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101125
한자 廣德寺
영어공식명칭 Gwangdeok Temple
분야 종교/불교
유형 기관 단체/사찰
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 구서2길 138[구서리 산2]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박병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25년연표보기 - 광덕사 창건
개칭 시기/일시 1974년 - 광덕사 법화종 말사로 등록
중수|중창 시기/일시 1989년 - 광덕사 대웅전과 삼성각 중수
중수|중창 시기/일시 2014년 - 광덕사 대웅전 개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8년 7월 21일 - 광덕사 전통 사찰 등록
현 소재지 광덕사 -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 구서2길 138[구서리 산2]지도보기
성격 사찰
창건자 배순강
전화 054-532-9272

[정의]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 구서리에 있는 대한불교법화종의 말사.

[개설]

광덕사(廣德寺)는 동학(東學)의 상주 지구 접주였던 해운당(海雲堂) 배순강(裵順江)이 1925년에 창건한 사찰이다. 1988년 전통 사찰로 지정되었으며, 대한불교법화종의 말사이다.

[건립 경위 및 변천]

광덕사는 배순강이 현몽을 하고 난 후에 창건한 사찰이라고 전하여진다. 배순강은 ‘배순광’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영탁(永倬), 호는 기창, 별호는 망월퇴(望月退)이다. 도호(道號)는 청임(淸任) 또는 철관도사(鐵冠道士), 당호가 해운당(海雲堂)이다. 16세의 나이로 동학농민운동에 가담하였고, 동학농민운동이 끝난 다음에는 동학[천도교]의 상주 지구 법주로서 천도교에 심취하여 많은 제자를 거느리고 조선팔도를 다니며 도를 닦았다. 1920년 지금의 광덕사 자리에 동학의 사원을 건립하고 많은 제자들과 함께 동학의 교리를 익히고 포교에 힘썼다. 후에 동학이 불교에서 시작되었음을 알고 불교로 개종하면서 1925년 광덕사를 창건하였다. 그러나 일설에 의하면 1927년에 창건되었다고도 한다.

1946년 5월 15일[1952년 4월 5일 이라는 기록도 있음] 최제우(崔濟愚)의 ‘도덕연원 영세불망비’를 세우고 매년 이날 천제를 올리고 있다. 1954년 배순강이 입적한 후부터 아들 배경수가 주지로 주석하며, 1974년 대한불교법화종 말사로 등록하였다. 1988년 7월 전통사찰로 선정되었다.

1990년 대웅전과 삼성각을 중수하고 삼존불과 후불탱화를 봉안하였으며, 1992년 오층석탑, 1993년 종각을 건립하였다. 배순강의 손자인 월하[배원달]가 주지로 주석하면서 2014년 대웅전을 개축하였다.

[활동 사항]

광덕사는 지방의 산중 사찰이고,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신도 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찰 본연의 기도 활동과 지역민을 위한 기부금 전달, 소외된 이웃을 위한 후원 활동 등의 대외 활동을 꾸준히 전개하고 있다. 광덕사는 신도들이 부처님께 바친 공양미를 모아 어려운 이웃과 어르신을 공경하는 마음으로 관내 각 마을 경로당에 지속적으로 기증하고 있다.

[현황(조직,시설 현황 포함)]

광덕사의 전각은 주불전인 대웅전과 명부전, 산신각, 종각, 요사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웅전을 중심으로 왼쪽 앞쪽으로 명부전이 있고, 명부전 왼쪽 앞쪽에 종각이 있다. 그리고 대웅전 오른쪽 뒤 1단 높은 곳에 산신각이 있으며, 산신각 1단 아래쪽에 오층석탑과 여래입상·비석이 세워져 있다. 대웅전 1단 아래쪽으로 내려오면 요사채 1동이 있다.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구조로 불단에는 금동여래삼존좌상을 봉안하고 있으며, 불화로는 후불탱, 칠성탱, 신중탱이 걸려 있다. 명부전은 정면과 측면이 각각 1칸 규모의 맞배지붕 구조이다. 산신각은 정면 1칸, 측면 1칸 규모의 맞배지붕 구조로, 불단 위 중앙에 있는 독성탱을 중심으로 왼쪽에 산신탱, 오른쪽에 용왕탱이 걸려 있다. 종각은 정면 1칸, 측면 1칸 규모의 누각 형식에 사모 지붕을 얹은 구조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