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권구(權坵)[1611~1682]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차산(次山), 호는 장재(藏齋) 또는 구학재(溝壑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대기(權大器)이고, 할아버지는 왕자사부를 지낸 권우(權宇)이다. 아버지는 권익린(權益隣)이고, 어머니는 좌랑 안명남(安命男)의 딸 순흥 안씨(純興 安氏)이다. 부인은 장령 이익(李瀷)의 딸 경주 이씨(慶州...
-
개항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문신이자 의병. 유인목(柳寅睦)[1838~1900]의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낙삼(樂三), 호는 차산(此山)이다. 어릴 때 이름은 유향목(柳香睦)이다. 아버지는 행지례현감(行知禮縣監)를 지낸 유교조(柳敎祚)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참나무배기마을과 류후조에 대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참나무배기」는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에 있는 참나무배기마을의 지명 유래 전설이면서 ‘낙동 대감’으로 불리던 낙파(洛坡) 류후조(柳厚祚)[1798~1876]에 대한 인물 전설이다....
-
성인보를 시조로 하고 성람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상주시의 세거 성씨. 창녕 성씨(昌寧 成氏)는 고려 중엽 때 향직의 호장을 역임한 성인보(成仁輔)를 시조로 하고 있다. 문헌에 따르면 성인보는 명종 때 사람으로, 고종 때 성(姓)을 얻은 것으로 전한다. 성인보의 3세손 성공필(成公弼)과 성한필(成漢弼) 대에서 두 계통으로 갈라졌으며, 이후 판서공파(判書公派)·독곡공파(獨谷公派)[...
-
조계룡을 시조로 하고 조순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상주시의 세거 성씨. 창녕 조씨(昌寧 曺氏) 시조는 신라 진평왕의 사위인 조계룡(曺繼龍)이다.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 따르면 조계룡의 어머니는 한림학사 이광옥(李光玉)의 딸 이예향(李禮香)이다. 예향은 창녕현 고암촌(鼓巖村) 출신으로, 병이 생겨 화왕산(火旺山) 용지(龍池)에 가서 목욕재계하고 기도를 올리니 신기하게 병이...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가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창석사당(蒼石祠堂)은 이준(李埈)[1560~1635]을 모시는 불천위 사당이다. 1986년 12월 11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78-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이준(李埈)[1560~1635]의 본관은 흥양(興陽)이며, 자는 숙평(叔平), 호는 창석(蒼石)·유계(酉溪)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조년(李兆年)이고, 할아버지는 종사랑 이탁(李琢)이다. 아버지는 이수인(李守仁)이고, 어머니는 신수경(申守涇)의 딸 고령 신씨(高靈 申氏)이다. 부인은 문수민(文秀民)의 딸 선산 문씨(善山 文氏)이고, 아들은 이대규(李大圭...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홍미(金弘微)[1557~1605]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며, 자는 창원(昌遠), 호는 성극당(省克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부사직 김예강(金禮康)이고, 할아버지는 장사랑 김윤검(金允儉)이다. 아버지는 옥과현감 김범(金範)이고, 어머니는 계공랑 조한신(曺漢臣)의 딸 창녕 조씨(昌寧 曺氏)이다. 부인은 원주목사 류운룡(柳雲龍)의 딸 풍산 류씨(豊山 柳氏)...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전극념(全克恬)[1597~1660]의 본관은 옥천(沃川)이며, 자는 유안(幼安), 호는 창주(滄洲)·어은(漁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전혼(全焜)이고, 할아버지는 전여림(全汝霖)이다. 아버지는 대사헌 전식(全湜)이고, 어머니는 홍천서(洪天叙)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다. 부인은 김천영(金天英)의 딸 선산 김씨(善山 金氏)이다. 형은 전극항(全克恒)...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채기중(蔡基中)[1873~1921]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극오(極五), 호는 소몽(素夢)이다. 아버지는 채헌락(蔡憲洛)이고, 어머니는 곡부 공씨(曲阜 孔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정착한 의관이자 학자. 채득기(蔡得沂)[1605~1646]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영이(詠而), 호는 우담(雩潭)·학정(鶴汀)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채순연(蔡舜年)이고, 할아버지는 채무기(蔡無己)이다. 아버지는 채유종(蔡有終)이고, 어머니는 목사 이귀수(李龜壽)의 딸 고성 이씨(固城 李氏)이다. 부인은 판관 신응연(辛應鍊)의 딸 영산 신씨(靈山 辛氏)...
-
경상북도 상주시를 대표하는 전통 민요. 「채련요」는 ‘상주 함창’, 곧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양정리에 있는 경상북도 기념물 상주 공검지(尙州 恭儉池)[공갈못]를 배경으로 형성된 민요이다. 「연밥 따는 노래」라고 불리기도 하며, 흔히 「상주 모심기노래」라고 알려져 있다. 아름답고 서정적인 가락에 향토성과 토속성이 짙게 스며 있어 전국에 널리 전파되어 있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
개항기 상주 출신의 의병. 채섬환(蔡暹奐)[1874~1944]의 본관은 인천(仁川), 자는 효진(孝進), 호는 후곡(后谷)이다. 아버지는 채세필(蔡世弼)이고, 어머니는 평산 신씨(平山 申氏)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채세현(蔡世鉉)[1890~1949]은 1890년 10월 24일 지금의 상주시 이안면 소암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3월 23일 상주 장터에서 만세 시위가 일어난 후 채세현은 채순만(蔡淳萬) 등과 함께 소암리에서도 만세 시위를 전개하기로 논의하였고, 3월 29일 인천 채씨(仁川 蔡氏) 문중의 청년 20여 명을 이끌고 마을 남쪽의 제방...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채소권(蔡紹權)[1480~1548]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효중(孝仲), 호는 졸옹(拙翁)·졸재(拙齋)이다. 초명은 채수동(蔡壽童)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세자시강원문학 채윤(蔡倫)이고, 할아버지는 남양도호부사 채신보(蔡申保)이다. 아버지는 호조참판 채수(蔡壽)이고, 어머니는 부사 권이순(權以順)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부인은 전양(全...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채수(蔡壽)[1449~1515]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기지(耆之), 호는 나재(懶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채영(蔡泳)이고, 할아버지는 세자시강원필선 채윤(蔡倫)이다. 아버지는 남양도호부사 채신보(蔡申保)이고, 어머니는 류승순(柳承順)의 딸 문화 류씨(文化 柳氏)이다. 부인은 권이순(權以順)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고, 아들은 채윤권(蔡...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채소권(蔡紹權)[1480~1548]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효중(孝仲), 호는 졸옹(拙翁)·졸재(拙齋)이다. 초명은 채수동(蔡壽童)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세자시강원문학 채윤(蔡倫)이고, 할아버지는 남양도호부사 채신보(蔡申保)이다. 아버지는 호조참판 채수(蔡壽)이고, 어머니는 부사 권이순(權以順)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부인은 전양(全...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채이항(蔡以恒)[1596~1666]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여구(汝久), 호는 오봉(五峰)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채무경(蔡無競)이고, 할아버지는 채유업(蔡有業)이다. 아버지는 채천서(蔡天瑞)이고, 어머니는 동지중추부사 남국신(南國臣)의 딸 영양 남씨(英陽 南氏)이다. 부인은 권극성(權克誠)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고, 아들은 채지연(蔡之演...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채주욱(蔡周郁)[1787~1860]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종문(宗文), 호는 소은(素隱)이다. 아버지는 채석우(蔡錫禹)이고, 어머니는 여주 이씨(驪州 李氏)이다. 동생은 채주익(蔡周𨜶)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채하징(蔡河徵)[1619~1687]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희서(羲瑞), 호는 취암(翠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채이범(蔡以範)이고, 할아버지는 채천경(蔡天經)이다. 아버지는 부사과 채상주(蔡尙周)이고, 어머니는 월성 김씨(月城 金氏)이다. 부인은 전이회(全以悔)의 딸 축산 전씨(竺山 全氏)이고, 아들은 채휴길(蔡休吉)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채헌징(蔡獻徵)[1648~1726]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문수(文叟), 호는 우헌(愚軒)·여물헌(與物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채천계(蔡天啓)이고, 할아버지는 채이복(蔡以復)이다. 아버지는 충의위 채기종(蔡起宗)이고, 어머니는 순천 김씨(順天 金氏)이다. 아버지의 육촌 형제인 채지수(蔡之洙)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순절인. 채홍(蔡泓)[1556~1592]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청숙(淸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채윤권(蔡胤權)이고, 할아버지는 채무휼(蔡無恤)이다. 아버지는 채유근(蔡有根)이고, 어머니는 김호의 딸 광주 김씨(廣州 金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조희조(趙希曺)의 딸 한양 조씨(漢陽 趙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서적선(徐積善)의 딸 이천 서씨(利川 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척동리(尺洞里)는 넓은 들판이면서도 산 아래 있는 마을이라 ‘자골’·‘작골’·‘척동’이라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여기서 ‘자’는 우리말 산(山)을 뜻하는데, ‘자’를 한자로 옮기면서 훈차하여 척(尺)이라 쓴 것으로 보인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척동리(尺洞里)는 넓은 들판이면서도 산 아래 있는 마을이라 ‘자골’·‘작골’·‘척동’이라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여기서 ‘자’는 우리말 산(山)을 뜻하는데, ‘자’를 한자로 옮기면서 훈차하여 척(尺)이라 쓴 것으로 보인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윷으로 승부를 겨루는 민속놀이. 윷놀이는 나무를 깎아 만든 4개의 윷가락을 던져서 바닥에 놓인 윷가락의 형태에 따라 말을 움직이는 민속놀이이다. 사희(柶戲), 척사놀이(擲柶-)라고도 한다. 윷놀이는 주로 정월대보름에 행하는데, 한 해의 복을 점치는 의미도 띠고 있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는 마을마다 편을 가르거나 마을 내에서 편을 나누어서 놀기도 한다. 편을 나누...
-
고려 후기 상주 지역에 거주하였던 문신. 김구용(金九容)[1338~1384]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경지(敬之)·백은(伯誾), 호는 척약재(惕若齋)·육우당(六友堂)이다. 초명은 김제민(金齊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선(金愃)이고, 할아버지는 김승택(金承澤)이다. 아버지는 상락군(上洛君) 김묘(金昴)이고, 어머니는 여흥군(驪興君) 민사평(閔思平)의 딸 여흥 민씨(驪興 閔氏)...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홍상민(洪相民)[1654~1726]의 본관은 부림(缶林)이며, 자는 천경(天卿), 호는 봉암(鳳岩)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덕록(洪德祿)이고, 할아버지는 홍호(洪鎬)이다. 아버지는 홍여하(洪汝河)이고, 어머니는 황덕유(黃德柔)의 딸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다. 부인은 장만용(張萬容)의 딸 인동 장씨(仁同 張氏)이고, 아들은 홍대구(洪大龜)이다. 형은 홍...
-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 만산동, 부원동과 외서면 봉강리의 경계에 있는 산. 천봉산(天鳳山)은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 만산동, 부원동과 외서면 봉강리의 경계를 이루는 436.6m의 산이다. 예부터 상주 북쪽의 명산으로 ‘북 석악(北 石岳)’으로 불렸으며, 천봉산(千峰山)이라고도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천봉산 남매당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천봉산 남매당(天峰山 男妹堂)」은 계모와 전처 자식 사이의 갈등을 다루는 계모 설화의 변이형이면서 남매당의 건립 경위를 설명하는 사물 전설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천봉산 성황사에서 지내는 마을 제사. 천봉산 성황제(天奉山 城隍祭)는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리 545번지에 있는 천봉산 성황사에서 지내는 마을 제사를 말한다. 과거에는 상주 지역의 향리들이 중심이 되어 지내던 읍치 성황제였으나 현재는 마을의 안녕을 위해 지내는 마을 제사[동제(洞祭)]의 하나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 만산동, 부원동과 외서면 봉강리의 경계에 있는 산. 천봉산(天鳳山)은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 만산동, 부원동과 외서면 봉강리의 경계를 이루는 436.6m의 산이다. 예부터 상주 북쪽의 명산으로 ‘북 석악(北 石岳)’으로 불렸으며, 천봉산(千峰山)이라고도 한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천세헌(千世憲)[1879~1945]의 본관은 형양(潁陽)이다. 아버지는 천병우(千秉祐)이고, 어머니는 영월 엄씨(寧越 嚴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이증록(李增祿)[1674~1727]의 본관은 흥양(興陽)이며, 자는 천여(天與), 호는 무하당(無何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신규(李身圭)이고, 할아버지는 이재융(李在隆), 아버지는 이석지(李碩至)이다. 부인은 심광원(沈廣源)의 딸이고, 아들은 이상원(李尙遠)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속리산 문장대와 주변의 수려한 경관. 문장대는 천왕봉·비로봉·관음봉과 함께 속리산의 주봉 중 하나이다. 산꼭대기에 있는 커다란 바위에는 50명이 동시에 앉을 수 있을 만큼 넓은 터가 있으며, 바위에서 속리산의 수려한 절경을 볼 수 있다. 문장대를 세 번 다녀와야 극락정토에 갈 수 있다는 전설이 생길 만큼 신선의 땅인 듯 신비로운 곳이다. 문장대에 오르는 3개...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 권용중(權用中)[1552~1598]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기수(器叟), 호는 천연재(天淵齋)·활사(活沙)이다. 초명은 권기수(權己壽)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충순위 권자평(權自平)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권수화(權秀華)이다. 아버지는 전생서별제 권세기(權世麒)이고, 어머니는 참봉 이기영(李基榮)의 딸 성산 이씨(星山 李氏)이다. 큰아버지...
-
경상북도 상주시 외답동에 있는 조선 후기 별서. 천운정사(天雲精舍)는 조선 후기 상주 출신 학자 이만부(李萬敷)[1664~1732]의 별서(別墅)로 1700년 건립 당시는 ‘천운당’으로 불렀다. 1987년 12월 29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7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답동에 있는 조선 후기 별서. 천운정사(天雲精舍)는 조선 후기 상주 출신 학자 이만부(李萬敷)[1664~1732]의 별서(別墅)로 1700년 건립 당시는 ‘천운당’으로 불렀다. 1987년 12월 29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7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답동에 있는 조선 후기 별서. 천운정사(天雲精舍)는 조선 후기 상주 출신 학자 이만부(李萬敷)[1664~1732]의 별서(別墅)로 1700년 건립 당시는 ‘천운당’으로 불렀다. 1987년 12월 29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7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답동에 있는 조선 후기 별서. 천운정사(天雲精舍)는 조선 후기 상주 출신 학자 이만부(李萬敷)[1664~1732]의 별서(別墅)로 1700년 건립 당시는 ‘천운당’으로 불렀다. 1987년 12월 29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7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변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로마 가톨릭 교회. 천주교(天主敎)의 공식 명칭은 로마 가톨릭 교회(Roman Catholic Church)이다. 우리나라에 전래되면서 서학(西學)·서교(西敎)·천주학(天主學)·천주공교(天主公敎) 등으로 불리다가 천주교로 정착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개운동에 있는 천주교 안동교구 소속 성당. 개운동성당(開雲洞聖堂)은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가장 최근에 설립된 성당이다. 그리스도의 교육 수녀회가 활동하고 있으며, 외남공소를 관리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로마 가톨릭 교회. 천주교(天主敎)의 공식 명칭은 로마 가톨릭 교회(Roman Catholic Church)이다. 우리나라에 전래되면서 서학(西學)·서교(西敎)·천주학(天主學)·천주공교(天主公敎) 등으로 불리다가 천주교로 정착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조선 전기 누정. 침천정(枕泉亭)은 1577년 설립한 관 누정으로, 상주목사를 비롯하여 공무에 시달리는 관리들의 휴식처였다. 침천정는 1577년 읍성 남문 밖에 건립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이후 수차례 중건되고 중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조선 전기 누정. 침천정(枕泉亭)은 1577년 설립한 관 누정으로, 상주목사를 비롯하여 공무에 시달리는 관리들의 휴식처였다. 침천정는 1577년 읍성 남문 밖에 건립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이후 수차례 중건되고 중수되었다....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문신. 신후명(申厚命)[1638~1701]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천휴(天休), 호는 임하당(林下堂)이다. 신여길(申汝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호조정랑 신상철(申尙哲)이다. 아버지는 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 신형구(申衡耉)이며, 또한 이조참판에 증직되었다. 어머니는 참의 성시헌(成時憲)의 딸 창녕 성씨(昌寧 成氏)로 정부인(貞夫人)에...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본처가 첩을 원망하며 부르던 민요. 전국에 분포하는 「첩노래(妾노래)」는 전통사회에서 주로 여성의 몫으로 여겨졌던 길쌈이나 가사 노동 등을 하면서 부르던 여성들의 노동요이자 시집살이요이다. 사설의 내용은 지역에 따라, 가창자에 따라 달라진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하여 오는 「첩노래」는 본처가 벼르고 첩의 집에 찾아갔으나 첩이 하는 행동과 외모를 보고 복수도 못...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청계사(淸溪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에 있는 전통 사찰이며, 견훤산성 안에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말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청계사(淸溪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에 있는 전통 사찰이며, 견훤산성 안에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말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와 화남면 동관리, 화서면 하송리의 경계에 있는 산. 청계산(淸溪山)은 경상북도 상주시의 북서쪽 화북면 상오리와 화남면 동관리, 화서면 하송리에 걸쳐 있는 874m의 산이다. 정상은 두루봉이며, 주 능선은 북서 남동 방향으로 달리는데, 남동쪽으로는 투구봉과 대궐터산으로 이어진다. 서쪽으로는 갈령을 사이에 두고 백두대간의 형제봉을 마주하고 있으며, 동쪽으...
-
일제 강점기 1920년대에서 1930년대까지 경상북도 상주에서 청년을 중심으로 전개된 대중 운동. ‘청년’은 특정한 계급이나 신분을 의미하는 범주화된 집단은 아니며, 일정한 범위에 속하는 연령층을 뜻한다. 생물학적 세대의 특성을 가진 청년이 사회 변화를 추구하는 대중 운동의 주체로 부각되며 전개된 것이 ‘청년 운동’이다. 우리 역사에서 근대 청년 운동이 본격적으로 발생한 때는 3·...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문신. 권상일(權相一)[1679~1759]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태중(台仲), 호는 청대(淸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구(權坵)이고, 할아버지는 권이칭(權以偁)이다. 아버지는 권심(權深)이고, 어머니는 부사 이달의(李達意)의 딸 경주 이씨(慶州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김가주(金可柱)의 딸 선성 김씨(宣城 金氏), 두 번째 부인은...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청동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이래 철기가 등장하기 이전까지의 역사. 청동(靑銅)은 구리와 주석을 혼합한 합금을 말하며, 주석 이외에 아연이나 납을 섞기도 한다. 인류가 도구를 제작하는 데 활용한 최초의 금속으로, 청동기의 등장은 역사 발전 과정에서 청동기 시대의 시작을 의미한다. 한국의 청동기는 대체로 무기류(武器類)가 주종을 이루는데, 의기(儀器)·공구(工具)...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회상리에 있는 법화종 소속 사찰. 청룡사(靑龍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회상리 경천대국민관광지 인근의 낙동강 변 경승지 산록에 자리한 법화종 소속 사찰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회상리에 있는 법화종 소속 사찰. 청룡사(靑龍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회상리 경천대국민관광지 인근의 낙동강 변 경승지 산록에 자리한 법화종 소속 사찰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배움과 나눔이 즐거운 따뜻한 청리 교육’이며 추구하는 학생상은 ‘모든 일에 솔선수범하고 자주적인 학생, 항상 생각하고 실천하는 학생, 즐겁게 활동하며 몸과 마음이 건전한 학생’이다. 교훈은 “진리를 알고 옳게 생각하여 바르게 행하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배움과 나눔이 즐거운 따뜻한 청리 교육’이며 추구하는 학생상은 ‘모든 일에 솔선수범하고 자주적인 학생, 항상 생각하고 실천하는 학생, 즐겁게 활동하며 몸과 마음이 건전한 학생’이다. 교훈은 “진리를 알고 옳게 생각하여 바르게 행하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존감과 배려를 실천하는 감성 교육, 새로운 생각을 키우고 꿈을 가꾸는 배움,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배우고 실천하는 학생 주도형 활동,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 공동체 문화 형성 등을 통하여 “문화인, 자주인, 봉사인, 창의인”을 육성하는 것이다. 교훈은 “슬기롭고 알차며 튼튼한 몸”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존감과 배려를 실천하는 감성 교육, 새로운 생각을 키우고 꿈을 가꾸는 배움,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배우고 실천하는 학생 주도형 활동,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 공동체 문화 형성 등을 통하여 “문화인, 자주인, 봉사인, 창의인”을 육성하는 것이다. 교훈은 “슬기롭고 알차며 튼튼한 몸”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법정면. 청리면(靑里面)은 본래 조선 시대 청리현의 남쪽이라는 것에 유래하여 청남면이라 하였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청리현의 이름을 따서 ‘청리면’이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원장리에 있는 경북선 철도역. 청리역(靑里驛)은 경북선 철도 건설 사업의 일환으로 건설되어 1924년 10월 1일 김천-상주 구간이 개통됨에 따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배움과 나눔이 즐거운 따뜻한 청리 교육’이며 추구하는 학생상은 ‘모든 일에 솔선수범하고 자주적인 학생, 항상 생각하고 실천하는 학생, 즐겁게 활동하며 몸과 마음이 건전한 학생’이다. 교훈은 “진리를 알고 옳게 생각하여 바르게 행하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배움과 나눔이 즐거운 따뜻한 청리 교육’이며 추구하는 학생상은 ‘모든 일에 솔선수범하고 자주적인 학생, 항상 생각하고 실천하는 학생, 즐겁게 활동하며 몸과 마음이 건전한 학생’이다. 교훈은 “진리를 알고 옳게 생각하여 바르게 행하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배움과 나눔이 즐거운 따뜻한 청리 교육’이며 추구하는 학생상은 ‘모든 일에 솔선수범하고 자주적인 학생, 항상 생각하고 실천하는 학생, 즐겁게 활동하며 몸과 마음이 건전한 학생’이다. 교훈은 “진리를 알고 옳게 생각하여 바르게 행하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배움과 나눔이 즐거운 따뜻한 청리 교육’이며 추구하는 학생상은 ‘모든 일에 솔선수범하고 자주적인 학생, 항상 생각하고 실천하는 학생, 즐겁게 활동하며 몸과 마음이 건전한 학생’이다. 교훈은 “진리를 알고 옳게 생각하여 바르게 행하자”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 소상리에서 발원하여 청리면 일대를 흐르는 하천. 청리천(靑里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 소상리 주변 산지에서 발원하여 북동쪽으로 흘러 구서리와 청리면 덕산리를 지나 수상리에서 병성천으로 유입하는 지방 하천이다. 청리천은 낙동강 수계의 제2지류이고, 병성천의 제1지류에 해당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존감과 배려를 실천하는 감성 교육, 새로운 생각을 키우고 꿈을 가꾸는 배움,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배우고 실천하는 학생 주도형 활동,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 공동체 문화 형성 등을 통하여 “문화인, 자주인, 봉사인, 창의인”을 육성하는 것이다. 교훈은 “슬기롭고 알차며 튼튼한 몸”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존감과 배려를 실천하는 감성 교육, 새로운 생각을 키우고 꿈을 가꾸는 배움,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배우고 실천하는 학생 주도형 활동,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 공동체 문화 형성 등을 통하여 “문화인, 자주인, 봉사인, 창의인”을 육성하는 것이다. 교훈은 “슬기롭고 알차며 튼튼한 몸”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존감과 배려를 실천하는 감성 교육, 새로운 생각을 키우고 꿈을 가꾸는 배움,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배우고 실천하는 학생 주도형 활동,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 공동체 문화 형성 등을 통하여 “문화인, 자주인, 봉사인, 창의인”을 육성하는 것이다. 교훈은 “슬기롭고 알차며 튼튼한 몸”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자존감과 배려를 실천하는 감성 교육, 새로운 생각을 키우고 꿈을 가꾸는 배움,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배우고 실천하는 학생 주도형 활동,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 공동체 문화 형성 등을 통하여 “문화인, 자주인, 봉사인, 창의인”을 육성하는 것이다. 교훈은 “슬기롭고 알차며 튼튼한 몸”이다....
-
고려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청리현(靑理縣)은 고려 시대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일대에 설치되었다가 조선 시대 때 폐현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청상리(靑上里)는 과거의 청리현 읍내 위쪽 마을이라는 뜻으로 청상리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상리에서 효자 유유발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청상리의 효자 유유발」은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상리(靑上里)에 살던 효자 유유발(劉有發)[1698~1756]과 관련된 신이한 이야기이다. 유유발의 지극한 효행이 산신령을 감동시켜, 한겨울임에도 아버지의 병을 낫게 할 천도복숭아를 구할 수 있었다는 내용이다. 1760년(영조 35)에 유림에서 유유...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상리에 있는 저수지. 청상지(靑上池)는 안정적인 농업용수 보충과 자연재해 예방 및 하천 수량 증대 등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상리에 있는 저수지. 청상지(靑上池)는 안정적인 농업용수 보충과 자연재해 예방 및 하천 수량 증대 등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순절인. 채홍(蔡泓)[1556~1592]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청숙(淸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채윤권(蔡胤權)이고, 할아버지는 채무휼(蔡無恤)이다. 아버지는 채유근(蔡有根)이고, 어머니는 김호의 딸 광주 김씨(廣州 金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조희조(趙希曺)의 딸 한양 조씨(漢陽 趙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서적선(徐積善)의 딸 이천 서씨(利川 徐...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예주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청암서원(淸巖書院)은 류포(柳砲)[1375~1448], 류달존(柳達尊)[1395~1466], 박눌(朴訥)[1448~1528], 이겸(李謙)[1452~1507], 류종인(柳宗仁)[1516~1545], 홍약창(洪約昌)[1535~1592], 남영(南嶸)[1548~1606], 정윤해(鄭允諧)[1553~1618], 박성민(朴成敏)[16...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예주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청암서원(淸巖書院)은 류포(柳砲)[1375~1448], 류달존(柳達尊)[1395~1466], 박눌(朴訥)[1448~1528], 이겸(李謙)[1452~1507], 류종인(柳宗仁)[1516~1545], 홍약창(洪約昌)[1535~1592], 남영(南嶸)[1548~1606], 정윤해(鄭允諧)[1553~1618], 박성민(朴成敏)[16...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정착한 유의이자 문신. 성람(成灠)[1556~1620]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사열(士悅), 호는 청죽(聽竹)이다. 초명은 성협(成浹)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성완(成玩)이고, 할아버지는 예빈시정 성희주(成希周)이다. 아버지는 강원감사 성세평(成世平)이고, 어머니는 노공좌(盧公佐)의 딸이다. 아들은 성여춘(成汝櫄)·성여백(成汝栢)이다. 형은 성락(成洛)...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세백(姜世白)[1748~1824]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청지(淸之), 호는 호린(皓隣)·기치(杞痴)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석번(姜碩蕃)이고, 할아버지는 장례원판결사 강박(姜樸)이다. 아버지는 강필악(姜必岳)이며, 어머니는 사헌부지평 이재후(李載厚)의 딸 여주 이씨(驪州 李氏)이다. 부인은 박필경(朴必慶)의 딸이고, 아들은 강장흠(姜章欽)이...
-
경상북도 상주시에 전하여지는, 청상이 된 여자가 신세를 한탄하면서 읊은 작자 미상의 조선 후기 내방 가사. 「청춘과부가(靑春寡婦歌)」는 검은 머리가 백발이 되도록 백년해로하자고 약속하였던 남편이 일찍 죽어 홀로 남게 된 여인이 외로움과 한탄, 남편에 대한 그리움을 구구절절 노래한 내방 가사이다. 특히 경상북도 상주에서 전하여지는 「청춘과부가」와 같이 여성이 자신의 신변을 탄식하여...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청하리(靑下里)는 청리현 읍내 아래쪽이라는 뜻으로 청하리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상리에서 발원하여 청하리와 원장리 일대를 흐르는 하천. 청하천(靑下川)은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상리 주변 산지에서 발원하여 북서쪽으로 흘러 청하리를 지나 원장리에서 병성천으로 유입하는 지방 하천이다. 낙동강 수계의 제2지류이고, 병성천의 제1지류에 해당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입석리와 문경시 농암면 내서리,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삼송리의 경계에 있는 산. 청화산(靑華山)은 경상북도 상주시의 서북쪽 방면에 있는 987.7m의 산이다. 산의 서쪽은 상주시 화북면 입석리, 북동쪽은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삼송리, 남동쪽은 문경시 농암면 내서리에 걸쳐 있다....
-
통일 신라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청효현(靑驍縣)은 757년(신라 경덕왕 16) 음리화현(音里火縣)을 개정한 지방 행정 구역이다. 통일 신라 시대 지방 군사 조직인 10정(停) 가운데 음리화정(音里火停)이 있었던 곳이며,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일대에 해당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지역민의 건강·여가 활동 및 지역사회 화합을 도모하기 위하여 실시하고 있는 일련의 신체 활동. 경상북도 상주시의 체육은 우리나라의 체육의 역사와 더불어 발전되어 왔다. 예로부터 전승되어 오던 민속놀이는 주요 명절에 행하여졌던 전통 체육의 모태가 되었으며 씨름, 줄다리기, 널뛰기 등의 형태는 현재까지 맥락을 이어오고 있다. 개항기를 거치면서 상주 지역의 체육 활동...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가천리에 있는 고택. 체화당(棣華堂)은 월간(月澗) 이전(李㙉)[1558~1648]의 셋째 아들 이신규(李身圭)가 1632년 지은 서실이다. 이전은 본관이 합천(陜川)으로 동생 창석(蒼石) 이준(李埈)[1560~1635]과 함께 류성룡(柳成龍)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다. 당호인 ‘체화(棣華)’는 이전·이준 형제의 우애를 뜻하는 말이다. 체화당은 1986년 12...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가천리에 있는 고택. 체화당(棣華堂)은 월간(月澗) 이전(李㙉)[1558~1648]의 셋째 아들 이신규(李身圭)가 1632년 지은 서실이다. 이전은 본관이 합천(陜川)으로 동생 창석(蒼石) 이준(李埈)[1560~1635]과 함께 류성룡(柳成龍)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다. 당호인 ‘체화(棣華)’는 이전·이준 형제의 우애를 뜻하는 말이다. 체화당은 1986년 12...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초산동(草山洞)의 지명 유래는 명확하지 않다. 다만, 초산동 서쪽 경계에 인접한 부원동의 초림이마을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초림이마을 앞 넓은 들을 풀이 많아 ‘초림(草林)’이라 하였는 바, ‘초산’ 또한 풀이 많은 곳을 뜻하는 지명이다. 또는 상주 지역 옛말에 물량이 조금 모자라는 것을 ‘초리다’라고 하였으며, 산의 옛말이 ‘뫼’인데 상주 지...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초산동(草山洞)의 지명 유래는 명확하지 않다. 다만, 초산동 서쪽 경계에 인접한 부원동의 초림이마을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초림이마을 앞 넓은 들을 풀이 많아 ‘초림(草林)’이라 하였는 바, ‘초산’ 또한 풀이 많은 곳을 뜻하는 지명이다. 또는 상주 지역 옛말에 물량이 조금 모자라는 것을 ‘초리다’라고 하였으며, 산의 옛말이 ‘뫼’인데 상주 지...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초오리(草梧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상초리(上草里)의 ‘초(草)’ 자와 오촌(梧村)의 ‘오(梧)’ 자를 따서 ‘초오리’라 하였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조기원(趙基遠)[1574~1652]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경진(景進), 호는 초은(樵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희(趙禧)이고, 할아버지는 조광헌(趙光憲)이다. 아버지는 봉상시정 조정(趙靖)이고, 어머니는 성주목사 김극일(金克一)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다. 부인은 이의정(李宜正)의 딸 신평 이씨(新平 李氏)이고, 아들은 조예(趙秇)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널을 뛰면서 노는 민속놀이. 널뛰기는 긴 널빤지 밑 가운데를 짚단이나 포대로 괴어 놓고 양쪽에 사람이 올라가 서로의 체중을 실은 반동을 이용하여 뛰어오르는 놀이이다. ‘초판희(超板戲)’, ‘판무(板舞)’, ‘도판희(蹴板戲)’라고도 한다. 설날이나 추석, 단오에 여성들이 많이 즐기는 놀이이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는 “널을 뛰면 발에 가시가 안 든다”라고 하여...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조동좌(趙東佐)[1809~1888]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유경(猷卿), 호는 총계(叢桂)이다. 초명은 조좌영(趙佐榮)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사헌부지평 조석우(趙錫愚)이고, 할아버지는 조목수(趙沐洙)이다. 아버지는 조술지(趙述志)이고, 어머니는 박정민(朴鼎敏)의 딸 밀양 박씨(密陽 朴氏)이다. 부인은 김응주(金應柱)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효곡리에 있는 개항기 효자각. 최만재 효자각(崔晩載 孝子閣)은 1884년(고종 21) 정려된 전주 최씨 최만재의 효를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최만재는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 어머니가 병석에 눕자 약을 구하는 한편 매일 목욕재계하고 기도를 올려 병환을 낫게 하였다. 또 병에 걸린 어머니가 한겨울에 참외가 먹고 싶다고 하자, 꿈에 나타난 노인이 가리킨...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최용억(崔龍繶)[1874~?]은 만주에서 조직된 대한독립군비단(大韓獨立軍備團) 소속으로 국내에 파견되어 군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하였다. 최종훈(崔鍾勳)·최용억(崔鏞繶)·최성환(崔成煥) 등으로도 알려졌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최용억(崔龍繶)[1874~?]은 만주에서 조직된 대한독립군비단(大韓獨立軍備團) 소속으로 국내에 파견되어 군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하였다. 최종훈(崔鍾勳)·최용억(崔鏞繶)·최성환(崔成煥) 등으로도 알려졌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최용억(崔龍繶)[1874~?]은 만주에서 조직된 대한독립군비단(大韓獨立軍備團) 소속으로 국내에 파견되어 군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하였다. 최종훈(崔鍾勳)·최용억(崔鏞繶)·최성환(崔成煥) 등으로도 알려졌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최정호(崔挺豪)[1563~1622]의 본관은 충주(忠州)이며, 자는 시응(時應), 호는 저곡(樗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연산현감 최홍(崔洪)이고, 할아버지는 최대관(崔大觀)이다. 아버지는 최수도(崔守道)이고, 어머니는 김윤성(金允成)의 딸 예안 김씨(禮安 金氏)이다. 부인은 성균관사성 김복일(金復一)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고, 아들은 최충망(崔...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최용억(崔龍繶)[1874~?]은 만주에서 조직된 대한독립군비단(大韓獨立軍備團) 소속으로 국내에 파견되어 군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하였다. 최종훈(崔鍾勳)·최용억(崔鏞繶)·최성환(崔成煥) 등으로도 알려졌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정지모(鄭智模)[1716~1776]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계정(季貞), 호는 추간(秋澗)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세자시강원자의 정도응(鄭道應)이고, 할아버지는 영양군수 정석교(鄭錫僑)이다. 아버지는 장릉참봉 정주원(鄭冑源)이고, 어머니는 장대유(張大猷)의 딸 인동 장씨(仁同 張氏)이다. 부인은 채보(蔡寶)의 딸 인천 채씨(仁川 蔡氏)이고, 아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성만징(成晩徵)[1659~1711]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달경(達卿), 호는 추담(秋潭)·환성당(喚醒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성여백(成汝栢)이고, 할아버지는 성진승(成震升)이다. 아버지는 성호영(成虎英)이고, 어머니는 통덕랑 이동야(李東野)의 딸 덕수 이씨(德水 李氏)이다. 부인은 현감 이상길(李相吉)의 딸 함평 이씨(咸平 李氏)이고, 아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고유(高裕)[1722~1779]의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자는 순지(順之), 호는 추담(秋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고한익(高漢翊)이고, 할아버지는 고사석(高師錫)이다. 아버지는 고규서(高奎瑞)이고, 어머니는 김익남(金益南)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도사 전광제(全光濟)의 딸 용궁 전씨(龍宮 全氏)이고, 두 번째 부인...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주로 단오에 여성들이 행하는 민속놀이. 그네뛰기는 주로 음력 5월 5일인 단오에 여성들이 즐기는 우리나라 전통 민속놀이이다. 한자어로는 ‘추천희(鞦韆戱)’, ‘반선희(半仙戱)’, ‘유선희(遊仙戱)’라고 하며, 간단하게 ‘그네’라고도 일컫는데, 그네는 그네뛰기의 놀이 기구이기도 하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는 ‘군데’라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가축을 사육하고, 사육한 가축의 생산물을 가공하는 산업. 상주시의 축산업(畜産業)은 1960년대 이후 정부의 축산 진흥 정책에 따라 농가 부업 수준으로 영위되어 오던 가축의 사육이 중요한 농특산물 산업 중 하나로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 이후에는 축산업에 대한 각종 지원 및 소득 증가에 따른 식생활 변화로 점차 전문화되어 기업 형태로 발전하였다. 202...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하여지는, 혼기를 놓친 처녀가 신세를 한탄하는 조선 후기 내방 가사. 상주시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춘규탄별곡(春閨歎別曲)」은 여자로서 갖추어야 할 모든 것을 손색없이 구비하였지만 야속한 부모의 선택과 과욕으로 번번이 혼기를 놓친 처녀가 자신의 신세를 탄식하는 내용의 내방 가사이다. 「춘규탄별곡」처럼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거나 자신의 일생을 돌아보고 삶의 비애와...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아이의 출산과 산모의 건강을 위하여 행하는 통과 의례. 상주시에서 이루어지는 출산 의례는 산모가 새로운 생명을 잉태하고 출산하여 아이를 사회의 구성원으로 건강하게 길러 내는 과정에서 행하는 통과 의례이다. 출산 의례는 기자 의례, 산전 의례, 출산 의례, 산후 의례 등 출산과 관련된 각종 의례를 모두 포함하는 말이며, 출생 의례라고도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아이의 출산과 산모의 건강을 위하여 행하는 통과 의례. 상주시에서 이루어지는 출산 의례는 산모가 새로운 생명을 잉태하고 출산하여 아이를 사회의 구성원으로 건강하게 길러 내는 과정에서 행하는 통과 의례이다. 출산 의례는 기자 의례, 산전 의례, 출산 의례, 산후 의례 등 출산과 관련된 각종 의례를 모두 포함하는 말이며, 출생 의례라고도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충렬사 및 이경류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충렬사(忠烈祠)」는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북천(北川) 전투에서 전사한 군사들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충렬사에 대한 사물 전설이다. 후반부는 북천 전투에서 전사한 이경류(李慶流)[1564~1592]의 충심과 효성을 보여 주는 일화를 담은 인물 전설이다. 충렬사가 건립되어 있는 상주 임란북천전적지(尙州 壬亂北...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사당. 충렬사(忠烈祠)는 상주 임란북천전적지(尙州 壬亂北川戰跡地)에 있는 사당이다. 상주 임란북천전적지는 임진왜란 북천전투(北川戰鬪) 때 중앙군이 왜군과 처음 싸운 장소로, 전쟁 과정에서 종사관 교리 윤섬(尹暹), 병조좌랑 이경류(李慶流), 종사관 박호(朴箎), 상주판관 권길(權吉), 사근도찰방 김종무(金宗武), 호장 박걸(朴傑), 의병장 김준신(金俊...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사당. 충렬사(忠烈祠)는 상주 임란북천전적지(尙州 壬亂北川戰跡地)에 있는 사당이다. 상주 임란북천전적지는 임진왜란 북천전투(北川戰鬪) 때 중앙군이 왜군과 처음 싸운 장소로, 전쟁 과정에서 종사관 교리 윤섬(尹暹), 병조좌랑 이경류(李慶流), 종사관 박호(朴箎), 상주판관 권길(權吉), 사근도찰방 김종무(金宗武), 호장 박걸(朴傑), 의병장 김준신(金俊...
-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에 있는 조선 후기 충신과 의사를 기리는 비. 충신의사단비(忠臣義士壇碑)는 1592년(선조 25) 상주 북천전투에 참가하여 왜군과 싸우다 전사한 윤섬(尹暹)·이경류(李慶流)·박호(朴箎) 등 충신 3명과 경상북도 상주 출신으로 의병장이 되어 생을 마친 김준신(金俊臣)·김일(金鎰)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정조가 내린 단호(壇號)를 받들어 세운 비석이다. 비는 17...
-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에 있는 조선 후기 충신과 의사를 기리는 비. 충신의사단비(忠臣義士壇碑)는 1592년(선조 25) 상주 북천전투에 참가하여 왜군과 싸우다 전사한 윤섬(尹暹)·이경류(李慶流)·박호(朴箎) 등 충신 3명과 경상북도 상주 출신으로 의병장이 되어 생을 마친 김준신(金俊臣)·김일(金鎰)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정조가 내린 단호(壇號)를 받들어 세운 비석이다. 비는 17...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무신. 정기룡(鄭起龍)[1562~1622]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경운(景雲), 호는 매헌(梅軒)이다. 초명은 정무수(鄭茂壽)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철석(鄭哲碩)이고, 할아버지는 정의걸(鄭義傑)이다. 아버지는 정호(鄭浩)이고, 어머니는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강세필(姜世弼)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고, 두 번째 부...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조태연(趙台衍)[1895~1945]의 아명은 조학연(趙學衍)이며, 자는 취삼(聚三), 호는 낙재(樂齋)이다. 아버지는 조남욱(趙南昱)이고, 아들은 조성철(趙誠轍)·조성식(趙誠軾)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채하징(蔡河徵)[1619~1687]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희서(羲瑞), 호는 취암(翠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채이범(蔡以範)이고, 할아버지는 채천경(蔡天經)이다. 아버지는 부사과 채상주(蔡尙周)이고, 어머니는 월성 김씨(月城 金氏)이다. 부인은 전이회(全以悔)의 딸 축산 전씨(竺山 全氏)이고, 아들은 채휴길(蔡休吉)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성이홍(成爾鴻)[1691~1749]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중거(仲擧), 호는 취음(翠陰)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성진승(成震升)이고, 할아버지는 성호영(成虎英)이다. 아버지는 성만징(成晩徵)이고, 어머니는 현감 이상길(李相吉)의 딸 함평 이씨(咸平 李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하대연(河大淵)[1689~?]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연연(淵淵), 호는 치옹(恥翁)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장악원정 하진영(河晉瀛)이고, 할아버지는 형조참판 하준(河浚)이다. 아버지는 하응락(河應洛)이고, 어머니는 조수(趙䇕)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부인은 예조정랑 홍도달(洪道達)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고, 아들은 하세유(河世...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남곡리와 문경시 농암면 갈동리의 경계에 있는 산. 칠봉산(七峰山)은 경상북도 상주시의 북서쪽 은척면 남곡리와 문경시 농암면 갈동리에 걸쳐 있는 597.9m의 산이다. 상주시의 북서쪽에 해당하며, 남쪽은 남산과 성주봉 줄기, 남동쪽은 은자산과 연결된다. 북쪽으로는 칠봉산의 주 능선이 길게 뻗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부원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상주 부원동 지석묘군(尙州 釜院洞 支石墓群)은 청동기 시대 유적으로 현재까지 고인돌 8기가 확인되었다. 이 중 1기의 상석에서 바위 구멍[성혈]이 관찰된다. 부원 초리미 고인돌이라고도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조선 전기 누정. 침천정(枕泉亭)은 1577년 설립한 관 누정으로, 상주목사를 비롯하여 공무에 시달리는 관리들의 휴식처였다. 침천정는 1577년 읍성 남문 밖에 건립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이후 수차례 중건되고 중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조선 전기 누정. 침천정(枕泉亭)은 1577년 설립한 관 누정으로, 상주목사를 비롯하여 공무에 시달리는 관리들의 휴식처였다. 침천정는 1577년 읍성 남문 밖에 건립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이후 수차례 중건되고 중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