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100742 |
---|---|
한자 | 尙州 咸昌司馬所 遺物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용곡로 214-5[신흥리 573]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은영 |
문화유산 지정 일시 | 2013년 8월 19일![]()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상주 함창사마소 유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지정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4년 5월 17일 - 상주 함창사마소 유물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지정 |
소장처 | 함창 사마록 봉안소 문중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용곡로 214-5[신흥리 573]![]() |
성격 | 고서 |
규격 | 세로 37㎝, 가로 25.5㎝[『함녕사마록』]|세로 37㎝, 가로 25.5㎝[『함녕사마록계안』]|세로 29.2㎝, 가로 22.8㎝[『함녕사마록』] |
문화유산 지정 번호 |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신흥리에 있는 3종의 고서.
상주 함창사마소 유물(尙州 咸昌司馬所 遺物)은 함창읍 신흥리의 함창 사마록 봉안소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함녕사마록(咸寧司馬錄)』, 『함녕사마록계안(咸寧司馬錄稧案)』, 『함녕사마록(咸寧司馬錄)』 등 3종의 고서이다.
2013년 8월 19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1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으며,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기본법」이 시행됨에 따라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되었다.
상주 함창사마소 유물은 조선 시대에 경상도 함녕[함창(咸昌)] 지역에 거주하였던 사마시 입격자 명단을 정한 것이다. 처음 작성되기 시작한 것은 1690년대이나 이후 꾸준하게 추록되어 조선 시대 말까지의 입격자 명부가 남아 있다.
『함녕사마록』은 1690년경 편성하였다. 필사본으로 1책이며, 크기는 세로 29.2㎝, 가로 22.8㎝이다. 『함녕사마록계안』은 1692년 편성하였다. 필사본으로 1책이며, 크기는 세로 37㎝, 가로 25.5㎝이다. 『함녕사마록』은 1713년 편성하였다. 필사본으로 1책이며, 크기는 세로 37㎝, 가로 25.5㎝이다.
상주 함창사마소 유물은 사마소가 설치된 과정과 함께 경상도 함녕[함창] 출신으로 사마시에 입격한 475인의 명단을 수록하였다. 중복되는 267인은 제외하였다.
상주 함창사마소 유물은 경상도 함녕[함창] 지역의 사마시 입격자만을 정리하여 문서로 남겼다는 점에서 지역사와 행정사에 큰 의미를 가진다. 특히 사마방목이 온전하게 전하지 않는 현 상황에서 사마소가 설치된 과정과 더불어 생원·진사의 명단이 수록된 함창 지역의 인명록이라는 점에서 지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