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하갈리(下葛里)는 갈미 아래쪽에 있다는 것에 유래하여 ‘하갈미’ 또는 ‘하갈산’, ‘하갈’이라고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갈미는 하갈리 남쪽 마리산 중턱에 있는 골짜기를 일컫는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하갈리(下葛里)는 갈미 아래쪽에 있다는 것에 유래하여 ‘하갈미’ 또는 ‘하갈산’, ‘하갈’이라고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갈미는 하갈리 남쪽 마리산 중턱에 있는 골짜기를 일컫는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하갈리(下葛里)는 갈미 아래쪽에 있다는 것에 유래하여 ‘하갈미’ 또는 ‘하갈산’, ‘하갈’이라고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갈미는 하갈리 남쪽 마리산 중턱에 있는 골짜기를 일컫는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정경세(鄭經世)[1563~1633]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경임(景任), 호는 우복(愚伏)·일묵(一默)·하거(河渠)·송록(松麓)·승성자(乘成子)·석총도인(石潨道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계함(鄭繼咸)이고, 할아버지는 정은성(鄭銀成)이다. 아버지는 정여관(鄭汝寬)이고, 어머니는 이가(李軻)의 딸 합천 이씨(陜川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이해...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삼덕리에 있는 경천대의 역사와 문화. 경천대(擎天臺)는 하늘이 스스로 만들었다고 하여 일찍이 ‘자천대(自天臺)’라고도 불렀다. 낙동강 본류 중 경관이 가장 수려하여 ‘낙동강 제1경’으로 손꼽히며, 채득기(蔡得沂)[1605~1646]가 경천대 일대에 은거한 이래 경천대 주변의 아름다운 경관을 ‘우담십영(雩潭十詠)’으로 설정한 바 있다. 이후에도 조선 시대 많...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하대연(河大淵)[1689~?]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연연(淵淵), 호는 치옹(恥翁)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장악원정 하진영(河晉瀛)이고, 할아버지는 형조참판 하준(河浚)이다. 아버지는 하응락(河應洛)이고, 어머니는 조수(趙䇕)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부인은 예조정랑 홍도달(洪道達)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고, 아들은 하세유(河世...
-
조선 전기 상주 지역에 이주하여 정착한 문신. 하락(河洛)[1530~1592]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도원(道源), 호는 환성재(喚醒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의흥위좌부장 하응천(河應千)이고, 할아버지는 황간현감 하형(河灐)이다. 아버지는 하인서(河麟瑞)이고, 어머니는 사인 조협(趙協)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부인은 정충즙(鄭忠楫)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고...
-
경상북도 상주시 초산동에 있는 닭고기 가공업체. 올품은 하림과 천하제일사료주식회사가 공동 출자하여 상주시에 설립한 하림의 계열사이다. 종계에서 부화, 사육, 도계, 유통까지 완벽한 수직 계열화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무항생제 닭고기는 물론 동물 복지 닭고기를 가공하여 생산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초산동에 있는 닭고기 가공업체. 올품은 하림과 천하제일사료주식회사가 공동 출자하여 상주시에 설립한 하림의 계열사이다. 종계에서 부화, 사육, 도계, 유통까지 완벽한 수직 계열화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무항생제 닭고기는 물론 동물 복지 닭고기를 가공하여 생산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초산동에 있는 닭고기 가공업체. 올품은 하림과 천하제일사료주식회사가 공동 출자하여 상주시에 설립한 하림의 계열사이다. 종계에서 부화, 사육, 도계, 유통까지 완벽한 수직 계열화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무항생제 닭고기는 물론 동물 복지 닭고기를 가공하여 생산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초산동에 있는 닭고기 가공업체. 올품은 하림과 천하제일사료주식회사가 공동 출자하여 상주시에 설립한 하림의 계열사이다. 종계에서 부화, 사육, 도계, 유통까지 완벽한 수직 계열화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무항생제 닭고기는 물론 동물 복지 닭고기를 가공하여 생산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묵하리(墨下里)는 묵실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하여 ‘아래묵실’, ‘아르묵실’, ‘하묵동’으로 불렸는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묵하리’라고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하송1리 동제(下松1里 洞祭)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의 하송1리 청계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고자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제사는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 밤에 마을 안의 ‘선신당’과 ‘동제당’에서 지내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하송리(下松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하달리(下達里)의 ‘하(下)’ 자와 송천리(松川里)의 ‘송(松)’ 자를 따서 ‘하송리’라 하였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거주한 문신. 신집(申楫)[1580~1639]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여섭(汝涉), 호는 하음(河陰)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호군 신종위(申從渭)이고, 할아버지는 습독 신연(申演)이다. 아버지는 주부 신경남(申慶男)이고, 어머니는 참봉 권제세(權濟世)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사정 홍덕록(洪德祿)의 딸 부림 홍씨(缶林 洪氏)이고...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일정한 물길을 따라 흐르는 물줄기. 상주시는 북쪽과 서쪽을 감싸며 소백산맥이 이어져, 대체로 서쪽이 높고 동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서고동저의 지형을 보인다. 이로써 상주시를 흐르는 대부분의 하천은 소백산맥에서 뻗어 나온 산줄기에서 발원하여 상주시 전역을 가로지르며 서쪽에서 동쪽 방향으로 흘러 상주시 동쪽 경계를 따라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낙동강에 유입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하초리(下草里)는 샛골 아래쪽에 있다는 것에 유래하여 ‘아래샛골’, ‘새터’, ‘하초’라고 한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하초리(下草里)는 샛골 아래쪽에 있다는 것에 유래하여 ‘아래샛골’, ‘새터’, ‘하초’라고 한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에 속하는 법정리. 하흘리(下屹里)는 흘골 아래라 하여 ‘아래흘골’, 또는 ‘하흘(下屹)’이라 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하흘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하흘리 동제(下屹里 洞祭)는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하흘리의 호명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고자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제사는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 들 한가운데에 있는 느티나무와 바위인 ‘동승지’에 지내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하흘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하흘리 동제(下屹里 洞祭)는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하흘리의 호명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고자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제사는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 들 한가운데에 있는 느티나무와 바위인 ‘동승지’에 지내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영오리와 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 김천시 어모면의 경계에 있는 산. 웅이산(熊耳山)은 경상북도 상주시의 남서쪽에 있으며, 공성면 영오리와 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 김천시 어모면의 경계를 이루는 794.2m의 산이다. 백두대간의 줄기를 이루며, 남으로는 맷돌봉과 갈현, 무좌골산, 작점고개로 이어지고, 북으로는 682.3m 고지, 큰재로 연결된다. ‘국수봉(...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백전리에 전하여 내려오는 학이 날아간 명당에 대한 이야기. 「학이 날아가 버린 명당」은 탁발승을 구박하여 망한 부잣집에 관한 전설이다. 유교를 숭상하는 부잣집에서 불교를 싫어하여 탁발하러 온 동자승을 학대하다가 부잣집이 주지승으로부터 징치당하는 이야기이다. 주지승 말대로 조상의 묘를 이장하려고 하자 두 마리 학이 날아가고, 이후 가문이 기울기 시작하였다고 한...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정착한 의관이자 학자. 채득기(蔡得沂)[1605~1646]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영이(詠而), 호는 우담(雩潭)·학정(鶴汀)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채순연(蔡舜年)이고, 할아버지는 채무기(蔡無己)이다. 아버지는 채유종(蔡有終)이고, 어머니는 목사 이귀수(李龜壽)의 딸 고성 이씨(固城 李氏)이다. 부인은 판관 신응연(辛應鍊)의 딸 영산 신씨(靈山 辛氏)...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학하리(鶴下里)는 백학산(白鶴山)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 산하 지사. 한국농어촌공사의 지방 조직은 3개 원[농어촌연구원, 인재개발원, 농어촌자원개발원], 9개 지역본부[경기, 강원,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남, 경북, 제주], 93개 지사, 8개 사업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북지역본부에는 17개 지사가 소속되어 있다.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 상주지사는 17개 지사 중 한...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인들이 결성한 문예 단체. 한국문인협회 상주지부(韓國文人協會 尙州支部)는 한국문인협회의 상주지부이다. 상주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인들의 활동을 지원한다. 문예지 『상주문학』을 간행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덕곡리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농산업을 선도하는 취·창업 역량과 교양을 갖춘 농업 전문 인력 양성’이며, 교훈은 “성실하게, 슬기롭게, 건강하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덕곡리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농산업을 선도하는 취·창업 역량과 교양을 갖춘 농업 전문 인력 양성’이며, 교훈은 “성실하게, 슬기롭게, 건강하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교촌리에 있는 문화 시설. 한국한복진흥원(韓國韓服振興院)은 경상북도와 상주시에서 경상북도 지역 전통 섬유 산업 활성화와 한복 문화 진흥을 위하여 설립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 산하 지사. 한국농어촌공사의 지방 조직은 3개 원[농어촌연구원, 인재개발원, 농어촌자원개발원], 9개 지역본부[경기, 강원,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남, 경북, 제주], 93개 지사, 8개 사업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북지역본부에는 17개 지사가 소속되어 있다.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 상주지사는 17개 지사 중 한...
-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에 있는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 산하 지사. 한국농어촌공사의 지방 조직은 3개 원[농어촌연구원, 인재개발원, 농어촌자원개발원], 9개 지역본부[경기, 강원,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남, 경북, 제주], 93개 지사, 8개 사업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북지역본부에는 17개 지사가 소속되어 있다.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 상주지사는 17개 지사 중 한...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덕곡리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농산업을 선도하는 취·창업 역량과 교양을 갖춘 농업 전문 인력 양성’이며, 교훈은 “성실하게, 슬기롭게, 건강하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덕곡리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농산업을 선도하는 취·창업 역량과 교양을 갖춘 농업 전문 인력 양성’이며, 교훈은 “성실하게, 슬기롭게, 건강하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덕곡리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농산업을 선도하는 취·창업 역량과 교양을 갖춘 농업 전문 인력 양성’이며, 교훈은 “성실하게, 슬기롭게, 건강하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덕곡리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농산업을 선도하는 취·창업 역량과 교양을 갖춘 농업 전문 인력 양성’이며, 교훈은 “성실하게, 슬기롭게, 건강하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덕곡리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농산업을 선도하는 취·창업 역량과 교양을 갖춘 농업 전문 인력 양성’이며, 교훈은 “성실하게, 슬기롭게, 건강하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덕곡리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 농산업을 선도하는 취·창업 역량과 교양을 갖춘 농업 전문 인력 양성’이며, 교훈은 “성실하게, 슬기롭게, 건강하게”이다....
-
1950년 6월 25일부터 1953년 7월 휴전 성립까지 경상북도 상주에서 지속된 남한과 북한 간의 전쟁.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은 38도선 전역에서 전면적인 불법 기습 남침을 시도하였다. 북한군은 불과 3일 만에 서울을 점령하였으며, 한 달 만에 낙동강 부근까지 밀고 내려왔다. 남한군은 한때 상주의 화령에서 북한군의 선봉을 섬멸하였다. 그리하여 낙동강 방어선을 구축할 시간...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한규환(韓奎煥)[1893~1935]은 1893년 3월 29일 지금의 상주시 청리면 율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7월 초순 청리면에 있던 임춘근(林春根)의 집에서 김천 출신 김영기(金寧基)로부터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에 가서 독립운동을 하자는 권유를 받았다. 김영기의 제안에 동조한 한규환은 김천 출신 김사순(金史淳)·남진희(南軫熙), 밀...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한극술(韓克述)[1598~1653]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자는 광보(光甫), 호는 소호(蘇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한봉조(韓奉祖)이고, 할아버지는 한효간(韓孝榦)이다. 아버지는 예빈시직장 한서(韓瑞)이고, 어머니는 정종계(鄭宗繼)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다. 부인은 류춘성(柳春成)의 딸 문화 류씨(文化 柳氏)이고, 아들은 한수(韓忄+遂)·한...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한극창(韓克昌)[1600~1650]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자는 유백(裕伯), 호는 오주(鰲洲)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한봉조(韓奉祖)이고, 할아버지는 한효간(韓孝榦)이다. 아버지는 예빈시직장 한서(韓瑞)이고, 어머니는 정종계(鄭宗繼)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다. 부인은 이희방(李希芳)의 딸 성주 이씨(星州 李氏)이고, 아들은 한후(韓忄+垕)·한...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전리(大田里)는 큰 밭이 있으므로 ‘한밭’ 또는 ‘대전(大田)’이라 한 데서 명칭이 비롯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곡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동해사(東海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서곡동 식산(息山)에 자리한 전통 사찰이며, 일명 한산사(寒山寺)로도 불렸다. 동해사에는 동해사 석조여래입상(東海寺 石造如來立像)[경상북도 문화재자료]을 봉안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곡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동해사(東海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서곡동 식산(息山)에 자리한 전통 사찰이며, 일명 한산사(寒山寺)로도 불렸다. 동해사에는 동해사 석조여래입상(東海寺 石造如來立像)[경상북도 문화재자료]을 봉안하고 있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한상렬(韓相烈)[1924~1949]은 1924년 9월 20일 지금의 상주시 낙동면 화산리에서 태어났다. 일본군에 징집되었으나 탈출하여 중국 후난성[湖南省] 일대의 중국군 제9전구로 이동하였다. 이후 후난성에 주둔하던 중국군 제45사단에 소속되어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다. 당시 중국군은 한국광복군과 연합 활동을 벌이고 있었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한상렬(韓相烈)[1924~1949]은 1924년 9월 20일 지금의 상주시 낙동면 화산리에서 태어났다. 일본군에 징집되었으나 탈출하여 중국 후난성[湖南省] 일대의 중국군 제9전구로 이동하였다. 이후 후난성에 주둔하던 중국군 제45사단에 소속되어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다. 당시 중국군은 한국광복군과 연합 활동을 벌이고 있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북천시민공원 야외음악당에서 매년 여름에 개최하는 지역 문화 축제. 한여름 밤의 축제는 상주시의 여름 축제를 대표하는 문화 행사이다. 상주 시민이 참여하여 즐기는 지역 축제이며, 매년 7월 중순에서 말에 3일간 진행된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한진(韓璡)[1556~1619]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자는 중형(仲瑩), 호는 연촌(鷰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한인걸(韓仁傑)이고, 할아버지는 한형(韓衡)이다. 아버지는 병절교위 한신간(韓信幹)이고, 어머니는 문씨(文氏)이다. 부인은 습독 김규(金奎)의 딸 상산 김씨(尙山 金氏)이고, 아들은 한극중(韓克中)·한극정(韓克正)·한극원(韓克遠)·한극대(...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양범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효자각. 김회복 효자각(金會福孝子閣)은 경상북도 상주 출신 김회복(金會福)[1861~?]의 효심을 기리기 위하여 1921년 건립하였다. 김회복의 본관은 함녕(咸寧)이다. 김회복은 7세 때 아버지가 죽고 홀어모니를 모시고 살았다. 후에 어머니가 병에 걸리자 강북 망계산을 돌아다녀 ‘박활인’이란 약을 구하여 병을 치료하였다. 10세 때...
-
고려 전기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함녕군(咸寧郡)은 옛 함창(咸昌) 지역에 있던 고령가야국(古寧伽耶國)이 자리한 곳이다. 964년(고려 광종 15) 고령군(古寧郡)을 함녕군으로 개칭하였다....
-
고려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요(金饒)[1312~1382]의 본관은 함창(咸昌)이며, 호는 강촌(江村)이다. 아버지는 도첨의찬성사를 지낸 김택(金澤)이며, 어머니는 영양 남씨(英陽 南氏)이다. 이곡(李穀)의 처남이자 이색(李穡)의 외삼촌이다....
-
1895년부터 1914년까지 경상북도 상주군 함창읍, 공검면, 이안면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함창은 고려 광종 대 함녕으로 불렸다가 1018년(고려 현종 9) 상주군에 소속되면서 함창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
1895년부터 1914년까지 경상북도 상주군 함창읍, 공검면, 이안면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함창은 고려 광종 대 함녕으로 불렸다가 1018년(고려 현종 9) 상주군에 소속되면서 함창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건학 이념은 ‘교학상장(敎學相長)·줄탁동시(啐啄同時)’이고,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과 핵심 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다. 추구하는 학생상은 지·덕·체를 겸비한 창의적인 학생,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심성 고운 학생, 권리와 책임 의식이 조화로운 자주적인 학생, 꿈을 향해 도전하고 삶을 개척하는 진취적인 학생, 기본...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교촌리에 있는 명주 박물관. 함창명주박물관(咸昌明紬博物館)은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발달하였던 명주의 역사와 명주를 기반으로 한 양잠 산업의 전통을 소개하고 전시하는 시립 박물관이다. 함창명주박물관은 문화·관광 시설로서 상주 시민들을 대상으로 ‘함창 명주 페스티벌’이 개최되며, 누에 및 명주와 관련된 체험 행사 등을 운영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교촌리에 있는 명주 박물관. 함창명주박물관(咸昌明紬博物館)은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발달하였던 명주의 역사와 명주를 기반으로 한 양잠 산업의 전통을 소개하고 전시하는 시립 박물관이다. 함창명주박물관은 문화·관광 시설로서 상주 시민들을 대상으로 ‘함창 명주 페스티벌’이 개최되며, 누에 및 명주와 관련된 체험 행사 등을 운영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천주교 안동교구 소속 성당. 함창성당은 1937년 퇴강본당 소속으로 설립되어, 1948년 본당으로 승격하였다. ‘그리스도 왕’을 주보성인으로 모시고 있으며, 툿찡 포교 베네딕도 수녀회가 활동하고 있다. 네 곳의 공소를 관리하고 있다. 성당 구역 내에 1956년에 설립된 성모고등공민학교를 모태로 하는 상지여자중학교와 상지미래경영고등학교가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천주교 안동교구 소속 성당. 함창성당은 1937년 퇴강본당 소속으로 설립되어, 1948년 본당으로 승격하였다. ‘그리스도 왕’을 주보성인으로 모시고 있으며, 툿찡 포교 베네딕도 수녀회가 활동하고 있다. 네 곳의 공소를 관리하고 있다. 성당 구역 내에 1956년에 설립된 성모고등공민학교를 모태로 하는 상지여자중학교와 상지미래경영고등학교가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있는 전통시장. 함창시장(咸昌市場)은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상주시에는 함창시장을 포함하여 상주풍물시장, 남성시장, 공성시장, 상주중앙시장, 화령시장, 은척시장 등 7개의 전통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있는 전통시장. 함창시장(咸昌市場)은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상주시에는 함창시장을 포함하여 상주풍물시장, 남성시장, 공성시장, 상주중앙시장, 화령시장, 은척시장 등 7개의 전통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신흥리 오봉산 자락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함창 오봉산 고분군(咸昌 五峰山 古墳群)은 고령가야의 옛 터로 알려진 경상북도 함창 지역에 4세기 전반에서 7세기 전반에 걸쳐 조성된 고분군이다. 1998년 4월 13일 경상북도 기념물 제12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기념물로 변경되...
-
1855년에 경상도 함창현에서 편찬한 읍지. 『함창읍지(咸昌邑誌)』는 1855년(철종 6)에 처음 편찬되었다. 현재 전하는 것은 1917년에 지도, 행자수, 인찰지 등 읍지의 기본 형식을 지키지 않고, 내용 위주로 필사한 후사본(後寫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스스로 생각하고 함께 해결하는 어린이, 꿈과 끼를 찾아가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 성실하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스스로 생각하고 함께 해결하는 어린이, 꿈과 끼를 찾아가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 성실하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에 있는 사립 남자 중학교. 건학 이념은 ‘교학상장(敎學相長)·줄탁동시(啐啄同時)’이고 교육 목표는 ‘올바른 품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다. 추구하는 학생상은 지·덕·체를 겸비한 창의적인 학생,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심성 고운 학생, 권리와 책임 의식이 조화로운 자주적인 학생, 꿈을 향해 도전하고 삶을 개척하는 진취적인 학생, 기본과...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에 있는 사립 남자 중학교. 건학 이념은 ‘교학상장(敎學相長)·줄탁동시(啐啄同時)’이고 교육 목표는 ‘올바른 품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다. 추구하는 학생상은 지·덕·체를 겸비한 창의적인 학생,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심성 고운 학생, 권리와 책임 의식이 조화로운 자주적인 학생, 꿈을 향해 도전하고 삶을 개척하는 진취적인 학생, 기본과...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군에 있었던 청년 운동 단체. 함창청년회(咸昌靑年會)는 1920년 4월 11일 김한익·김한옥·소한옥 등 수십 명의 청년의 발기로 설립된 청년 운동 단체로서, 상주 지역에서 결성된 최초의 청년 운동 단체이다. 사무소는 경상북도 상주군 함창면 함창시장에 두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스스로 배우고 실천하는 어린이[자주인], 도전과 창의로 삶을 가꾸는 어린이[창의인], 아름다움을 느끼고 즐기는 어린이[감성인], 존중과 배려로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세계인]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착하고 슬기롭고 튼튼한 어린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스스로 배우고 실천하는 어린이[자주인], 도전과 창의로 삶을 가꾸는 어린이[창의인], 아름다움을 느끼고 즐기는 어린이[감성인], 존중과 배려로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세계인]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착하고 슬기롭고 튼튼한 어린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과 함창읍 일대에 형성된 고도가 낮고 경사가 완만하여 기복이 거의 없는 평탄한 땅. 함창평야(咸昌平野)는 함창평야는 상주시의 대표적인 평야 중 하나이다. 함창평야는 상주시 북동쪽에 있는 함창읍을 서쪽에서 동쪽으로 가로지르며 흐르는 이안천이 지산천을 만나고 영강으로 유입되는 이안면 여물리에서부터 흑암리, 소암리, 함창읍 오사리, 신흥리, 태봉리 등에 이르는 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건학 이념은 ‘교학상장(敎學相長)·줄탁동시(啐啄同時)’이고,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과 핵심 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다. 추구하는 학생상은 지·덕·체를 겸비한 창의적인 학생,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심성 고운 학생, 권리와 책임 의식이 조화로운 자주적인 학생, 꿈을 향해 도전하고 삶을 개척하는 진취적인 학생, 기본...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건학 이념은 ‘교학상장(敎學相長)·줄탁동시(啐啄同時)’이고,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과 핵심 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다. 추구하는 학생상은 지·덕·체를 겸비한 창의적인 학생,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심성 고운 학생, 권리와 책임 의식이 조화로운 자주적인 학생, 꿈을 향해 도전하고 삶을 개척하는 진취적인 학생, 기본...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천주교 안동교구 소속 성당. 함창성당은 1937년 퇴강본당 소속으로 설립되어, 1948년 본당으로 승격하였다. ‘그리스도 왕’을 주보성인으로 모시고 있으며, 툿찡 포교 베네딕도 수녀회가 활동하고 있다. 네 곳의 공소를 관리하고 있다. 성당 구역 내에 1956년에 설립된 성모고등공민학교를 모태로 하는 상지여자중학교와 상지미래경영고등학교가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천주교 안동교구 소속 성당. 함창성당은 1937년 퇴강본당 소속으로 설립되어, 1948년 본당으로 승격하였다. ‘그리스도 왕’을 주보성인으로 모시고 있으며, 툿찡 포교 베네딕도 수녀회가 활동하고 있다. 네 곳의 공소를 관리하고 있다. 성당 구역 내에 1956년에 설립된 성모고등공민학교를 모태로 하는 상지여자중학교와 상지미래경영고등학교가 있다....
-
1895년부터 1914년까지 경상북도 상주군 함창읍, 공검면, 이안면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함창은 고려 광종 대 함녕으로 불렸다가 1018년(고려 현종 9) 상주군에 소속되면서 함창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
1895년부터 1914년까지 경상북도 상주군 함창읍, 공검면, 이안면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함창은 고려 광종 대 함녕으로 불렸다가 1018년(고려 현종 9) 상주군에 소속되면서 함창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
1899년 경상북도 함창군에서 편찬한 관찬 읍지. 『함창군읍지(咸昌郡邑誌)』는 대한제국 내부(內部) 읍지수상령(邑誌修上令)에 따라 경상북도 함창군[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서 1899년(광무 3)에 편찬한 관찬 읍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전통 명주 생산업체. 허씨비단직물(許氏緋緞織物)은 대를 이어 전통 방법으로 명주를 생산하고 있는 기업이다. 경상북도가 선정한 향토뿌리기업이자 산업유산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교촌리 함창명주테마공원에 있는 조선 후기와 개항기 지방관의 비. 함창명주테마공원에는 조선 후기부터 현대까지의 선정비 4기, 불망비 4기, 애민비 2기, 송덕비 2기, 공적천양비 1기 등 총 13기의 비가 있다. 직위별로는 관찰사비 3기, 현감비 6기, 군수비 1기, 찰방비 1기, 기타 2기이다. 건립 연대는 1681년(효종 1)부터 1984년까지이다. 조선...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교촌리 함창명주테마공원에 있는 조선 후기와 개항기 지방관의 비. 함창명주테마공원에는 조선 후기부터 현대까지의 선정비 4기, 불망비 4기, 애민비 2기, 송덕비 2기, 공적천양비 1기 등 총 13기의 비가 있다. 직위별로는 관찰사비 3기, 현감비 6기, 군수비 1기, 찰방비 1기, 기타 2기이다. 건립 연대는 1681년(효종 1)부터 1984년까지이다. 조선...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교촌리에 있는 문화 시설. 함창명주테마파크는 전통 명주 생산 방식과 명주의 가치를 알리기 위하여 ‘국제슬로시티 상주’에 건립된 테마파크이다. 매년 함창명주페스티벌을 개최하여 함창 명주의 위상을 드높이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가 이어 오는 전국 최대 명주 생산지로서의 역사와 문화, 가치에 관한 이야기. 상주시의 명주는 상주쌀, 상주곶감, 상주한우와 함께 상주 지역을 대표하는 특산물이다. 상주 지역은 조선 시대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잠사업(蠶絲業)이 크게 발달하였고, 전국 최대 양잠업 주산지로 명성을 떨쳤다. 상주의 양잠업은 특히 일제 강점기에 매우 번성하여 1943년에는 연간 누에고치...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있는 경북선 철도역. 함창역(咸昌驛)은 경북선 철도 건설 사업의 일환으로 건설되어 1924년 12월 25일 상주-점촌 구간이 개통됨에 따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군에 속하는 법정읍. 함창읍(咸昌邑)은 조선 시대 함창현의 중심 지역이었던 것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고려사지리지(高麗史地理志)』에 의하면 “함창군은 원래 고령(古寧) 가야국으로 신라가 빼앗아서 고동람군(古冬欖郡)[고릉군(古陵郡)이라고도 함]으로 만들었고 경덕왕이 고령군으로 고쳤다. 964년(광종 15)에 함녕군(咸寧郡)으로 고쳤고 1018년(현종 9)에 본 목에 소속...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에 있는 사립 남자 중학교. 건학 이념은 ‘교학상장(敎學相長)·줄탁동시(啐啄同時)’이고 교육 목표는 ‘올바른 품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다. 추구하는 학생상은 지·덕·체를 겸비한 창의적인 학생,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심성 고운 학생, 권리와 책임 의식이 조화로운 자주적인 학생, 꿈을 향해 도전하고 삶을 개척하는 진취적인 학생, 기본과...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에 있는 사립 남자 중학교. 건학 이념은 ‘교학상장(敎學相長)·줄탁동시(啐啄同時)’이고 교육 목표는 ‘올바른 품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다. 추구하는 학생상은 지·덕·체를 겸비한 창의적인 학생,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심성 고운 학생, 권리와 책임 의식이 조화로운 자주적인 학생, 꿈을 향해 도전하고 삶을 개척하는 진취적인 학생, 기본과...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에 있는 사립 남자 중학교. 건학 이념은 ‘교학상장(敎學相長)·줄탁동시(啐啄同時)’이고 교육 목표는 ‘올바른 품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다. 추구하는 학생상은 지·덕·체를 겸비한 창의적인 학생,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심성 고운 학생, 권리와 책임 의식이 조화로운 자주적인 학생, 꿈을 향해 도전하고 삶을 개척하는 진취적인 학생, 기본과...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에 있는 사립 남자 중학교. 건학 이념은 ‘교학상장(敎學相長)·줄탁동시(啐啄同時)’이고 교육 목표는 ‘올바른 품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다. 추구하는 학생상은 지·덕·체를 겸비한 창의적인 학생,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심성 고운 학생, 권리와 책임 의식이 조화로운 자주적인 학생, 꿈을 향해 도전하고 삶을 개척하는 진취적인 학생, 기본과...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스스로 생각하고 함께 해결하는 어린이, 꿈과 끼를 찾아가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 성실하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스스로 생각하고 함께 해결하는 어린이, 꿈과 끼를 찾아가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 성실하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스스로 생각하고 함께 해결하는 어린이, 꿈과 끼를 찾아가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 성실하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스스로 생각하고 함께 해결하는 어린이, 꿈과 끼를 찾아가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 성실하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스스로 배우고 실천하는 어린이[자주인], 도전과 창의로 삶을 가꾸는 어린이[창의인], 아름다움을 느끼고 즐기는 어린이[감성인], 존중과 배려로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세계인]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착하고 슬기롭고 튼튼한 어린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스스로 배우고 실천하는 어린이[자주인], 도전과 창의로 삶을 가꾸는 어린이[창의인], 아름다움을 느끼고 즐기는 어린이[감성인], 존중과 배려로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세계인]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착하고 슬기롭고 튼튼한 어린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스스로 배우고 실천하는 어린이[자주인], 도전과 창의로 삶을 가꾸는 어린이[창의인], 아름다움을 느끼고 즐기는 어린이[감성인], 존중과 배려로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세계인]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착하고 슬기롭고 튼튼한 어린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스스로 배우고 실천하는 어린이[자주인], 도전과 창의로 삶을 가꾸는 어린이[창의인], 아름다움을 느끼고 즐기는 어린이[감성인], 존중과 배려로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세계인]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착하고 슬기롭고 튼튼한 어린이”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관음사(觀音寺)는 1938년 5월 1일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함창포교당으로 처음 건립되었다. 1962년 대한불교조계종에 등록하면서 관음사가 되었으며, 1976년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로 이전하였다. 관음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말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관음사(觀音寺)는 1938년 5월 1일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에 함창포교당으로 처음 건립되었다. 1962년 대한불교조계종에 등록하면서 관음사가 되었으며, 1976년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로 이전하였다. 관음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말사이다....
-
조선 시대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함창현(咸昌縣)은 1413년(태종 13) 행정 구역이 재편되면서 함창군(咸昌郡)에서 함창현으로 읍격이 강등되었다. 이후 상주목 관할로 있다가 1466년(세조 12) 진관체제가 시행되면서 상주진(尙州鎭) 관할로 전환되었다. 1895년(고종 32) 23부제로 행정 구역이 재편되면서 함창현에서 군으로 승격하고 안동부 관할이 되었다....
-
1872년 제작된 회화식 채색 지도에 수록된 함창현 지도. 『1872년 지방지도(1872年 地方地圖)』는 회화식 채색 지도로 총 459매이다. 크기는 가로 70~90㎝, 세로 1.0~1.2m 등으로 일정하지 않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은 함창현의 「함창현여지도(咸昌縣輿地圖)」만 포함되어 있다....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홍귀달(洪貴達)[1438~1504]의 본관은 부림(缶林)[부계(缶溪)]이며, 자는 겸선(兼善), 호는 허백정(虛白亭)·함허정(涵虛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사재감정 홍순(洪淳)이고, 할아버지는 홍득우(洪得禹)이다. 아버지는 홍효손(洪孝孫)이고, 어머니는 노집(盧緝)의 딸 안강 노씨(安康 盧氏)이다. 부인은 김숙정(金淑貞)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고...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안만이(安萬伊)[1895~1934]의 본관은 광주(廣州)이며, 호는 목동(木洞)·해강(海崗)·중일(重一), 다른 이름은 안종명(安鍾鳴)·안응삼(安應三)이다. 아버지는 안정원(安正遠)이고, 어머니는 김화산(金華山)이다....
-
18세기 중반에 편찬된 회화식 군현 지도의 상주목과 함창현 지역 지도. 『해동지도(海東地圖)』는 18세기 중반 영조 대에 제작한 회화식 군현 지도이며, 지도만이 아니라 읍지에 수록할 내용도 많이 실려 있다. 「상주목」과 「함창현」은 『해동지도』 제5책 영남전도(嶺南全圖)에 포함되어 있다. 『해동지도』는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
경상북도 상주시 헌신동에 있는 기계 제조업체. 해청기계공업(海靑機械工業)은 해방 직후 창업하여 3대 70년의 역사를 지닌 기계 제조업체다. 해청기계공업은 경상북도가 선정한 향토 뿌리 기업이다. 경상북도는 2013년 전국 최초로 「경상북도 향토 뿌리 기업 및 산업유산 지원 조례」[도조례 제3476호, 2013년 11월 11일]를 제정하여, 30년 이상 사업을 운영하고 전통성을 유지하...
-
경상북도 상주시 헌신동에 있는 기계 제조업체. 해청기계공업(海靑機械工業)은 해방 직후 창업하여 3대 70년의 역사를 지닌 기계 제조업체다. 해청기계공업은 경상북도가 선정한 향토 뿌리 기업이다. 경상북도는 2013년 전국 최초로 「경상북도 향토 뿌리 기업 및 산업유산 지원 조례」[도조례 제3476호, 2013년 11월 11일]를 제정하여, 30년 이상 사업을 운영하고 전통성을 유지하...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공공 문제 해결 및 공공 서비스의 생산·분배와 관련된 지방 자치 단체의 모든 활동. 상주시의 행정(行政) 행위는 「대한민국 헌법」을 비롯하여 「지방자치법」 등의 법령과 상주시 조례·규칙, 그리고 예산 등의 행정 규범에 따라 수행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에 있는 지역 소방 행정 기관. 상주소방서(尙州消防署)는 경상북도 상주시 지역의 소방과 인명 구조 업무를 주로 담당하는 행정 기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지역 주민을 위하여 운영하는 가장 말단의 행정 기관.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행정복지센터는 중앙 정부에서 시행하는 주민 맞춤형 복지를 강화하고, 지역 주민의 행정·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한다. 2016년 기존의 경상북도 상주시 관내 읍·면사무소와 동주민센터의 명칭을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로 통일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조선의 승려 무학대사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행주형의 상주」는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1335~1408]를 도와 조선 왕조 건국에 기여한 승려 무학대사(無學大師)[1327~1405]에 관한 전설이다. 무학대사가 이성계를 위하여 한양 터에 궁궐 짓는 일을 돕다가 상주로 돌아와 동해사(東海寺)를 창건하게 된 이야기가 담겨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속하는 법정리. 교촌리(校村里)는 함창향교가 있어 ‘향교마을’, ‘교촌리’라고 불리게 되었다....
-
고려 시대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특수 행정 구역. 고려 시대 지방 행정 구조에는 일반 군(郡)·현(縣) 외 특수 행정 구역으로 향(鄕)·소(所)·부곡(部曲)·장(莊)·처(處) 등이 존재하였다. 통상 부곡제(部曲制) 지역으로도 불렸으며, 거주하는 사람들은 양인이지만 온전한 양인의 대접을 받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천인인 노비와 달리 성씨(姓氏)를 갖고 가족을 거느리는 등 독자의...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조선 후기 문신 이덕형의 애첩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허물없이 쫓겨난 애첩」은 조선 시대 문신인 한음(漢陰) 이덕형(李德馨)[1561~1613]과 영민한 애첩 사이에 있었던 일을 다룬 설화이다. 임진왜란(壬辰倭亂)이 끝나 나라를 재건하느라 바쁜 와중에 영민한 애첩에게 빠져 나랏일을 등한시할 것을 걱정한 이덕형이 애첩을 스스로 쫓아낸 이야기이다....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홍귀달(洪貴達)[1438~1504]의 본관은 부림(缶林)[부계(缶溪)]이며, 자는 겸선(兼善), 호는 허백정(虛白亭)·함허정(涵虛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사재감정 홍순(洪淳)이고, 할아버지는 홍득우(洪得禹)이다. 아버지는 홍효손(洪孝孫)이고, 어머니는 노집(盧緝)의 딸 안강 노씨(安康 盧氏)이다. 부인은 김숙정(金淑貞)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고...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동리에 있는 전통 명주 생산업체. 허씨비단직물(許氏緋緞織物)은 대를 이어 전통 방법으로 명주를 생산하고 있는 기업이다. 경상북도가 선정한 향토뿌리기업이자 산업유산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허용(許龍)[1894~1959]은 1894년 10월 20일 지금의 상주시 낙동면 성동리에서 태어났다. 경성의 중동학교(中東學校)에 진학하였지만 1918년 12월 자퇴하였다. 이후 상주에서 농사를 짓던 허용은 1919년 고종이 승하하자 국장에 참례하기 위하여 2월 25일 상경한 뒤 종로구 원서동에 있던 심원명(沈遠明)의 집에 머물렀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허용(許龍)[1894~1959]은 1894년 10월 20일 지금의 상주시 낙동면 성동리에서 태어났다. 경성의 중동학교(中東學校)에 진학하였지만 1918년 12월 자퇴하였다. 이후 상주에서 농사를 짓던 허용은 1919년 고종이 승하하자 국장에 참례하기 위하여 2월 25일 상경한 뒤 종로구 원서동에 있던 심원명(沈遠明)의 집에 머물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헌신동(軒新洞)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어헌동(魚軒洞)의 ‘헌(軒)’ 자와 신부리(新桴里)의 ‘신(新)’ 자를 따서 ‘헌신리(軒新里)’라 한 데서 개칭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헌신동(軒新洞)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어헌동(魚軒洞)의 ‘헌(軒)’ 자와 신부리(新桴里)의 ‘신(新)’ 자를 따서 ‘헌신리(軒新里)’라 한 데서 개칭되었다....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황여헌(黃汝獻)[1486~1566]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헌지(獻之), 호는 유촌(柳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보신(黃保身)이고, 할아버지는 황종형(黃從兄)이다. 아버지는 부사 황관(黃瓘)이고, 어머니는 사헌부집의 강미수(姜眉壽)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다. 부인은 이수겸(李守謙)의 딸 광주 이씨(廣州 李氏)이다. 형은 황맹헌(黃孟獻)...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이촌리(泥村里)는 진흙이 많으므로 ‘헐골’, 혹은 ‘이촌(泥村)’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1945년 8월 15일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역사. 1945년 해방 직후 상주 지역에서는 좌우익 간의 이념 갈등이 심화됐다.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6·25 전쟁 당시 상주 지역은 주요 전장 가운데 하나였고, 큰 피해를 입었다. 1960년대 이후 산업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주 지역은 농업 중심의 경제가 발달하였다. 해방 이후 여러 차례의 행정 구역...
-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에 있는 조선 후기 사우. 현충단(顯忠壇)은 조선 후기 김상용(金尙容), 김상헌(金尙憲)을 제향하는 사우로 서산서원이라고도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교촌리에 있는 박물관. 협동조합 역사문화관(協同組合 歷史文化館)은 최초의 민간 주도 협동조합 설립지인 함창읍에 지역성 선점, 역사적 문화적 가치 복원,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건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와 화남면 동관리,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만수리의 경계에 있는 산. 형제봉(兄弟峯)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와 화남면 동관리,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만수리에 걸쳐 있는 높이 831.1m의 산이다. 상주시의 북서쪽에 해당한다. 북서쪽으로는 속리산 최고봉인 천왕봉으로 이어지고, 남동쪽으로는 봉황산과 연결된다. 동쪽으로는 갈령삼거리를 기점으로...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호랑이로부터 손자를 구한 김 선비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호랑이 굴에서 손자를 구하다」는 손자를 물어간 호랑이를 김 선비가 이치를 따져 퇴치한다는 내용의 민담이자 호랑이 퇴치담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강세백(姜世白)[1748~1824]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청지(淸之), 호는 호린(皓隣)·기치(杞痴)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석번(姜碩蕃)이고, 할아버지는 장례원판결사 강박(姜樸)이다. 아버지는 강필악(姜必岳)이며, 어머니는 사헌부지평 이재후(李載厚)의 딸 여주 이씨(驪州 李氏)이다. 부인은 박필경(朴必慶)의 딸이고, 아들은 강장흠(姜章欽)이...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윤직리에 있는 조선 전기 누정. 호연정(浩然亭)은 진사(進士) 신유(申裕)[1496~1541]가 1534년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윤직리에 세운 누정이다. ‘호연정’은 신유의 호이다. 신유는 기묘사화로 탄핵을 당하여 고향인 경상북도 상주로 돌아와 호연정을 짓고 소요하였다. 누정의 이름은 남명 조식이 지었고, 수암 권상하가 현판을 썼다....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윤직리에 있는 조선 전기 누정. 호연정(浩然亭)은 진사(進士) 신유(申裕)[1496~1541]가 1534년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윤직리에 세운 누정이다. ‘호연정’은 신유의 호이다. 신유는 기묘사화로 탄핵을 당하여 고향인 경상북도 상주로 돌아와 호연정을 짓고 소요하였다. 누정의 이름은 남명 조식이 지었고, 수암 권상하가 현판을 썼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호음리(好音里)는 산천(山川)의 경치가 매우 빼어나다 하여 ‘호음(好音)’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서 호의장군 김수택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호의장군과 소천교」는 호의장군(虎儀將軍) 김수택과 관련하여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설화이다.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에는 강릉 김씨(江陵 金氏) 집성촌이 있다. 강릉 김씨의 선대에 김수택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종군한 공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른 인물이다....
-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부부가 혼인 관계를 사회적으로 공인받고자 행하는 의례와 절차. 혼례는 혼인 관계를 공식화하는 일생 의례이다. 혼인은 두 사람의 경제적·성적 결합을 넘어서 두 동족 집단이 인척의 관계를 맺는 중요한 행위이다. 전통사회에서 혼례는 남녀가 독립된 성인임을 인정받는 조건으로 중요시되어 ‘인륜지대사(人倫之大事)’라 불렸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행하여지는 혼례는 다른...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홍귀달(洪貴達)[1438~1504]의 본관은 부림(缶林)[부계(缶溪)]이며, 자는 겸선(兼善), 호는 허백정(虛白亭)·함허정(涵虛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사재감정 홍순(洪淳)이고, 할아버지는 홍득우(洪得禹)이다. 아버지는 홍효손(洪孝孫)이고, 어머니는 노집(盧緝)의 딸 안강 노씨(安康 盧氏)이다. 부인은 김숙정(金淑貞)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고...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홍도달(洪道達)[1664~1726]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자는 제겸(濟兼), 호는 과헌(果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유승(洪裕承)이고, 할아버지는 홍이해(洪以海)이다. 아버지는 홍뢰(洪賚)이고, 어머니는 이홍벽(李弘璧)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부인은 신명기(申命基)의 딸 평산 신씨(平山 申氏)이다. 형은 홍도함(洪道涵)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홍상민(洪相民)[1654~1726]의 본관은 부림(缶林)이며, 자는 천경(天卿), 호는 봉암(鳳岩)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덕록(洪德祿)이고, 할아버지는 홍호(洪鎬)이다. 아버지는 홍여하(洪汝河)이고, 어머니는 황덕유(黃德柔)의 딸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다. 부인은 장만용(張萬容)의 딸 인동 장씨(仁同 張氏)이고, 아들은 홍대구(洪大龜)이다. 형은 홍...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홍상조(洪相朝)[1690~?]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자는 서일(敍一) 또는 서일(瑞一), 호는 만송(晩松)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상질(洪尙質)이고, 할아버지는 홍이발(洪以潑)이다. 아버지는 홍후겸(洪后謙)이고, 형은 홍수구(洪壽九)·홍수범(洪壽範)이다. 홍후천(洪后天)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홍석주(洪錫疇)[1757~1813]의 본관은 부림(缶林)[부계(缶溪)]이며, 자는 계도(繼道), 호는 방와(方窩)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수귀(洪守龜)이고, 할아버지는 영릉참봉 홍상문(洪相文)이다. 아버지는 홍우길(洪羽吉)이고, 어머니는 이수증(李守曾)의 딸 진성 이씨(眞城 李氏)이다. 부인은 정동첨(鄭東瞻)의 딸 청주 정씨(淸州 鄭氏)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홍승무(洪承武)[1882~1934]의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호는 선묵(仙默)이다. 1882년 6월 28일 자금의 상주시 이안면 가장리에서 태어났다....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의병장. 홍약창(洪約昌)[1535~1592]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자는 경원(景遠), 호는 구촌(龜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영효(洪永孝)이고, 할아버지는 홍부(洪頫)이다. 아버지는 찰방 홍윤최(洪胤崔)이고, 어머니는 남원 양씨(南原 梁氏)이다. 부인은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고, 아들은 홍민헌(洪民獻)이다. 친아버지는 홍의범(洪義範)이고, 홍윤최의 양...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홍여하(洪汝河)[1620~1674]의 본관은 부계(缶溪)이며, 자는 백원(百源), 호는 목재(木齋)·산택재(山澤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경삼(洪景參)이고, 할아버지는 홍덕록(洪德祿)이다. 아버지는 대사간 홍호(洪鎬)이고, 어머니는 고종후(高從厚)의 딸 장흥 고씨(長興 高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황덕유(黃德柔)의 딸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고, 첫...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홍종흠은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계면 남산리에서 태어나,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로 이주하였다. 이명은 홍종현(洪鍾鉉)이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홍종흠은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계면 남산리에서 태어나,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로 이주하였다. 이명은 홍종현(洪鍾鉉)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홍호(洪鎬)[1586~1646]의 본관은 부림(缶林)[부계(缶溪)]이며, 자는 숙경(叔京), 호는 무주(無住)·동락(東洛)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언국(洪彦國)이고, 할아버지는 홍경삼(洪景參)이다. 아버지는 홍덕록(洪德祿)이고, 어머니는 류승선의 딸 진주 류씨(晉州 柳氏)이다. 부인은 고종후(高從厚)의 딸 장흥 고씨(長興 高氏)이고, 아들은 홍...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화개동(花開洞)은 지형이 곶 모양이고, 앞으로 병성천이 흘러 ‘고지개’라 부르다가, 곶을 꽃으로 보아 ‘화개’로 부른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개동과 복룡동을 연결하는 병성천의 다리. 화개교(花開橋)는 다리가 통과하는 화개동(花開洞)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화개동(花開洞)은 지형이 곶 모양이고, 앞으로 병성천이 흘러 ‘고지개’라 부르다가, 곶을 꽃으로 보아 ‘화개’로 부른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화개동(花開洞)은 지형이 곶 모양이고, 앞으로 병성천이 흘러 ‘고지개’라 부르다가, 곶을 꽃으로 보아 ‘화개’로 부른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화개동(花開洞)은 지형이 곶 모양이고, 앞으로 병성천이 흘러 ‘고지개’라 부르다가, 곶을 꽃으로 보아 ‘화개’로 부른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산리(花山里)는 갑장산 동남 기슭에 있으며, 마을 주변 계곡과 주위 산에 꽃이 많이 핀다고 하여 ‘화계’라고 불린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김충(金冲)[1513~1572]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며, 자는 화길(和吉), 호는 서대(西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부사과 김극효(金克孝)이고, 할아버지는 김삼산(金三山)이다. 아버지는 성균관전적 김옹(金顒)이고, 어머니는 정구(鄭俅)의 딸이다. 부인은 현감을 지낸 장세강(張世綱)의 딸 풍덕 장씨(豊德 張氏)이고, 아들은 김지대(金之岱)·김지연(金之衍...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화남면(化南面)은 화령현(化寧縣)의 남쪽이 되므로 화남면이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달리(化達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화룡리(化龍里)의 ‘화(化)’ 자와 달천리(達川里)의 ‘달(達)’ 자를 따서 ‘화달리’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이소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참된 마음과 바른 행동을 가꾸는 학생, 자율적이며 창의적인 능력을 지닌 학생, 기초·기본 학습에 충실한 학생, 튼튼한 몸과 성실한 마음으로 생활하는 학생을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이소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참된 마음과 바른 행동을 가꾸는 학생, 자율적이며 창의적인 능력을 지닌 학생, 기초·기본 학습에 충실한 학생, 튼튼한 몸과 성실한 마음으로 생활하는 학생을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이소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비전은 ‘당당하고 행복한 삶을 가꾸는 M.I.S.O[미소] 가득 화동 배움터’이고, 배려와 존중으로 함께 살아가는 따뜻한 마음 가꿈[M-Mind], 자존감을 바탕으로 삶의 주인이 되는 당당한 나 세움[I-Identity], 앎과 삶을 이어 창의 융합형 인재를 기르는 미래 역량 키움[S-Strength], 다채로운 배움으로...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이소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비전은 ‘당당하고 행복한 삶을 가꾸는 M.I.S.O[미소] 가득 화동 배움터’이고, 배려와 존중으로 함께 살아가는 따뜻한 마음 가꿈[M-Mind], 자존감을 바탕으로 삶의 주인이 되는 당당한 나 세움[I-Identity], 앎과 삶을 이어 창의 융합형 인재를 기르는 미래 역량 키움[S-Strength], 다채로운 배움으로...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동리(華洞里)는 조선 시대 역마를 먹이던 곳이어서 ‘수골’, ‘숫골’ 또는 ‘화동(禾洞)’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화동면(化東面)은 화령현(化寧縣)의 동쪽이 되므로 ‘화동(化東)’이라 한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이소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참된 마음과 바른 행동을 가꾸는 학생, 자율적이며 창의적인 능력을 지닌 학생, 기초·기본 학습에 충실한 학생, 튼튼한 몸과 성실한 마음으로 생활하는 학생을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이소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참된 마음과 바른 행동을 가꾸는 학생, 자율적이며 창의적인 능력을 지닌 학생, 기초·기본 학습에 충실한 학생, 튼튼한 몸과 성실한 마음으로 생활하는 학생을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이소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참된 마음과 바른 행동을 가꾸는 학생, 자율적이며 창의적인 능력을 지닌 학생, 기초·기본 학습에 충실한 학생, 튼튼한 몸과 성실한 마음으로 생활하는 학생을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이소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참된 마음과 바른 행동을 가꾸는 학생, 자율적이며 창의적인 능력을 지닌 학생, 기초·기본 학습에 충실한 학생, 튼튼한 몸과 성실한 마음으로 생활하는 학생을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이소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비전은 ‘당당하고 행복한 삶을 가꾸는 M.I.S.O[미소] 가득 화동 배움터’이고, 배려와 존중으로 함께 살아가는 따뜻한 마음 가꿈[M-Mind], 자존감을 바탕으로 삶의 주인이 되는 당당한 나 세움[I-Identity], 앎과 삶을 이어 창의 융합형 인재를 기르는 미래 역량 키움[S-Strength], 다채로운 배움으로...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이소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비전은 ‘당당하고 행복한 삶을 가꾸는 M.I.S.O[미소] 가득 화동 배움터’이고, 배려와 존중으로 함께 살아가는 따뜻한 마음 가꿈[M-Mind], 자존감을 바탕으로 삶의 주인이 되는 당당한 나 세움[I-Identity], 앎과 삶을 이어 창의 융합형 인재를 기르는 미래 역량 키움[S-Strength], 다채로운 배움으로...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이소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비전은 ‘당당하고 행복한 삶을 가꾸는 M.I.S.O[미소] 가득 화동 배움터’이고, 배려와 존중으로 함께 살아가는 따뜻한 마음 가꿈[M-Mind], 자존감을 바탕으로 삶의 주인이 되는 당당한 나 세움[I-Identity], 앎과 삶을 이어 창의 융합형 인재를 기르는 미래 역량 키움[S-Strength], 다채로운 배움으로...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이소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비전은 ‘당당하고 행복한 삶을 가꾸는 M.I.S.O[미소] 가득 화동 배움터’이고, 배려와 존중으로 함께 살아가는 따뜻한 마음 가꿈[M-Mind], 자존감을 바탕으로 삶의 주인이 되는 당당한 나 세움[I-Identity], 앎과 삶을 이어 창의 융합형 인재를 기르는 미래 역량 키움[S-Strength], 다채로운 배움으로...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화서면(化西面)은 화령현(化寧縣)의 서쪽이 되므로 ‘화서(化西)’라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화서면(化西面)은 화령현(化寧縣)의 서쪽이 되므로 ‘화서(化西)’라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달천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꿈을 키우고 참되며 따뜻한 화령 교육’이고,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달천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꿈을 키우고 참되며 따뜻한 화령 교육’이고,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지산리에 있는 천주교 안동교구 소속 성당. 화령성당(化寧聖堂)은 초창기 한국 천주교회의 설립과 맥을 같이한 역사를 지닌 성당이며, 1785년 형성된 화령 교우촌을 모태로 한다. 주보성인은 ‘성 베네딕또’이며, 마리아의 전교자 프란치스코 수녀회가 활동하고 있다. 화령성당은 다섯 곳의 공소를 관리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지산리에 있는 천주교 안동교구 소속 성당. 화령성당(化寧聖堂)은 초창기 한국 천주교회의 설립과 맥을 같이한 역사를 지닌 성당이며, 1785년 형성된 화령 교우촌을 모태로 한다. 주보성인은 ‘성 베네딕또’이며, 마리아의 전교자 프란치스코 수녀회가 활동하고 있다. 화령성당은 다섯 곳의 공소를 관리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지산리에 있는 천주교 안동교구 소속 성당. 화령성당(化寧聖堂)은 초창기 한국 천주교회의 설립과 맥을 같이한 역사를 지닌 성당이며, 1785년 형성된 화령 교우촌을 모태로 한다. 주보성인은 ‘성 베네딕또’이며, 마리아의 전교자 프란치스코 수녀회가 활동하고 있다. 화령성당은 다섯 곳의 공소를 관리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지산리에 있는 천주교 안동교구 소속 성당. 화령성당(化寧聖堂)은 초창기 한국 천주교회의 설립과 맥을 같이한 역사를 지닌 성당이며, 1785년 형성된 화령 교우촌을 모태로 한다. 주보성인은 ‘성 베네딕또’이며, 마리아의 전교자 프란치스코 수녀회가 활동하고 있다. 화령성당은 다섯 곳의 공소를 관리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신봉리에 있는 전통시장. 화령시장(化寧市場)은 상주시 화서면 신봉리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상주시에는 화령시장을 포함하여 상주풍물시장, 남성시장, 공성시장, 상주중앙시장, 함창시장, 은척시장 등 7개의 전통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달천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꿈을 키우고 참되며 따뜻한 화령 교육’이고,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달천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꿈을 키우고 참되며 따뜻한 화령 교육’이고,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신봉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소통과 융합을 실천하는 화령 선비 육성”이고, 추구하는 학생상은 더불어 살아가는 학생, 몸과 마음이 튼튼한 학생, 꿈과 희망을 가꾸는 학생이다. 교훈은 “바르고 슬기롭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신봉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소통과 융합을 실천하는 화령 선비 육성”이고, 추구하는 학생상은 더불어 살아가는 학생, 몸과 마음이 튼튼한 학생, 꿈과 희망을 가꾸는 학생이다. 교훈은 “바르고 슬기롭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달천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꿈을 키우고 참되며 따뜻한 화령 교육’이고,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달천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꿈을 키우고 참되며 따뜻한 화령 교육’이고,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달천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꿈을 키우고 참되며 따뜻한 화령 교육’이고,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달천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꿈을 키우고 참되며 따뜻한 화령 교육’이고,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통일 신라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화남면, 화동면, 화서면 지역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본래 삼국 시대 상주의 속현이었던 답달비군(答達匕郡)을 757년(신라 경덕왕 16) 지방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화령군(化寧郡)으로 개칭하였다. 화령군은 인근의 도안현(道安縣)을 영현으로 삼았다. 도안현은 고려 시대인 940년(태조 23) 중모현(中牟縣)으로 개칭하면서 화령군(化寧郡)에...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신봉리에 있는 전통시장. 화령시장(化寧市場)은 상주시 화서면 신봉리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상주시에는 화령시장을 포함하여 상주풍물시장, 남성시장, 공성시장, 상주중앙시장, 함창시장, 은척시장 등 7개의 전통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
6·25 전쟁 초기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전개된 전투. 화령장전투(化寧場戰鬪)는 6·25 전쟁 초기인 1950년 7월 17~25일 국군 제17독립연대가 북한군 제15사단을 경상북도 북부 지역의 교통 요지인 화령장(化寧場)[현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신봉리] 일대에서 격퇴한 전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에 있는 전쟁 기념관. 화령장전투전승기념관(化寧場戰鬪戰勝記念館)은 1950년 7월 화령장전투의 승리를 기념하는 박물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에 있는 전쟁 기념관. 화령장전투전승기념관(化寧場戰鬪戰勝記念館)은 1950년 7월 화령장전투의 승리를 기념하는 박물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달천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꿈을 키우고 참되며 따뜻한 화령 교육’이고,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달천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꿈을 키우고 참되며 따뜻한 화령 교육’이고,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달천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꿈을 키우고 참되며 따뜻한 화령 교육’이고,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달천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꿈을 키우고 참되며 따뜻한 화령 교육’이고,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신봉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소통과 융합을 실천하는 화령 선비 육성”이고, 추구하는 학생상은 더불어 살아가는 학생, 몸과 마음이 튼튼한 학생, 꿈과 희망을 가꾸는 학생이다. 교훈은 “바르고 슬기롭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신봉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소통과 융합을 실천하는 화령 선비 육성”이고, 추구하는 학생상은 더불어 살아가는 학생, 몸과 마음이 튼튼한 학생, 꿈과 희망을 가꾸는 학생이다. 교훈은 “바르고 슬기롭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신봉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소통과 융합을 실천하는 화령 선비 육성”이고, 추구하는 학생상은 더불어 살아가는 학생, 몸과 마음이 튼튼한 학생, 꿈과 희망을 가꾸는 학생이다. 교훈은 “바르고 슬기롭게”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신봉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소통과 융합을 실천하는 화령 선비 육성”이고, 추구하는 학생상은 더불어 살아가는 학생, 몸과 마음이 튼튼한 학생, 꿈과 희망을 가꾸는 학생이다. 교훈은 “바르고 슬기롭게”이다....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언론인. 장지연(張志淵)[1864~1921]의 본관은 인동(仁同)이며, 처음 이름은 장지윤(張志尹), 자는 화명(和明)·순소(舜韶)이다. 호는 위암(韋庵)·숭양산인(崇陽山人)이다. 부인은 벽진 이씨(碧珍 李氏)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용유리에 있는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소속 교회. 화북교회(化北敎會)는 1945년 상주 지역의 기독교 지역 복음화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용유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화북중학교(化北中學校)는 ‘새로운 생각과 참된 마음을 지닌 인재 육성’이라는 교육 목표 아래 올바른 품성을 갖춘 인재 육성, 비전과 실력 있는 인재 육성,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건강한 인재 육성, 문화 예술적 소양을 갖춘 인재 육성에 힘쓰고 있다. 교훈은 “신의(信義)”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용유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화북중학교(化北中學校)는 ‘새로운 생각과 참된 마음을 지닌 인재 육성’이라는 교육 목표 아래 올바른 품성을 갖춘 인재 육성, 비전과 실력 있는 인재 육성,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건강한 인재 육성, 문화 예술적 소양을 갖춘 인재 육성에 힘쓰고 있다. 교훈은 “신의(信義)”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어린이[지성],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따뜻한 어린이[인성], 꿈꾸고 도전하며 내일을 준비하는 어린이[진로], 서로 어울리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어린이[어울림]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어린이[지성],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따뜻한 어린이[인성], 꿈꾸고 도전하며 내일을 준비하는 어린이[진로], 서로 어울리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어린이[어울림]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화북면(化北面)은 화령현(化寧縣)의 북쪽이 되므로 ‘화북면’이라 하였다....
-
1919년 4월 8일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서 일어난 독립운동.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민족 대표 29명은 서울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식을 거행하였다. 이어 2시 30분경 파고다공원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면서 3·1 운동이 시작되었다. 경상북도 상주에서는 3월 23일 상주 장터에서 한암회(韓岩回)의 주도로 첫 만세시위운동이 전개되었고, 이...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용유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화북중학교(化北中學校)는 ‘새로운 생각과 참된 마음을 지닌 인재 육성’이라는 교육 목표 아래 올바른 품성을 갖춘 인재 육성, 비전과 실력 있는 인재 육성,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건강한 인재 육성, 문화 예술적 소양을 갖춘 인재 육성에 힘쓰고 있다. 교훈은 “신의(信義)”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용유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화북중학교(化北中學校)는 ‘새로운 생각과 참된 마음을 지닌 인재 육성’이라는 교육 목표 아래 올바른 품성을 갖춘 인재 육성, 비전과 실력 있는 인재 육성,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건강한 인재 육성, 문화 예술적 소양을 갖춘 인재 육성에 힘쓰고 있다. 교훈은 “신의(信義)”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용유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화북중학교(化北中學校)는 ‘새로운 생각과 참된 마음을 지닌 인재 육성’이라는 교육 목표 아래 올바른 품성을 갖춘 인재 육성, 비전과 실력 있는 인재 육성,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건강한 인재 육성, 문화 예술적 소양을 갖춘 인재 육성에 힘쓰고 있다. 교훈은 “신의(信義)”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용유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화북중학교(化北中學校)는 ‘새로운 생각과 참된 마음을 지닌 인재 육성’이라는 교육 목표 아래 올바른 품성을 갖춘 인재 육성, 비전과 실력 있는 인재 육성,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건강한 인재 육성, 문화 예술적 소양을 갖춘 인재 육성에 힘쓰고 있다. 교훈은 “신의(信義)”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어린이[지성],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따뜻한 어린이[인성], 꿈꾸고 도전하며 내일을 준비하는 어린이[진로], 서로 어울리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어린이[어울림]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어린이[지성],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따뜻한 어린이[인성], 꿈꾸고 도전하며 내일을 준비하는 어린이[진로], 서로 어울리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어린이[어울림]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어린이[지성],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따뜻한 어린이[인성], 꿈꾸고 도전하며 내일을 준비하는 어린이[진로], 서로 어울리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어린이[어울림]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어린이[지성],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따뜻한 어린이[인성], 꿈꾸고 도전하며 내일을 준비하는 어린이[진로], 서로 어울리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어린이[어울림]를 육성하는 데 두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산리(花山里)는 갑장산 동남 기슭에 있으며, 마을 주변 계곡과 주위 산에 꽃이 많이 핀다고 하여 ‘화계’라고 불린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화산동(花山洞)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화전리(花田里)의 ‘화(花)’ 자와 협산리(狹山里)의 ‘산(山)’ 자를 따서 ‘화산리(花山里)’라 한 데서 개칭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산리(花山里)는 갑장산 동남 기슭에 있으며, 마을 주변 계곡과 주위 산에 꽃이 많이 핀다고 하여 ‘화계’라고 불린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산리(花山里)는 갑장산 동남 기슭에 있으며, 마을 주변 계곡과 주위 산에 꽃이 많이 핀다고 하여 ‘화계’라고 불린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화서면(化西面)은 화령현(化寧縣)의 서쪽이 되므로 ‘화서(化西)’라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화서면(化西面)은 화령현(化寧縣)의 서쪽이 되므로 ‘화서(化西)’라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화서면(化西面)은 화령현(化寧縣)의 서쪽이 되므로 ‘화서(化西)’라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화서면(化西面)은 화령현(化寧縣)의 서쪽이 되므로 ‘화서(化西)’라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산리(池山里)[화서면]는 이전에 큰 못이었던 곳에 마을이 들어섰고 해당 지역이 못 안이 되므로 ‘못안’, ‘모산’, ‘제내’ 또는 ‘지산’이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상현리에 있는 수령 약 500년의 소나무. 상주 상현리 반송(尙州 上縣里 盤松)은 상현리 마을 건너편 논 가운데 자라고 있다. 수령은 약 500년으로 추정된다. 상주 상현리 반송은 마을의 당산목(堂山木)이며, 마을 사람들이 매우 신성하게 여긴다. 마을 사람들은 정월 대보름이면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비는 동제(洞祭)를 지낸다. 상주 상현리 반송은 민속적·생물학...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상현리에 있는 연산군의 원자 이황 태실. 태실은 왕실에서 자손을 출산하면 태를 봉안하는 곳이다. 크게 아기태실과 가봉태실(加封胎室)로 구분되는데, 가봉태실은 아기태실의 태주가 왕이 되면 석물을 추가 의장하고 가봉한 태실을 말한다. 화서면(化西面) 태봉산(胎封山)의 태실비(胎室碑)는 아기태실에 해당한다. 상현리 태실의 태주 ‘원자 금돌이 이황(元子金乭伊李𩔇)...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신대응(申大膺)[1789~1863]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대유(大猷), 호는 화석(華石)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신재달(申再達)이고, 할아버지는 신이협(申以恊)이다.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신영눌(申永訥)이고, 어머니는 조묵연(趙黙然)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곽진교(郭鎭敎)의 딸 현풍 곽씨(玄風 郭氏)이고, 두 번째 부...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흥리(新興里)[모동면]는 새로 일어난다는 뜻에서 ‘신흥리’라고 하였다....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성범(李聖範)[1881~1957]의 본관은 함평(咸平)이며, 자는 응립(應立), 호는 화은(華隱)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황익재(黃翼再)[1682~1747]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재수(再叟), 호는 백화재(白華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집(黃緝)이고, 할아버지는 황재윤(黃載胤)이다. 아버지는 황진하(黃鎭夏)이고, 어머니는 김진익(金震釴)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다. 부인은 심종(沈棕)의 딸 청송 심씨(靑松 沈氏)이다....
-
통일 신라 시대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일대에 있던 지방 행정 구역. 화창현(化昌縣)은 신라 경덕왕 때 지방 행정 구역을 개편하면서, 기존의 지내미지현(知乃彌知縣)을 개칭한 것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지리지에 따르면 화창현은 청효현(靑驍縣)·다인현(多仁縣)과 함께 상주의 영현으로 나오는데, 연혁은 미상이라고 처리되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현리(花峴里)는 나화리와 나화리에 있는 접현의 이름을 따서 화현리라 하였다고 전한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성만징(成晩徵)[1659~1711]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달경(達卿), 호는 추담(秋潭)·환성당(喚醒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성여백(成汝栢)이고, 할아버지는 성진승(成震升)이다. 아버지는 성호영(成虎英)이고, 어머니는 통덕랑 이동야(李東野)의 딸 덕수 이씨(德水 李氏)이다. 부인은 현감 이상길(李相吉)의 딸 함평 이씨(咸平 李氏)이고, 아들...
-
조선 전기 상주 지역에 이주하여 정착한 문신. 하락(河洛)[1530~1592]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도원(道源), 호는 환성재(喚醒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의흥위좌부장 하응천(河應千)이고, 할아버지는 황간현감 하형(河灐)이다. 아버지는 하인서(河麟瑞)이고, 어머니는 사인 조협(趙協)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부인은 정충즙(鄭忠楫)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고...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운흥리와 충청북도 보은군 산외면 대원리를 연결하는 고개. 활목재라는 명칭은 고개의 형태가 활의 구부러진 목과 비슷한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된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운흥리와 충청북도 보은군 산외면 대원리를 연결하는 고개. 활목재라는 명칭은 고개의 형태가 활의 구부러진 목과 비슷한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된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 권용중(權用中)[1552~1598]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기수(器叟), 호는 천연재(天淵齋)·활사(活沙)이다. 초명은 권기수(權己壽)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충순위 권자평(權自平)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권수화(權秀華)이다. 아버지는 전생서별제 권세기(權世麒)이고, 어머니는 참봉 이기영(李基榮)의 딸 성산 이씨(星山 李氏)이다. 큰아버지...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이구(李榘)[1613~1654]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대방(大方), 호는 활재(活齋)·산양처사(山陽處士)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단성현감 이경금(李景嶔)이고, 할아버지는 호조좌랑 이돈(李惇)이다. 아버지는 공조정랑 이광흡(李光洽)이고, 어머니는 황시간(黃時幹) 딸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경유후(慶有後)의 딸 청주...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황계주(黃啓周)[1913~1954]는 1913년 11월 16일 지금의 상주시 모동면 신천리에서 태어났다. 상주에서 중모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1930년대 전반 경성[현 서울특별시]에서 양정고등보통학교를 다녔다. 1930년대 후반에는 일본 야마구치[山口]시로 건너가 야마구치고등학교에 입학하였다. 1939년 2월 무렵부터 같은 학교에 재...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이주하여 정착한 학자. 김담수(金聃壽)[1535~1603]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자는 태수(台叟), 호는 서계(西溪)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부사직 김귀손(金貴孫)이고, 할아버지는 장사랑 김윤적(金允迪)이다. 아버지는 참봉 김관석(金關石)이고, 어머니는 박탄(朴坦)의 딸 순천 박씨(順天 朴氏)이다. 부인은 조몽길(曺夢吉)의 딸 창녕 조씨(昌寧 曺氏)이고,...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학자. 황계희(黃啓熙)[1727~1785]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경초(景初), 호는 심기당(審幾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종량(黃鍾亮), 할아버지는 황연(黃沇), 아버지는 황도중(黃道重)이다. 어머니는 이만헌(李萬憲)의 딸 연안 이씨(延安 李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황뉴(黃紐)[1578~1626]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회보(會甫), 호는 반간(槃澗)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조참판 황효헌(黃孝獻)이고, 할아버지는 황증(黃憕)이다. 아버지는 현감 황준원(黃俊元)이고, 어머니는 민사설(閔師說)의 딸 여흥 민씨(驪興 閔氏)이다. 부인은 조희철(趙希轍)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 이희민(李希閔)의 딸 연안 이...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문신. 황덕유(黃德柔)[1596~1659]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응곤(應坤), 호는 불환정(不換亭)·두곡(杜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징(黃憕)이고, 할아버지는 황준원(黃俊元)이다. 아버지는 황뉴(黃紐)이고, 어머니는 조희철(趙希轍)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이다. 부인은 사헌부대사헌 전식(全湜)의 딸 옥천 전씨(沃川 全氏)이고, 아들은...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에 속하는 법정리. 황령리(黃嶺里)는 황령사가 있어 황령리라 하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황령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황령사(黃嶺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황령리 칠봉산 자락에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황령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 황령사(黃嶺寺)는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황령리 칠봉산 자락에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담리(龍潭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황룡리(黃龍里)의 ‘용(龍)’ 자와 우기 시 상습 침수 지구를 ‘덤벙’이라고 한 것을 한역(漢譯)하여 ‘담’으로 고치고 ‘용담리’라 하였다고 한다....
-
2002년에 경상북도 상주시 출신의 소설가 성석제가 펴낸 소설집.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는 성석제(成碩濟)[1960~]의 단편 소설들을 엮어 2002년 창비에서 펴낸 소설집이다. 단편 소설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를 2000년에 『동서문학』 겨울호에 먼저 발표하였는데, 2002년에 6편의 단편 소설을 추가하여 소설집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로 펴냈다. 단편 소설 「황만근은...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황면(黃緬)[1600~1670]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원보(遠甫), 호는 만오(晩悟)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철성(黃鐵星)이고, 할아버지는 황확(黃確)이다. 아버지는 황현경(黃玄慶)이고, 어머니는 철성 이씨(鐵城 李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황반로(黃磻老)[1766~1840]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숙황(叔璜), 호는 백하(白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연(黃沇)이고, 할아버지는 황도중(黃道重)이다. 아버지는 황계희(黃啓熙)이고, 형은 황신로(黃莘老)·황암로(黃巖老)이다....
-
조선 전기 상주 지역에 정착한 문신. 황보신(黃保身)[1401~1456]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중전(仲全)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균비(黃均庇)이고, 할아버지는 황군서(黃君瑞)이다. 아버지는 영의정부사 황희(黃喜)이고, 어머니는 공조전서 양진(楊震)의 딸 청주 양씨(淸州 楊氏)이다. 부인은 홍여강(洪汝剛)의 딸 남양 홍씨이고, 아들은 황종형(黃從兄)·황공형(黃恭兄)·황우형...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황여헌(黃汝獻)[1486~1566]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헌지(獻之), 호는 유촌(柳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보신(黃保身)이고, 할아버지는 황종형(黃從兄)이다. 아버지는 부사 황관(黃瓘)이고, 어머니는 사헌부집의 강미수(姜眉壽)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다. 부인은 이수겸(李守謙)의 딸 광주 이씨(廣州 李氏)이다. 형은 황맹헌(黃孟獻)...
-
강원도 태백시에서 발원하여 경상북도 상주시를 지나 남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 낙동강(洛東江)은 경상북도 문경시에서 흘러와 상주시 사벌국면 퇴강리에서부터 낙동면 장곡리 구간을 지나 구미시로 흐르는 국가 하천이다. 낙동강의 국가 하천 구간은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삼각점, 단천삼각점 직선부터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낙동강 하굿둑의 외곽선까지이며, 유로 연장은 510.36㎞, 유역...
-
강원도 태백시에서 발원하여 경상북도 상주시를 지나 남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 낙동강(洛東江)은 경상북도 문경시에서 흘러와 상주시 사벌국면 퇴강리에서부터 낙동면 장곡리 구간을 지나 구미시로 흐르는 국가 하천이다. 낙동강의 국가 하천 구간은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삼각점, 단천삼각점 직선부터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낙동강 하굿둑의 외곽선까지이며, 유로 연장은 510.36㎞, 유역...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황여헌(黃汝獻)[1486~1566]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헌지(獻之), 호는 유촌(柳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보신(黃保身)이고, 할아버지는 황종형(黃從兄)이다. 아버지는 부사 황관(黃瓘)이고, 어머니는 사헌부집의 강미수(姜眉壽)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다. 부인은 이수겸(李守謙)의 딸 광주 이씨(廣州 李氏)이다. 형은 황맹헌(黃孟獻)...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황익재(黃翼再)[1682~1747]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재수(再叟), 호는 백화재(白華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집(黃緝)이고, 할아버지는 황재윤(黃載胤)이다. 아버지는 황진하(黃鎭夏)이고, 어머니는 김진익(金震釴)의 딸 상산 김씨(商山 金氏)이다. 부인은 심종(沈棕)의 딸 청송 심씨(靑松 沈氏)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회상리(回上里)는 회가 많이 났다는 것 또는 마을을 떠난 사람들이 다시 돌아온다고 하여 ‘회골(回골)’이라 하였다는 것에 유래하여 ‘횟골’, ‘힛골’, ‘회곡’, ‘회상동’이라고 불린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회상리와 상주시 도남동을 연결하던 낙동강 나루. 회상나루는 중동면 회상리(回上里)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회상리는 낙동강이 굽이도는 곳의 윗마을을 뜻하며, 마을을 떠난 사람들이 다시 돌아오는 곳 또는 회(灰)가 많이 나는 곳이라 하여 회곡, 회골이라고도 불렀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집터를 닦으면서 부르는 노래. 「달구소리」는 집을 지으려고 집터를 닦을 때나, 사람이 죽어 하관을 마치고 관 주변에 흙을 넣고 땅을 다질 때 부르는 노래이다. 흔히 「회다지소리」라고도 한다. 땅을 다지는 일은 일꾼들에게는 동작을 맞추어 큰 힘을 들여야 하는 장시간 노동이기에, 자연스레 「달구소리」와 같은 노동요가 형성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회상리와 상주시 도남동을 연결하던 낙동강 나루. 회상나루는 중동면 회상리(回上里)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회상리는 낙동강이 굽이도는 곳의 윗마을을 뜻하며, 마을을 떠난 사람들이 다시 돌아오는 곳 또는 회(灰)가 많이 나는 곳이라 하여 회곡, 회골이라고도 불렀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황뉴(黃紐)[1578~1626]의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회보(會甫), 호는 반간(槃澗)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조참판 황효헌(黃孝獻)이고, 할아버지는 황증(黃憕)이다. 아버지는 현감 황준원(黃俊元)이고, 어머니는 민사설(閔師說)의 딸 여흥 민씨(驪興 閔氏)이다. 부인은 조희철(趙希轍)의 딸 풍양 조씨(豊壤 趙氏), 이희민(李希閔)의 딸 연안 이...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회상리와 상주시 도남동을 연결하던 낙동강 나루. 회상나루는 중동면 회상리(回上里)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회상리는 낙동강이 굽이도는 곳의 윗마을을 뜻하며, 마을을 떠난 사람들이 다시 돌아오는 곳 또는 회(灰)가 많이 나는 곳이라 하여 회곡, 회골이라고도 불렀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회상리(回上里)는 회가 많이 났다는 것 또는 마을을 떠난 사람들이 다시 돌아온다고 하여 ‘회골(回골)’이라 하였다는 것에 유래하여 ‘횟골’, ‘힛골’, ‘회곡’, ‘회상동’이라고 불린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회상리(回上里)는 회가 많이 났다는 것 또는 마을을 떠난 사람들이 다시 돌아온다고 하여 ‘회골(回골)’이라 하였다는 것에 유래하여 ‘횟골’, ‘힛골’, ‘회곡’, ‘회상동’이라고 불린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회상리와 상주시 도남동을 연결하던 낙동강 나루. 회상나루는 중동면 회상리(回上里)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회상리는 낙동강이 굽이도는 곳의 윗마을을 뜻하며, 마을을 떠난 사람들이 다시 돌아오는 곳 또는 회(灰)가 많이 나는 곳이라 하여 회곡, 회골이라고도 불렀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학자. 전수장(全守長)[1650~1716]의 본관은 옥천(沃川)이며, 자는 경승(景承), 호는 만회당(晩悔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전식(全湜)이고, 할아버지는 전극항(全克恒)이다. 아버지는 전후(全垕)이고, 어머니는 장용섭(張龍燮)의 딸 인동 장씨(仁同 張氏)이다. 부인은 정시행(鄭時行)의 딸 연일 정씨(延日 鄭氏)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회상리(回上里)는 회가 많이 났다는 것 또는 마을을 떠난 사람들이 다시 돌아온다고 하여 ‘회골(回골)’이라 하였다는 것에 유래하여 ‘횟골’, ‘힛골’, ‘회곡’, ‘회상동’이라고 불린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효자 최만재 효자각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효곡마을의 효자각」은 최만재(崔晩載)라는 효자에 대한 인물 전설이자 효행담이다. 또한 상주시 공성면 효곡리에 최만재 효자각(崔晩載 孝子閣)이 세워진 경위와 왕실마을이 ‘효곡(孝谷)’으로 불린 내력이 담긴 사물 전설이자 지명 유래 전설이기도 하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용신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효곡서원(孝谷書院)은 김충(金冲)[1513~1572], 송량(宋亮)[1534~1618], 고인계(高仁繼)[1594~1647], 김광두(金光斗)[1562~1608]를 제향한 서원이다. 김충은 본관이 상산, 자는 화길(和吉), 호는 서대(西臺)이다. 1515년(명종 6) 문과에 급제하여 춘추관, 기주관, 호조정랑 등을 역임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용신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효곡서원(孝谷書院)은 김충(金冲)[1513~1572], 송량(宋亮)[1534~1618], 고인계(高仁繼)[1594~1647], 김광두(金光斗)[1562~1608]를 제향한 서원이다. 김충은 본관이 상산, 자는 화길(和吉), 호는 서대(西臺)이다. 1515년(명종 6) 문과에 급제하여 춘추관, 기주관, 호조정랑 등을 역임하였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효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사. 효곡재사(孝谷齋舍)는 송량(宋亮)[1534~1618]의 덕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한 재사이다. 송량의 본관은 여산(礪山), 호는 우곡(愚谷)이다. 부호군 송당(宋璫)의 아들이며, 성운(成運)의 문인이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을 일으켰으며, 도남서원(道南書院)을 창설하고 학규를 제정하는 등 후진 양성에 힘썼다. 효곡재사는 19...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효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사. 효곡재사(孝谷齋舍)는 송량(宋亮)[1534~1618]의 덕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한 재사이다. 송량의 본관은 여산(礪山), 호는 우곡(愚谷)이다. 부호군 송당(宋璫)의 아들이며, 성운(成運)의 문인이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을 일으켰으며, 도남서원(道南書院)을 창설하고 학규를 제정하는 등 후진 양성에 힘썼다. 효곡재사는 19...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효곡리(孝谷里)는 효자가 살았다고 하여 ‘효골’, ‘효곡’이라 이름을 지었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효곡리에 있는 여산 송씨 동성 마을. 효곡리(孝谷里)는 본래 상주군 청남면 지역이었다. 효자가 살았다고 하여 효골 또는 효곡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무수동(無愁洞)과 외남면 왕상리(旺上里)·왕하리(旺下里)·왕서리(旺西里)·왕신리(旺新里)를 합하여 경상북도 상주군 공성면 효곡리로 개설되었다. 효곡리의 자연 마을로는 효곡·정문거...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사산리에 있는 효자 정재수를 기리는 기념관. 효자정재수기념관(孝子鄭在洙記念館)은 열 살의 어린 나이로 아버지를 구하려다 같이 동사(凍死)한 정재수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한 기념관이다. 어린이들에게 효 사상을 일깨워 주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사산리에 있는 효자 정재수를 기리는 기념관. 효자정재수기념관(孝子鄭在洙記念館)은 열 살의 어린 나이로 아버지를 구하려다 같이 동사(凍死)한 정재수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한 기념관이다. 어린이들에게 효 사상을 일깨워 주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채소권(蔡紹權)[1480~1548]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효중(孝仲), 호는 졸옹(拙翁)·졸재(拙齋)이다. 초명은 채수동(蔡壽童)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세자시강원문학 채윤(蔡倫)이고, 할아버지는 남양도호부사 채신보(蔡申保)이다. 아버지는 호조참판 채수(蔡壽)이고, 어머니는 부사 권이순(權以順)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부인은 전양(全...
-
개항기 상주 출신의 의병. 채섬환(蔡暹奐)[1874~1944]의 본관은 인천(仁川), 자는 효진(孝進), 호는 후곡(后谷)이다. 아버지는 채세필(蔡世弼)이고, 어머니는 평산 신씨(平山 申氏)이다....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학자이자 문신. 김범(金範)[1512~1566]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며, 자는 덕용(德容), 호는 후계(后溪)·동계(桐溪)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통례문통찬 김극충(金克忠)이고, 할아버지는 부사직 김예강(金禮康)이다. 아버지는 장사랑 김윤검(金允儉)이고, 어머니는 종사랑 김증(金增)의 딸 선산 김씨(善山 金氏)이다. 부인은 계공랑 조한신(曺漢臣)의 딸 창녕 조...
-
개항기 상주 출신의 의병. 채섬환(蔡暹奐)[1874~1944]의 본관은 인천(仁川), 자는 효진(孝進), 호는 후곡(后谷)이다. 아버지는 채세필(蔡世弼)이고, 어머니는 평산 신씨(平山 申氏)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정도응(鄭道應)[1618~1667]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봉휘(鳳輝), 호는 무첨(無忝)·휴암(休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여관(鄭汝寬)이고, 할아버지는 정경세(鄭經世)이다. 아버지는 정심(鄭杺)이고, 어머니는 군수 이의활(李宜活)의 딸 경주 이씨(慶州 李氏)이다. 부인은 사헌부지평 류진(柳袗)의 딸 풍산 류씨(豊山 柳氏)이고, 아들은 정석...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흑암리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흑암2리 동제(黑岩2里 洞祭)는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흑암리의 흑암2리 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제사는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 자정에 동제당인 동신바위에서 모신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흑암리(黑岩里)는 마을 뒤 대가산 중턱에 검은 바위가 있다 하여 ‘흑암(黑岩)’이라 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흑암리에 있는 성주 이씨 동성 마을. 흑암리(黑岩里)는 본래 함창군 수하면[하서면] 지역이었다. 대가산 중턱에 검은 바위가 있어서 검바우 또는 흑암이라고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대가리(大佳里)를 합하여 경상북도 상주군 이안면 흑암리로 개설되었다. 자연 마을로는 검바우·모산·질구지·정자·점터마을 등이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흔평리(欣坪里)는 흰돌이 있어서 ‘흰돌’, ‘흔들’, ‘흔평’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
경상북도 상주시의 지표를 덮고 있으며, 암석이 부서져 생긴 무기물과 동식물에서 생긴 유기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물질. 상주시에 분포하는 토양 지형은 크게 서부 산악지와 중앙 구릉지, 동부 하성 평탄지로 구분된다. 소백산맥에서 뻗어 나온 산줄기가 이어지는 서부 지역은 고도가 높은 산악지와 사면의 산록 경사지 그리고 계곡을 따라 곡간지가 분포한다. 중앙과 동부 지역은 상대적으로 고도가...
-
경상북도 상주시에 속하는 법정동. 흥각동(興角洞)은 지형이 짐승의 뿔처럼 생겨 ‘흥각(興角)’ 또는 ‘흥뿌리’라 한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이언림을 시조로 하고 이은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상주시의 세거 성씨. 흥양 이씨(興陽 李氏)의 시조는 고려 때 병부상서와 공부상서를 거쳐 상서우복야를 역임한 이언림(李彦林)이다. 이언림의 7세손 이길(李吉)이 충혜왕 때 흥양군(興陽君)에 책봉되어 후손들이 흥양[현 전라남도 고흥군]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 왔다. 『인천이씨세보(仁川李氏世譜)』에는 이언림이 인천 이씨 시조 이...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채하징(蔡河徵)[1619~1687]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희서(羲瑞), 호는 취암(翠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채이범(蔡以範)이고, 할아버지는 채천경(蔡天經)이다. 아버지는 부사과 채상주(蔡尙周)이고, 어머니는 월성 김씨(月城 金氏)이다. 부인은 전이회(全以悔)의 딸 축산 전씨(竺山 全氏)이고, 아들은 채휴길(蔡休吉)이다....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문신. 권상일(權相一)[1679~1759]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태중(台仲), 호는 청대(淸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권구(權坵)이고, 할아버지는 권이칭(權以偁)이다. 아버지는 권심(權深)이고, 어머니는 부사 이달의(李達意)의 딸 경주 이씨(慶州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김가주(金可柱)의 딸 선성 김씨(宣城 金氏), 두 번째 부인은...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회상리(回上里)는 회가 많이 났다는 것 또는 마을을 떠난 사람들이 다시 돌아온다고 하여 ‘회골(回골)’이라 하였다는 것에 유래하여 ‘횟골’, ‘힛골’, ‘회곡’, ‘회상동’이라고 불린 데서 명칭이 붙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