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101453 |
---|---|
한자 | 洪汝河 |
영어공식명칭 | Hong Yeoha |
이칭/별칭 | 백원(百源),목재(木齋),산택재(山澤齋)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순한 |
출생 시기/일시 | 1620년![]() |
---|---|
활동 시기/일시 | 1654년 - 홍여하 식년시 문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656년 - 홍여하 고산찰방으로 좌천 |
활동 시기/일시 | 1659년 - 홍여하 경성판관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660년 - 홍여하 황간으로 유배 |
몰년 시기/일시 | 1674년![]() |
추모 시기/일시 | 1689년 - 홍여하 부제학 추증 |
출생지 | 상주 - 경상북도 상주시 |
거주|이주지 | 율리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율리
![]() |
유배|이배지 | 황간 -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
사당|배향지 | 근암서원 - 경상북도 문경시 금천로 351-5[서중리 148-1] |
성격 | 문신 |
성별 | 남성 |
본관 | 부계(缶溪) |
대표 관직 | 경성판관 |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홍여하(洪汝河)[1620~1674]의 본관은 부계(缶溪)이며, 자는 백원(百源), 호는 목재(木齋)·산택재(山澤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경삼(洪景參)이고, 할아버지는 홍덕록(洪德祿)이다. 아버지는 대사간 홍호(洪鎬)이고, 어머니는 고종후(高從厚)의 딸 장흥 고씨(長興 高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황덕유(黃德柔)의 딸 장수 황씨(長水 黃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김규(金煃)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다. 아들은 홍상민(洪相民)이다.
홍여하는 1620년(광해군 12) 상주에서 태어났다. 1654년(효종 5) 진사시를 거쳐 식년시 문과에 급제한 뒤 예문관검열이 되었으며, 1656년 예문관봉교를 거쳐 사간원정언으로 있을 때 국왕의 언교(言敎)[나라의 재난이나 중대한 사안이 발생하였을 때 해결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널리 의견을 구하는 명령]에 답하는 응지(應旨) 상소를 올렸다가 반대파의 배척을 받아 고산찰방으로 좌천되었다.
홍여하는 1659년 경성판관으로 있을 때 북방 군정의 폐단과 함께 이후원(李厚源)의 행태를 지적하는 상소를 올렸는데, 홍여하의 상소를 자신에 대한 저격이라고 판단한 송시열(宋時烈)이 상소를 올리고 사직하는 등 서인 측의 공격을 받았다. 1660년에는 병마절도사 권우(權堣)의 일을 문제 삼았다가 파직된 뒤에 충청도 황간으로 유배되었고, 얼마 후 풀려났으나 벼슬을 단념하고 율리로 낙향하였다. 이후 정경세(鄭經世)·이준(李埈)·전식(全湜) 등과 교유하며 학문에 전념하였다.
1674년(숙종 원년) 제2차 복상(服喪) 문제로 남인이 정권을 잡자 홍여하는 병조좌랑과 사간에 제수되었으나 병환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홍여하의 저술로는 문집인 『목재집(木齋集)』 13권 7책이 전한다. 또한 『주역구결(周易口訣)』·『의례고증(儀禮考證)』·『사서발범구결(四書發凡口訣)』·『휘찬여사(彙纂麗史)』·『동사제강(東史提綱)』·『해동성원(海東姓苑)』·『경서해의(經書解義)』 등의 다양한 저서를 남겼다.
홍여하는 1689년(숙종 15) 부제학에 추증되었으며, 지금의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서중리에 있는 근암서원(近巖書院)에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