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100873
한자 李衡祥
영어공식명칭 Lee Hyeongsang
이칭/별칭 병와(甁窩),중옥(仲玉),순옹(順翁)
분야 역사/전통 시대,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병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53년연표보기 - 이형상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77년 - 이형상 진사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681년 - 이형상 별시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82년 - 이형상 율봉도찰방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85년 - 이형상 병조정랑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86년 - 이형상 광주경력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87년 - 이형상 성주목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92년 - 이형상 양주목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99년 - 이형상 경주부윤 부임
활동 시기/일시 1701년 - 이형상 제주목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705년 - 이형상 영광군수 부임
활동 시기/일시 1710년 - 이형상 상주 이거
활동 시기/일시 1728년 - 이형상 경상도 소모사 임명
몰년 시기/일시 1733년연표보기 - 이형상 사망
추모 시기/일시 1735년 - 이형상 성남서원 배향
추모 시기/일시 1796년 - 이형상 청백리 녹선
추모 시기/일시 1829년 - 이형상 제주 영혜사 배향
출생지 주안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동
거주|이주지 강화 - 인천광역시 강화군
거주|이주지 영천 - 경상북도 영천시
거주|이주지 상주 - 경상북도 상주시
부임|활동지 성주목 - 경상북도 성주군
부임|활동지 광주부 - 경기도 광주시
부임|활동지 금산군 - 충청남도 금산군
부임|활동지 청주목 - 충청북도 청주시
부임|활동지 동래부 - 부산광역시 동래구
부임|활동지 양주목 - 경기도 양주시
부임|활동지 안주목 - 평안남도 안주시
부임|활동지 경주부 - 경상북도 경주시
부임|활동지 제주목 - 제주특별자치도
부임|활동지 영광군 - 전라남도 영광군
부임|활동지 경원부 - 함경북도 경원군
묘소|단소 이형상 묘소 -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우산리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전주(全州)
대표 관직 경주부윤

[정의]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거주하였던 문신.

[가계]

이형상(李衡祥)[1653~1733]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중옥(仲玉), 호는 병와(甁窩) 또는 순옹(順翁)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음현감 이사민(李師閔)이고, 할아버지는 예문관직제학 이장형(李長馨)이다. 아버지는 이주하(李柱厦)이고, 어머니는 윤세구(尹世耈)의 딸 파평 윤씨(坡平 尹氏)이다. 부인은 통덕랑 송지규(宋之奎)의 딸 은진 송씨(恩津 宋氏)이고, 아들은 이여강(李如綱)·이여항(李如沆)·이여성(李如晟)·이여적(李如迪)·이여극(李如克)이다. 사위는 김징경(金徵慶)·오명운(吳命運)이다.

[활동 사항]

이형상은 1653년(효종 4) 주안(朱安)[현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동]에서 태어났다. 1677년(숙종 3)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680년(숙종 6) 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1681년 승문원부정자가 되었고, 1682년 율봉도찰방으로 부임하였다. 1685년 승문원정자·봉상시직장·성균관전적·사헌부감찰·호조좌랑을 역임하였고, 1686년 병조정랑을 거쳐 광주부경력으로 부임하였다. 1687년 성주목사로 부임한 뒤에는 향촌 교화에 힘써 20조의 훈첩(訓帖)을 반포하고 유생 150명을 선출하여 관비로 교육시켰으며, 인조 때의 의사 이사룡(李士龍)을 기리는 충렬사(忠烈祠)를 건립하기도 하였다. 1688년 금산군수 겸 전주진관병마동첨절제사에 제수되었다.

이형상은 1690년 청주목사를 거쳐 동래도호부사를 지낸 뒤 사직하였다. 1692년부터 1698년까지 경주부윤과 양주목사 등 매년 조정에서 벼슬을 내렸으나 노모 봉양과 시묘 등의 이유로 사양하다가 1699년에 경주부윤으로 부임하였다. 1700년에 다시 사직하고 경상도 영천(永川)[현 경상북도 영천시]에 은거하며 호연정(浩然亭)을 지었다. 1701년에는 제주목사 겸 제주진병마수군절제사로 부임하여 제주의 풍습을 유교적 풍속으로 바꾸는 데 힘을 쏟았다. 1705년 영광군수를 마지막으로 관직에서 물러난 뒤에는 수차례 관직이 내렸으나 사양하고 저술 활동에 전념하였다.

이형상은 1710년 선조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사우 중수를 위하여 상주로 이거하였다가 1715년 다시 영천으로 복귀하였다.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발발하자 경상도 소모사(召募使)가 되었지만 이인좌의 무리와 내통한다는 관찰사 황선(黃璿)의 무고로 체포되어 국문을 받기도 하였다. 이형상은 1733년 과천의 객사에서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이형상은 저술로는 1774년에 손자 이만송(李晚松)이 간행한 문집 『병와집(甁窩集)』이 있다. 『병와집』 외에도 보물로 지정된 『선후천(先後天)』 3책, 『악학편고(樂學便考)』 3책, 『악학습령(樂學拾零)』 1책, 『강도지(江都志)』 2책, 『남환박물지(南宦博物誌)』 1책,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 1첩, 『동이산략(東耳刪畧)』 1책, 『둔서록(遯筮錄)』 1책, 『복부유목(覆瓿類目)』 1책, 『정안여분(靜安餘噴)』 1책 등이 전한다.

[묘소]

이형상의 묘소는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우산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이형상은 1735년 영천시 오수동에 건립되었던 성남서원(城南書院)에 배향되었고, 1796년(정조 20) 청백리에 녹선(錄選)되었다. 1829년(순조 29)에는 제주 유생들이 지금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1동에 있던 영혜사(永惠祠)에 배향하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