정표 기능을 위하여 세운 것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화달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상주 화달리 고분군(尙州 化達里 古墳群)은 전사벌왕릉 주변에 형성된 삼국 시대 고분군이다. 최소 100기 이상의 고분이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화달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석탑.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尙州 化達里 三層石塔)은 통일 신라 시대에 제작된 삼층석탑이다.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이 있는 곳에는 본래 5기의 석탑이 있었는데 1606년 도남서원 창건 당시에 4기가 헐리고 현재 1기만 남았다고 한다. 5기의 석탑이 있었다는 것은 사찰의 규모가 대단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은...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황령리 황령사에 있었던 조선 후기 불화. 상주 황령사 아미타후불탱(尙州 黃嶺寺 阿彌陀後佛幀)은 1786년(정조 10) 제작된 불화이다. 황령사에 안치되어 있었으나, 2023년 현재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불화를 봉안하였던 황령사(黃嶺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다. 상주 황령사 아미타후불탱은 2002년 7월 15일 경상북...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효곡리에 있는 개항기 효자각. 최만재 효자각(崔晩載 孝子閣)은 1884년(고종 21) 정려된 전주 최씨 최만재의 효를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최만재는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 어머니가 병석에 눕자 약을 구하는 한편 매일 목욕재계하고 기도를 올려 병환을 낫게 하였다. 또 병에 걸린 어머니가 한겨울에 참외가 먹고 싶다고 하자, 꿈에 나타난 노인이 가리킨...
-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상주 흥암서원(尙州 興巖書院)은 송준길(宋浚吉)[1606~1672]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1702년(숙종 28) 처음 건립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상주 흥암서원(尙州 興巖書院)은 송준길(宋浚吉)[1606~1672]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1702년(숙종 28) 처음 건립하였다....
-
삼국 시대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조직. 상주(上州)는 삼국 시대 신라가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에 치소(治所)를 두고 설치한 광역의 지방 행정 조직이다. 하나의 작은 주(州)로서 세 개의 영현을 거느리는 동시에 지금의 경상북도 서북부 일대를 관할하는 광역의 주치(州治)로 이중적인 기능을 수행하였다....
-
삼국 시대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조직. 상주(上州)는 삼국 시대 신라가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에 치소(治所)를 두고 설치한 광역의 지방 행정 조직이다. 하나의 작은 주(州)로서 세 개의 영현을 거느리는 동시에 지금의 경상북도 서북부 일대를 관할하는 광역의 주치(州治)로 이중적인 기능을 수행하였다....
-
통일 신라 시대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상주(尙州)[남북국(南北國)]는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의 지명으로서, 757년부터 776년 무렵까지 사용되었다....
-
삼국 시대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조직. 상주(上州)는 삼국 시대 신라가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에 치소(治所)를 두고 설치한 광역의 지방 행정 조직이다. 하나의 작은 주(州)로서 세 개의 영현을 거느리는 동시에 지금의 경상북도 서북부 일대를 관할하는 광역의 주치(州治)로 이중적인 기능을 수행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상주시 가족센터는 「건강가정지원법」 제35조 및 「다문화가족지원법」 제12조에 의하여 설립된 사회 복지 시설이다. 상주시에 거주하는 모든 유형의 가족들에게 보편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상주시 가족센터는 「건강가정지원법」 제35조 및 「다문화가족지원법」 제12조에 의하여 설립된 사회 복지 시설이다. 상주시에 거주하는 모든 유형의 가족들에게 보편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상주고등학교(尙州高等學校)의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 민주 시민, 자기 주도 학습, 배움 중심 수업, 창의 융합 사고, 심미 역량 강화’이며, 추구하는 학생상은 ‘인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 융합 인재’이다. 교훈은 “옳게 배우고 참되게 살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상주고등학교(尙州高等學校)의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 민주 시민, 자기 주도 학습, 배움 중심 수업, 창의 융합 사고, 심미 역량 강화’이며, 추구하는 학생상은 ‘인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 융합 인재’이다. 교훈은 “옳게 배우고 참되게 살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상주고등학교(尙州高等學校)의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 민주 시민, 자기 주도 학습, 배움 중심 수업, 창의 융합 사고, 심미 역량 강화’이며, 추구하는 학생상은 ‘인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 융합 인재’이다. 교훈은 “옳게 배우고 참되게 살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상주고등학교(尙州高等學校)의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 민주 시민, 자기 주도 학습, 배움 중심 수업, 창의 융합 사고, 심미 역량 강화’이며, 추구하는 학생상은 ‘인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 융합 인재’이다. 교훈은 “옳게 배우고 참되게 살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양동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건학 이념은 ‘자유로운 사고·표현·행동이 곧 진리·아름다움·정의로 이어질 수 있는 참된 인간을 도야·배출한다’이다. 교육 목표는 ‘산업 사회에 필요한 유능한 기능인 양성’이며, 교훈은 “참된 사람, 봉사하는 사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양동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건학 이념은 ‘자유로운 사고·표현·행동이 곧 진리·아름다움·정의로 이어질 수 있는 참된 인간을 도야·배출한다’이다. 교육 목표는 ‘산업 사회에 필요한 유능한 기능인 양성’이며, 교훈은 “참된 사람, 봉사하는 사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양동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건학 이념은 ‘자유로운 사고·표현·행동이 곧 진리·아름다움·정의로 이어질 수 있는 참된 인간을 도야·배출한다’이다. 교육 목표는 ‘산업 사회에 필요한 유능한 기능인 양성’이며, 교훈은 “참된 사람, 봉사하는 사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양동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건학 이념은 ‘자유로운 사고·표현·행동이 곧 진리·아름다움·정의로 이어질 수 있는 참된 인간을 도야·배출한다’이다. 교육 목표는 ‘산업 사회에 필요한 유능한 기능인 양성’이며, 교훈은 “참된 사람, 봉사하는 사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양동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건학 이념은 ‘자유로운 사고·표현·행동이 곧 진리·아름다움·정의로 이어질 수 있는 참된 인간을 도야·배출한다’이다. 교육 목표는 ‘산업 사회에 필요한 유능한 기능인 양성’이며, 교훈은 “참된 사람, 봉사하는 사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양동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건학 이념은 ‘자유로운 사고·표현·행동이 곧 진리·아름다움·정의로 이어질 수 있는 참된 인간을 도야·배출한다’이다. 교육 목표는 ‘산업 사회에 필요한 유능한 기능인 양성’이며, 교훈은 “참된 사람, 봉사하는 사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에 있는 생활 체육 시설. 상주시국민체육센터는 상주 시민들의 건강한 여가 생활과 건강 증진을 위한 공공 생활 체육 시설이다. 상주 시민들에게 수영이나 헬스 등 생활 체육 활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강습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에 있는 생활 체육 시설. 상주시국민체육센터는 상주 시민들의 건강한 여가 생활과 건강 증진을 위한 공공 생활 체육 시설이다. 상주 시민들에게 수영이나 헬스 등 생활 체육 활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강습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1895년부터 1995년까지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상주(尙州)라는 명칭은 757년(신라 경덕왕 16) 사벌주에서 개명하여 처음 불렸다. 상주는 524년(신라 법흥왕 11) 상주(上州)가 설치되고 군주가 파견되었을 당시의 명칭을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776년(신라 혜공왕 12) 다시 사벌주로 불렸으나 940년(고려 태조 23) 다시 상주로 개칭되었다. 이후...
-
광복 후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었던 우익 단체. 상주군 국민회(尙州郡 國民會)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상주지부(大韓獨立促成國民會 尙州支部)를 지칭한다. 대한독립촉성국민회는 1946년 2월 8일 이승만 중심의 독립촉성중앙협의회와 김구 중심의 탁치반대국민총동원위원회가 연합하여 결성한 우익 단체이다. 대한독립촉성국민회는 전국적으로 각 도와 군 단위의 지부 조직 설립을 추진하였고, 그 결과...
-
경상북도 상주시 초산동에 있는 농업 기술 개발 및 연구 기관. 상주시농업기술센터는 상주시청의 직속 기관 4개소[보건소·농업기술센터·평생학습원·상주박물관] 중 한 곳이다. 상주 지역 농민들에게 농업 기술과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초산동에 있는 농업 기술 개발 및 연구 기관. 상주시농업기술센터는 상주시청의 직속 기관 4개소[보건소·농업기술센터·평생학습원·상주박물관] 중 한 곳이다. 상주 지역 농민들에게 농업 기술과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초산동에 있는 농업 기술 개발 및 연구 기관. 상주시농업기술센터는 상주시청의 직속 기관 4개소[보건소·농업기술센터·평생학습원·상주박물관] 중 한 곳이다. 상주 지역 농민들에게 농업 기술과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초산동에 있는 농업 기술 개발 및 연구 기관. 상주시농업기술센터는 상주시청의 직속 기관 4개소[보건소·농업기술센터·평생학습원·상주박물관] 중 한 곳이다. 상주 지역 농민들에게 농업 기술과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1899년 경상북도 상주군에서 편찬한 관찬 읍지. 『상주군읍지(尙州郡邑誌)』는 대한제국 내부(內部)의 읍지수상령(邑誌修上令)에 따라 경상북도 상주군에서 1899년(광무 3)에 편찬한 관찬 읍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교육 행정 기관. 경상북도상주교육지원청(慶尙北道尙州敎育支援廳)은 1952년 개청한 이래 상주 지역의 교육 사무 일체를 총괄·관리·감독하는 교육 행정 기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무양동에 있는 보건 의료 행정 기관. 상주시보건소(尙州市保健所)는 상주 지역의 감염병 예방 및 진료, 공중 보건 향상을 위한 공공 의료 기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양동에 있는 새마을운동중앙회 소속의 비영리 사회단체. 상주시새마을회는 새마을운동중앙회 산하 국민 운동 단체이다. 새마을 운동의 근면·자조·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상주시 내의 생활 환경을 개선하고 소득을 증대시키는 한편, 국민 정신을 계발하여 잘 사는 마을, 건전한 사회, 부유한 나라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양동에 있는 새마을운동중앙회 소속의 비영리 사회단체. 상주시새마을회는 새마을운동중앙회 산하 국민 운동 단체이다. 새마을 운동의 근면·자조·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상주시 내의 생활 환경을 개선하고 소득을 증대시키는 한편, 국민 정신을 계발하여 잘 사는 마을, 건전한 사회, 부유한 나라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문동에 있는 축산 농가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한 협동조합. 상주축산업협동조합(尙州畜産業協同組合)은 상주 지역 축산 농가들이 중심이 되어 설립된 협동조합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문동에 있는 축산 농가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한 협동조합. 상주축산업협동조합(尙州畜産業協同組合)은 상주 지역 축산 농가들이 중심이 되어 설립된 협동조합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기 정체성[self-identity]을 이루는 교육, 다양한 문화 예술을 경험하고 아름다운 감성을 가꾸는 교육, 민주적이고 협력적인 태도를 가꾸는 교육, 평화롭고 생태적인 태도를 가꾸는 교육, 창의적인 사고와 지속적인 노력으로 지적 성장을 이루는 교육’이고, 교훈은 “정직·성실·협동”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기 정체성[self-identity]을 이루는 교육, 다양한 문화 예술을 경험하고 아름다운 감성을 가꾸는 교육, 민주적이고 협력적인 태도를 가꾸는 교육, 평화롭고 생태적인 태도를 가꾸는 교육, 창의적인 사고와 지속적인 노력으로 지적 성장을 이루는 교육’이고, 교훈은 “정직·성실·협동”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기 정체성[self-identity]을 이루는 교육, 다양한 문화 예술을 경험하고 아름다운 감성을 가꾸는 교육, 민주적이고 협력적인 태도를 가꾸는 교육, 평화롭고 생태적인 태도를 가꾸는 교육, 창의적인 사고와 지속적인 노력으로 지적 성장을 이루는 교육’이고, 교훈은 “정직·성실·협동”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기 정체성[self-identity]을 이루는 교육, 다양한 문화 예술을 경험하고 아름다운 감성을 가꾸는 교육, 민주적이고 협력적인 태도를 가꾸는 교육, 평화롭고 생태적인 태도를 가꾸는 교육, 창의적인 사고와 지속적인 노력으로 지적 성장을 이루는 교육’이고, 교훈은 “정직·성실·협동”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냉림동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상주시종합사회복지관(尙州市綜合社會福祉館)은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복지재단에서 상주시로부터 수탁받아 운영하고 있는 사회 복지 시설이다. 자비·소통·혁신이라는 핵심 가치를 바탕으로 행복을 함께하는 지역 복지를 비전으로 삼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무양동에 있는 노인 복지 시설. 상주시노인종합복지관(尙州市老人綜合福祉館)은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경상북도 상주 지역 노인들의 복지 증진을 위하여 설립된 복지 시설이다. ‘존중과 소통으로 함께하는 행복 1번지’라는 슬로건 아래 자비·존중·실천을 운영 철학으로 하고 있다. 상주시와 위탁 및 수탁 협약을 체결한 직지사복지재단이 운영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무양동에 있는 노인 복지 시설. 상주시노인종합복지관(尙州市老人綜合福祉館)은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경상북도 상주 지역 노인들의 복지 증진을 위하여 설립된 복지 시설이다. ‘존중과 소통으로 함께하는 행복 1번지’라는 슬로건 아래 자비·존중·실천을 운영 철학으로 하고 있다. 상주시와 위탁 및 수탁 협약을 체결한 직지사복지재단이 운영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지역 농업인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협동조합. 상주농업협동조합(尙州農業協同組合)의 설립 목적은 조합원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그리고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과 자금, 자재 및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 실익을 증진토록 하는 것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지역 농업인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협동조합. 상주농업협동조합(尙州農業協同組合)의 설립 목적은 조합원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그리고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과 자금, 자재 및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 실익을 증진토록 하는 것이다....
-
18세기 중엽 제작된 경상도 상주목 지도. 『경상도지도 진주·상주도회(慶尙道地圖 晉州·尙州都會)』의 일부로 18세기 중엽에 제작되었다. 『상주도회(尙州都會)』에는 경상도 상주목과 경상도 함창현을 비롯한 12개 고을이 수록되어 있다.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헌신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소질을 발견하여 진로를 개척하는 자주적인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고 상상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마음의 문을 열어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다양한 경험을 융합적으로 활용하고 탐구하는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밝고 씩씩한 어린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헌신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소질을 발견하여 진로를 개척하는 자주적인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고 상상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마음의 문을 열어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다양한 경험을 융합적으로 활용하고 탐구하는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밝고 씩씩한 어린이”이다....
-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상주목(尙州牧)은 1018년(고려 현종 9)부터 1895년(조선 고종 32)까지 불렸던 상주의 행정 구역이다. 상주목은 행정과 교통, 군사의 중심지였다....
-
1549년부터 1995년까지 경상북도 상주 지역 지방관의 명단을 기록한 문헌. 『상주목선생안(尙州牧先生案)』은 1549년(명종 4) 상주목사(尙州牧使)로 도임한 전팽령(全彭齡)[1480~1560]부터 1995년 상주시장으로 당선된 김근수(金瑾洙)[1934~]에 이르기까지 상주목사·상주군수·상주시장 등 역대 상주의 지방관 260여 명의 명단을 기록한 자료이다. 상주에 부임한 목민관들...
-
조선 후기 편찬된 상주목의 관찬 읍지 7종. 『상주목읍지(尙州牧邑誌)』는 조선 후기 상주목에서 편찬한 관찬 읍지로 대체로 내지 제목[권수제]이 ‘상주진상주목’이나 ‘상주목읍지’이다. 그러나 표지 제목을 ‘상산읍지’, ‘상산지’, ‘상주읍지’ 등으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대체로 ‘상주진상주목’은 18세기 후반인 1760년, 1775년, 1786년에 편찬한 읍지이거나 이런 읍지를 베낀...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인들이 결성한 문예 단체. 한국문인협회 상주지부(韓國文人協會 尙州支部)는 한국문인협회의 상주지부이다. 상주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인들의 활동을 지원한다. 문예지 『상주문학』을 간행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공 문화 시설. 상주시 문화회관(尙州市 文化會館)은 경상북도 상주시가 운영하는 문화 예술 행사 시설이다. 상주 시민의 문화 예술 향유를 도모하고자 대공연장·소공연장·전시관을 운영하는 등 상주의 대표적인 문화 예술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공 문화 시설. 상주시 문화회관(尙州市 文化會館)은 경상북도 상주시가 운영하는 문화 예술 행사 시설이다. 상주 시민의 문화 예술 향유를 도모하고자 대공연장·소공연장·전시관을 운영하는 등 상주의 대표적인 문화 예술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도남동에 있는 캠핑장. 상주보오토캠핑장은 경천대 주변 송악공원에 있다. 상주보오토캠핑장 앞으로는 낙동강이 흐르고 있고, 일대에 상주보수상레저센터가 있어 캠핑과 수상 체험 등을 다채롭게 즐길 수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무양동에 있는 보건 의료 행정 기관. 상주시보건소(尙州市保健所)는 상주 지역의 감염병 예방 및 진료, 공중 보건 향상을 위한 공공 의료 기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문동에 있는 천주교 안동교구 소속 성당. 서문동성당(西門洞聖堂)은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중심 성당으로 여러 성당을 분가시킨 모성당이다. 주보성인은 ‘성 요셉’이며, 툿찡 포교 베네딕도 수녀회 대구 수녀원이 활동하고 있다. 관리 공소는 세 곳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문동에 있는 천주교 안동교구 소속 성당. 서문동성당(西門洞聖堂)은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중심 성당으로 여러 성당을 분가시킨 모성당이다. 주보성인은 ‘성 요셉’이며, 툿찡 포교 베네딕도 수녀회 대구 수녀원이 활동하고 있다. 관리 공소는 세 곳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백화산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금돌성(今突城)은 삼국 시대에는 ‘금돌성’, 고려 시대에는 ‘상주산성(尙州山城)’으로 불렸고, 조선 시대에는 ‘백화산성(白華山城)’·‘보문성(普文城)’ 등으로 불렸다. 금돌성은 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3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
경상북도 상주시 성하동에 있는 경제 단체. 상주상공회의소(尙州商工會議所)는 전국 74개 상공회의소 중 하나로 2012년 설립되었다. 상공회의소는 제1차 산업을 제외한 모든 업종의 상공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제 단체이며, 1884년 설립된 한성상업회의소를 모태로 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양동에 있는 새마을운동중앙회 소속의 비영리 사회단체. 상주시새마을회는 새마을운동중앙회 산하 국민 운동 단체이다. 새마을 운동의 근면·자조·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상주시 내의 생활 환경을 개선하고 소득을 증대시키는 한편, 국민 정신을 계발하여 잘 사는 마을, 건전한 사회, 부유한 나라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양동에 있는 새마을운동중앙회 소속의 비영리 사회단체. 상주시새마을회는 새마을운동중앙회 산하 국민 운동 단체이다. 새마을 운동의 근면·자조·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상주시 내의 생활 환경을 개선하고 소득을 증대시키는 한편, 국민 정신을 계발하여 잘 사는 마을, 건전한 사회, 부유한 나라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성하동에 있는 경상북도경찰청 소속의 경찰서. 상주경찰서(尙州警察署))는 경상북도 상주 시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 보호, 범죄 예방·진압 및 수사, 치안 정보 수집, 교통 단속, 기타 공공의 안녕과 질서 유지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선거 관리 기관. 상주시선거관리위원회(尙州市選擧管理委員會)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시·도 선거관리위원회 중 하나인 경상북도선거관리위원회가 담당하고 있는 24개 시·군·구선거관리위원회에 속한다. 선거관리위원회는 「헌법」 제114조의 규정에 따라 1963년에 설치되었으며, 국회·행정부·법원·헌법재판소와 병행하는 독립된 합의제 헌법 기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서곡동(書谷洞)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서당리(書堂里)의 ‘서(書)’ 자와 구도곡(求道谷)의 ‘곡(谷)’ 자를 따서 ‘서곡리(書谷里)’라 한 데서 비롯하였다....
-
경상북도의 북서부에 있는 시. 상주시는 경상북도 서북쪽의 내륙에 자리한 도농 복합형 도시이며, 동쪽으로 경상북도 구미시와 의성군, 서쪽으로 충청북도 보은군, 옥천군, 괴산군, 남쪽으로 경상북도 김천시와 충청북도 영동군, 북쪽으로 경상북도 문경시와 예천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7°47′~128°21′, 북위 36°14′~36°39′에 위치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상주시 가족센터는 「건강가정지원법」 제35조 및 「다문화가족지원법」 제12조에 의하여 설립된 사회 복지 시설이다. 상주시에 거주하는 모든 유형의 가족들에게 보편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상주시 가족센터는 「건강가정지원법」 제35조 및 「다문화가족지원법」 제12조에 의하여 설립된 사회 복지 시설이다. 상주시에 거주하는 모든 유형의 가족들에게 보편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공 도서관. 경상북도교육청 상주도서관(慶尙北道敎育廳 尙州圖書館)은 경상북도교육청이 운영하는 상주시의 공공 도서관이다. 상주 시민들에게 20만여 권의 장서, 전자 신문을 포함한 각종 디지털 콘텐츠, 다양한 평생학습 강좌를 제공하는 지역 사회 종합 정보·평생학습 센터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공 도서관. 경상북도교육청 상주도서관(慶尙北道敎育廳 尙州圖書館)은 경상북도교육청이 운영하는 상주시의 공공 도서관이다. 상주 시민들에게 20만여 권의 장서, 전자 신문을 포함한 각종 디지털 콘텐츠, 다양한 평생학습 강좌를 제공하는 지역 사회 종합 정보·평생학습 센터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에 있는 생활 체육 시설. 상주시국민체육센터는 상주 시민들의 건강한 여가 생활과 건강 증진을 위한 공공 생활 체육 시설이다. 상주 시민들에게 수영이나 헬스 등 생활 체육 활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강습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에 있는 생활 체육 시설. 상주시국민체육센터는 상주 시민들의 건강한 여가 생활과 건강 증진을 위한 공공 생활 체육 시설이다. 상주 시민들에게 수영이나 헬스 등 생활 체육 활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강습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초산동에 있는 농업 기술 개발 및 연구 기관. 상주시농업기술센터는 상주시청의 직속 기관 4개소[보건소·농업기술센터·평생학습원·상주박물관] 중 한 곳이다. 상주 지역 농민들에게 농업 기술과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초산동에 있는 농업 기술 개발 및 연구 기관. 상주시농업기술센터는 상주시청의 직속 기관 4개소[보건소·농업기술센터·평생학습원·상주박물관] 중 한 곳이다. 상주 지역 농민들에게 농업 기술과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공 문화 시설. 상주시 문화회관(尙州市 文化會館)은 경상북도 상주시가 운영하는 문화 예술 행사 시설이다. 상주 시민의 문화 예술 향유를 도모하고자 대공연장·소공연장·전시관을 운영하는 등 상주의 대표적인 문화 예술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공 문화 시설. 상주시 문화회관(尙州市 文化會館)은 경상북도 상주시가 운영하는 문화 예술 행사 시설이다. 상주 시민의 문화 예술 향유를 도모하고자 대공연장·소공연장·전시관을 운영하는 등 상주의 대표적인 문화 예술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우하리에 있는 자연 생태 학습 교육장. 상주시 백두대간 생태교육장(尙州市 白頭大幹 生態敎育場)은 산림청과 경상북도 상주시가 함께 백두대간에 설립하였으며, 국내 유일한 유·소년 숲 생태 전문 교육 기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무양동에 있는 보건 의료 행정 기관. 상주시보건소(尙州市保健所)는 상주 지역의 감염병 예방 및 진료, 공중 보건 향상을 위한 공공 의료 기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양동에 있는 새마을운동중앙회 소속의 비영리 사회단체. 상주시새마을회는 새마을운동중앙회 산하 국민 운동 단체이다. 새마을 운동의 근면·자조·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상주시 내의 생활 환경을 개선하고 소득을 증대시키는 한편, 국민 정신을 계발하여 잘 사는 마을, 건전한 사회, 부유한 나라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양동에 있는 새마을운동중앙회 소속의 비영리 사회단체. 상주시새마을회는 새마을운동중앙회 산하 국민 운동 단체이다. 새마을 운동의 근면·자조·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상주시 내의 생활 환경을 개선하고 소득을 증대시키는 한편, 국민 정신을 계발하여 잘 사는 마을, 건전한 사회, 부유한 나라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에 있는 생활 체육 근린공원. 상주시생활체육공원(尙州市生活體育公園)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웰빙 문화가 확산하면서 직접 즐기는 스포츠 동호인이 크게 증가하는 흐름에 맞춰 시민들의 건강 증진과 더불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체육 시설의 저변 확대를 도모하기 위하여 조성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선거 관리 기관. 상주시선거관리위원회(尙州市選擧管理委員會)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시·도 선거관리위원회 중 하나인 경상북도선거관리위원회가 담당하고 있는 24개 시·군·구선거관리위원회에 속한다. 선거관리위원회는 「헌법」 제114조의 규정에 따라 1963년에 설치되었으며, 국회·행정부·법원·헌법재판소와 병행하는 독립된 합의제 헌법 기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여성 사회단체 협의회. 상주시 여성단체협의회(尙州市 女性團體協議會)는 상주시 여성의 사회 참여 기회 확대와 잠재적인 능력의 조직화를 통하여 건전한 사회적 기반을 조성하기 위하여 설립된 여성 단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장학 재단. 상주시장학회(尙州市奬學會)는 상주시에서 설립한 재단법인으로, 상주 지역 인재 육성을 위한 장학 사업을 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냉림동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상주시종합사회복지관(尙州市綜合社會福祉館)은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복지재단에서 상주시로부터 수탁받아 운영하고 있는 사회 복지 시설이다. 자비·소통·혁신이라는 핵심 가치를 바탕으로 행복을 함께하는 지역 복지를 비전으로 삼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계산동에 있는 체육 단체. 상주시체육회(尙州市體育會)는 경상북도체육회의 규약에 따라 경상북도체육회의 지부인 ‘상주시체육회’로 불린다. 조직 및 운영에 관한 사항에 따라 관내 각종 가맹 단체를 두고 체육 행사를 관장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계산동에 있는 체육 단체. 상주시체육회(尙州市體育會)는 경상북도체육회의 규약에 따라 경상북도체육회의 지부인 ‘상주시체육회’로 불린다. 조직 및 운영에 관한 사항에 따라 관내 각종 가맹 단체를 두고 체육 행사를 관장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상주시 가족센터는 「건강가정지원법」 제35조 및 「다문화가족지원법」 제12조에 의하여 설립된 사회 복지 시설이다. 상주시에 거주하는 모든 유형의 가족들에게 보편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상주시 가족센터는 「건강가정지원법」 제35조 및 「다문화가족지원법」 제12조에 의하여 설립된 사회 복지 시설이다. 상주시에 거주하는 모든 유형의 가족들에게 보편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교육 행정 기관. 경상북도상주교육지원청(慶尙北道尙州敎育支援廳)은 1952년 개청한 이래 상주 지역의 교육 사무 일체를 총괄·관리·감독하는 교육 행정 기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에 있는 생활 체육 근린공원. 상주시생활체육공원(尙州市生活體育公園)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웰빙 문화가 확산하면서 직접 즐기는 스포츠 동호인이 크게 증가하는 흐름에 맞춰 시민들의 건강 증진과 더불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체육 시설의 저변 확대를 도모하기 위하여 조성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냉림동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상주시종합사회복지관(尙州市綜合社會福祉館)은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복지재단에서 상주시로부터 수탁받아 운영하고 있는 사회 복지 시설이다. 자비·소통·혁신이라는 핵심 가치를 바탕으로 행복을 함께하는 지역 복지를 비전으로 삼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무양동에 있는 노인 복지 시설. 상주시노인종합복지관(尙州市老人綜合福祉館)은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경상북도 상주 지역 노인들의 복지 증진을 위하여 설립된 복지 시설이다. ‘존중과 소통으로 함께하는 행복 1번지’라는 슬로건 아래 자비·존중·실천을 운영 철학으로 하고 있다. 상주시와 위탁 및 수탁 협약을 체결한 직지사복지재단이 운영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무양동에 있는 노인 복지 시설. 상주시노인종합복지관(尙州市老人綜合福祉館)은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경상북도 상주 지역 노인들의 복지 증진을 위하여 설립된 복지 시설이다. ‘존중과 소통으로 함께하는 행복 1번지’라는 슬로건 아래 자비·존중·실천을 운영 철학으로 하고 있다. 상주시와 위탁 및 수탁 협약을 체결한 직지사복지재단이 운영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상주시 가족센터는 「건강가정지원법」 제35조 및 「다문화가족지원법」 제12조에 의하여 설립된 사회 복지 시설이다. 상주시에 거주하는 모든 유형의 가족들에게 보편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상주시 가족센터는 「건강가정지원법」 제35조 및 「다문화가족지원법」 제12조에 의하여 설립된 사회 복지 시설이다. 상주시에 거주하는 모든 유형의 가족들에게 보편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도남동에 있는 노인 전문 공립 요양 병원. 상주시립요양병원(尙州市立療養病院)은 치매 환자를 비롯한 노인성 질환을 전문적으로 치료하고 간호하는 공공 의료 기관이다. 의료법인 삼백의료재단에서 상주시와 위탁 및 수탁 협약을 체결하여 운영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도남동에 있는 노인 전문 공립 요양 병원. 상주시립요양병원(尙州市立療養病院)은 치매 환자를 비롯한 노인성 질환을 전문적으로 치료하고 간호하는 공공 의료 기관이다. 의료법인 삼백의료재단에서 상주시와 위탁 및 수탁 협약을 체결하여 운영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선거 관리 기관. 상주시선거관리위원회(尙州市選擧管理委員會)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시·도 선거관리위원회 중 하나인 경상북도선거관리위원회가 담당하고 있는 24개 시·군·구선거관리위원회에 속한다. 선거관리위원회는 「헌법」 제114조의 규정에 따라 1963년에 설치되었으며, 국회·행정부·법원·헌법재판소와 병행하는 독립된 합의제 헌법 기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 상주중앙시장(尙州中央市場)은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상주시에는 상주중앙시장을 포함하여 남성시장, 공성시장, 상주풍물시장, 함창시장, 화령시장, 은척시장 등 7개의 전통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 상주중앙시장(尙州中央市場)은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상주시에는 상주중앙시장을 포함하여 남성시장, 공성시장, 상주풍물시장, 함창시장, 화령시장, 은척시장 등 7개의 전통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개최하는 자전거 대회. 상주시장배 전국산악자전거대회(尙州市長背 全國山岳自轉車大會)는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개최하는 시민 축제 중 가장 성대한 행사이다. 1999년 10월 제1회 전국자전거축제로 시작되었으며, 매년 10월 열리는 대회에 전국의 산악자전거 선수와 동호인이 대거 참가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개최하는 자전거 대회. 상주시장배 전국산악자전거대회(尙州市長背 全國山岳自轉車大會)는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개최하는 시민 축제 중 가장 성대한 행사이다. 1999년 10월 제1회 전국자전거축제로 시작되었으며, 매년 10월 열리는 대회에 전국의 산악자전거 선수와 동호인이 대거 참가하고 있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신간회 산하 지회. 신간회 상주지회(新幹會 尙州支會)는 경상북도의 20개 신간회 지회 중 하나로 상주 지역의 민족 독립운동을 위하여 설립된 단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의 북천시민공원 안에 있는 문화 시설. 북천시민공원 야외음악당(北川市民公園 野外音樂堂)은 경상북도 상주시가 문화 예술 공연을 목적으로 운영하는 문화 시설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의 북천시민공원 안에 있는 문화 시설. 북천시민공원 야외음악당(北川市民公園 野外音樂堂)은 경상북도 상주시가 문화 예술 공연을 목적으로 운영하는 문화 시설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개동에 있는 운수 회사. 상주여객자동차(尙州旅客自動車)는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시내버스를 운행하는 운송 업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에 있는 자율형 공립 여자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과 창의성을 지닌 미래 인재 육성’이며, 추구하는 인재상은 ‘진취적인 꿈을 키워 가는 미래 지향적인 사람, 더불어 살아가는 올바른 인성을 가진 사람. 주도적으로 미래 사회를 이끌 창의 융합적인 사람’이다. 교훈은 “열린 마음, 높은 이상, 힘찬 도전”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에 있는 자율형 공립 여자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과 창의성을 지닌 미래 인재 육성’이며, 추구하는 인재상은 ‘진취적인 꿈을 키워 가는 미래 지향적인 사람, 더불어 살아가는 올바른 인성을 가진 사람. 주도적으로 미래 사회를 이끌 창의 융합적인 사람’이다. 교훈은 “열린 마음, 높은 이상, 힘찬 도전”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에 있는 자율형 공립 여자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과 창의성을 지닌 미래 인재 육성’이며, 추구하는 인재상은 ‘진취적인 꿈을 키워 가는 미래 지향적인 사람, 더불어 살아가는 올바른 인성을 가진 사람. 주도적으로 미래 사회를 이끌 창의 융합적인 사람’이다. 교훈은 “열린 마음, 높은 이상, 힘찬 도전”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에 있는 자율형 공립 여자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과 창의성을 지닌 미래 인재 육성’이며, 추구하는 인재상은 ‘진취적인 꿈을 키워 가는 미래 지향적인 사람, 더불어 살아가는 올바른 인성을 가진 사람. 주도적으로 미래 사회를 이끌 창의 융합적인 사람’이다. 교훈은 “열린 마음, 높은 이상, 힘찬 도전”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여성 사회단체 협의회. 상주시 여성단체협의회(尙州市 女性團體協議會)는 상주시 여성의 사회 참여 기회 확대와 잠재적인 능력의 조직화를 통하여 건전한 사회적 기반을 조성하기 위하여 설립된 여성 단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합리적인 사고와 예의 바른 행동을 하는 사람[도덕인], 스스로 학습력을 길러 가는 사람[자주인], 과학적 창의력과 소질을 계발하는 사람[창조인], 세계화와 정보화 시대에 대비하는 사람[교양인], 기초 체력이 다져진 건강한 사람[건강인]’을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합리적인 사고와 예의 바른 행동을 하는 사람[도덕인], 스스로 학습력을 길러 가는 사람[자주인], 과학적 창의력과 소질을 계발하는 사람[창조인], 세계화와 정보화 시대에 대비하는 사람[교양인], 기초 체력이 다져진 건강한 사람[건강인]’을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성동동에 있는 경북선 철도역. 상주역(尙州驛)은 경북선 철도 건설 사업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 1924년 10월 1일 김천-상주 구간이 개통됨에 따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성동동에 있는 경북선 철도역. 상주역(尙州驛)은 경북선 철도 건설 사업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 1924년 10월 1일 김천-상주 구간이 개통됨에 따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도남동에 있는 노인 전문 공립 요양 병원. 상주시립요양병원(尙州市立療養病院)은 치매 환자를 비롯한 노인성 질환을 전문적으로 치료하고 간호하는 공공 의료 기관이다. 의료법인 삼백의료재단에서 상주시와 위탁 및 수탁 협약을 체결하여 운영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성하동에 있는 경북지방우정청 산하 우정 사업 기관. 상주우체국(尙州郵遞局)은 경북우정사업본부가 관할하고 있는 대구·경북 지역 시·군의 33개 우체국과 우편집중국 중 하나로 운영되고 있는 우정 사업 기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성하동에 있는 경북지방우정청 산하 우정 사업 기관. 상주우체국(尙州郵遞局)은 경북우정사업본부가 관할하고 있는 대구·경북 지역 시·군의 33개 우체국과 우편집중국 중 하나로 운영되고 있는 우정 사업 기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무양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상주교회(尙州敎會)는 19세기 초 처음 개척된 이래 상주 지역 개신교 신앙의 중심지 역할을 하여 온 유서 깊은 기독교 교회이다. 일찍이 1937년 신봉교회를 분립한 이래 상산교회, 지사교회, 병성교회, 외답교회, 서문교회를 분립한 상주 지역 여러 교회의 모교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서문동·서성동·성하동 일대에 있었던 조선 시대 읍성 터. 상주읍성지(尙州邑城址)는 조선 시대의 읍성 터로 상주읍성터라고도 한다.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서문동·서성동·성하동 일대에 있으며 2차례 발굴 조사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마을을 비롯한 공동체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고자 행하는 집단 신앙 행위.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전하여 오는 공동체 신앙의 대표적 형태로는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고자 지내는 마을 단위의 제사, 곧 동제를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솟대 신앙, 기우제 등이 상주 지역 공동체 신앙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
1894년 경상도 상주에서 벌어졌던 동학농민군과 동학농민군을 진압하려던 보수집강소 및 상주소모영에 관한 이야기와 그 현장. 경상북도 상주 지역은 이른 시기부터 동학이 뿌리를 내렸다. 동학 창교 초기인 1862년부터 활동이 확인되며, 1863년에는 상주 유생들이 동학 배척을 위한 통문을 돌리기도 하였다. 그런 가운데 1894년 6월 일본군이 불법적으로 경복궁을 침범한 이른바 갑오변란...
-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조선 시대 전통 가옥.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는 전통 가옥으로는 외서면에 있는 상주 우복 종택과 병암고택, 낙동면에 있는 상주 의암고택, 상주 양진당 등이 있다. 상주 지역의 고택은 대부분 조선 중기 이후 건축되었으며, 그중 상주 우복 종택은 상주 지역의 역사적으로도 유명한 인물을 기리는 고택이기에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상주 양진당은 다양한 특...
-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조선 시대 전통 가옥.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는 전통 가옥으로는 외서면에 있는 상주 우복 종택과 병암고택, 낙동면에 있는 상주 의암고택, 상주 양진당 등이 있다. 상주 지역의 고택은 대부분 조선 중기 이후 건축되었으며, 그중 상주 우복 종택은 상주 지역의 역사적으로도 유명한 인물을 기리는 고택이기에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상주 양진당은 다양한 특...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현조를 중심으로 뿌리내리고 적장자로 계승되어 온 집안인 종가와 현조를 모시는 제례 이야기. 상주시는 유교 문화가 꽃핀 경상북도에서도 종가의 문화가 두드러지게 남아 있는 지역이다. 불천위(不遷位) 제사를 모시는 상주의 종가는 16곳으로, 이들 종가는 유교 문화와 선비 정신, 종손과 종부의 삶이 녹아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에 있는 지역 소방 행정 기관. 상주소방서(尙州消防署)는 경상북도 상주시 지역의 소방과 인명 구조 업무를 주로 담당하는 행정 기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무양동에 있는 상주시민의 대의기관. 상주시의회(尙州市議會)는 지방자치제도에 의하여 경상북도 상주시의 주민 대표 기관이자 의결·입법 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냉림동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상주시종합사회복지관(尙州市綜合社會福祉館)은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복지재단에서 상주시로부터 수탁받아 운영하고 있는 사회 복지 시설이다. 자비·소통·혁신이라는 핵심 가치를 바탕으로 행복을 함께하는 지역 복지를 비전으로 삼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으뜸 생활 실천으로 바른 삶을 추구하는 민주 시민을 육성한다, 충실한 교육 과정 운영을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신장한다, 꿈과 재능을 펼칠 수 있도록 창의력과 사고력을 계발시킨다, 교단 지원의 효율화로 교육력을 제고한다’이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으뜸 생활 실천으로 바른 삶을 추구하는 민주 시민을 육성한다, 충실한 교육 과정 운영을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신장한다, 꿈과 재능을 펼칠 수 있도록 창의력과 사고력을 계발시킨다, 교단 지원의 효율화로 교육력을 제고한다’이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별처럼 빛나는 고운 품성을 지닌 어린이, 새롭게 사고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꿈과 재능을 키우는 행복한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별처럼 빛나는 고운 품성을 지닌 어린이, 새롭게 사고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꿈과 재능을 키우는 행복한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별처럼 빛나는 고운 품성을 지닌 어린이, 새롭게 사고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꿈과 재능을 키우는 행복한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별처럼 빛나는 고운 품성을 지닌 어린이, 새롭게 사고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꿈과 재능을 키우는 행복한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상주군에서 편찬한 향토지. 『상주지(尙州誌)』는 1989년 경상북도 상주시·상주군에서 상주 지역의 역사, 지리, 정치, 행정 등을 집약하여 간행한 향토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대구지방검찰청 산하 행정 기관. 대구지방검찰청 상주지청(大邱地方檢察廳 尙州支廳)은 대구지방검찰청 산하에 있는 행정 기관이다. 대구지방검찰청은 법무부에 소속되어 있으며,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전역의 검찰 사무를 담당하기 위하여 본청[대구광역시, 영천시, 경산시, 칠곡군, 청도군 관할]과 8개 지청[서부·안동·경주·포항·김천·상주·의성·영덕], 2개 지방...
-
경상북도 상주시 서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건강인], 스스로 공부하는 실력 있는 어린이[자주인],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창조인], 더불어 생활하는 예절 바른 어린이[예절인]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밝고 바르고 부지런한 어린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건강인], 스스로 공부하는 실력 있는 어린이[자주인],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창조인], 더불어 생활하는 예절 바른 어린이[예절인]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밝고 바르고 부지런한 어린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건강인], 스스로 공부하는 실력 있는 어린이[자주인],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창조인], 더불어 생활하는 예절 바른 어린이[예절인]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밝고 바르고 부지런한 어린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건강인], 스스로 공부하는 실력 있는 어린이[자주인],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창조인], 더불어 생활하는 예절 바른 어린이[예절인]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밝고 바르고 부지런한 어린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문동에 있는 축산 농가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한 협동조합. 상주축산업협동조합(尙州畜産業協同組合)은 상주 지역 축산 농가들이 중심이 되어 설립된 협동조합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문동에 있는 축산 농가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한 협동조합. 상주축산업협동조합(尙州畜産業協同組合)은 상주 지역 축산 농가들이 중심이 되어 설립된 협동조합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상지미래경영고등학교(上智未來經營高等學敎)는 “가톨릭 정신을 바탕으로 한 인간 교육에 힘써 성실히 진리를 추구하고 참되게 살며, 책임감 있는 인재를 기른다”를 교육 목적으로 삼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眞], 착하고[善], 아름답게[美]”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상지미래경영고등학교(上智未來經營高等學敎)는 “가톨릭 정신을 바탕으로 한 인간 교육에 힘써 성실히 진리를 추구하고 참되게 살며, 책임감 있는 인재를 기른다”를 교육 목적으로 삼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眞], 착하고[善], 아름답게[美]”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상지여자중학교(上智女子中學校)는 “가톨릭 정신을 바탕으로 한 인간 교육에 힘써 성실히 진리를 추구하고 참되게 살며, 책임감 있는 인재를 기른다”를 교육 목적으로 삼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眞], 착하고[善], 아름답게[美]”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상지여자중학교(上智女子中學校)는 “가톨릭 정신을 바탕으로 한 인간 교육에 힘써 성실히 진리를 추구하고 참되게 살며, 책임감 있는 인재를 기른다”를 교육 목적으로 삼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眞], 착하고[善], 아름답게[美]”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상지미래경영고등학교(上智未來經營高等學敎)는 “가톨릭 정신을 바탕으로 한 인간 교육에 힘써 성실히 진리를 추구하고 참되게 살며, 책임감 있는 인재를 기른다”를 교육 목적으로 삼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眞], 착하고[善], 아름답게[美]”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상지미래경영고등학교(上智未來經營高等學敎)는 “가톨릭 정신을 바탕으로 한 인간 교육에 힘써 성실히 진리를 추구하고 참되게 살며, 책임감 있는 인재를 기른다”를 교육 목적으로 삼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眞], 착하고[善], 아름답게[美]”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상지미래경영고등학교(上智未來經營高等學敎)는 “가톨릭 정신을 바탕으로 한 인간 교육에 힘써 성실히 진리를 추구하고 참되게 살며, 책임감 있는 인재를 기른다”를 교육 목적으로 삼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眞], 착하고[善], 아름답게[美]”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상지미래경영고등학교(上智未來經營高等學敎)는 “가톨릭 정신을 바탕으로 한 인간 교육에 힘써 성실히 진리를 추구하고 참되게 살며, 책임감 있는 인재를 기른다”를 교육 목적으로 삼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眞], 착하고[善], 아름답게[美]”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상지여자중학교(上智女子中學校)는 “가톨릭 정신을 바탕으로 한 인간 교육에 힘써 성실히 진리를 추구하고 참되게 살며, 책임감 있는 인재를 기른다”를 교육 목적으로 삼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眞], 착하고[善], 아름답게[美]”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상지여자중학교(上智女子中學校)는 “가톨릭 정신을 바탕으로 한 인간 교육에 힘써 성실히 진리를 추구하고 참되게 살며, 책임감 있는 인재를 기른다”를 교육 목적으로 삼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眞], 착하고[善], 아름답게[美]”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상지여자중학교(上智女子中學校)는 “가톨릭 정신을 바탕으로 한 인간 교육에 힘써 성실히 진리를 추구하고 참되게 살며, 책임감 있는 인재를 기른다”를 교육 목적으로 삼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眞], 착하고[善], 아름답게[美]”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상지여자중학교(上智女子中學校)는 “가톨릭 정신을 바탕으로 한 인간 교육에 힘써 성실히 진리를 추구하고 참되게 살며, 책임감 있는 인재를 기른다”를 교육 목적으로 삼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眞], 착하고[善], 아름답게[美]”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촌리(上村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상원리(上元里)의 ‘상(上)’ 자와 송촌리(松村里)의 ‘촌(村)’ 자를 따서 ‘상촌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판리(上板里)는 본래 ‘판개’라고 불리던 반계리의 윗쪽 마을이라는 것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판리(上板里)는 본래 ‘판개’라고 불리던 반계리의 윗쪽 마을이라는 것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판리(上板里)는 본래 ‘판개’라고 불리던 반계리의 윗쪽 마을이라는 것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상판리에 있는 조선 전기 자기 가마터.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의하면 상주목(尙州牧)에는 상품(上品) 2개소, 중품(中品) 1개소의 자기소(磁器所)가 있다고 하였다. 전국 4개소의 상품 자기소 중 2개소가 상주에 있었으며, 이 중 중모현(中牟縣) 동쪽 이미외리(已未隈里)의 자기소는 현재의 모동면 상판리 일대에 있었던 것으로 비정된다. 지표 조사를...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상판리에 있는 조선 전기 자기 가마터.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의하면 상주목(尙州牧)에는 상품(上品) 2개소, 중품(中品) 1개소의 자기소(磁器所)가 있다고 하였다. 전국 4개소의 상품 자기소 중 2개소가 상주에 있었으며, 이 중 중모현(中牟縣) 동쪽 이미외리(已未隈里)의 자기소는 현재의 모동면 상판리 일대에 있었던 것으로 비정된다. 지표 조사를...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상판리에 있는 저수지. 상판지(上板池)는 안정적인 농업용수 보충과 자연재해 예방 및 하천 수량 증대 등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상판리에 있는 저수지. 상판지(上板池)는 안정적인 농업용수 보충과 자연재해 예방 및 하천 수량 증대 등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현리(上縣里)는 화령현(化寧縣)의 위쪽이 되므로 ‘상현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립 특수 학교. 교육 목표는 일상생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학생, 우리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학생, 바른 인성으로 나눔을 실천하는 학생, 인내와 노력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학생을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인내·노력·자립’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있는 공립 특수 학교. 교육 목표는 일상생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학생, 우리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학생, 바른 인성으로 나눔을 실천하는 학생, 인내와 노력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학생을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인내·노력·자립’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천리(新川里)는 과거 내 바닥[냇가 바닥, 하천 바닥]이었는데 냇물이 북쪽으로 물러가서 새로운 마을이 형성되었다는 뜻에서 ‘새내’ 혹은 ‘신천’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원흥리(元興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백원리(白元里)의 ‘원(元)’ 자와 신흥리(新興里)의 ‘흥(興)’ 자를 따서 ‘원흥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신흥리(新興里)[함창읍]는 본래 함창군 동면의 지역으로 새로 새겼다는 뜻으로 ‘새마’, ‘신흥’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1970년대 초부터 전개된 지역 사회 개발 운동. 새마을 운동은 1970년 4월 22일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전국 지방 장관 회의에서 새마을 가꾸기 운동을 거론한 뒤 1970년 5~6월에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면서 시작되었다. 농촌 근대화와 지역 균형 발전, 생활 태도와 환경 개선, 소득 증대를 목표로 추진되었던 새마을 운동은 낙후된 농촌 환경을 개선하고 경...
-
경상북도 상주시 화개동에 있는 식품 제조 업체. 새싹식품은 50년 가까이 콩나물을 생산하여 온 식품 업체이다. 경상북도가 선정한 향토 뿌리 기업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새를 소재로 하여 부르던 민요.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승되는 「새야 새야 각노새야」는 “새야 새야 각노새야 너는 어데 자고 왔노”로 시작하여 등턱새, 댕강새, 희롱새, 분홍새, 파랑새 등 다양한 새가 등장하는 노래이다. 가창자는 실제로 존재하는 새의 이름이 아니라 자신의 눈에 비친 그대로를 이름으로 불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아랫녁 새야 윗녁 새야 니 나락 내...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하초리(下草里)는 샛골 아래쪽에 있다는 것에 유래하여 ‘아래샛골’, ‘새터’, ‘하초’라고 한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교촌리(校村里)는 함창향교가 있어 ‘향교마을’, ‘교촌리’라고 불리게 되었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이주하여 정착한 학자. 김담수(金聃壽)[1535~1603]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자는 태수(台叟), 호는 서계(西溪)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부사직 김귀손(金貴孫)이고, 할아버지는 장사랑 김윤적(金允迪)이다. 아버지는 참봉 김관석(金關石)이고, 어머니는 박탄(朴坦)의 딸 순천 박씨(順天 朴氏)이다. 부인은 조몽길(曺夢吉)의 딸 창녕 조씨(昌寧 曺氏)이고,...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서곡동(書谷洞)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서당리(書堂里)의 ‘서(書)’ 자와 구도곡(求道谷)의 ‘곡(谷)’ 자를 따서 ‘서곡리(書谷里)’라 한 데서 비롯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로마 가톨릭 교회. 천주교(天主敎)의 공식 명칭은 로마 가톨릭 교회(Roman Catholic Church)이다. 우리나라에 전래되면서 서학(西學)·서교(西敎)·천주학(天主學)·천주공교(天主公敎) 등으로 불리다가 천주교로 정착하였다....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정윤해(鄭允諧)[1553~1618]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자는 백유(伯兪), 호는 서귀자(鋤歸子)·동고(東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교(鄭僑)이고, 할아버지는 정이충(鄭以忠)이다. 아버지는 참봉 정련(鄭璉)이고, 어머니는 권종헌(權宗憲)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신보(申補)의 딸 평산 신씨(平山 申氏)이고, 두 번째 부인...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충(金冲)[1513~1572]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며, 자는 화길(和吉), 호는 서대(西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부사과 김극효(金克孝)이고, 할아버지는 김삼산(金三山)이다. 아버지는 성균관전적 김옹(金顒)이고, 어머니는 정구(鄭俅)의 딸이다. 부인은 현감을 지낸 장세강(張世綱)의 딸 풍덕 장씨(豊德 張氏)이고, 아들은 김지대(金之岱)·김지연(金之衍...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서만리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서만2리 동제(西灣2里 洞祭)는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서만리의 서만2리 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고자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제사는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 자정에 마을 어귀의 소나무와 선돌 앞에서 모신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서만리(西灣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장서리(長西里)의 ‘서(西)’ 자와 구만리(九萬里)의 ‘만(萬)’ 자를 따 ‘서만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서문동(西門洞)은 상주읍성의 서문 밖이 되므로 ‘서문외(西門外)’ 또는 ‘서문(西門)’이라 한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상주서문교회(尙州西門敎會)는 1950년대 설립 이래 상주 지역의 복음화를 위하여 활동하고 있는 개신교 교회이다. 어린이집 운영 등 상주 지역 어린이 교육에도 힘쓰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서문동(西門洞)은 상주읍성의 서문 밖이 되므로 ‘서문외(西門外)’ 또는 ‘서문(西門)’이라 한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문동에 있는 천주교 안동교구 소속 성당. 서문동성당(西門洞聖堂)은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중심 성당으로 여러 성당을 분가시킨 모성당이다. 주보성인은 ‘성 요셉’이며, 툿찡 포교 베네딕도 수녀회 대구 수녀원이 활동하고 있다. 관리 공소는 세 곳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문동에 있는 천주교 안동교구 소속 성당. 서문동성당(西門洞聖堂)은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중심 성당으로 여러 성당을 분가시킨 모성당이다. 주보성인은 ‘성 요셉’이며, 툿찡 포교 베네딕도 수녀회 대구 수녀원이 활동하고 있다. 관리 공소는 세 곳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서문동(西門洞)은 상주읍성의 서문 밖이 되므로 ‘서문외(西門外)’ 또는 ‘서문(西門)’이라 한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서문동(西門洞)은 상주읍성의 서문 밖이 되므로 ‘서문외(西門外)’ 또는 ‘서문(西門)’이라 한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서문동(西門洞)은 상주읍성의 서문 밖이 되므로 ‘서문외(西門外)’ 또는 ‘서문(西門)’이라 한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주민 생활의 편의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무형의 노무를 제공하는 산업. 서비스업은 일반적으로 물질적인 것이 아닌 무형의 노무를 제공하는 모든 업종을 말한다. 따라서, 사회가 발달할수록 직접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서비스 부문이 팽창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클라크(Clark)의 산업 분류에 따르면, 제1차산업에는 농업·목축업·수산업·임업·수렵업, 제2차산업에는...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인창리, 청리면 가천리, 하초리와 외남면 구서리 경계에 있는 산. 서산(西山)은 경상북도 상주시 남중부의 공성면과 청리면, 외남면의 경계에 걸쳐 있는 높이 511.3m의 산이다. 북쪽 공검면 역곡리의 서산과는 구별된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인창리에 있는 서산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서산(西山)」은 서산이 상주에 있는 유래를 설명하는 지명 유래담이자 풍수담이다. 대홍수가 났을 때 서산이 떠내려가지 못하고 ‘서 있는 산’이 되었고, 그래서 상주가 평지가 되지 못하고 수도가 될 수 없었다는 안타까움을 나타내고 있다....
-
충청남도 서산시에서 경상북도 상주시를 거쳐 경상북도 영덕군을 연결하는 고속국도. 서산영덕고속도로(瑞山盈德高速道路)는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과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을 연결하는 고속국도이다. 총길이는 330.8㎞이며, 노선 번호는 제30호이다. 상주시 중부 지역을 동서 방향으로 통과하며 상주시 내 연장은 43.02㎞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서 사명대사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서산사의 등대나무」는 사명대사(泗溟大師)[1544~1610]가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서산사(西山寺)에서 잠시 머무르다가 절을 떠났을 때 있었던 신이한 일을 담고 있는 이야기이다. 사명대사는 서산사를 떠날 때 자신이 짚고 다니던 지팡이를 땅에 꽂았는데, 지팡이가 나무로 변하여 잎과 가지가 뻗어 나가는 방향으로...
-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에 있는 조선 후기 사우. 현충단(顯忠壇)은 조선 후기 김상용(金尙容), 김상헌(金尙憲)을 제향하는 사우로 서산서원이라고도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서성동(西城洞)은 상주읍성의 서쪽에 위치하여 ‘서성(西城)’ 또는 ‘서성내(西城內)’라 한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서성동(西城洞)은 상주읍성의 서쪽에 위치하여 ‘서성(西城)’ 또는 ‘서성내(西城內)’라 한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무양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상주교회(尙州敎會)는 19세기 초 처음 개척된 이래 상주 지역 개신교 신앙의 중심지 역할을 하여 온 유서 깊은 기독교 교회이다. 일찍이 1937년 신봉교회를 분립한 이래 상산교회, 지사교회, 병성교회, 외답교회, 서문교회를 분립한 상주 지역 여러 교회의 모교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서성동(西城洞)은 상주읍성의 서쪽에 위치하여 ‘서성(西城)’ 또는 ‘서성내(西城內)’라 한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서성동(西城洞)은 상주읍성의 서쪽에 위치하여 ‘서성(西城)’ 또는 ‘서성내(西城內)’라 한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신후재(申厚載)[1636~1699]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덕부(德夫), 호는 규정(葵亭)·서암(恕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신여길(申汝吉)이고, 할아버지는 호조정랑 신상철(申尙哲)이다. 아버지는 제천현감 신항구(申恒耉)이고, 어머니는 허한(許僩)의 딸 양천 허씨(陽川 許氏)이다. 부인은 부사 류호연(柳浩然)의 딸 진주 류씨(晉州 柳氏...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에 있는 풍산 류씨 류진의 종가. ‘수암 류진 종가(修巖 柳袗 宗家)’는 풍산 류씨 류성룡(柳成龍)[1542-1607]의 서애파에서 분파된 우천파의 종가로 류진(柳袗)[1582~1635]을 파조로 한다. 종가의 이름은 류진의 호 수암(修巖)을 따서 지었다. 류진은 상주 우천에 이거한 이후 ‘상주 수암 류진 종가’ 또는 ‘수암공파’로 불리며 서애학통을 상...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서원리(西院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서곡리(西谷里)의 ‘서(西)’ 자와 율원리(栗院里)의 ‘원(院)’ 자를 따서 ‘서원리’라 하였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홍상조(洪相朝)[1690~?]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자는 서일(敍一) 또는 서일(瑞一), 호는 만송(晩松)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상질(洪尙質)이고, 할아버지는 홍이발(洪以潑)이다. 아버지는 홍후겸(洪后謙)이고, 형은 홍수구(洪壽九)·홍수범(洪壽範)이다. 홍후천(洪后天)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홍상조(洪相朝)[1690~?]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자는 서일(敍一) 또는 서일(瑞一), 호는 만송(晩松)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상질(洪尙質)이고, 할아버지는 홍이발(洪以潑)이다. 아버지는 홍후겸(洪后謙)이고, 형은 홍수구(洪壽九)·홍수범(洪壽範)이다. 홍후천(洪后天)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무양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상주교회(尙州敎會)는 19세기 초 처음 개척된 이래 상주 지역 개신교 신앙의 중심지 역할을 하여 온 유서 깊은 기독교 교회이다. 일찍이 1937년 신봉교회를 분립한 이래 상산교회, 지사교회, 병성교회, 외답교회, 서문교회를 분립한 상주 지역 여러 교회의 모교회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송인수(宋仁洙)[1896~1947]의 다른 이름은 송소경(宋小敬)이고, 일본식 성명 강요에 의한 이름은 서촌덕정(西村德政)이다....
-
고려 후기 상주 지역에 은거하였던 문신. 조운흘(趙云仡)[1332~1404]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호는 석간(石磵)·서하옹(棲霞翁)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감찰원장령 조정(趙晶)이고, 할아버지는 헌부산랑 조숙령(趙叔鴒)이다. 아버지는 어사 조건(趙虔)이고, 부인은 김득배(金得培)의 딸 상주 김씨(尙州 金氏)이다. 동생은 조운개(趙云价)·조운식(趙云式)이다....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로마 가톨릭 교회. 천주교(天主敎)의 공식 명칭은 로마 가톨릭 교회(Roman Catholic Church)이다. 우리나라에 전래되면서 서학(西學)·서교(西敎)·천주학(天主學)·천주공교(天主公敎) 등으로 불리다가 천주교로 정착하였다....
-
고려 후기 상주 지역에 은거하였던 문신. 조운흘(趙云仡)[1332~1404]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호는 석간(石磵)·서하옹(棲霞翁)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감찰원장령 조정(趙晶)이고, 할아버지는 헌부산랑 조숙령(趙叔鴒)이다. 아버지는 어사 조건(趙虔)이고, 부인은 김득배(金得培)의 딸 상주 김씨(尙州 金氏)이다. 동생은 조운개(趙云价)·조운식(趙云式)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석산리(石山里)는 뒷산에 돌이 많아 ‘돌산’, 또는 ‘석산’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석성기(石盛基)[1902~1970]의 본관은 충주(忠州)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 만산동, 부원동과 외서면 봉강리의 경계에 있는 산. 천봉산(天鳳山)은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 만산동, 부원동과 외서면 봉강리의 경계를 이루는 436.6m의 산이다. 예부터 상주 북쪽의 명산으로 ‘북 석악(北 石岳)’으로 불렸으며, 천봉산(千峰山)이라고도 한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이승연(李承延)[1720~1806]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자는 태보(台甫)·석여(錫予), 호는 강재(剛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예조참판 이옥(李沃)이고, 할아버지는 이만부(李萬敷)이다. 아버지는 이지빈(李之彬)이고 어머니는 류성화(柳聖和)의 딸 풍산 류씨(豊山 柳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윤수의 딸 함안 윤씨(咸安 尹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채...
-
삼국 시대 상주 지역을 정벌한 신라의 왕족이자 무신. 석우로(昔于老)[?~?]는 신라의 장수로서 우로음(于老音) 또는 우로(于老)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내해이사금(奈解尼師今)이고, 아들은 흘해이사금(訖解尼師今)이다. 조분이사금(助賁尼師今)의 사위이며, 『삼국사기(三國史記)』 「석우로 열전」에는 각간 수로(水老)의 아들이라는 설도 기록으로 남아 있다. 이벌찬에 오른 이음(利音)과 형...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목가리에 있는 석조관세음보살입상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석조관세음보살입상(石造觀世音菩薩立像)」은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목가리에 있는 석조관세음보살입상에 얽힌 이야기이다. 방치되어 누워 있던 미륵불을 세운 유래가 담겨 있다. 상주 목가리 석조관세음보살입상(尙州 木可里 石造觀世音菩薩立像)은 2003년 4월 14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37호...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신천리에서 발원하여 수봉리를 지나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으로 흘러가는 하천. 석천(石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신천리에서 금계천과 반계천이 만나 이루는 지방 하천이다. 석천은 남쪽으로 흘러 수봉리를 감입곡류하면서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마산리 초강천으로 합류한다. 금강 수계의 제2지류 하천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각(金覺)[1536~1610]의 본관은 영동(永同)[영산(永山)]이며, 자는 경성(景惺), 호는 석천(石川)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김공저(金公著)이고, 할아버지는 장사랑 김자(金滋)이다. 아버지는 김언건(金彦健)이고, 어머니는 참봉 조이(趙恞)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부인은 성균관사성 김충(金冲)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고...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정경세(鄭經世)[1563~1633]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경임(景任), 호는 우복(愚伏)·일묵(一默)·하거(河渠)·송록(松麓)·승성자(乘成子)·석총도인(石潨道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계함(鄭繼咸)이고, 할아버지는 정은성(鄭銀成)이다. 아버지는 정여관(鄭汝寬)이고, 어머니는 이가(李軻)의 딸 합천 이씨(陜川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이해...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정상진(鄭象晉)[1770~1847]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일진(日晉), 호는 석파(石坡)·어초재(漁樵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주원(鄭冑源)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정인모(鄭仁模)이다. 아버지는 정종로(鄭宗魯)이고, 어머니는 이민현(李民顯)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부인은 이동호(李東浩)의 딸 광주 이씨(廣州 李氏)이고, 아들은 정민...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선거권을 가진 주민이 국가 및 지방 자치 단체의 공직에 임할 사람을 투표를 통하여 선출하는 행위. 선거(選擧)란 민주주의 정치 체제에서 국민이 주권을 행사하고 정치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하는 행위이다.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주요 선거로는 대통령 선거, 국회의원 선거, 「지방자치법」에 따라 지방 의회 의원 및 지방 자치 단체의 장을 선출하는 지방...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선교리(仙橋里)는 하천이 양쪽으로 갈라진 머리쪽이 되므로 ‘갯머리’ 또는 ‘포두’, ‘선교’라 한 데서 ‘선교리’라 하였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홍승무(洪承武)[1882~1934]의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호는 선묵(仙默)이다. 1882년 6월 28일 자금의 상주시 이안면 가장리에서 태어났다....
-
경상북도 상주시의 구석기·신석기·청동기·초기 철기 시대 등 사벌국 관련 기록이 등장하기 이전의 역사. 선사 시대는 인간이 문자(文字) 기록을 남기기 이전의 시대를 의미하며, 한국사에서는 대체로 구석기 시대부터 초기 철기 시대까지를 포괄한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은 신라의 첨해이사금(沾解尼師今)[247~261] 시대에 사벌국(沙伐國) 혹은 사량벌국(沙梁伐國)이라는 이름으로 『삼국사기(...
-
경상북도 상주시의 구석기·신석기·청동기·초기 철기 시대 등 사벌국 관련 기록이 등장하기 이전의 역사. 선사 시대는 인간이 문자(文字) 기록을 남기기 이전의 시대를 의미하며, 한국사에서는 대체로 구석기 시대부터 초기 철기 시대까지를 포괄한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은 신라의 첨해이사금(沾解尼師今)[247~261] 시대에 사벌국(沙伐國) 혹은 사량벌국(沙梁伐國)이라는 이름으로 『삼국사기(...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용신리에 있는 효곡서원에 배향된 조선 후기의 문신. 고인계(高仁繼)[1564~1647]의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자는 선승(善承), 호는 월봉(月峯)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고극검(高克儉)이고, 할아버지는 주부 고윤종(高胤宗)이다. 아버지는 전력부위 고경운(高慶雲)이며, 어머니는 안동 김씨(安東 金氏)이다. 부인은 채유부(蔡有孚)의 딸 인천 채씨(仁川 蔡氏)이...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상주 견훤사당(尙州 甄萱祠堂)은 후백제를 세운 견훤(甄萱)에게 제사를 지내는 공간이다. ‘선신각’ 혹은 ‘선신당’이라고도 한다. 2013년 3월 18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5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상주 견훤사당(尙州 甄萱祠堂)은 후백제를 세운 견훤(甄萱)에게 제사를 지내는 공간이다. ‘선신각’ 혹은 ‘선신당’이라고도 한다. 2013년 3월 18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5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변경되었다....
-
조선 전기의 문신인 채수가 상주에서 지은 한문 소설. 「설공찬전(薛公瓚傳)」은 조선 전기의 문신인 채수(蔡壽)[1449~1515]가 상주 쾌재정(快哉亭)에서 창작하였다고 알려진 한문 소설이다. 윤회화복(輪迴禍福)을 다루어 문제가 된 내력이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중종실록(中宗實錄)」에 올라 있어서 일찍부터 알려졌다. 오랫동안 소설의 실물을 볼 수 없다가 1996년 이문건(...
-
삼국 시대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신라의 지방관. 설부(薛夫)[?~?]는 신라 내해이사금(奈解尼師今)[?~230] 때 상주 지역에 있던 요거성(腰車城)의 성주로 활동하던 중 초고왕(肖古王)[166~214]이 보낸 백제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하였다. 이후 내해이사금은 백제의 공격에 대응하여 이벌찬(伊伐湌) 이음(利音)에게 정예병 6,000명을 주어 사현성(沙峴城)을 빼앗도록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성동리(城洞里)는 병풍산성 동쪽 아래라는 뜻으로 ‘성골’ 또는 ‘성동’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홍미(金弘微)[1557~1605]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며, 자는 창원(昌遠), 호는 성극당(省克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부사직 김예강(金禮康)이고, 할아버지는 장사랑 김윤검(金允儉)이다. 아버지는 옥과현감 김범(金範)이고, 어머니는 계공랑 조한신(曺漢臣)의 딸 창녕 조씨(昌寧 曺氏)이다. 부인은 원주목사 류운룡(柳雲龍)의 딸 풍산 류씨(豊山 柳氏)...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성장환(成章煥)[1916~2004]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일본식 성명 강요에 의한 이름은 성도장환(成島章煥)이다. 아버지는 성목(成穆)이며, 어머니는 신정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성동리(城洞里)는 병풍산성 동쪽 아래라는 뜻으로 ‘성골’ 또는 ‘성동’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성동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정직하고 예의 바른 어린이[덕성인], 바르게 판단하고 실천하는 어린이[자주인], 깊이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창조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행복한 어린이[건강인]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사랑·정직·성실”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성동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정직하고 예의 바른 어린이[덕성인], 바르게 판단하고 실천하는 어린이[자주인], 깊이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창조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행복한 어린이[건강인]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사랑·정직·성실”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성동동(城東洞)은 상주읍성의 동쪽이 되므로 ‘성동(城東)’ 또는 ‘동문밖’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성동리(城洞里)는 병풍산성 동쪽 아래라는 뜻으로 ‘성골’ 또는 ‘성동’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저주 받은 땅에 관한 이야기. 「성동의 집터」는 경상북도 상주시 어딘가에 있다고 전하여 내려오는 저주 받은 땅에 관한 이야기이다. 경상북도 상주시에는 옛날 ‘성동(城洞)’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집을 짓기 위하여 어린아이 둘을 죽여 땅에 묻었다고 한다. 집은 완성되었지만 아이들을 죽인 괴로움에 성동은 병에 걸려 일찍 죽고, 성동의 아내는 미치고...
-
경상북도 상주시 성동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정직하고 예의 바른 어린이[덕성인], 바르게 판단하고 실천하는 어린이[자주인], 깊이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창조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행복한 어린이[건강인]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사랑·정직·성실”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성동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정직하고 예의 바른 어린이[덕성인], 바르게 판단하고 실천하는 어린이[자주인], 깊이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창조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행복한 어린이[건강인]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사랑·정직·성실”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성동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정직하고 예의 바른 어린이[덕성인], 바르게 판단하고 실천하는 어린이[자주인], 깊이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창조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행복한 어린이[건강인]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사랑·정직·성실”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성동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정직하고 예의 바른 어린이[덕성인], 바르게 판단하고 실천하는 어린이[자주인], 깊이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창조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행복한 어린이[건강인]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사랑·정직·성실”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정착한 유의이자 문신. 성람(成灠)[1556~1620]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사열(士悅), 호는 청죽(聽竹)이다. 초명은 성협(成浹)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성완(成玩)이고, 할아버지는 예빈시정 성희주(成希周)이다. 아버지는 강원감사 성세평(成世平)이고, 어머니는 노공좌(盧公佐)의 딸이다. 아들은 성여춘(成汝櫄)·성여백(成汝栢)이다. 형은 성락(成洛)...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성만징(成晩徵)[1659~1711]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달경(達卿), 호는 추담(秋潭)·환성당(喚醒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성여백(成汝栢)이고, 할아버지는 성진승(成震升)이다. 아버지는 성호영(成虎英)이고, 어머니는 통덕랑 이동야(李東野)의 딸 덕수 이씨(德水 李氏)이다. 부인은 현감 이상길(李相吉)의 딸 함평 이씨(咸平 李氏)이고, 아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조석우(趙錫愚)[1721~1760]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경안(景顔)·성백(省伯), 호는 존성재(存省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대윤(趙大胤)이고, 할아버지는 조해(趙瀣)이다. 아버지는 조시경(趙時經)이고, 어머니는 여이현(呂以賢)의 딸 성산 여씨(星山 呂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류후잠(柳後潛)의 딸 풍산 류씨(豊山 柳氏)이고, 두 번째 부...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역곡리에 있는 조선 시대 함창현의 봉수터. 봉수(烽燧)는 봉[횃불, 밤]과 수[연기, 낮]로 급한 소식을 전하던 전통 시대의 통신 제도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권28, 상주목 봉수에는 회룡산(回龍山)·소산(所山)·서산(西山)·국사당산(國士堂山)과 산양현(山陽縣) 소산 및 중모현(中牟縣) 소산봉수가 있으며, 권29 함창현 봉수에는 성산(城山)이...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역곡리에 있는 조선 시대 함창현의 봉수터. 봉수(烽燧)는 봉[횃불, 밤]과 수[연기, 낮]로 급한 소식을 전하던 전통 시대의 통신 제도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권28, 상주목 봉수에는 회룡산(回龍山)·소산(所山)·서산(西山)·국사당산(國士堂山)과 산양현(山陽縣) 소산 및 중모현(中牟縣) 소산봉수가 있으며, 권29 함창현 봉수에는 성산(城山)이...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이인지(李麟至)[1683~1746]의 본관은 흥양(興陽)이며, 자는 성서(聖瑞), 호는 신와(新窩)·은와(恩窩)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지례현감 이전(李㙉)이고, 할아버지는 빙고별제 이덕규(李德圭)이다. 아버지는 광릉참봉 이재헌(李在憲)이고, 어머니는 조선(趙宣)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이경초(李慶初)의 딸 벽진 이씨(碧珍 李氏...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성석기(成錫驥)[1888~1939]는 1888년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양지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3월 하순 이주하여 살던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의 강경시장 철시 운동에 참여하였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성해식(成海植)[1899~1939]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다른 이름은 성성인(成星仁)이다....
-
개항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의병. 김진구(金鎭九)[1847~1925]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자는 성소(聖韶), 호는 구고(九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계산동에 있는 사립 여자 중학교. 교육 목표는 ‘배움이 즐겁고 나눔이 행복한 인재 육성’이고, 추구하는 학생상은 즐겁게 배우는 학생, 재능을 개발하는 학생, 큰 꿈을 키우는 학생이다. 교훈은 ‘생각은 새롭게 행동은 바르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계산동에 있는 사립 여자 중학교. 교육 목표는 ‘배움이 즐겁고 나눔이 행복한 인재 육성’이고, 추구하는 학생상은 즐겁게 배우는 학생, 재능을 개발하는 학생, 큰 꿈을 키우는 학생이다. 교훈은 ‘생각은 새롭게 행동은 바르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계산동에 있는 사립 여자 중학교. 교육 목표는 ‘배움이 즐겁고 나눔이 행복한 인재 육성’이고, 추구하는 학생상은 즐겁게 배우는 학생, 재능을 개발하는 학생, 큰 꿈을 키우는 학생이다. 교훈은 ‘생각은 새롭게 행동은 바르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성하동(城下洞)은 상주읍성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성하(城下)’ 또는 ‘성아래’라 한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성이홍(成爾鴻)[1691~1749]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중거(仲擧), 호는 취음(翠陰)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성진승(成震升)이고, 할아버지는 성호영(成虎英)이다. 아버지는 성만징(成晩徵)이고, 어머니는 현감 이상길(李相吉)의 딸 함평 이씨(咸平 李氏)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성익환(成益煥)[1925~1981]은 경상북도 상주군에서 태어났다. 다만, 일부 자료에서 성익환의 출생지를 ‘서울 종로’, 본적을 ‘경성부 삼청동(三淸洞)’ 등으로 기록하고 있다. 성익환이 훗날 경기도 경성부로 이주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형은 독립유공자로 포상받은 성창환(成昌煥)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조필연(趙必淵)[1873~1946]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성일(聖一), 호는 몽헌(夢軒)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성장환(成章煥)[1916~2004]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일본식 성명 강요에 의한 이름은 성도장환(成島章煥)이다. 아버지는 성목(成穆)이며, 어머니는 신정희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장. 고상증(高尙曾)[1550~1627]의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자는 사성(思省), 호는 성재(省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고수연(高壽延)이고, 할아버지는 충의교위 고극공(高克恭)이다. 아버지는 좌부장 고천우(高天佑)이고, 어머니는 습독 강희언(康希彦)의 딸 신천 강씨(信川 康氏)이다. 부인은 습독 최진(崔縝)의 딸 전주 최씨(全州 崔氏)이고,...
-
이순유를 시조로 하고 이종림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상주시의 세거 성씨. 성주 이씨(星州 李氏) 시조는 신라 경순왕 때 재상을 지낸 이순유(李純由)이다. 이순유는 신라가 망하자 지금의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에 이주하여 숨어 살았는데,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이순유의 절의에 감복하여 성주 지역의 호장(戶長)으로 삼았다고 한다. 이후 이순유의 12세손 이장경(李長庚) 대에...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남곡리에 있는 자연휴양림. 성주봉자연휴양림(聖主峰自然休養林)은 산림 자원의 지속 가능한 경영 도모와 산림을 활용한 휴양 시설을 설치하여 국민 건강 증진 및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숙박 시설, 편의 시설 등의 휴양 시설을 통하여 국민 보건 휴양, 국민 정서 함양, 산림 교육 등을 실시하고 산림 소유자의 소득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수학한 문신. 전이성(全以性)[1578~1646]의 본관은 용궁(龍宮)이며, 자는 성지(性之), 호는 운계(雲溪)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전인(全仁)이고, 할아버지는 전몽규(全夢奎)이다. 아버지는 전위(全緯)[『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에는 전행(全緈)으로 기록]이고, 어머니는 장령 진호(秦浩) 딸 영춘 진씨(永春 秦氏)이다. 부인은 황윤규(黃潤奎)의 딸 창...
-
경상북도 상주에서 활동한 정치인. 백남식(白南軾)[1901~1964]의 본관은 수원(水原)이며, 자는 성첨(聖瞻), 호는 낙추(落樞)이다. 아버지는 백낙찬(白樂燦)이고, 어머니는 인동 장씨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성필환(成必煥)[1896~1969]은 1896년 2월 27일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에서 태어났다. 상주공립보통학교 졸업생으로 1919년 3월 23일 상주 장터 만세시위운동을 주도하였다. 상주 장터 만세시위운동은 3월 중순부터 성필환을 비롯한 한암회(韓岩回), 강용석(姜龍錫), 조월연(趙月衍), 성해식(成海植), 석성기(石盛基) 등 서울...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성하동(城下洞)은 상주읍성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성하(城下)’ 또는 ‘성아래’라 한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성하동(城下洞)은 상주읍성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성하(城下)’ 또는 ‘성아래’라 한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성해식(成海植)[1899~1939]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다른 이름은 성성인(成星仁)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성헌징(成獻徵)[1654~1676]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문식(文式), 호는 통허재(洞虛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성여백(成汝栢)이고, 할아버지는 성진승(成震升)이다. 아버지는 성호영(成虎英)이고, 어머니는 통덕랑 이동야(李東野)의 딸 덕수 이씨(德水 李氏)이다. 부인은 현감 박찬선(朴纘先)의 딸 상산 박씨(商山 朴氏)이고, 동생은 성만징(成...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정착한 유의이자 문신. 성람(成灠)[1556~1620]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사열(士悅), 호는 청죽(聽竹)이다. 초명은 성협(成浹)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성완(成玩)이고, 할아버지는 예빈시정 성희주(成希周)이다. 아버지는 강원감사 성세평(成世平)이고, 어머니는 노공좌(盧公佐)의 딸이다. 아들은 성여춘(成汝櫄)·성여백(成汝栢)이다. 형은 성락(成洛)...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여러 대에 걸쳐 거주하고 있는 성씨. 한국에서 성씨 제도는 고대 중국의 영향을 받아 고대부터 등장하고 있다. 처음에는 주로 왕족이나 귀족들 사이에서만 한정적으로 사용되었으나, 본관과 성씨 제도가 함께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고려 시대에 접어들어서이다. 신라 말 지방 호족을 대거 수용하여 건국의 기초를 다진 고려 왕조에서는 건국 초기부터 개국에 공로가 있었던 사...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용신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효곡서원(孝谷書院)은 김충(金冲)[1513~1572], 송량(宋亮)[1534~1618], 고인계(高仁繼)[1594~1647], 김광두(金光斗)[1562~1608]를 제향한 서원이다. 김충은 본관이 상산, 자는 화길(和吉), 호는 서대(西臺)이다. 1515년(명종 6) 문과에 급제하여 춘추관, 기주관, 호조정랑 등을 역임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용신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효곡서원(孝谷書院)은 김충(金冲)[1513~1572], 송량(宋亮)[1534~1618], 고인계(高仁繼)[1594~1647], 김광두(金光斗)[1562~1608]를 제향한 서원이다. 김충은 본관이 상산, 자는 화길(和吉), 호는 서대(西臺)이다. 1515년(명종 6) 문과에 급제하여 춘추관, 기주관, 호조정랑 등을 역임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해마다 같은 시기에 주기적으로 되풀이하는 풍속. 세시풍속(歲時風俗)은 한 해를 주기로 계절과 절기에 따라서 반복적으로 순환하는 관습과 의례를 뜻한다. 세사(歲事)·월령(月令)·시령(時令)이라고도 한다. 세시풍속은 생업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다. 농업 혹은 어업과 같은 생업은 자연의 순환 주기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내륙 지역인 경상북도 상주시의 세시풍속 역...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해마다 같은 시기에 주기적으로 되풀이하는 풍속. 세시풍속(歲時風俗)은 한 해를 주기로 계절과 절기에 따라서 반복적으로 순환하는 관습과 의례를 뜻한다. 세사(歲事)·월령(月令)·시령(時令)이라고도 한다. 세시풍속은 생업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다. 농업 혹은 어업과 같은 생업은 자연의 순환 주기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내륙 지역인 경상북도 상주시의 세시풍속 역...
-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기업인 겸 교육자이자 정치인. 김세영(金洗榮)[1920~2010]의 본관은 함녕(咸寧)이며, 호는 세심(洗心)이다. 아버지는 김혁진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현리에서 발원하여 외서면과 상주 시내 일대를 흐르는 하천. 외서천(外西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현리 주변 산지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흐르다가 가곡리에서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동류하면서 이천리, 개곡리, 관동리, 남적동, 초산동, 중덕동을 지나 낙상동 낙상교에서 동천으로 유입하는 지방 하천이다. 낙동강 수계의 제3지류 하천이며, 병성천 제2지류 하천이...
-
경상북도 상주시 화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소곡리(所谷里)는 지형이 배처럼 생겼다 하여 ‘배실’, ‘주곡’, ‘소곡’이라 하였다고 한다....
-
고려 후기 상주 출신의 원나라 환관. 방신우(方臣祐)[1267~1343]의 본관은 상주(尙州)이며, 어릴 적 이름은 방소공(方小公)이다. 아버지는 향리 출신으로 상주목사를 지낸 방득세(方得世)이고, 부인은 개성판관 이광시(李光時)의 딸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영오리에서 발원하여 청리면과 상주 시가지 일대를 흐르는 하천. 병성천(屛城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영오리에서 발원하여 이화리에서 이화천, 초오리에서 장산천, 청리면 수상리에서 청하천과 청리천, 외답동에서 북천, 병성동에서 동천과 합류하여 도남동에서 낙동강으로 유입하는 지방 하천이다. 낙동강 수계의 제1지류 하천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영오리에서 발원하여 청리면과 상주 시가지 일대를 흐르는 하천. 병성천(屛城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영오리에서 발원하여 이화리에서 이화천, 초오리에서 장산천, 청리면 수상리에서 청하천과 청리천, 외답동에서 북천, 병성동에서 동천과 합류하여 도남동에서 낙동강으로 유입하는 지방 하천이다. 낙동강 수계의 제1지류 하천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고곡리와 서만리의 경계를 이루는 산. 소머리산은 경상북도 상주시의 중앙부에 해당하며, 내서면 고곡리와 서만리의 경계에 있는 높이 442.2m의 산이다. 백두대간의 숭덕지맥에 해당한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채기중(蔡基中)[1873~1921]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극오(極五), 호는 소몽(素夢)이다. 아버지는 채헌락(蔡憲洛)이고, 어머니는 곡부 공씨(曲阜 孔氏)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에 있는 지역 소방 행정 기관. 상주소방서(尙州消防署)는 경상북도 상주시 지역의 소방과 인명 구조 업무를 주로 담당하는 행정 기관이다....
-
태백산에서 서쪽으로 갈라진 산줄기가 남서 방향으로 뻗어 내리면서 영남과 충청 및 호남 지방의 경계를 이루는 산맥. 소백산맥(小白山脈)은 태백산맥의 태백산에서 갈라져 북쪽으로부터 소백산, 속리산 등의 산지를 이루면서 남서 방향으로 뻗어 내리다가 덕유산과 지리산을 거쳐 여수반도에 이르는 산줄기이다. 산세가 험준하고 산줄기의 연속성이 뚜렷하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소상리(召上里)는 좀실[조실(棗室)] 위쪽[상(上)]에 마을이 있어 ‘상조곡’, ‘웃좀실’, ‘상조음곡’, ‘조상’이라고 부르다가 ‘소상(召上)[웃조음실, 조상(棗上)]’으로 바뀐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 소상리에 있는 은행나무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소상리 보호수(召上里 保護樹)」는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 소상리에 있는 은행나무에 얽힌 전설이다. 나라의 큰일이 생기면 가지가 부러지고 소리를 내는 등 마을의 수호신 역할을 하는 은행나무에 대한 마을 사람들의 경외와 고마움을 담고 있다. 소상리 은행나무는 1982년 10월 26일 보호수[지정번호 1...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소암리(小岩里)는 고창산 아래 마을이 있고, 남쪽에 청룡봉이 있는데, 청룡봉 아래 깊은 소가 있다 하여 ‘소안’이라 한 것이 ‘소암(素岩)’ 등으로 한역되다가 일제 강점기에 ‘소암(小岩)’으로 굳어져 ‘소암리’라 이름 붙여졌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채주욱(蔡周郁)[1787~1860]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종문(宗文), 호는 소은(素隱)이다. 아버지는 채석우(蔡錫禹)이고, 어머니는 여주 이씨(驪州 李氏)이다. 동생은 채주익(蔡周𨜶)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소은리(素隱里)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소은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금산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노수신(盧守愼)[1515-1590]의 본관은 광주(光州)[광산(光山)]이며, 자는 과회(寡悔), 호는 소재(蘇齋)·이재(伊齋)·암실(暗室)·여봉노인(茹峰老人) 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돈녕부참봉 노경장(盧敬長)이고, 할아버지는 풍저창수 노후(盧珝)이다. 아버지는 활인서별제 노홍(盧鴻)이고, 어머니는 대사헌 이자화(李自華)...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소정리(召井里)는 소나무 정자가 있었다 하여 ‘소정’이라고 이름 붙였다 하는 설도 있고 한자 ‘소정(召井)’에 따라 마을이 산 중턱에 있어서 마실 물을 우물에서 길어 먹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 설도 있다. 소정은 ‘학소동’이라는 이칭도 있는데, 학소동은 마을 뒤에 있었던 산제당(山祭堂)에 노송이 많이 있어 백학이 많이 날아왔다 하...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이소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노대하(盧大河)[1546~1610]의 본관은 광주(光州)[광산(光山)]이며, 자는 수오(受吾), 호는 이소당(履素堂)·소헌(素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풍저창수 노후(盧珝)이고, 할아버지는 활인서별제 노홍(盧鴻)이다. 아버지는 돈녕부첨정 노극신(盧克愼)고, 어머니는 청주목사 이증영(李曾榮)의 딸 덕산 이씨(德山 李氏)이...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남전(南躔)[1664~1737]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일승(日昇), 호는 소헌(素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현감 남영(南嶸)이고, 할아버지는 통덕랑 남창하(南昌夏)이다. 아버지는 의금부도사 남극표(南極杓)아고, 어머니는 현감 성진장(成震長)의 딸 창녕 성씨(昌寧 成氏)이다. 부인은 송규림(宋奎臨)의 딸 은진 송씨(恩津 宋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한극술(韓克述)[1598~1653]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자는 광보(光甫), 호는 소호(蘇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한봉조(韓奉祖)이고, 할아버지는 한효간(韓孝榦)이다. 아버지는 예빈시직장 한서(韓瑞)이고, 어머니는 정종계(鄭宗繼)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다. 부인은 류춘성(柳春成)의 딸 문화 류씨(文化 柳氏)이고, 아들은 한수(韓忄+遂)·한...
-
1931년 경상북도 상주시 성동동에서 신행을 가기 전 고향을 떠나는 슬픔을 읊은 내방 가사. 「소회가(所懷歌)」는 경상북도 상주시 성동동의 김옥희가 신행(新行)을 가기 전 부모와 고향을 이별하여야 하는 슬픔을 읊고, 고향에서 마지막 달을 바라보며 애석한 마음을 노래한 내방 가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의 경계에 있는 산. 속리산(俗離山)은 경상북도 상주시 북서쪽에서 화북면 상오리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에 걸쳐 있는 높이 1,058.4m의 산이다. 백두대간에서 남서 방향으로 뻗어 내려오는 소백산맥 줄기의 중앙에 해당한다. 남북으로는 한반도의 척추 역할을 하며, 천왕봉에서 한남금북정맥이 분기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와 충청북도 괴산군의 경계에 있는 속리산을 중심으로 지정된 국립공원. 속리산(俗離山)은 경상북도와 충청북도의 경계에 있는 산이며, 1970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능선을 따라 남서쪽으로 법주사가 있는 곳은 충청북도 보은군 지역이며, 북동쪽 문장대·견훤산성·오송폭포 등 경승지가 있는 곳이 상주시 화북면에 속한다. 특히 문장대는 조선 시대 세조가 병에 걸려 속리산에서...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특수한 집단이나 계층이 남 모르게 자기들끼리만 쓰는 말. 은어(隱語)는 특정 계층이나 집단에 소속된 사람들이 쓰는 언어로서, 다른 사람들이 의미를 알지 못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만들어진 언어이다. 은어는 지역 방언과의 관계 속에서 생성 및 소멸되는 특징이 있는데, 사회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현상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 언어학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손경석(孫景錫)[1669~1732]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중백(仲百), 호는 남암(南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손당(孫禟)이며, 할아버지는 손신의(孫愼儀)이다. 아버지는 경주부윤 손만웅(孫萬雄)이고, 어머니는 강용직(康用直)의 딸 재령 강씨(載寧 康氏)이다. 부인은 권수경(權守經)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손만웅(孫萬雄)[1643~1712]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적만(敵萬), 호는 야촌(野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손흥효(孫興孝)이고, 할아버지는 손당(孫禟)이다. 아버지는 손신의(孫愼儀)이고, 어머니는 이심근(李深根)의 딸 인천 이씨(仁川 李氏)이다. 부인은 강용직(康用直)의 딸 재령 강씨(載寧 康氏)이고, 아들은 손경석(孫景錫)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손영로(孫永老)[1820~1891]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이석(而錫), 호는 목서(木西)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손필경(孫必慶)이고, 할아버지는 손진두(孫鎭斗)이다. 아버지는 손석련(孫石鍊)이고, 어머니는 성헌로(成獻老)의 딸 창녕 성씨(昌寧 成氏)이다. 부인은 김해 허씨(金海 許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남한조(南漢朝)[1744~1809]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종백(宗伯), 호는 손재(損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남도훤(南圖翧)이고, 할아버지는 남정삼(南鼎三)이다. 아버지는 남필용(南必容)이고, 어머니는 참봉 김경온(金景溫)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다. 부인은 정언의(鄭彥儀)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삼덕리 상주박물관에 있는 조선 전기 상주목사 손중돈·권기의 선정비. 손중돈·권기 선정비(孫仲墩·權祺 善政碑)는 상주목사를 지낸 손중돈(孫仲墩)[1463~1529]과 권기(權祺)[1495~?]의 선정비이다. 손중돈은 본관이 경주(慶州), 호는 우재(愚齋)이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다. 1506년부터 1509년까지 상주목사를 지냈다. 권기는 1537년(중종...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손진익(孫鎭翼)[1760~1812]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유려(幼勵), 호는 진암(進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손운억(孫雲億)이고, 할아버지는 손창현(孫昌顯)이다. 아버지는 손윤경(孫潤慶)이고, 어머니는 조석춘(趙錫春)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임상권(林尙權)의 딸 은진 임씨(恩津 林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신백원(...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신천리에서 발원하여 수봉리를 지나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으로 흘러가는 하천. 석천(石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신천리에서 금계천과 반계천이 만나 이루는 지방 하천이다. 석천은 남쪽으로 흘러 수봉리를 감입곡류하면서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마산리 초강천으로 합류한다. 금강 수계의 제2지류 하천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원흥리에 있는 솟대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솟대」는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원흥리에 솟대가 생긴 유래에 대한 이야기이다. 솟대에 대한 설명과 아울러 동제(洞祭)의 절차가 상당히 정교하게 전하여 내려오고 있는 것으로 보아 솟대를 신성시하는 모습이 잘 드러나 있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송규필(宋奎弼)[1780~1847]의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자는 문징(文徵), 호는 남고(南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송식(宋王+寔)이고, 할아버지는 송진복(宋震復)이다. 아버지는 송계주(宋啓周)이고, 어머니는 이희원(李禧遠)의 딸 흥양 이씨(興陽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사헌부지평 조억(趙嶷)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송량(宋亮)[1534~1618]의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자는 경명(景明), 호는 우곡(愚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사헌부집의 송숙기(宋叔琪)이고, 할아버지는 용양위부사직 송세휘(宋洗輝)이다. 아버지는 부호군 송당(宋璫)이고, 어머니는 강완(康琬)의 딸 재령 강씨(載寧 康氏)이다. 부인은 박언기(朴彦箕)의 딸 밀양 박씨(密陽 朴氏)이고, 아들은 송이회...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송량 일가의 정려각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송량 일가의 충효열」은 효자와 절부로 이름난 우곡(愚谷) 송량(宋亮)[1534~1618]의 아들과 딸들에 대한 인물 전설이면서 송량 일가를 기리기 위하여 세운 정려각에 대한 사물 전설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정경세(鄭經世)[1563~1633]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경임(景任), 호는 우복(愚伏)·일묵(一默)·하거(河渠)·송록(松麓)·승성자(乘成子)·석총도인(石潨道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계함(鄭繼咸)이고, 할아버지는 정은성(鄭銀成)이다. 아버지는 정여관(鄭汝寬)이고, 어머니는 이가(李軻)의 딸 합천 이씨(陜川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이해...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용회(李容晦)[1892~1959]의 본관은 광주(廣州)이며, 호는 송사(松史)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송인수(宋仁洙)[1896~1947]의 다른 이름은 송소경(宋小敬)이고, 일본식 성명 강요에 의한 이름은 서촌덕정(西村德政)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희열(朴喜烈)[1920~1945]의 일본식 성명 강요에 의한 이름은 송원준경(松原俊卿)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강석필(姜碩弼)[1679~1755]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공망(公望), 호는 송은와(松隱窩)·이지재(二知齋)·송은(松隱)이다. 강사익(姜士翼)의 5대손으로, 할아버지는 강홍윤(姜弘胤)이다. 아버지는 강균(姜均)이고, 어머니는 정선 전씨(旌善 全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신평 이씨(新平 李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강석필(姜碩弼)[1679~1755]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공망(公望), 호는 송은와(松隱窩)·이지재(二知齋)·송은(松隱)이다. 강사익(姜士翼)의 5대손으로, 할아버지는 강홍윤(姜弘胤)이다. 아버지는 강균(姜均)이고, 어머니는 정선 전씨(旌善 全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신평 이씨(新平 李氏)이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송인수(宋仁洙)[1896~1947]의 다른 이름은 송소경(宋小敬)이고, 일본식 성명 강요에 의한 이름은 서촌덕정(西村德政)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송지리(松支里)는 송지동(松支洞)에서 명칭이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신천리에서 발원하여 수봉리를 지나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으로 흘러가는 하천. 석천(石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신천리에서 금계천과 반계천이 만나 이루는 지방 하천이다. 석천은 남쪽으로 흘러 수봉리를 감입곡류하면서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마산리 초강천으로 합류한다. 금강 수계의 제2지류 하천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조남수(趙南洙)[1744~1822]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사휴(士休), 호는 쇄소재(灑埽齋)이다. 초명은 조기연(趙麒然)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해(趙瀣)이고, 할아버지는 조시경(趙時經)이다. 아버지는 조석로(趙錫魯)이고, 어머니는 김여명(金汝鳴)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다. 부인은 첨추 김호련(金虎鍊)의 딸 선성 김씨(宣城 金氏)이고,...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고곡리와 서만리의 경계를 이루는 산. 소머리산은 경상북도 상주시의 중앙부에 해당하며, 내서면 고곡리와 서만리의 경계에 있는 높이 442.2m의 산이다. 백두대간의 숭덕지맥에 해당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금곡리(金谷里)는 금이 많이 생산되었다는 것에서 유래하여 ‘금곡리’로 불리게 되었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이사번(李師蕃)[1671~1737]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중거(仲擧)·숙거(叔擧), 호는 수곡(樹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공조정랑 이광흡(李光洽)이고, 할아버지는 이구(李榘)이다. 아버지는 이주만(李冑萬)이고, 어머니는 권구(權坵)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부인은 검교 신필성(申弼成)의 딸 평산 신씨(平山 申氏)이고, 아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무곡리(茂谷里)는 물이 많고 좋아 ‘무실’, ‘무곡(茂谷)’, ‘수곡(水谷)’이라 불린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동리(華洞里)는 조선 시대 역마를 먹이던 곳이어서 ‘수골’, ‘숫골’ 또는 ‘화동(禾洞)’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수정리, 청리면 청상리와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의 경계에 있는 산. 수선산(修善山)은 낙동면 수정리, 청리면 청상리와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의 경계를 이루는 높이 682.6m의 산이다. 경상북도 상주시의 남쪽에 있으며, 주 능선은 백두대간의 청운봉에서 동쪽으로 뻗어 나간 기양지맥에 해당한다. 서쪽은 기양산으로 연결되고, 동쪽은 두암산과 형제봉, 신산으로 이어진다...
-
경상북도 상주시 양촌동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수둥디미산성은 경상북도 상주시 양촌동 산21번지에 있다. 수둥디미산성은 ‘수둥디미’ 능선에 있다고 하여 수둥디미산성으로 불린다. 지천동 용흥사 입구 주차장의 서쪽에 있는 산 정상부에 있으며, 같은 능선으로 이어지는 북쪽 약 700m 지점에 상주 지천동 고분군이 분포하고 있다. 낙동면 용포를 거쳐 죽현(竹峴)을 넘어 선산으로 이어지는...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의 경계에 있는 산. 속리산(俗離山)은 경상북도 상주시 북서쪽에서 화북면 상오리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에 걸쳐 있는 높이 1,058.4m의 산이다. 백두대간에서 남서 방향으로 뻗어 내려오는 소백산맥 줄기의 중앙에 해당한다. 남북으로는 한반도의 척추 역할을 하며, 천왕봉에서 한남금북정맥이 분기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덕산리에 있는 수명당이라는 우물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수명당(水明堂)」은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덕산리에 있는 우물과 관련한 전설이다. 청리면 서산(西山) 밑에 있는 덕산리라는 마을 한가운데에는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우물이 하나 있다. 우물의 물이 맑고 깊어서 ‘수명당’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옛날 어느 한 효자가 아버지의 유언을...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수봉리(壽峯里)는 헌수봉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수봉리’라고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수봉리(壽峯里)는 헌수봉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수봉리’라고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군. 상주 수봉리 지석묘군(尙州 壽峯里 支石墓群)은 청동기 시대 유적으로 1998년 지표 조사 때 49기가 확인되었으며, 군집 상태에 따라 6개의 지석묘군으로 구분된다. 수봉리 고인돌이라고도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수상리(水上里)는 병성천의 서쪽 가에 있는 마을 앞산 밑에 큰 웅덩이가 있었는데, 웅덩이의 물과 병성천의 물이 수정과 같이 맑고 살기 좋은 마을이라는 것에 유래하여 ‘수중당’ 또는 ‘수상’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에 있는 조선 전기 서당. 수선서당(修善書堂)은 상주목사 신잠(申潛)[1491~1554]이 건립하였다. 신잠은 1552년(명종 7) 상주목사로 부임한 이후 상주 선비들이 학문을 할 곳이 없음을 안타깝게 여기고 부임 기간 동안 상주 지역에 서당 18개를 건립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에 있는 조선 전기 서당. 수선서당(修善書堂)은 상주목사 신잠(申潛)[1491~1554]이 건립하였다. 신잠은 1552년(명종 7) 상주목사로 부임한 이후 상주 선비들이 학문을 할 곳이 없음을 안타깝게 여기고 부임 기간 동안 상주 지역에 서당 18개를 건립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수정리, 청리면 청상리와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의 경계에 있는 산. 수선산(修善山)은 낙동면 수정리, 청리면 청상리와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의 경계를 이루는 높이 682.6m의 산이다. 경상북도 상주시의 남쪽에 있으며, 주 능선은 백두대간의 청운봉에서 동쪽으로 뻗어 나간 기양지맥에 해당한다. 서쪽은 기양산으로 연결되고, 동쪽은 두암산과 형제봉, 신산으로 이어진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수정리, 청리면 청상리와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의 경계에 있는 산. 수선산(修善山)은 낙동면 수정리, 청리면 청상리와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의 경계를 이루는 높이 682.6m의 산이다. 경상북도 상주시의 남쪽에 있으며, 주 능선은 백두대간의 청운봉에서 동쪽으로 뻗어 나간 기양지맥에 해당한다. 서쪽은 기양산으로 연결되고, 동쪽은 두암산과 형제봉, 신산으로 이어진다...
-
1912년에 경상북도 상주시에 살던 김성종이 조부모의 회갑을 축하하기 위하여 지은 내방 가사. 상주에서 전하여지는 「수신동경가(晬辰同庚歌)」는 풍양 조씨(豊壤 趙氏) 조성윤[1898~1972]의 부인인 김성종(金誠鐘)[1895~1984]이 1912년 1월 12일 조부모의 회갑 때 지은 내방 가사이다. 내용은 동갑인 친정 조부모의 회갑일을 맞이하여 여러 친척들이 모여 축하연을 가지는...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정착한 문신. 류진(柳袗)[1582~1635]의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계화(季華), 호는 수암(修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간성군수 류공작(柳公綽)이고, 할아버지는 황해도관찰사 류중영(柳仲郢)이다. 아버지는 영의정 류성룡(柳成龍)이고, 어머니는 용궁현감 이경(李坰)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부호군 권채(權采)의 딸 안동 권씨(...
-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 신상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옥성서원(玉成書院)은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난계(蘭溪) 김득배(金得培)[1312~1362], 영천자(靈川子) 신잠(申潛)[1491~1554], 후계(后溪) 김범(金範)[1512~1566] 및 월간(月澗) 이전(李㙉)[1558~1648]·창석(蒼石) 이준(李埈)[1560~1635] 형제를 제향한 서원이다. 김득배는...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60세 이후의 생일을 축하하는 일생 의례. 수연(壽宴)은 장수를 축하하는 잔치를 의미한다. 과거 전통 사회에서는 평균 수명이 길지 않았기에 60년 이상 건강하게 살아온 노인을 공경하고 건강과 장수를 염원하였다. 수연의 대상이 되는 연령은 육순(六旬), 회갑(回甲), 진갑(進甲), 고희(古稀), 희수(喜壽), 팔순(八旬), 미수(米壽), 구순(九旬), 백수(白壽)...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이소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노대하(盧大河)[1546~1610]의 본관은 광주(光州)[광산(光山)]이며, 자는 수오(受吾), 호는 이소당(履素堂)·소헌(素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풍저창수 노후(盧珝)이고, 할아버지는 활인서별제 노홍(盧鴻)이다. 아버지는 돈녕부첨정 노극신(盧克愼)고, 어머니는 청주목사 이증영(李曾榮)의 딸 덕산 이씨(德山 李氏)이...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수정리(水晶里)는 옛날 마을 가운데 큰 돌배나무가 있어서 ‘이실’ 또는 ‘수정’이라고 부른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수정리(水晶里)는 옛날 마을 가운데 큰 돌배나무가 있어서 ‘이실’ 또는 ‘수정’이라고 부른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수상리(水上里)는 병성천의 서쪽 가에 있는 마을 앞산 밑에 큰 웅덩이가 있었는데, 웅덩이의 물과 병성천의 물이 수정과 같이 맑고 살기 좋은 마을이라는 것에 유래하여 ‘수중당’ 또는 ‘수상’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지복(金知復)[1568~1635]의 본관은 영동(永同)[영산(永山)]이며, 자는 무회(無悔)·수초(守初), 호는 우연(愚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장사랑 김자(金滋)이고, 할아버지는 김언건(金彦健)이다. 아버지는 군자감정 김각(金覺)이고, 어머니는 성균관사성 김충(金冲)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다. 부인은 직장 전개(全漑)의 딸 관산 전씨(管山...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이사번(李師蕃)[1671~1737]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중거(仲擧)·숙거(叔擧), 호는 수곡(樹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공조정랑 이광흡(李光洽)이고, 할아버지는 이구(李榘)이다. 아버지는 이주만(李冑萬)이고, 어머니는 권구(權坵)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부인은 검교 신필성(申弼成)의 딸 평산 신씨(平山 申氏)이고, 아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홍호(洪鎬)[1586~1646]의 본관은 부림(缶林)[부계(缶溪)]이며, 자는 숙경(叔京), 호는 무주(無住)·동락(東洛)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언국(洪彦國)이고, 할아버지는 홍경삼(洪景參)이다. 아버지는 홍덕록(洪德祿)이고, 어머니는 류승선의 딸 진주 류씨(晉州 柳氏)이다. 부인은 고종후(高從厚)의 딸 장흥 고씨(長興 高氏)이고, 아들은 홍...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정상관(鄭象觀)[1776~1820]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용빈(用賓)·숙무(叔毋)·숙옹(叔顒), 호는 곡구원(谷口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주원(鄭冑源)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정인모(鄭仁模)이다. 아버지는 정종로(鄭宗魯)이고, 어머니는 이민현(李民顯)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아버지의 사촌 형제인 정성로(鄭成魯)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류주목(柳疇睦)[1813~1872]의 본관은 풍산(豊山)이고, 자는 숙빈(叔斌), 호는 계당(溪堂)·간곡거사(澗谷居士)·노시산인(老柴散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류발(柳潑)이고, 할아버지는 돈녕부도정 류심춘(柳尋春)이다. 아버지는 좌의정 류후조(柳厚祚)이고, 어머니는 부사 이재연(李載延)의 딸 연안 이씨(延安 李氏)이다. 부인은 박기재(朴基載)의 딸 순...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정상관(鄭象觀)[1776~1820]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용빈(用賓)·숙무(叔毋)·숙옹(叔顒), 호는 곡구원(谷口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주원(鄭冑源)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정인모(鄭仁模)이다. 아버지는 정종로(鄭宗魯)이고, 어머니는 이민현(李民顯)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아버지의 사촌 형제인 정성로(鄭成魯)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이전(李㙉)[1558~1648]의 본관은 흥양(興陽)이며, 자는 숙재(叔載), 호는 월간(月澗)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조년(李兆年)이고, 할아버지는 종사랑 이탁(李琢)이다. 아버지는 이수인(李守仁)이고, 어머니는 신수경(申守涇)의 딸 고령 신씨(高靈 申氏)이다. 부인은 안수(安守)의 딸 광주 안씨(廣州 安氏)이고, 아들은 이일규(李一圭)·이덕규(李德圭...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이준(李埈)[1560~1635]의 본관은 흥양(興陽)이며, 자는 숙평(叔平), 호는 창석(蒼石)·유계(酉溪)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조년(李兆年)이고, 할아버지는 종사랑 이탁(李琢)이다. 아버지는 이수인(李守仁)이고, 어머니는 신수경(申守涇)의 딸 고령 신씨(高靈 申氏)이다. 부인은 문수민(文秀民)의 딸 선산 문씨(善山 文氏)이고, 아들은 이대규(李大圭...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황반로(黃磻老)[1766~1840]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숙황(叔璜), 호는 백하(白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연(黃沇)이고, 할아버지는 황도중(黃道重)이다. 아버지는 황계희(黃啓熙)이고, 형은 황신로(黃莘老)·황암로(黃巖老)이다....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언론인. 장지연(張志淵)[1864~1921]의 본관은 인동(仁同)이며, 처음 이름은 장지윤(張志尹), 자는 화명(和明)·순소(舜韶)이다. 호는 위암(韋庵)·숭양산인(崇陽山人)이다. 부인은 벽진 이씨(碧珍 李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거주하였던 문신. 이형상(李衡祥)[1653~1733]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중옥(仲玉), 호는 병와(甁窩) 또는 순옹(順翁)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음현감 이사민(李師閔)이고, 할아버지는 예문관직제학 이장형(李長馨)이다. 아버지는 이주하(李柱厦)이고, 어머니는 윤세구(尹世耈)의 딸 파평 윤씨(坡平 尹氏)이다. 부인은 통덕랑 송지규(宋之奎)의 딸 은진...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남이목(南履穆)[1792~1858]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순지(純之), 호는 직암(直菴)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남도식(南道軾)이고, 할아버지는 남종성(南宗晟)이다. 아버지는 남윤한(南胤漢)이고, 어머니는 신광조(申光祖)의 딸 평산 신씨(平山 申氏)와 구형운(具亨運)의 딸 능성 구씨(綾城 具氏)이다. 부인은 권석우(權錫祐)의 딸 안동 권씨(安東...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고유(高裕)[1722~1779]의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자는 순지(順之), 호는 추담(秋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고한익(高漢翊)이고, 할아버지는 고사석(高師錫)이다. 아버지는 고규서(高奎瑞)이고, 어머니는 김익남(金益南)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도사 전광제(全光濟)의 딸 용궁 전씨(龍宮 全氏)이고, 두 번째 부인...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동리(華洞里)는 조선 시대 역마를 먹이던 곳이어서 ‘수골’, ‘숫골’ 또는 ‘화동(禾洞)’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언론인. 장지연(張志淵)[1864~1921]의 본관은 인동(仁同)이며, 처음 이름은 장지윤(張志尹), 자는 화명(和明)·순소(舜韶)이다. 호는 위암(韋庵)·숭양산인(崇陽山人)이다. 부인은 벽진 이씨(碧珍 李氏)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에 있는 농촌 체험 마을. 승곡체험휴양마을은 지역 주민들이 2002년 도농 교류 사업을 계기로 농촌 마을 활성화를 통하여 지속 가능한 지역 공동체를 만들기 위하여 조성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승곡리(升谷里)는 승장사가 있었던 것에 기인하여 ‘승장곡’, ‘승장골’, ‘승장’이라 불린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에 있는 풍양 조씨 동성 마을. 승곡리(升谷里)는 본래 상주군 장천면 지역이었으며, 승장사(勝長寺)가 있어서 승장곡 또는 승장이라고도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언상리(言上里)·언중리(言中里)·언하리(言下里)·재동(齋洞)·요포리(繞浦里)·통사리(通仕里)·옥곡리(玉谷里)·송천리(松川里)·승상리(升上里)·승중리(升中里)·승하리(升下里)를 합...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와 화북면 용유리의 경계에 있는 산. 승무산(僧舞山)은 경상북도 상주시의 북서쪽 화북면 장암리와 화북면 용유리에 걸쳐 있는 높이 559m의 바위산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정경세(鄭經世)[1563~1633]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경임(景任), 호는 우복(愚伏)·일묵(一默)·하거(河渠)·송록(松麓)·승성자(乘成子)·석총도인(石潨道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계함(鄭繼咸)이고, 할아버지는 정은성(鄭銀成)이다. 아버지는 정여관(鄭汝寬)이고, 어머니는 이가(李軻)의 딸 합천 이씨(陜川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이해...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승곡리(升谷里)는 승장사가 있었던 것에 기인하여 ‘승장곡’, ‘승장골’, ‘승장’이라 불린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승곡리(升谷里)는 승장사가 있었던 것에 기인하여 ‘승장곡’, ‘승장골’, ‘승장’이라 불린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승곡리(升谷里)는 승장사가 있었던 것에 기인하여 ‘승장곡’, ‘승장골’, ‘승장’이라 불린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재화와 용역이 거래되는 장소. 시장(市場)이란 상품이 교환되는 구체적인 장소를 일컫는 말이며, 예전에는 ‘장(場)’, ‘시(市)’, ‘장시(場市)’로, 현대에는 재래시장, 전통시장 등으로 부르고 있다. 시장은 5일 또는 10일 간격의 개설 주기를 두고 정기적으로 열리는가, 또는 매일 열리는가에 따라 정기 시장과 상설 시장으로 구분된다. 근대 이전의 시장은 대개...
-
1967년에 경상북도 상주 출신 아동문학가 최춘해가 펴낸 동시집. 『시계가 셈을 세면』은 경상북도 상주 출신이며 대구에서 활동한 아동 문학가 최춘해(崔春海)[1932~]가가 대구신천국민학교[현 대구신천초등학교] 재직 시절에 한글문학사에서 펴낸 첫 번째 동시집이다. 2017년 최춘해의 등단 50주년 기념으로 최춘해의 제자가 운영하는 출판사 브로콜리숲에서 초판본 형태를 그대로 살려서...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해마다 같은 시기에 주기적으로 되풀이하는 풍속. 세시풍속(歲時風俗)은 한 해를 주기로 계절과 절기에 따라서 반복적으로 순환하는 관습과 의례를 뜻한다. 세사(歲事)·월령(月令)·시령(時令)이라고도 한다. 세시풍속은 생업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다. 농업 혹은 어업과 같은 생업은 자연의 순환 주기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내륙 지역인 경상북도 상주시의 세시풍속 역...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항(姜杭)[1702~1787]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이직(而直), 호는 시북(市北)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홍윤(姜弘胤)이고, 할아버지는 강균(姜均)이다. 아버지는 강석우(姜碩遇)이고, 어머니는 이성일(李星逸)의 딸 예안 이씨(禮安 李氏)이다. 강항은 큰아버지 강석기(姜碩耆)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금곡리(金谷里)는 금이 많이 생산되었다는 것에서 유래하여 ‘금곡리’로 불리게 되었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인(姜絪)[1555~1634]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인경(仁卿), 호는 시암(是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영숙(姜永叔)이고, 할아버지는 의정부사인 강온(姜溫)이다. 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姜士尙)이고, 어머니는 훈련원부정 윤광운(尹光運)의 딸 파평 윤씨(坡平 尹氏)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아천리 감암정과 이안면 구미리의 이름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시암리와 구미리」는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아천리 감암정과 이안면 구미리의 지명 유래와 관련한 이야기이다. 감암정의 한자가 ‘느낄 감(感)’에서 ‘감 시(柹)’가 되고, 구미리의 한자가 ‘거북 꼬리[龜尾]’에서 ‘여우 꼬리[狗尾]’가 된 유래를 설명하고 있다. 일제에 의하여 변조된 지...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최정호(崔挺豪)[1563~1622]의 본관은 충주(忠州)이며, 자는 시응(時應), 호는 저곡(樗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연산현감 최홍(崔洪)이고, 할아버지는 최대관(崔大觀)이다. 아버지는 최수도(崔守道)이고, 어머니는 김윤성(金允成)의 딸 예안 김씨(禮安 金氏)이다. 부인은 성균관사성 김복일(金復一)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고, 아들은 최충망(崔...
-
19세기 조리서인 『시의전서』에 기록되어 있는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양반가 전통 음식. 『시의전서(是議全書)』는 1800년대 말에 편찬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조리서이다. 1919년 심환진(沈晥鎭)[1872~1951]이 상주군수로 부임하였을 당시 19세기 상주 지역 반가의 봉제사 접빈객 음식과 조리 방법이 기록된 요리책을 옮겨 적어 둔 한글 필사본이 현전하고 있다. 이후 심환진의 며...
-
19세기 조리서인 『시의전서』에 기록되어 있는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양반가 전통 음식. 『시의전서(是議全書)』는 1800년대 말에 편찬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조리서이다. 1919년 심환진(沈晥鎭)[1872~1951]이 상주군수로 부임하였을 당시 19세기 상주 지역 반가의 봉제사 접빈객 음식과 조리 방법이 기록된 요리책을 옮겨 적어 둔 한글 필사본이 현전하고 있다. 이후 심환진의 며...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재화와 용역이 거래되는 장소. 시장(市場)이란 상품이 교환되는 구체적인 장소를 일컫는 말이며, 예전에는 ‘장(場)’, ‘시(市)’, ‘장시(場市)’로, 현대에는 재래시장, 전통시장 등으로 부르고 있다. 시장은 5일 또는 10일 간격의 개설 주기를 두고 정기적으로 열리는가, 또는 매일 열리는가에 따라 정기 시장과 상설 시장으로 구분된다. 근대 이전의 시장은 대개...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죽암리에 있는 낙암서원에 배향된 조선 후기의 문신. 김정룡(金廷龍)[1561~1619]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자는 시견(時見), 호는 월담(月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장사랑 김윤적(金允迪)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김관석(金關石)이다. 아버지는 선공감참봉 김담수(金聃壽)이고, 어머니는 조몽길(曺夢吉)의 딸 창녕 조씨(昌寧 曺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통례원...
-
경상북도 상주시에 분포하는 식물의 종류. 상주시의 식물상(植物相) 분포 특성은 1차적으로 지형과 기후 조건에 영향을 받고 있는데, 수평적으로는 냉온대 남부·저산지 식생 지역에 해당한다. 식물 지리학적으로는 중일 식물 구계(中日 植物 區系)의 한국구, 중부아구에 속하며 식생학적으로는 졸참나무-작살나무아군단역에 해당된다. 식물 군락은 낙엽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의 2개의 상관형으로 대분류...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서곡동(書谷洞)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서당리(書堂里)의 ‘서(書)’ 자와 구도곡(求道谷)의 ‘곡(谷)’ 자를 따서 ‘서곡리(書谷里)’라 한 데서 비롯하였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정착한 학자. 이만부(李萬敷)[1664~1732]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자는 중서(仲舒), 호는 식산(息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심(李襑)이고, 할아버지는 이조판서 이관징(李觀徵)이다. 아버지는 예조참판 이옥(李沃)이고, 어머니는 이동규(李同揆)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김이해(金爾楷)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고, 두 번...
-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음식 및 음식에 관한 생활과 풍습. 음식은 자연환경 및 사회 문화적 특성에 따라서 지역마다 사용하는 식재료와 조리 방법, 선호하는 음식 등에 차이가 있다. 또한 사회적, 경제적 변화에 따라 음식과 식생활(食生活)도 변화한다. 영남 내륙 지역에 위치한 상주 지역도 기후와 인문 환경의 영향을 받아 고유한 음식과 식생활, 향토 음식이 형성되었고 시대에 따라 변화하여...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신간회 산하 지회. 신간회 상주지회(新幹會 尙州支會)는 경상북도의 20개 신간회 지회 중 하나로 상주 지역의 민족 독립운동을 위하여 설립된 단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곡리(申谷里)는 지형이 납[원숭이]처럼 생겨 ‘납실[남실]’, ‘신곡(申谷)’, ‘남곡(南谷)’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그리스도교의 주요 분파. 개신교는 16세기 로마 가톨릭에 대항하여 이루어진 종교개혁을 통하여 성립된 복음주의 성향의 기독교 분파이다. 18세기 이후 아시아와 아프리카 등지에 전도되었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는 19세기 후반에 개신교 신자가 등장하였으며, 1900년 초 교회 설립이 본격화되었다....
-
개항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애국계몽운동의 일환으로 전개된 교육 구국 운동. 신교육구국운동(新敎育救國運動)은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면서 국권을 박탈당하고 일제 통감부가 설치되자 교육을 진흥하여 국권 회복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추진하였던 교육 구국 운동이다. 1905년 이후 애국 계몽 단체와 계몽 운동가들은 민족이 주체가 된 교육을 통하여 국권을 회복하고자 사립 학교 설립에 앞...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신대응(申大膺)[1789~1863]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대유(大猷), 호는 화석(華石)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신재달(申再達)이고, 할아버지는 신이협(申以恊)이다.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신영눌(申永訥)이고, 어머니는 조묵연(趙黙然)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곽진교(郭鎭敎)의 딸 현풍 곽씨(玄風 郭氏)이고, 두 번째 부...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신덕리(新德里)는 지형이 용처럼 생겼다고 하여 ‘용골’, ‘용곡’으로 불렸으며, 용의 덕이 새롭다 하여 ‘신덕’이라고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신덕리(新德里)는 지형이 용처럼 생겼다고 하여 ‘용골’, ‘용곡’으로 불렸으며, 용의 덕이 새롭다 하여 ‘신덕’이라고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개항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의병. 신돌석(申乭石)[1871~?]은 1871년경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에서 태어났다. 영해 출신의 의병장 신돌석(申乭石)[1878~1908]과는 동명이인이다. 1907년 음력 11월 같은 화북면 출신의 의병장 조운식(趙雲植)이 이끄는 조운식의진에 참여하였다. 1907년 11월 20일경 민한식(閔漢植), 곽준희(郭駿熙), 임해준(任海俊), 이향...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신봉교회(新鳳敎會)는 상주서정교회에서 분립하여 설립된 교회이다. 상주 지역 교회 중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교회 중 하나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신봉동(新鳳洞)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신안리(新安里)의 ‘신(新)’ 자와 봉대리(鳳垈里)의 ‘봉(鳳)’ 자를 따서 ‘신봉리(新鳳里)’라 한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봉리(新鳳里)는 마을 뒤편의 봉황산이 높다 하여 ‘신봉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상리(新上里)[낙동면]는 신촌의 위라는 뜻으로 ‘웃신촌’, ‘상신촌’, ‘신상’으로 불린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신촌은 신상리의 으뜸 마을로 조선 말 경주 이씨가 개척하였으며, 상주 금광이 생긴 뒤부터 큰 마을이 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상리(新上里)[낙동면]는 신촌의 위라는 뜻으로 ‘웃신촌’, ‘상신촌’, ‘신상’으로 불린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신촌은 신상리의 으뜸 마을로 조선 말 경주 이씨가 개척하였으며, 상주 금광이 생긴 뒤부터 큰 마을이 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상리(新上里)[외남면]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신상리’라 하였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신석번(申碩蕃)[1596~1675]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중연(仲衍), 호는 백원(百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부사용 신공헌(申公獻)이고, 할아버지는 사복시주부 신운(申雲)이다. 아버지는 신근(申謹)이고, 어머니는 덕수 이씨(德水 李氏)이다. 부인은 현감 정숭연(鄭崇衍)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고, 아들은 신행(申烆)·신관(申爟)·신난(...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암리(新岩里)는 큰 바위가 많이 있어 ‘신암리’라고 불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암리(新岩里)는 큰 바위가 많이 있어 ‘신암리’라고 불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오리(新梧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신기리(新基里)의 ‘신(新)’ 자와 음오리(陰梧里)의 ‘오(梧)’ 자를 따서 ‘신오리’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신오리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신오리 동제(新梧里 洞祭)는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신오리에서 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제사는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 밤에 마을 근처 동산 북쪽에 있는 서낭당인 ‘골맥이당’과 마을 동북쪽 밭에 있는 자연석인 ‘거북돌’에 지낸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이인지(李麟至)[1683~1746]의 본관은 흥양(興陽)이며, 자는 성서(聖瑞), 호는 신와(新窩)·은와(恩窩)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지례현감 이전(李㙉)이고, 할아버지는 빙고별제 이덕규(李德圭)이다. 아버지는 광릉참봉 이재헌(李在憲)이고, 어머니는 조선(趙宣)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이경초(李慶初)의 딸 벽진 이씨(碧珍 李氏...
-
경상북도 상주시 일대에서 활동하는 신흥 종교. 신종교(新宗敎)라는 용어는 기성 종교에 대응하여 기성 종교와의 관련하에서만 쓰이는 개념이다. 신종교에서 ‘신(新)’이 가진 ‘새롭다’라는 성격은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하면서 한편으로 정교하게 제도화된 종교에 비하여 기반이 약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호소력과 주장을 지니고 있다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거주한 문신. 신집(申楫)[1580~1639]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여섭(汝涉), 호는 하음(河陰)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호군 신종위(申從渭)이고, 할아버지는 습독 신연(申演)이다. 아버지는 주부 신경남(申慶男)이고, 어머니는 참봉 권제세(權濟世)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사정 홍덕록(洪德祿)의 딸 부림 홍씨(缶林 洪氏)이고...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천리(新川里)는 과거 내 바닥[냇가 바닥, 하천 바닥]이었는데 냇물이 북쪽으로 물러가서 새로운 마을이 형성되었다는 뜻에서 ‘새내’ 혹은 ‘신천’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천리(新川里)는 과거 내 바닥[냇가 바닥, 하천 바닥]이었는데 냇물이 북쪽으로 물러가서 새로운 마을이 형성되었다는 뜻에서 ‘새내’ 혹은 ‘신천’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촌리(新村里)[내서면]는 골짜기 안쪽에 마을이 새로 생겼다고 ‘골안’ 또는 ‘신촌’이라 부른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촌리(新村里)[내서면]는 골짜기 안쪽에 마을이 새로 생겼다고 ‘골안’ 또는 ‘신촌’이라 부른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촌리(新村里)[외남면]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새로[신(新)] 만든 마을[촌(村)]이라는 의미에서 ‘신촌리’라고 한 것으로 보인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촌리(新村里)[화동면]는 냇물과 가까운 들판으로 이주하면서 새로 만든 마을이라 하여 ‘신촌(新村)’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하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신필정(申弼貞)[1656~1729]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원백(元伯), 호는 병옹(病翁)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신상철(申尙哲)이고, 할아버지는 인천부사 신숭구(申崇耈)이다. 아버지는 신후석(申厚錫)이고, 어머니는 부윤 박문도(朴文度)의 딸 무안 박씨(務安 朴氏)이다. 부인은 이진화(李震華)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고, 아들은 신...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문신. 신후명(申厚命)[1638~1701]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천휴(天休), 호는 임하당(林下堂)이다. 신여길(申汝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호조정랑 신상철(申尙哲)이다. 아버지는 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 신형구(申衡耉)이며, 또한 이조참판에 증직되었다. 어머니는 참의 성시헌(成時憲)의 딸 창녕 성씨(昌寧 成氏)로 정부인(貞夫人)에...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신후재(申厚載)[1636~1699]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덕부(德夫), 호는 규정(葵亭)·서암(恕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신여길(申汝吉)이고, 할아버지는 호조정랑 신상철(申尙哲)이다. 아버지는 제천현감 신항구(申恒耉)이고, 어머니는 허한(許僩)의 딸 양천 허씨(陽川 許氏)이다. 부인은 부사 류호연(柳浩然)의 딸 진주 류씨(晉州 柳氏...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신흥리 오봉산 자락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함창 오봉산 고분군(咸昌 五峰山 古墳群)은 고령가야의 옛 터로 알려진 경상북도 함창 지역에 4세기 전반에서 7세기 전반에 걸쳐 조성된 고분군이다. 1998년 4월 13일 경상북도 기념물 제12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기념물로 변경되...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흥리(新興里)[모동면]는 새로 일어난다는 뜻에서 ‘신흥리’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신흥리(新興里)[함창읍]는 본래 함창군 동면의 지역으로 새로 새겼다는 뜻으로 ‘새마’, ‘신흥’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중벌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 해인사의 말사. 신흥사(新興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중벌리에 있는 전통 사찰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인 해인사의 말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중벌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 해인사의 말사. 신흥사(新興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중벌리에 있는 전통 사찰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인 해인사의 말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일대에서 활동하는 신흥 종교. 신종교(新宗敎)라는 용어는 기성 종교에 대응하여 기성 종교와의 관련하에서만 쓰이는 개념이다. 신종교에서 ‘신(新)’이 가진 ‘새롭다’라는 성격은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하면서 한편으로 정교하게 제도화된 종교에 비하여 기반이 약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호소력과 주장을 지니고 있다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학자. 황계희(黃啓熙)[1727~1785]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경초(景初), 호는 심기당(審幾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종량(黃鍾亮), 할아버지는 황연(黃沇), 아버지는 황도중(黃道重)이다. 어머니는 이만헌(李萬憲)의 딸 연안 이씨(延安 李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삼락(金三樂)[1610~1666]의 본관은 청도(淸道)이며, 자는 낙전(樂全), 호는 쌍수당(雙修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수의부위 김흡(金洽)이고, 할아버지는 김준신(金俊臣)이다. 아버지는 김백일(金百鎰)이고, 어머니는 신철(辛澈)의 딸 영산 신씨(靈山 辛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홍우민(洪友閔)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장...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윤직리에서 동제인 쌍화제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쌍화제(雙花祭)」는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윤직리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암석 전설이며, 바위와 관련하여 마을의 이름이 지어진 내력을 설명하는 지명 유래담이기도 하다. 바위에 동제(洞祭)를 올리게 된 유래와 동제의 과정도 상세하게 전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이루어지는 민속놀이이자 전통 운동경기.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맞잡고 상대를 먼저 넘어뜨리는 것으로 승부를 겨루는 전통 운동경기이자 민속놀이이다. 각저(角觝)·백희(百戲)·각기(角技)·상박(相撲)이라고도 한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는 주로 음력 5월 5일인 단오나 추석 같은 큰 명절에 건장한 장정들이 행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목가리에 있는 축산물 가공 및 저장 처리 업체. 씨티푸드는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과 지천동, 안동시 용상동에 공장을 두고 있는 축산물 가공을 주로 하는 식품 제조 업체이다.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에 영업본부를 두고 있다.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제1공장, 상주시 지천동에 제2공장, 안동시 용상동에 제3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목가리에 있는 축산물 가공 및 저장 처리 업체. 씨티푸드는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과 지천동, 안동시 용상동에 공장을 두고 있는 축산물 가공을 주로 하는 식품 제조 업체이다.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에 영업본부를 두고 있다.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제1공장, 상주시 지천동에 제2공장, 안동시 용상동에 제3공장을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