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100701 |
---|---|
한자 | 蒼石祠堂 |
영어공식명칭 | Shrine of Yi Jun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가천3길 70[가천리 587]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백지국 |
건립 시기/일시 | 1656년![]() |
---|---|
이전 시기/일시 | 1771년 - 창석사당 이건 |
문화유산 지정 일시 | 1986년 12월 11일![]()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창석사당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지정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4년 5월 17일 - 창석사당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지정 |
현 소재지 | 창석사당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가천3길 70[가천리 587]![]() |
원소재지 | 창석사당 - 경상북도 상주시 |
성격 | 전통건축물 |
양식 | 맞배지붕[재실]|맞배지붕[관리사]|맞배지붕[사당] |
정면 칸수 | 4칸[재실]|4칸[관리사]|3칸[사당] |
측면 칸수 | 1.5칸[재실]|1칸[관리사]|1.5칸[사당] |
소유자 | 이준회 |
관리자 | 이준회 |
문화유산 지정 번호 |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가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창석사당(蒼石祠堂)은 이준(李埈)[1560~1635]을 모시는 불천위 사당이다. 1986년 12월 11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78-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으며,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기본법」이 시행됨에 따라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되었다.
창석사당은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가천3길 70[가천리 587]에 있다. 상주시청에서 남쪽으로 약 13㎞ 거리에 있는 가천리 달내마을 북쪽에 있다. 남쪽으로 350m 거리에 체화당(棣華堂)이 있다.
창석사당은 이준을 향사하기 위하여 1656년(효종 7) 건립하였다. 1771년(영조 47) 현재 자리로 이건하였다.
창석사당은 출입문과 재실, 관리사, 사당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실은 앞면 4칸, 옆면 1칸 반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가운데 대청을 중심으로 왼쪽과 오른쪽에 온돌방을 둔 중당협실형(中堂挾室形)이다. 관리사는 앞면 4칸, 옆면 1칸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정지, 온돌방 2칸, 고방의 구조이다. 사당은 흙돌담을 둘러 별도의 공간을 이룬다. 앞면 3칸, 옆면 1칸 반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뼈대 짜임새가 형 이전을 모신 월간사당과 비슷하다.
창석사당은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 관리되어 건물의 상태는 양호하다.
창석사당은 주변의 체화당 등과 함께 조선 후기 가천리에 거주한 흥암 이씨 가문의 향촌 사회 활동을 보여 주는 문화유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