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100647 |
---|---|
한자 | 長栢寺址 |
영어공식명칭 | Jangbaeksa Temple Site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터 |
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 511|535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
집필자 | 배상현 |
소재지 | 장백사지 -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 511|연원동 535![]() |
---|---|
성격 | 절터 |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절 터.
장백사지(長栢寺址)는 진감국사(眞鑑國師) 혜소(慧昭)[774~850]가 머물렀던 사찰 터로 추정하고 있다. 장백사는 사료상으로 쌍계사(雙磎寺)의 「진감선사탑비(眞鑑禪師塔碑)」와 상주 『남장사사적기(南長寺事蹟記)』에 기록이 전한다. 기록에 따르면 “상주 노악산 동쪽에 위치하며 남장사의 옛 터로, 진감국사 혜소가 830년(흥덕왕 5) 당나라에서 귀국하여 지리산 쌍계사로 가기 전 주석하였던 사찰”로 추정하고 있다. 『남장사사적기』에는 1180년(명종 10) 현재의 남장사로 옮기기 전까지 남장사의 옛 터라고 하였다.
장백사지는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 511번지, 연원동 535번지 구서마을 일대에 있다. 구서마을은 북쪽 노악산과 천봉산 사이에 형성된 산곡간(山谷間)의 마을이며, 마을 북단의 경작지 일대가 절터로 확인되었다.
장백사지에는 한 변의 길이가 258㎝에 이르는 석탑 지붕돌이 있다. 지붕돌 하단에는 5단의 지붕돌 받침이 있고, 상단은 2단으로 탑신 받침을 새기고 있다. 이러한 탑재들은 동방사지(東方寺址)와 화달리사지(化達里寺址) 석탑들과 함께 장백사지가 당시 상주 지역에서 규모가 큰 가람이었음을 추정하게 한다. 장백사지 탑의 부재는 진감선사와 관련된 9세기 중반의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장백사지가 있는 구서마을의 민가에는 탑재와 석등·주춧돌 등의 부재가 산재하고 있으며, 단선문 와편과 봉황문 막새 등이 채집되었다.
장백사지는 통일 신라 시대 경상북도 상주 지역 불교 문화의 추이를 보여 주는 유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