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101144 |
---|---|
한자 | 鳳崗書院 |
영어공식명칭 | Bonggang Confucian Academy, Sangju |
이칭/별칭 | 경덕사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1길 26[신봉동 230-6]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순한 |
건립 시기/일시 | 1817년 - 경덕사 건립 |
---|---|
이전 시기/일시 | 1827년 - 봉강서원 이건 |
훼철|철거 시기/일시 | 1868년 - 봉강서원 훼철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64년 - 봉강서원 복원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89년 - 봉강서원 중건 |
개축|증축 시기/일시 | 2002년 - 봉강서원 관리사 신축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77년 - 경덕사에서 봉강서원으로 개칭 |
현 소재지 | 봉강서원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1길 26[신봉동 230-6] |
원소재지 | 경덕사 -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 봉대마을 |
성격 | 서원 |
양식 | 팔작지붕[강당]|맞배지붕[경덕사]|솟을대문[정려문] |
정면 칸수 | 4칸[강당]|3칸[경덕사]|3칸[정려문] |
측면 칸수 | 2칸[강당]|1칸[경덕사]|1칸[정려문] |
관리자 | 봉강서원 |
[정의]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개설]
봉강서원(鳳崗書院)은 강회중(姜淮仲)[1359~1421], 강형(姜詗)[1451~1504]을 제향하는 서원으로 1817년(순조 17) 경덕사(敬德祠)로 처음 건립하였다.
강회중의 본관은 진주, 자는 중보(仲父), 호는 통계(通溪)이다. 강회중은 조선 건국 직후 이색(李穡)[1328~1396]과 함께 결당 모란하였다는 죄로 본향에 안치되었다. 인수부윤(仁壽府尹)을 지냈다. 강형의 본관은 진주, 자는 형지(詗之)이다. 강형은 연산군이 친어머니 폐비 윤씨를 왕후로 복위하려는 것에 대하여 반대하다가 죽임을 당하였다. 중종 초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위치]
봉강서원은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1길 26[신봉동 230-6]에 있다.
[변천]
1817년 강세백(姜世白)이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 봉대마을(鳳臺마을)에 강회중과 강형을 제향하기 위하여 경덕사를 건립하였다. 1827년 강세백의 손자 강주영(姜冑永)이 현재 위치로 이건하였다.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훼철령에 따라 철폐되었고, 서원 터에는 단소를 설치하였다. 1964년 도남서원(道南書院)에서 유림들이 결의하여 경덕사를 복원하였다. 1975년 옥동서원(玉洞書院)에서 경덕사를 서원으로 승격하기 위한 유림 공론이 결의되었고, 1977년 ‘봉강서원’으로 승원하였다. 사당에는 ‘경덕사’ 현판을 걸었다. 1985년 서원 중건추진위원회가 구성되었고, 1989년 묘우, 내·외삼문, 강당, 전사청을 중건하였다. 이때 강형의 부인 선산 김씨 정려를 서원 옆으로 이건하고 주변을 정비하였다. 1992년 서원 담장 밖에 진주 강씨의 입향 유래를 기록한 세거비를 세웠다. 2002년 관리사를 신축하였다.
[형태]
봉강서원의 사당인 경덕사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며, 묘정으로 출입하는 내삼문은 삼간솟을대문이다. 강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중앙의 2칸은 어칸으로 우물마루를 시공하고, 양 협실은 통칸 온돌이다. 외삼문은 삼간솟을대문으로 서원으로 승원하면서 세운 것이며 문호는 ‘숭덕(崇德)’이다. 봉강서원의 왼쪽 담장 밖에는 선산 김씨의 정려가 있다.
[현황]
봉강서원은 매년 음력 3월 중정(中丁)에 향사를 지낸다. 또한 서원 내에는 「경덕사기」와 「봉강서원기」가 현판으로 게시되어 있다. 「경덕사기」는 1827년 경덕사 이건 경위가 언급되어 있으며, 장병규(張炳逵)가 찬한 「봉강서원기」에는 봉강서원 중건 경위가 적혀 있다.
[의의와 평가]
봉강서원은 경상북도 상주 지역 진주 강씨 가문의 조상 추숭 의식과 근대 이후 서원의 복설 및 승원 양상을 보여 주는 문화유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