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100860 |
---|---|
한자 | 李師蕃 |
영어공식명칭 | Lee Sabeon |
이칭/별칭 | 중거(仲擧),숙거(叔擧),수곡(樹谷)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병훈 |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이사번(李師蕃)[1671~1737]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중거(仲擧)·숙거(叔擧), 호는 수곡(樹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공조정랑 이광흡(李光洽)이고, 할아버지는 이구(李榘)이다. 아버지는 이주만(李冑萬)이고, 어머니는 권구(權坵)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부인은 검교 신필성(申弼成)의 딸 평산 신씨(平山 申氏)이고, 아들은 이국춘(李國春)이다.
이사번은 1671년(현종 12) 상주목 산양촌[현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대하리]에서 태어났다. 1696년(숙종 22)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702년 성균관에서 수학할 때 유생들이 추앙하여 존중하였다고 한다. 이후 낙향한 뒤에는 산양에 거주하며 상주 지역 문인들과 교유하였다.
이사번은 1721년(경종 1) 영남 지역 유림 상소의 소수(疏首)[연명(連名)하여 올린 상소문에서 맨 먼저 이름을 적은 사람]로 참여하여 정론을 세우고자 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때부터 두문불출하며 고금의 서적을 읽으며 학문에 전념하였다. 이 시기 할아버지 이구의 유문(遺文)을 수습하여 이만부(李萬敷)와 권두경(權斗經)에게 서문을 받아 문집 초고를 편집하였다. 이사번은 1736년(영조 12) 효령대군의 사당을 건립하고 편액을 내려줄 것을 요청하는 상소에 연명하기도 하였으며, 1737년 사망하였다.
이사번의 저술로는 문집인 『수곡유고(樹谷遺稿)』가 전한다.
이사번의 묘소눈 문경시 산북면 서중리에 있다.