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100924 |
---|---|
한자 | 蔡紹權 |
영어공식명칭 | Chae Sogwon |
이칭/별칭 | 효중(孝仲),졸옹(拙翁),졸재(拙齋),채수동(蔡壽童)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채광수 |
출생 시기/일시 | 1480년![]() |
---|---|
활동 시기/일시 | 1504년 - 채소권 진사시 합격 |
활동 시기/일시 | 1506년 - 채소권 별시 문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511년 - 채소권 사산원정언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524년 - 채소권 대사헌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524년 - 채소권 부제학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528년 - 채소권 청주목사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530년 - 채소권 우승지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531년 - 채소권 경기도관찰사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535년 - 채소권 형조판서 제수 |
몰년 시기/일시 | 1548년![]() |
추모 시기/일시 | 1768년 - 채소권 웅연서원 배향 |
출생지 | 한성부 - 서울특별시 |
거주|이주지 | 경상도 함창현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 |
부임|활동지 | 창원부 - 경상남도 창원시 |
부임|활동지 | 청주목 - 충청북도 청주시 |
묘소|단소 | 채소권 묘소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율곡리
![]() |
성격 | 문신 |
성별 | 남성 |
본관 | 인천(仁川) |
대표 관직 | 형조판서 |
조선 전기 상주 출신의 문신.
채소권(蔡紹權)[1480~1548]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효중(孝仲), 호는 졸옹(拙翁)·졸재(拙齋)이다. 초명은 채수동(蔡壽童)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세자시강원문학 채윤(蔡倫)이고, 할아버지는 남양도호부사 채신보(蔡申保)이다. 아버지는 호조참판 채수(蔡壽)이고, 어머니는 부사 권이순(權以順)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부인은 전양(全讓)의 딸 천안 전씨(天安 全氏)이고, 아들은 채무강(蔡無彊)·채무은(蔡無垠)·채무태(蔡無怠)·채무진(蔡無盡)이다.
채소권은 1480년(성종 11) 한성부[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1504년(연산군 10)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506년(중종 원년) 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1511년 사간원정언이 되었고, 사헌부장령·창원부사·사헌부집의·홍문관전한·동부승지·좌부승지 등을 역임한 뒤 1524년 사헌부대사헌에 제수되었다. 1524년 홍문관부제학이 되었고, 「시폐오조소(時弊五條疏)」를 올려 사습을 바르게 하고 조정의 결원을 채울 것 등을 건의하였다.
채소권은 1528년 어머니의 병을 이유로 청주목사로 부임하였고, 1530년 우승지에 제수되었다. 1531년 경기도관찰사로 부임하였고, 이후 한성부의 좌윤과 우윤 등을 거쳐 1535년에 형조판서가 되었다. 채소권은 1548년(명종 3) 사망하였다.
채소권의 저술로는 문집인 『졸재집(拙齋集)』이 전한다. 채소권은 설총(薛聰)이 신문왕(神文王)에게 올린 『화왕계(花王戒)』를 잇는 가전체 소설 「화왕전(花王傳)」을 짓기도 하였다.
채소권의 묘소는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율곡리에 있다.
채소권은 1768년(영조 44) 지금의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서중리에 있던 인천 채씨 문중 서원인 웅연서원(熊淵書院)에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