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100639 |
---|---|
한자 | 王山歷史公園 內 碑石群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 163-69 |
시대 | 조선/조선 후기,근대/근대 |
집필자 | 이창국 |
건립 시기/일시 | 1650년 - 상진 절제사 이후 유애비 건립 |
---|---|
건립 시기/일시 | 1656년 - 영장 이인하 거사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674년 - 목사 이후 청간애민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823년 - 목사 서흥보 송덕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856년 - 수연 박시은 송덕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860년 - 목사 홍한주 애민선정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860년 - 수연 강봉언 영세불망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879년 - 관찰사 박제인 송덕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881년 - 목사 박헌양 송덕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890년 - 영장 정상우 송덕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907년 - 목백 민공 송덕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926년 - 군수 신현구 기념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966년 - 노우회 앙산 수축 기념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971년 - 상주군수 김정주씨 상산루 기초 수축 기념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974년 - 상산 박공인양 선생 영세불망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984년 - 추계 추공광엽 선생 영세불망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2011년 - 위암 장지연 선생 기념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2011년 - 왕산역사공원 중수비 건립 |
이전 시기/일시 | 1986년 - 왕산역사공원 내 비석군 이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1년 - 왕산역사공원 내 비석군 정비 |
현 소재지 | 왕산역사공원 내 비석군 -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 163-69 |
성격 | 선정비 |
크기(높이, 너비, 두께) | 높이 25㎝, 너비 150㎝, 두께 130㎝[영장 이인하 거사비 귀부]|높이 187㎝, 너비 71㎝, 두께 23㎝[영장 이인하 거사비 비신]|높이 65㎝, 너비 93㎝, 두께 46㎝[영장 이인하 거사비 이수]|높이 15㎝, 너비 99㎝, 두께 100㎝[관찰사 박제인 송덕비 귀부]|높이 189㎝, 너비 67㎝, 두께 30.5㎝[관찰사 박제인 송덕비 비신]|높이 43㎝, 너비 97㎝, 두께 59㎝[관찰사 박제인 송덕비 관석]|높이 15㎝, 너비 110㎝, 두께 120㎝[목사 이후 청간애민비 귀부]|높이 200㎝, 너비 73㎝, 두께 22㎝[목사 이후 청간애민비 비신]|높이 60㎝, 너비 102㎝, 두께 53㎝[목사 이후 청간애민비 이수]|높이 15㎝, 너비 111㎝, 두께 68㎝[목사 서흥보 송덕비 비석 받침]|높이 159㎝, 너비 63㎝, 두께 19㎝[목사 서흥보 송덕비 비신]|높이 33㎝, 너비 109㎝, 두께 63㎝[목사 서흥보 송덕비 뚜껑돌]|높이 10㎝, 너비 98㎝, 두께 89㎝[목사 홍한주 애민선정비 비석 받침]|높이 152㎝, 너비 57㎝, 두께 29.5㎝[목사 홍한주 애민선정비 비신]|높이 38㎝, 너비 80㎝, 두께 54㎝[목사 홍한주 애민선정비 뚜껑돌]|높이 15㎝, 너비 79㎝, 두께 57㎝[목사 박헌양 송덕비 비석 받침]|높이 156㎝, 너비 54.5㎝, 두께 26㎝[목사 박헌양 송덕비 비신]|높이 20㎝, 너비 83㎝, 두께 60㎝[목백 민공 송덕비 비석 받침]|높이 110㎝, 너비 45㎝, 두께 22㎝[목백 민공 송덕비 비신]|높이 45㎝, 너비 86㎝, 두께 60㎝[목백 민공 송덕비 뚜껑돌]|높이 10㎝, 너비 95㎝, 두께 59㎝[수연 박시은 송덕비 비석 받침]|높이 130㎝, 너비 44㎝, 두께 13㎝[수연 박시은 송덕비 비신]|높이 30㎝, 너비 80㎝, 두께 50㎝[수연 박시은 송덕비 뚜껑돌]|너비 108㎝, 두께 70㎝[상진 절제사 이후 유애비 비석 받침]|높이 192㎝, 너비 77㎝, 두께 24㎝[상진 절제사 이후 유애비 비신]|높이 20㎝, 너비 76㎝, 두께 49㎝[군수 신현구 기념비 비석 받침]|높이 123㎝, 너비 46.5㎝, 두께 17㎝[군수 신현구 기념비 비신]|높이 47㎝, 너비 79㎝, 두께 52.5㎝[군수 신현구 기념비 뚜껑돌]|높이 10㎝, 너비 82㎝, 두께 59㎝[영장 정상우 송덕비 비석 받침]|높이 123㎝, 너비 42㎝, 두께 16.5㎝[영장 정상우 송덕비 비신]|높이 20㎝, 너비 90㎝, 두께 56㎝[수연 강봉언 영세불망비 비석 받침]|높이 110㎝, 너비 46㎝, 두께 21㎝[수연 강봉언 영세불망비 비신] |
[정의]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 왕산역사공원에 있는 조선 후기, 개항기, 일제 강점기의 지방관 비.
[개설]
왕산역사공원(王山歷史公園)에는 조선 시대에서 현대까지의 송덕비 6기, 불망비 3기, 기념비 4기, 거사비·애민비·선정비·유애비·중수비 각 1기 등 총 18기의 비가 있다. 직위별로는 관찰사 1기, 절제사 1기, 영장 2기, 목사 5기, 군수 2기, 이방 2기, 기타 5기이다. 건립 연대는 1650년(효종 1)부터 2011년까지이다.
[건립 경위]
왕산역사공원 내 비석군(王山歷史公園 內 碑石群)은 조선 후기, 개항기, 일제 강점기 지방관들이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베푼 선정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들이다. 상주 시가지 주위에 흩어져 있었으나 1986년 상주시의 왕산 수축 공사 때 현재의 자리로 이전하였다.
[위치]
왕산역사공원 내 비석군은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 163-69번지 왕산역사공원 내의 왕산 남쪽 아래에 동서 방향으로 일렬로 서 있다.
[형태]
1. 영장 이인하 거사비(營將 李仁夏 去思碑)
상주 최초의 진영장(鎭營將)인 이인하는 재임 기간이 1654년부터 1656년이다. 영장 이인하 거사비는 박락이 심한 귀부와 비신, 이수로 구성되어 있다. 귀부는 높이 25㎝, 너비 150㎝, 두께 130㎝이다. 비신은 높이 187㎝, 너비 71㎝, 두께 23㎝이다. 이수는 높이 65㎝, 너비 93㎝, 두께 46㎝이다.
2. 관찰사 박제인 송덕비(觀察使 朴齊寅 頌德碑)
박제인은 재임 기간이 1875년 6월부터 1877년 12월까지이다. 관찰사 박제인 송덕비는 박락이 심한 귀부와 비신, 관석(冠石)으로 구성되어 있다. 귀부는 높이 15㎝, 너비 99㎝, 두께 100㎝이다. 비신은 높이 189㎝, 너비 67㎝, 두께 30.5㎝이다. 관석은 높이 43㎝, 너비 97㎝, 두께 59㎝이다.
3. 목사 이후 청간애민비(牧使 李侯 淸澗愛民碑)
이초로(李礎老)는 재임 기간이 1668년 2월부터 1669년 6월까지이다. 목사 이후 청간애민비는 머리 부분이 땅바닥으로 향하면서 이빨을 꽉 물고 있는 특이한 모습의 귀부와 비신, 이수로 구성되어 있다. 귀부는 높이 15㎝, 너비 110㎝, 두께 120㎝이다. 비신은 높이 200㎝, 너비 73㎝, 두께 22㎝이다. 이수는 높이 60㎝, 너비 102㎝, 두께 53㎝이다.
4. 목사 서흥보 송덕비(牧使 徐興補 頌德碑)
서흥보는 재임 기간이 1819년 4월부터 1823년 12월까지이다. 목사 서흥보 송덕비는 비석 받침과 비신, 뚜껑돌로 구성되어 있다. 비석 받침은 높이 15㎝, 너비 111㎝, 두께 68㎝이다. 비신은 높이 159㎝, 너비 63㎝, 두께 19㎝이다. 뚜껑돌은 높이 33㎝, 너비 109㎝, 두께 63㎝이다.
5. 목사 홍한주 애민선정비(牧使 洪翰周 愛民善政碑)
홍한주는 재임 기간이 1858년 11월부터 1862년 1월까지이다. 목사 홍한주 애민선정비는 시멘트의 비석 받침과 비신, 뚜껑돌로 구성되어 있다. 비석 받침은 높이 10㎝, 너비 98㎝, 두께 89㎝이다. 비신은 높이 152㎝, 너비 57㎝, 두께 29.5㎝이다. 뚜껑돌은 높이 38㎝, 너비 80㎝, 두께 54㎝이다.
6. 목사 박헌양 송덕비(牧使 朴憲陽 頌德碑)
박헌양은 재임 기간이 1878년 1월부터 1879년 8월까지이다. 목사 박헌양 송덕비는 비석 받침과 직수형(直首形)의 비신만 남아 있다. 비석 받침은 높이 15㎝, 너비 79㎝, 두께 57㎝이다. 비신은 높이 156㎝, 너비 54.5㎝, 두께 26㎝이다.
7. 목백 민공 송덕비(牧伯 閔公 頌德碑)
민종렬은 재임 기간이 1885년 4월부터 1890년 6월까비이다. 목백 민공 송덕비는 비석 받침[연꽃무늬가 조각된 비석 받침 비좌에 간격이 있는 것으로 보아 본래의 것이 아닌 것으로 추정]과 비신, 뚜껑돌로 구성되어 있다. 비석 받침은 높이 20㎝, 너비 83㎝, 두께 60㎝이다. 비신은 높이 110㎝, 너비 45㎝, 두께 22㎝이다. 뚜껑돌은 높이 45㎝, 너비 86㎝, 두께 60㎝이다.
8. 수연 박시은 송덕비(首椽 朴時殷 頌德碑)
박시은은 수연[아전들이 사무를 보던 연청(椽廳)의 우두머리로 이방을 뜻함]으로 재임하였다. 재임 기간은 1842년부터 1847까지이다. 수연 박시은 송덕비는 비석 받침과 비신, 뚜껑돌로 구성되어 있다. 비석 받침은 높이 10㎝, 너비 95㎝, 두께 59㎝이다. 비신은 높이 130㎝, 너비 44㎝, 두께 13㎝이다. 뚜껑돌은 높이 30㎝, 너비 80㎝, 두께 50㎝이다.
9. 상진 절제사 이후 유애비(尙鎭 節制使 李侯 遺愛碑)
이후는 재임 기간이 1648년 6월부터 1650년 1월까지이다. 상진 절제사 이후 유애비는 지면과 같은 높이의 시멘트 비석 받침과 직수형(直首形)의 비신만 남아 있다. 비석 받침은 너비 108㎝, 두께 70㎝이다. 비신은 높이 192㎝, 너비 77㎝, 두께 24㎝이다.
10. 군수 신현구 기념비(郡守 申鉉求 記念碑)
신현구는 재임 기간이 1922년 5월부터 1926년 10월까지이다. 군수 신현구 기념비는 비석 받침과 비신, 뚜껑돌로 구성되어 있다. 비석 받침은 높이 20㎝, 너비 76㎝, 두께 49㎝이다. 비신은 높이 123㎝, 너비 46.5㎝, 두께 17㎝이다. 뚜껑돌은 높이 47㎝, 너비 79㎝, 두께 52.5㎝이다.
11. 영장 정상우 송덕비(營將 鄭祥瑀 頌德碑)
정상우는 재임 시작은 알 수 없고 1890년까지이다. 영장 정상우 송덕비는 시멘트의 비석 받침과 직수형의 비신만 남아 있다. 비석 받침은 높이 10㎝, 너비 82㎝, 두께 59㎝이다. 비신은 높이 123㎝, 너비 42㎝, 두께 16.5㎝이다.
12. 수연 강봉언 영세불망비(首椽 姜奉彦 永世不忘碑)
강봉언은 이방으로 재임하였다. 재임 기간은 1852년 7월부터 1862년 1월까지이다. 수연 강봉언 영세불망비는 시멘트 비석 받침과 직수형의 비신만 남아 있다. 비석 받침은 높이 20㎝, 너비 90㎝, 두께 56㎝이다. 비신은 높이 110㎝, 너비 46㎝, 두께 21㎝이다.
[금석문]
1. 영장 이인하 거사비는 1656년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영장 이공인하 거사비(營將 李公仁夏 去思碑)’, 오른쪽에는 이인하에 관련된 비문이 있으며 마지막에 ‘숭정 갑신후 십이년 병신 십이월 일 립(崇禎 甲申後 十二年 丙申 十二月 日 立)’, 왼쪽에는 비의 이전과 개수에 관한 비문이 있으며 마지막에 ‘갑술 삼월 일 팔대손 문흠 근지 주인 종후학 명구 경서(甲戌 三月 日 八代孫 文欽 謹識 州人 宗後學 明九 敬書)’가 새겨져 있다. 1874년(고종 11) 상주영장이자 8대손인 이문흠에 의하여 이전, 개수되었다.
2. 관찰사 박제인 송덕비는 1879년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관찰사 박공제인 송덕비(觀察使 朴公齊寅 頌德碑)’, 오른쪽에는 ‘진독대겸 제광전강 앙이천복 첨량극광(賑篤大歉 濟廣全疆 仰二天覆 添兩極光)’, 왼쪽에는 ‘풍청범비 가일소당 이경송륵 군자유향(風靑范轡 歌溢召棠 夷庚頌泐 君子留香)’, 후면 상단에는 ‘상지 십육년 기묘 팔월 일(上之 十六年 己卯 八月 日)’, 중단에는 ‘도청 유학 강백영 이중혁 유학 강림형 서 성기원 찬(都廳 幼學 姜白永 李重赫 幼學 姜林馨 書 成耆源 撰)’, 하단에는 ‘색리 김동주 삼십일방 립(色吏 金東儔 三十一坊 立)’이 새겨져 있다.
3. 목사 이후 청간애민비는 1674년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목사 이후 청간애민비(牧使 李侯 淸澗愛民碑)’, 후면에는 이초로에 관한 비문이 있으며 마지막에 ‘갑인 삼월 일 립 통훈대부 전성균관사예 조정융 찬(甲寅 三月 日立 通訓大夫 前成均館司藝 曹挺融 撰)’이 새겨져 있다.
4. 목사 서흥보 송덕비는 1823년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목사 서후흥보 송덕비(牧使 徐侯興補 頌德碑)’, 오른쪽에는 ‘덕부삼군 택류만정(德溥三軍 澤流萬井)’, 왼쪽에는 ‘여시가대 도속제정(與時假貸 導俗齊整)’, 후면 상단 중앙에는 ‘상지 즉위 이십삼년 계미 시월 일 읍 각동 립(上之 卽位 二十三年 癸未 十月 日 邑 各洞 立)’, 하단에는 ‘감역 이대근 차행권(監役 李大根 車行權)’, 오른쪽에는 ‘도검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창덕궁 위장 이진계(都撿 嘉善大夫 同知中樞府事 昌德宮 衛將 李震啓)’, 왼쪽에는 ‘이정만 서(李挺萬 書)’가 새겨져 있다.
5. 목사 홍한주 애민선정비는 1860년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목사 홍후한주 애민선정비(牧使 洪侯翰周 愛民善政碑)’, 오른쪽에는 ‘래하모유각춘 문이박정유순(來何暮有脚春 文以博政惟醇)’, 왼쪽에는 ‘여송덕사왈시 삼자명만구비(輿頌德士曰時 三字銘萬口碑)’, 오른쪽 면에는 ‘차사 김철이 남천득(差使 金哲伊 南千得)’, 후면 중앙에는 ‘숭정 기원후 사경신 사월 하한 각면 립(崇禎 紀元後 四庚申 四月 下澣 各面 立)’, 하단에는 오른쪽부터 ‘호장 박사설 이방 강봉언 도검 전별장 엄상신 간역리 이용권(戶長 朴思說 吏房 姜奉彦 都撿 前別將 嚴相愼 看役吏 李龍權)’이 새겨져 있다.
6. 목사 박헌양 송덕비는 1881년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목사 박후헌양 송덕비(牧使 朴侯憲陽 頌德碑)’, 오른쪽에는 ‘화일합경 위진전성 사불엄공 애불연명 가현호송 이수지풍 도안야변 예수지공 문옹촉군 건노개봉(化溢闔境 威鎭全城 私不掩公 娭不筵明 家絃戶誦 伊誰之風 堵安野抃 繄誰之功 文翁蜀郡 乞老開封)’, 왼쪽에는 ‘여수하취 약부향종 유애삼돌 거사유신 민지유언 지우이신 구금수석 비왈보성 뢰차불기 수아여정(如水下就 若桴響從 遺愛穼湥 去思愈新 民之有言 至愚而神 鳩金竪石 非曰報誠 賴此不忌 遂我輿情)’, 후면에는 박헌양에 관한 비문이 있으며 마지막에 ‘광서 칠년 신사 오월 일 이십육면 소민 립 이방 박의봉 도검 오장혁 색리 박명화 유사 장덕기 박의식 찬 박인은 서(光緖 七年 辛巳 五月 日 二十六面 小民 立 吏房 朴儀鳳 都撿 吳璋赫 色吏 朴命和 有司 張德基 朴儀植 撰 朴寅殷 書)’가 새겨져 있다.
7. 목백 민공 송덕비는 1907년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고 목백 민공 송덕비(故 牧伯 閔公 頌德碑)’, 후면에는 민종렬에 관한 비문이 있으며 마지막에 ‘광무 십일년 정미 하오월 상순 통정대부 전행비서원승 진양 정하묵 찬 이동수 근서 간역 전오위장 장덕기(光武 十一年 丁未 夏五月 上旬 通政大夫 前行祕書院丞 晉陽 鄭夏默 撰 李東秀 謹書 幹役 前五衛將 張德基)’가 새겨져 있다.
8. 수연 박시은 송덕비는 1856년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고 수연 박공시은 송덕비(故 首椽 朴公時殷 頌德碑)’, 오른쪽에는 ‘오재거전 일심봉공 기아육청 인혜시몽(五載居銓 一心奉公 曁我六聽 仁惠是蒙)’, 왼쪽에는 ‘흘금보존 감망기공 특서우석 용표심충(迄今保存 敢忘其功 特書于石 庸表深衷)’, 후면에는 오른쪽부터 ‘숭정 기원후 사병진 중하 립 책장청 도검 장인준 감역 박학실 이만철, 사령청 도검 김위진 감역 송시준 신용철, 관노청 도검 김신선 감역 김순경 이영태, 군뢰청 도검 정의함 감역 강용기 황춘경, 교사청 도검 김진성 감역 서임출 엄학술, 반직청 도검 김복삼 감역 정철의 김마당(崇禎 紀元後 四丙辰 仲夏 立 冊粧聽 都撿 張仁俊 監役 朴學實 李萬哲 使令廳 都撿 金威振 監役 宋時俊 申龍哲 官奴廳 都撿 金信善 監役 金順慶 李永泰 軍牢廳 都撿 鄭儀咸 監役 姜龍基 黃春慶 敎師廳 都撿 金振聲 監役 徐壬出 嚴學述 盤直廳 都撿 金福三 監役 鄭哲儀 金馬堂)’이 새겨져 있다.
9. 상진 절제사 이후 유애비는 1650년 세워졌다. 서성동 비석군 중 가장 오래된 비로 비신 전면 중앙에는 ‘상진 절제사 이후 유애비(尙鎭 節制使 李侯 遺愛碑)’, 후면에는 이후의 선정과 비의 건립에 관한 비문이 있으며 마지막에 ‘순치 경인 팔월 일 주민 대군사부 신석번 찬(順治 庚寅 八月 日 州民 大君師傅 申碩蕃 撰)’이 새겨져 있다.
10. 군수 신현구 기념비는 1926년 전후에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군수 신후현구 기념비(郡守 申侯鉉求 記念碑)’, 후면에는 신현구에 관한 비문이 있으며, 오른쪽 면에는 글자를 지운 흔적이 있다. 신현구는 일제 강점기 친일 관료로 1912년 한국 병합 기념장, 1915년 다이쇼 대례 기념장, 1928년 쇼와 대례 기념장과 훈 5등 서보장을 받았다.
11. 영장 정상우 송덕비는 1890년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영장 정공상우 송덕비(營將 鄭公祥瑀 頌德碑)’, 오른쪽에는 ‘군정기명 영색불명 일년리진 사경뢰생(軍政旣明 鈴索不鳴 一年涖鎭 四境賴生)’, 왼쪽에는 ‘잔국중원 퇴파복청 만구성비 재재송성(殘國重圓 頹波復淸 萬口成碑 在在頌聲)’, 후면에는 ‘광서 십육년 경인 유월 일 립(光緖 十六年 庚寅 六月 日 立)’이 새겨져 있다.
12. 수연 강봉언 영세불망비는 1860년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수연 강봉언 영세불망비(首椽 姜奉彦 永世不忘碑)’, 오른쪽에는 ‘상유명후 계득기인 재전전임 독현폐국(上有明侯 溪得其人 再典銓任 獨賢弊局)’, 왼쪽에는 ‘수처교폐 일경뢰안 루자편석 비야불망(隧處矯弊 一境賴安 鏤玆片石 俾也不忘)’, 후면에는 오른쪽부터 ‘도검 김윤 도감 신도흥, 윤태재, 정민호 유사 신도준, 이인서, 김능필, 정수성 경신 오월 일 내서면 수물동 립(都撿 金允 都監 申道興 尹泰在 鄭民浩 有司 申道俊 李仁瑞 金能必 鄭守成 庚申 五月 日 內西面 水物洞 立)’이 새겨져 있다.
[현황]
왕산역사공원 내 비석군 비는 전체적으로 상태가 양호한 편이며, 비문은 일부를 제외하면 거의 판독이 가능한 상태이다. 2011년 상주시에서 왕산역사공원을 일제히 정비하면서 비석별로 안내판을 세우는 등 비군(碑群)을 다시 정비하였다. 왕산역사공원에는 12기 외에 비석군 뒤로 1966년 세운 ‘노우회 앙산 수축 기념비(老友會央山修築紀念碑)’, 왕산 정상부에 ‘앙산노우회원일동(央山老友會員一同)’이 세운 1971년의 ‘상주군수 김정주씨 상산루 기초 수축 기념비(尙州郡守金正柱氏商山樓基礎修築紀念碑)’, 상주고등학교 설립자를 기린 1974년의 ‘상산 박공인양 선생 영세불망비(商山朴公寅陽先生永世不忘碑)’, 왕산 수축 유공자를 기린 1984년의 ‘추계 추공광엽 선생 영세불망비(秋溪秋公光燁永世不忘碑)’, 서쪽 정상부에 서문동성당에서 세운 2011년의 ‘위암 장지연 선생 기념비(韋庵張志淵先生紀念碑)’가 있으며, 비석군 오른쪽에는 2011년 세운 ‘왕산역사공원 중수비’가 있다.
[의의와 평가]
왕산역사공원 내 비석군은 조선 후기 상주 지역의 역사와 행정을 알려 주는 기초 자료이며, 특히 ‘목백 민공 송덕비’에는 당시 상주 지역의 폐단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언급되고 있어 역사 자료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