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100581
영어공식명칭 Steles of No Hu and No Hong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사산길 2-12[사산리 286]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창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581년연표보기 - 노후 및 노홍신도비 건립
이전 시기/일시 1992년 11월 - 노후 및 노홍신도비 이전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475년연표보기 - 노후 출생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496년연표보기 - 노홍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546년연표보기 - 노후 사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568년연표보기 - 노홍 사망
문화유산 지정 일시 1986년 12월 11일연표보기 - 노후 및 노홍신도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20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노후 및 노홍신도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노후 및 노홍신도비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 지정
현 소재지 노후 및 노홍신도비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사산길 2-12[사산리 286]지도보기
성격 신도비
관련 인물 노후|노홍
재질 석재
크기(높이, 너비, 두께) 높이 51㎝, 너비 133㎝, 두께 162㎝[노후 신도비 귀부]|높이 139.5㎝, 너비 71.8㎝, 두께 18.5㎝[노후 신도비 비신]|높이 65㎝, 너비 91㎝, 두께 36㎝[노후 신도비 이수]|높이 44.5㎝, 너비 137㎝, 두께 157㎝[노홍 신도비 귀부]|높이 138.5㎝, 너비 67.5㎝, 두께 18.5㎝[노홍 신도비 비신]|높이 63㎝, 너비 94㎝, 두께 33㎝[노홍 신도비 이수]
문화유산 지정 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정의]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사산리에 있는 조선 전기 노후와 노홍의 신도비.

[개설]

노후 및 노홍신도비(盧珝 및 盧鴻神道碑)는 조선 전기 문인 노후(盧珝)[1475~1546]와 아들 노홍(盧鴻)[1496~1568]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신도비이다. 노후는 본관이 광주(光州)이며 풍저창수 등을 역임하였고, 노홍은 활인서별제를 지냈다. 노홍의 아들은 영의정을 역임한 노수신(盧守愼)[1515~1590]이다. 노수신으로 인하여 노후는 의정부좌찬성, 노홍은 영의정에 각각 추증되었다.

노후 및 노홍신도비는 1986년 12월 11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2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변경되었으며,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기본법」이 시행됨에 따라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되었다.

[건립 경위]

노후 및 노홍신도비는 노후와 노홍의 행적을 기록하기 위하여 1581년(선조 14) 건립되었다. 비문에 의하면 손자 노수신이 노후의 묘에 비가 없는 것을 안타까워하여, 노후의 행장을 지어 이산해에게 여러 차례 비명을 부탁하여 받았다고 한다.

[위치]

노후 및 노홍신도비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사산길 2-12[사산리 286]에 있다. 사산리에는 노수신의 덕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한 사당인 옥연사(玉淵祠)가 있다. 노후 및 노홍신도비옥연사 정문인 경앙문(景仰門)에 들어서서 오른쪽 쪽문 안쪽에 정면 2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보호각 내에 있다. 원래는 서남향으로 2㎞ 떨어진 화남면 소곡리 원천동마을의 노후·노홍·노수신 3대의 묘소 앞에 있었지만, 1992년 11월 현 위치로 이건하였다.

[형태]

노후 및 노홍신도비의 형태와 양식은 전체적으로 비슷하다. 노후 및 노홍신도비는 귀부·비신·이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귀부와 이수는 화강암, 비신은 대리석이다. 노후 신도비의 귀부는 높이 51㎝, 너비 133㎝, 두께 162㎝이다. 비신은 높이 139.5㎝, 너비 71.8㎝, 두께 18.5㎝이다. 이수는 높이 65㎝, 너비 91㎝, 두께 36㎝이다. 노홍 신도비의 귀부는 높이 44.5㎝, 너비 137㎝, 두께 157㎝이다. 비신은 높이 138.5㎝, 너비 67.5㎝, 두께 18.5㎝이다. 이수는 높이 63㎝, 너비 94㎝, 두께 33㎝이다.

[금석문]

노후 신도비 비문의 찬자(撰者)와 서자(書者)는 이산해(李山海), 전자(篆者)는 김응남(金應南), 각자(刻者)는 미상이다. 비문은 비신 전면에만 새겨져 있으며, 상부에 가로로 ‘증 좌찬성 노공 신도비명(贈 左贊成 盧公 神道碑銘)’이라고 새겨져 있으며, 전액 아래에는 세로로 비문이 새겨져 있다. 먼저 ‘유명조선국 증숭정대부 의정부 좌찬성 겸판의금부사 통훈대부 행풍저창수 노공 신도비명(有明朝鮮國 贈崇政大夫 議政府 左贊成 兼判義禁府事 通訓大夫 行豐儲倉守 盧公 神道碑銘)’, 그다음은 찬자·전자·본문 순으로 되어 있으며, 마지막에 ‘만력 십칠년 팔월 일 립(萬曆 十七年 八月 日 立)’이 새겨져 있다.

노홍 신도비 비문의 찬자는 박승임(朴承任), 전자는 김응남, 서자는 한호(韓護), 각자는 미상이다. 비문은 비신 전면에만 새겨져 있으며, 상부에 가로로 ‘증 영의정 노공 신도비명(贈 領議政 盧公 神道碑銘)’이라고 새겨져 있고, 전액 아래에는 세로로 비문이 새겨져 있다. 먼저 ‘유명조선국 증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겸영경연관상감사 행활인서별제 봉정대부 노공 신도비명 병서(有明朝鮮國 贈大匡輔國崇祿大夫 議政府領議政 兼領經筵觀象監 事行活人署別提 奉正大夫 盧公 神道碑銘 并序)’, 그다음은 찬자·전자·서자·본문 순이며, 마지막에 ‘만력 십칠년 팔월 일 립(萬曆 十七年 八月 日立)’이 새겨져 있다. 노홍의 비문은 『소고선생문집(嘯庫先生文集)』 권4 「비명묘지(碑銘墓誌)」에도 실려 있다.

[현황]

노후 신도비의 비문은 하단이 풍화로 인하여 눈으로 관찰이 어려운 상태이며, 노홍 신도비의 비문은 일부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마모가 심하여 눈으로 관찰이 어려운 상태이다.

[의의와 평가]

노후 및 노홍신도비는 16세기 전반과 중반 관료들의 모습을 알려 주는 기초 자료이고, 특히 노홍 신도비는 당대 명필 석봉 한호가 쓴 것으로 서예사적으로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