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법정면. 사벌국면(沙伐國面)은 사벌국의 옛이름을 따서 ‘사벌국면’이라고 하였다....
-
1996년에 경상북도 상주 출신 아동문학가 김상삼이 펴낸 동화. 『탈을 쓰는 아이들』은 1996년에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아동문학가 김상삼이 두산동아에서 펴낸 동화이다. 김상삼은 1944년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가장리에서 출생하였으며, 1977년 「철이와 살구나무」로 창주아동문학상을 받으면서 등단하였다. 김상삼은 통신 문학지 『두 사람의 이야기』를 통한 문학 교육의 저변 확대,...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이승연(李承延)[1720~1806]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자는 태보(台甫)·석여(錫予), 호는 강재(剛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예조참판 이옥(李沃)이고, 할아버지는 이만부(李萬敷)이다. 아버지는 이지빈(李之彬)이고 어머니는 류성화(柳聖和)의 딸 풍산 류씨(豊山 柳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윤수의 딸 함안 윤씨(咸安 尹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채...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태봉리(台封里)는 태봉산이 있다는 것에 유래하여 ‘태봉리’라 불리게 되었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이주하여 정착한 학자. 김담수(金聃壽)[1535~1603]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자는 태수(台叟), 호는 서계(西溪)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부사직 김귀손(金貴孫)이고, 할아버지는 장사랑 김윤적(金允迪)이다. 아버지는 참봉 김관석(金關石)이고, 어머니는 박탄(朴坦)의 딸 순천 박씨(順天 朴氏)이다. 부인은 조몽길(曺夢吉)의 딸 창녕 조씨(昌寧 曺氏)이고,...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문신. 권상일(權相一)[1679~1759]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태중(台仲), 호는 청대(淸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구(權坵)이고, 할아버지는 권이칭(權以偁)이다. 아버지는 권심(權深)이고, 어머니는 부사 이달의(李達意)의 딸 경주 이씨(慶州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김가주(金可柱)의 딸 선성 김씨(宣城 金氏), 두 번째 부인은...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대조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고상안(高尙顔)[1553~1623]의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자는 사물(思勿), 호는 태촌(泰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무과에 급제하여 부장을 지낸 고수연(高壽延)이고, 할아버지는 충의교위 고극공(高克恭)이다. 아버지는 좌부장 고천우(高天佑)이고, 어머니는 습독 강희언(康希彦)의 딸 신천 강씨(信川 康氏)이다. 첫 번...
-
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에 있는 경상감영의 테마공원. 태평성대경상감영공원(太平聖代慶尙監營公園)은 경상감영을 주제로 한 테마공원이다. 경상감영은 조선 전기 200여 년간 상주에서 경상도의 도정(道政)을 운영하던 기관이었다. 상주시는 이러한 사실을 기념하기 위하여 상주시 삼백로 323[복룡동 165-9] 일대에 태평성대경상감영공원을 조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곡리(德谷里)는 좋은 터라 하여 ‘터골’, ‘트골’, ‘덕곡’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효자 이경대와 토끼바위의 유래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토끼바위」는 경상북도 상주에서 효자로 알려진 이경대(李敬大)에 대한 인물 전설이자 효행담이다. 그리고 토끼바위의 이름 유래를 설명하는 사물 전설이기도 하다....
-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경상북도 상주시에 살았던 토착 성씨. 상주 지역의 토성은 1454년(세종 2) 완성된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와 1481년(성종 12) 편찬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와 『동국여지승람』에는 토성 외에도 각 성씨를 정착 시기와 거주 지역, 직역(職役) 및 득성(得姓)의 배경에 따라 인리성(人吏姓)·백성성(...
-
경상북도 상주시의 지표를 덮고 있으며, 암석이 부서져 생긴 무기물과 동식물에서 생긴 유기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물질. 상주시에 분포하는 토양 지형은 크게 서부 산악지와 중앙 구릉지, 동부 하성 평탄지로 구분된다. 소백산맥에서 뻗어 나온 산줄기가 이어지는 서부 지역은 고도가 높은 산악지와 사면의 산록 경사지 그리고 계곡을 따라 곡간지가 분포한다. 중앙과 동부 지역은 상대적으로 고도가...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성헌징(成獻徵)[1654~1676]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문식(文式), 호는 통허재(洞虛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성여백(成汝栢)이고, 할아버지는 성진승(成震升)이다. 아버지는 성호영(成虎英)이고, 어머니는 통덕랑 이동야(李東野)의 딸 덕수 이씨(德水 李氏)이다. 부인은 현감 박찬선(朴纘先)의 딸 상산 박씨(商山 朴氏)이고, 동생은 성만징(成...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퇴강리(退江里)는 낙동강 강가라는 뜻에서 ‘물미’라고 하였던 것이 한역되어 ‘물뫼[물미]→문산→퇴산(退山)→퇴강(退江)’으로 변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퇴강리(退江里)는 낙동강 강가라는 뜻에서 ‘물미’라고 하였던 것이 한역되어 ‘물뫼[물미]→문산→퇴산(退山)→퇴강(退江)’으로 변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퇴강리에 있는 천주교 안동교구 소속 성당. 상주 퇴강성당(尙州 退江聖堂)은 1903년 물미공소로 시작된 상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교당이다. ‘성모마리아’를 주보성인으로 모시고 있으며, 한국순교복자수녀회가 활동하고 있다. 1950년대 지어진 고딕풍의 건물은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높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남후(南垕)[1644~1690]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재원(載元), 호는 퇴촌(退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현감 남영(南嶸)이고, 할아버지는 현감 남창조(南昌祖)이다. 아버지는 남극로(南極老)이고, 어머니는 도사 이영광(李榮光)의 딸 완산 이씨(完山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부사 이숭언(李崇彦)의 딸 경주 이씨(慶州 李氏)이고, 두 번째...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곡리(德谷里)는 좋은 터라 하여 ‘터골’, ‘트골’, ‘덕곡’이라고 불렸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