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100859
한자 李萬敷
영어공식명칭 Lee Manbu
이칭/별칭 중서(仲舒),식산(息山)
분야 역사/전통 시대,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송석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64년연표보기 - 이만부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97년 - 이만부 상주로 이주
활동 시기/일시 1700년 - 이만부 상주에 천운당 건립
활동 시기/일시 1708년 - 이만부 『도동편』 저술
활동 시기/일시 1728년 - 이만부 이인좌의 난 때 창의
몰년 시기/일시 1732년연표보기 - 이만부 사망
추모 시기/일시 1786년 - 이만부 근암서원 배향
출생지 한성부 - 서울특별시
거주|이주지 상주목 노곡 식산 - 경상북도 상주시 외답동 지도보기
묘소|단소 이만부 묘소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서만리 산125-4 지도보기
사당|배향지 근암서원 -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금천로 351-5[서중리 148-1]
성격 학자
성별 남성
본관 연안(延安)

[정의]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정착한 학자.

[가계]

이만부(李萬敷)[1664~1732]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자는 중서(仲舒), 호는 식산(息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심(李礻+尋)이고, 할아버지는 이조판서 이관징(李觀徵)이다. 아버지는 예조참판 이옥(李沃)이고, 어머니는 이동규(李同揆)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김이해(金爾楷)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류천지(柳千之)의 딸 풍산 류씨(豊山 柳氏)이다. 아들은 이지빈(李之彬)이다.

[활동 사항]

이만부는 1664년(현종 5) 한성부[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1678년(숙종 4) 아버지 이옥이 송시열(宋時烈)을 탄핵하다 북청으로 유배되자 아버지를 따라가 모셨으며, 이후 과거 준비를 그만두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여 이옥이 조정에 복귀하였으나 이만부는 한양의 서호(西湖)에 머물며 강학에 힘썼다.

이만부는 1697년 경상도 상주의 노곡(魯谷) 식산(息山)[현 경상북도 상주시 외답동]으로 이주하였다. 이후 상주의 유생들과 강학하고 여씨향약(呂氏鄕約)을 시행하기도 하였다. 1706년 영의정 최석정(崔錫鼎)이 학행으로 천거하였으나 사양하였고, 1708년에는 중국에서 끊어진 도학(道學)의 맥이 동국(東國)인 조선에 있음을 드러내는 『도동편(道東編)』을 저술하였다. 1700년 노곡정사가 화재로 불타자 북쪽에 천운당(天雲堂)을 짓고 말년에는 『주역(周易)』을 연구하였다.

이만부는 1728년(영조 4) 일어난 이인좌의 난 때 의병을 일으킨 공으로 1729년 장릉참봉과 영고별제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는 않았고, 1732년 상주에서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이만부의 저술로는 문집인 『식산집(息山集)』 20책, 『역통(易統)』 3권, 『대상편람(大象便覽)』 1권, 『사서강목(四書講目)』 4권, 『도동편』 18권 8책, 『율려추보(律呂推步)』 등이 있다. 이만부의 전적(典籍) 13종 38책은 ‘식산이만부전적’이라는 명칭으로 1995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묘소]

이만부의 묘소는 상주시 내서면 서만리 산125-4의 연안 이씨 종중 묘원에 있다.

[상훈과 추모]

이만부는 1786년 지금의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금천로 351-5[서중리 148-1]에 있는 근암서원(近巖書院)에 배향되었다.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4.11.04 인명 수정 이심(李襑) → 이심(李礻+尋)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