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100657
한자 尙州 壬亂北川戰跡地 內 碑石群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경상대로 3123[만산동 699]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창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612년연표보기 - 판관 권길 사의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60년연표보기 - 관찰사 홍우길 영세송덕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71년연표보기 - 척화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82년연표보기 - 목사 이희 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88년연표보기 - 목사 민종렬 송덕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90년연표보기 - 목사 민종렬 불망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90년연표보기 - 순상국 김명진 송덕비 건립
이전 시기/일시 1991년 - 상주 임란북천전적지 내 비석군 이건
이전 시기/일시 1994년 - 상주 임란북천전적지 내 비석군 이건
현 소재지 상주 임란북천전적지 내 비석군 - 경상북도 상주시 경상대로 3123[만산동 699]지도보기
성격 선정비
크기(높이, 너비, 두께) 높이 27㎝, 너비 100㎝, 두께 56㎝[판관 권길 사의비 비석 받침]|높이 155㎝, 너비 67㎝, 두께 17㎝[판관 권길 사의비 비신]|높이 16㎝, 너비 75㎝, 두께 55㎝[관찰사 홍우길 영세송덕비 비석 받침]|높이 122㎝, 너비 59㎝, 두께 26㎝[관찰사 홍우길 영세송덕비 비신]|높이 15㎝, 너비 75㎝, 두께 55㎝[순상국 김명진 송덕비 비석 받침]|높이 153㎝, 너비 50㎝, 두께 26.5㎝[순상국 김명진 송덕비 비신]|높이 14㎝, 너비 75㎝, 두께 55㎝[목백 이희 비 비석 받침]|높이 147㎝, 너비 49㎝, 두께 24㎝[목백 이희 비 비신]|높이 16㎝, 너비 55㎝, 두께 45㎝[목사 민종렬 송덕비 비석 받침]|높이 127㎝, 너비 38.5㎝, 두께 18㎝[목사 민종렬 송덕비 비신]|높이 17㎝, 너비 75㎝, 두께 55㎝[목사 민종렬 영세불망비 비석 받침]|높이 139㎝, 너비 46㎝, 두께 18㎝[목사 민종렬 영세불망비 비신]|높이 62.5㎝, 너비 45㎝, 두께는 12㎝[척화비]

[정의]

경상북도 상주시 만산동 임란북천전적지 내에 있는 조선 후기 비석군.

[개설]

상주 임란북천전적지(尙州 壬亂北川戰跡地) 내에는 조선 시대와 최근의 비 등 총 20기가 산재하고 있다. 조선 시대 비는 사의비 1기, 경상도관찰사 비 2기, 상주목사 비 3기, 척화비 1기 등 총 7기이다. 건립 연대는 1612년(순조 13)부터 1890년(고종 27)까지이다.

[건립 경위]

상주 임란북천전적지 내 비석군 중 사의비는 임진왜란북천전투에서 전사한 판관 권길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무양동에 있었던 충렬사가 훼철되면서 자산(子山) 아래로 옮겨 놓은 것을 1991년 임란북천전적지 정화 사업 때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경상도 관찰사와 상주목사의 선정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는 조선 후기 상주읍성 내의 비석 거리인 상주시 성하동 8-21번지 지하에 있었던 것이다. 1994년 장인가구 상주대리점 터파기 작업 때 발견된 3기[순상국 김명진 송덕비, 목백 이희 비, 목사 민종렬 영세불망비]와 시내에서 발견된 2기[관찰사 홍우길 영세송덕비, 목사 민종렬 송덕비]를 상주시청으로 옮겨 놓았다가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위치]

상주 임란북천전적지 내 비석군은 경상북도 상주시 경상대로 3123[만산동 699] 상주 임란북천전적지 내에 있다. 판관 권길 사의비는 서쪽의 충렬사 내삼문 앞 좌측의 비각 안에 있으며, 5기의 송덕비는 북쪽의 태평루 오른쪽에 일렬로 세워져 있고, 척화비는 남쪽의 상산관 내에 보관되어 있다.

[형태]

1. 판관 권길 사의비(判官 權吉 死義碑)

권길은 재임 기간이 1591년부터 1592년까지이다. 판관 권길 사의비는 상부에 연잎이 조각된 비석 받침과 원수형(圓首形)의 비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석 받침은 높이 27㎝, 너비 100㎝, 두께 56㎝이고, 비신은 높이 155㎝, 너비 67㎝, 두께 17㎝이다.

2. 관찰사 홍우길 영세송덕비(觀察使 洪祐吉 永世頌德碑)

홍우길은 재임 기간이 1858년 12월부터 1860년 6월까지이다. 관찰사 홍우길 영세송덕비는 새로 만든 비석 받침 위에 상부가 파손된 비신만 있다. 비석 받침은 높이 16㎝, 너비 75㎝, 두께 55㎝이며, 비신은 높이 122㎝, 너비 59㎝, 두께 26㎝이다.

3. 순상국 김명진 송덕비(巡相國 金明鎭 頌德碑)

김명진은 재임 기간이 1888년 8월부터 1890년 6월까지이다. 순상국 김명진 송덕비는 새로 만든 비석 받침 위에 직수형(直首形) 비신만 있다. 비석 받침은 높이 15㎝, 너비 75㎝, 두께 55㎝이며, 비신은 높이 153㎝, 너비 50㎝, 두께 26.5㎝이다.

4. 목백 이희 비(牧伯 李喜 碑)

이희는 재임 기간이 1879년 2월부터 1882년 3월까지이다. 목백 이희 비는 새로 만든 비석 받침 위에 원수형(圓首形)의 비신만 있다. 비석 받침은 높이 14㎝, 너비 75㎝, 두께 55㎝이며, 비신은 높이 147㎝, 너비 49㎝, 두께 24㎝이다.

5. 목사 민종렬 송덕비(牧使 閔種烈 頌德碑)

민종렬은 재임 기간이 1885년 3월부터 1893년 11월까지이다. 목사 민종렬 송덕비는 새로 만든 비석 받침 위에 규수형(圭首形)의 비신만 있다. 비석 받침은 높이 16㎝, 너비 55㎝, 두께 45㎝이며, 비신은 높이 127㎝, 너비 38.5㎝, 두께 18㎝이다.

6. 목사 민종렬 영세불망비(牧使 閔種烈 永世不忘碑)

목사 민종렬 영세불망비는 새로 만든 비석 받침 위에 직수형(直首形)의 비신만 있다. 비석 받침은 높이 17㎝, 너비 75㎝, 두께 55㎝이며, 비신은 높이 139㎝, 너비 46㎝, 두께 18㎝이다.

7. 척화비(斥和碑)

척화비는 비신의 상단부만 남겨져 있으며, 높이는 62.5㎝, 너비는 45㎝, 두께는 12㎝이다.

[금석문]

1. 판관 권길 사의비는 1612년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판관 권길 사의비(判官 權吉 死義碑)’, 후면에는 권길임진왜란 당시의 공적 등이 새겨져 있다. 하지만 전면과 후면의 마모가 너무 심하여 비문은 일부를 제외하고 눈으로 관찰이 어려운 상태이다.

2. 관찰사 홍우길 영세송덕비는 1860년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국 우길 영세송덕비(□□□□□國 祐吉 永世頌德碑)’, 오른쪽에는 ‘공금우남 송약우전 봉공려정 양제기현(公今于南 頌若郵傳 奉公麗情 兩劑其賢)’, 왼쪽에는 ‘동광뇌포 고허병전 유민불륵 유필여연(凍纊餒哺 枯噓病痊 有珉不泐 有筆如椽)’이라고 새겨져 있다. 후면 중앙에는 ‘경신 사월 하한 각면 립(庚申 四月 下澣 各面 立)’, 오른쪽에는 ‘도감 엄상신(都監 嚴相愼)’, 왼쪽에는 ‘색리 이능권(色吏 李能權)’이 새겨져 있다.

3. 순상국 김명진 송덕비는 1890년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순상국 김공명진 송덕비(巡相國 金公明鎭 頌德碑)’, 오른쪽에는 ‘선사진민 가영부족(選士賑民 歌詠不足)’, 왼쪽에는 ‘이공이성 각석위명(以公以誠 刻石爲銘)’, 후면에는 ‘경인 사월 일 립 간역리 김재율(庚寅 四月 日 立 看役吏 金在律)’이 새겨져 있다.

4. 목백 이희 비는 1882년 전후에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 상부에는 ‘목백 우봉 이공(牧伯 牛峯 李公)’, 하단 오른쪽에는 ‘생경오(生庚午)’, 하단 왼쪽에는 ‘함희(銜土喜)’가 새겨져 있다.

5. 목사 민종렬 송덕비는 1888년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목사 민후종렬 송덕비(牧使 閔侯種烈 頌德碑)’, 오른쪽에는 ‘소부두모 부견금일(召父杜母 復見今日)’, 전면 왼쪽에는 ‘석토반료 종차뢰활(錫土頒料 從此賴活)’이 새겨져 있다. 후면 상단 중앙에는 ‘숭정후 무자 십일월 일 사청 립(崇禎後 戊子 十一月 日 四聽 立)’, 오른쪽에는 ‘시호장 박재근(時戶長 朴宰謹)’, 왼쪽에는 ‘시이방 박연하(時吏房 朴演廈)’, 하단에는 ‘방장관노 이영태 박근이 방장사령 김광선 박순룡 방장군뢰 이동욱 박노적 방장교사 오두만(方長官奴 李永泰 朴根伊 方長使令 金光先 朴順龍 方長軍牢 李東旭 朴老赤 方長敎師 吳斗萬)’이 새겨져 있다.

6. 목사 민종렬 영세불망비는 1890년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목사 민후종렬 영세불망비(牧使 閔侯種烈 永世不忘碑)’, 오른쪽에는 ‘민무기뇌 정성육재(民無飢餒 政成六載)’, 왼쪽에는 ‘사유의귀 송일천추(士有依歸 頌溢千秋)’, 후면에는 ‘광서 십육년 유월 일 립 간역리 김재율(光緖 十六年 六月 日 立 看役吏 金在律)’이 새겨져 있다.

7. 척화비는 1871년 세워졌다. 비신 전면 오른쪽부터 ‘양이침범 화주화매 계아만년 병인(兩珥侵犯 和主和賣 戒我萬年 丙寅)’이 새겨져 있다.

[현황]

임란북천전적지 내에는 조선 시대 비석 이외에도 1986년부터 1999년 정화 사업 후에 건립된 여러 비가 있다. 충렬사 내삼문 앞 비각 안에는 1991년 건립된 ‘충신의사단비(忠臣義士壇碑)’가 있다. 충렬사 외삼문 왼쪽에는 2002년 건립된 ‘임란충신 증영의정 순국비 남원윤공휘섬 순국비(壬亂忠臣 贈領議政 殉國碑 南原尹公諱暹 殉國碑)’, 1999년 건립된 ‘조선충신 증도승지 순국비 한산이공경류 순국비(朝鮮忠臣 贈都承旨 殉國碑 韓山李公慶流 殉國碑)’, 2000년 건립된 ‘조선충신 증직제학 순국비 밀양박공휘호 순국비(朝鮮忠臣 贈直提學 殉國碑 密陽朴公諱箎 殉國碑)’, ‘조선의사 청도김공휘준신 순국비(朝鮮義士 淸道金公諱俊臣 殉國碑)’, 2001년 건립된 ‘조선의사 상산김공휘일 순국비(朝鮮義士 商山金公諱鎰 殉國碑)’가 있다. 태평루 왼쪽에는 ‘충렬사유허비(忠烈祠遺墟碑)’, 1980년 건립된 ‘임란충절 상주판관 권길공 순국비(壬亂忠節 尙州判官 權吉公 殉國碑)’, 1992년 건립된 ‘충신 선산김공종무 순국비(忠臣善山金公宗武 殉國碑)’, 1980년 건립된 ‘임란충절 상주호장 박걸공 순국비(壬亂忠節 尙州戶長 朴傑公 殉國碑)’, ‘증통훈대부 장악원정 상산박공휘걸 순절단(贈通訓大夫 掌樂院正 商山朴公諱傑 殉節壇)’이 있다. 침천정 뒤쪽에는 1991년 건립된 ‘임란북천전적비(壬亂北川戰蹟碑)’, 관리사 앞쪽에는 1993년 건립된 ‘유명조선국 사호의사 김준신 사의비(有明朝鮮國 賜號義士 金俊臣 死義碑)’가 있다.

[의의와 평가]

상주 임란북천전적지 내 비석군 중 지방관의 비는 조선 후기 상주 지역의 역사와 행정을 알려 주는 기초 자료가 된다. 판관 권길 사의비를 비롯한 북천전투의 충신과 의사비는 임진왜란 당시 상주 지역에서 벌어진 항전을 알려 주는 역사의 교육장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