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수봉리 지석묘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100642
한자 尙州 壽峯里 支石墓群
영어공식명칭 Dolmens in Subong-ri, Sangju
이칭/별칭 수봉리 고인돌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산2-2|수봉리 325-3|수봉리 490-1|수봉리 490-4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강재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8년 - 상주 수봉리 지석묘군 지표 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17년 12월 22일~2018년 1월 12일 - 상주 수봉리 지석묘군 발굴 조사
소재지 상주 수봉리 지석묘군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산2-2 지도보기|수봉리 325-3지도보기|수봉리 490-1지도보기|수봉리 490-4지도보기
성격 고인돌
크기(높이,지름) 길이 484㎝, 너비 372㎝, 두께 161㎝[1구역 1호 덮개돌]|길이 182㎝, 너비 98㎝, 두께 154㎝[1구역 2호 덮개돌]|길이 330㎝, 너비 238㎝, 두께 82㎝[2구역 1호 덮개돌]|길이 280㎝, 너비 236㎝, 두께 92㎝[3구역 1호 덮개돌]

[정의]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군.

[개설]

상주 수봉리 지석묘군(尙州 壽峯里 支石墓群)은 청동기 시대 유적으로 1998년 지표 조사 때 49기가 확인되었으며, 군집 상태에 따라 6개의 지석묘군으로 구분된다. 수봉리 고인돌이라고도 한다.

[위치]

상주 수봉리 지석묘군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산2-2번지, 수봉리 325-3번지, 수봉리 490-1번지, 수봉리 490-4번지 일대에 있다. 석천 남쪽에 넓게 펼쳐진 충적 대지와 상주시 모동면과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경계인 오도재 동쪽의 곡간 대지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상주 수봉리 지석묘군상주 수봉리의 도로 확·포장 공사에 따라 2017년 12월 22일부터 2018년 1월 12일까지 천년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하였다. 조사 지역은 6개 지석묘군 중에서도 2곳에 해당하며, 3개 구역으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조사 결과 1구역에서 고인돌 덮개돌 2기와 석군 1기, 2구역에서 고인돌 덮개돌 1기, 3구역에서 고인돌 덮개돌 1기가 확인되었고, 유물은 출토되지 않았다.

[형태]

상주 수봉리 지석묘군에서 발굴 조사된 고인돌은 모두 덮개돌만 있고, 무덤방과 같은 하부 시설은 확인되지 않았다. 덮개돌의 평면 형태는 장방형과 타원형이며, 단면 형태는 장타원형과 부정형이다. 재질은 역암이다. 발굴 조사된 고인돌 덮개돌의 크기는 1구역 1호가 길이 484㎝, 너비 372㎝, 두께 161㎝ 정도이며, 2호는 길이 182㎝, 너비 98㎝, 두께 154㎝ 정도이다. 2구역 1호 덮개돌은 길이 330㎝, 너비 238㎝, 두께 82㎝ 정도이며, 상면에 ‘오도향우회’라는 표석이 세워져 있다. 3구역 1호 덮개돌은 길이 280㎝, 너비 236㎝, 두께 92㎝ 정도이다.

[현황]

상주 수봉리 지석묘군 6개 중 첫 번째는 중모초등학교 앞에 넓게 펼쳐진 충적 대지에서 3기가 확인되었다. 두 번째는 수봉리 동산마을 북편에 펼쳐진 충적 대지에서 13기가 확인된다. 세 번째는 두 번째 지석묘군에서 남쪽으로 200m 떨어진 지점으로 남쪽의 산지에서 북쪽으로 뻗은 구릉의 선상지에서 4기가 확인된다. 네 번째는 수봉리 오도마을과 일관마을 중간 지점의 협소한 곡간 대지에 15기가 분포한다. 다섯 번째는 남쪽으로 약 200m 떨어진 곡간 대지에 8기가 분포한다. 여섯 번째는 수봉리 오도마을 회관을 지나 민가가 끝나는 지점의 경작지에 6기가 분포한다.

[의의와 평가]

상주 수봉리 지석묘군은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고인돌이 가장 많이 밀집 분포하는 곳이며, 고인돌의 석재로 보이는 암괴 또한 다수 분포하고 있어서 상주 지역의 고인돌 문화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